•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들고양이와 관리방안에 대한 인식

Dalam dokumen 3차년도 최종보고서 (Halaman 87-118)

ο 2013년도 수행된 탐방객 및 지역주민 39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들고양이는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ο 들고양이 개체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 적인 방법으로는 포획이라 응답 하였으며(61%), 다음으로 서식지 관리(28%)라 응답하였다. 하지만 포획개체의 처리 방법에 대한 선호도는 중성화수술(39%), 안락사(39%)로 나뉘었다.

ο TNR과 안락사 각각의 지지도는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TNR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안락사가 비인도적인 방법으로 여겨 반대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ο 그러나 들고양이로 인한 가장 큰 문제가 쓰레기 파헤침과 같은 쾌적한 환경 훼손 이라 여기고 있으며, 소형 야생생물 포식은 비교적 문제 인식도가 낮았다.

ο 국립공원의 목적이 생태계 보전에 있음을 고려하였을 때, 국립공원 내 들고양이 개체군 관리는 공원 내 서식하고 있는 중·소형 포유류, 조류, 곤충 등 야생생물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 되고 있음을 홍보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적정 관리 방안 시행의 타당성을 마련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5. 도봉산 일원의 들고양이 관리 방안 수립(안)

ο 2013년부터 3년간 이루어진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도봉산의 도봉지역을 중심으로 들고양이 관리 방안 수립하고자 하였다.

1) 들고양이 개체군 현황 파악

ο 도봉지역의 서식밀도는 0.014마리/로 나타났으며, 조사 경로를 따라 약 79 마리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ο 들고양이의 주요 분포 지역은 탐방객의 방문이 잦은 쉼터, 절, 상가 지역이었으며, 은신처로 사용할 수 있는 인공 시설물 주변으로 관찰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ο 식이습성 연구 결과, 비교적 야생생물의 포식 피해가 적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인위적 먹이원이 주 먹이로 나타났다.

2) 관리방안 마련

ο 도봉산 일원에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탐방객 및 지역 주민은 들고양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포획을 통한 안락사 또는 TNR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ο 도봉산 일원에서 탐방객 및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안락사와 TNR의 선호도 설문결과 관리방안 시행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시행 관리 방안 으로써는 안락사가 비인도적인 방법이라 인식하고 있어 지지도가 낮은 반면 대안적 방법으로써 TNR의 지지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ο 국립공원 내 관리방안으로써 TNR 보다 안락사가 더 적합하다고 제시하였으나, 탐방객 및 지역 주민 설문 조사 결과 안락사에 대한 반대 의견이 높기 때문에

ο 들고양이 개체군 관리의 목표를 기간과 상관없이 개체군 크기의 감소로 설정할 경우, 연간 전체 개체군의 30%를 TNR 하였을 때 개체수가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서식 개체군 79마리의 30%인 약 24마리에 대하여 매년 중성화 수술을 시행한다.

ο 반면 TNR을 통한 개체군 감소 목표치가 향후 10년 내 들고양이 개체군의 절멸로 설정한다면, 전체 암컷 개체군의 60%이상을 TNR해야 하며, 현재 서식하고 있는 79마리를 기준으로 매년 약 48마리의 암컷 개체를 TNR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5년 내 개체군을 절멸시키기 위해서는 안락사를 시행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ο 포획틀은 들고양이가 주로 분포하고 있는 쉼터, 절, 상가 지역을 중심으로 최소 11개/의 밀도로 포획틀을 설치해 들고양이 행동권 내 최소 한개의 포획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기준으로 도봉지역에서 포획틀은 최소 11개를 운영해야 하며, 분산 하여 설치하는 것 보다 쉼터와 저지대 인공시설물 및 절을 중심으로 설치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ο 도봉지역의 들고양이 개체를 무선 추적한 결과 세 개체의 핵심서식지가 겹쳐져 있어 서식지를 이용함에 있어 다른 개체에 배타적이지 않는 것으로 여겨지며, 도봉지역 에서 TNR 개체를 본 서식지로 돌려보낸다 하여도 진공효과를 막기 힘든 것 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식사 습성 분석 결과, 주 먹이원인 인위적 먹이원을 정기적 으로 제거하고 지역 주민 또는 탐방객에게 먹이를 주지 않도록 홍보함으로써 서식 지내 들고양이의 서식 여건을 낮추는 서식지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3) 사전 홍보 및 지역 협조

ο 국립공원 내 들고양이 관리의 목적인 야생생물 보호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를 통하여 포획 및 TNR 시행의 타당성을 설명하고, 먹이를 제공하지 않도록 협조를 구한다.

ο 현재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사무소는 2012년부터 TNR 관계 기관과 협력하여 TNR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4) 관리방안의 시행 및 통계자료의 작성

ο 포획한 개체는 환경부의 들고양이 포획 및 관리지침의 기록 자료를 반영하여 포획일, 성별, 포획 장소, 몸무게를 기록하고, 연간 목표치인 암컷 24개체 포획 및 TNR을 달성할 수 있도록 관리 방안을 시행한다.

5) 모니터링 및 사업의 관리

ο 관리방안 시행과 기록된 통계자료의 포획일, 포획 장소를 바탕으로 들고양이 분포의 변화를 파악하여, 포획 집중 지역을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ο 정해진 순찰 경로를 따라 들고양이를 관측하고 기록하는 선조사법을 사용하여 관리 대상지역의 개체수 변화를 파악한다.

ο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도봉지역, 송추지역, 원도봉지역 조사 경로 또는 순찰 경로를 설정하여 구간별 관찰 개체수를 월별, 계절별 기록하여 관리방안 시행에 따라 관찰 개체수가 증감하는지 파악하여 연간 포획 개체수를 재설정한다.

ο 포획틀 설치, 들고양이 포획, TNR 및 재방사 등 일련의 사업의 효율적 진행을 위하여 전담인력의 배치가 필요하며, 전문적인 활동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도 필요하다.

6) 평가 및 추후 개선사항 도출

ο 현재 TNR을 실시하고 있는 도봉산 일원의 들고양이 개체군 밀도는 인근 TNR을 실시하지 않는 수락산 일원의 들고양이 개체군 밀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봉산 일원이 인공적인 먹이 획득이 용이하고, 은신처가 풍부한등 은신처로써 더 적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개체군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서식지의 서식 적합도를 낮추기 위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ο 도봉산 일원에서 TNR을 통해 개체군 밀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현재 매년 포획 및 TNR을 시행되고 있는 개체수를 높여야 하며, 수컷 보다 암컷을 집중적으로 포획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최소 연간 전체 암컷 개체군크기의 30%

참 고 문 헌

국립공원관리공단. 2015. 2015 국립공원기본통계[탐방지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환경과학원. 2010. 생태계위해성이 높은 외래종의 정밀조사 및 관리방안(Ⅴ). 국립환경 과학원.

농림부. 2001. 제주도 야생동물에 의한 피해실태 분석과 효율적인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농림부.

이우성, 박경훈, 김동필. 2008. 등산로 개설에 의한 산림의 경관생태학적 영향 분석. 한국 환경생태학회지 22(2): 128-137

이정일, 정철운, 김철영. 2009. 경주국립원내 서식하는 들고양이 (Felis catus)의 동절기 행 동권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485-491.

환경부. 2001. 들고양이 서식실태 및 관리방안 연구. 환경부.

황미경. 2013. 도시와 시골에 서식하는 한국 배회고양이의 먹이자원과 서식밀도 비교. 서울 대학교.

Aguilar, G. D., and M. J. Farnworth. 2013.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unmanaged cat colonies over a 20 year period in Auckland, New Zealand.

Applied Geography 37:160-167.

Andersen, M. C., B. J. Martin, and G. W. Roemer. 2004. Use of matrix population models to estimate the efficacy of euthanasia versus trap-neuter-return for management of free-roaming cats.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25:1871-1876.

Ash, S. J., and C. E. Adams. 2003. Public preferences for free-ranging domestic cat (Felis catus) management options. Wildlife Society Bulletin:334-339.

Barratt, D. G. 1997. Home range size, habitat utilisation and movement patterns of suburban and farm cats (Felis catus). Ecography 20:271-280.

Barrows, P. L. 2004. Professional, ethical, and legal dilemmas of trap-neuter-release.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25:1365-1369.

Bengsen, A. J., J. A. Butler, and P. Masters. 2012. Applying home-range and landscape-use data to design effective feral-cat control programs. Wildlife Research 39:258-265.

Bonnaud, E., G. Berger, K. Bourgeois, J. Legrand, and E. Vidal. 2012. Predation by cats could lead to the extinction of the Mediterranean endemic Yelkouan Shearwater Puffinus yelkouan at a major breeding site. Ibis 154:566-577.

Bonnaud, E., K. Bourgeois, E. Vidal, Y. Kayser, Y. Tranchant, and J. Legrand. 2007.

Feeding ecology of a feral cat population on a small Mediterranean island. Journal of Mammalogy 88:1074-1081.

Buckland, S. T., Anderson, D. R., Burnham, K. P., Laake, J. L., Borchers, D. L., and Thomas, L. 2001. Introduction to Distance Sampling.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Campos, C., C. Esteves, K. Ferraz, P. Crawshaw, and L. Verdade. 2007. Diet of free

‐ranging cats and dogs in a suburban and rural environment, south‐eastern Brazil.

Journal of Zoology 273:14-20.

Castillo, D., and A. Clarke. 2003. Trap/neuter/release methods ineffective in controlling domestic cat" colonies" on public lands. Natural Areas Journal 23:247-253.

Caswell, H. 2001. Matrix population models. Wiley Online Library.

Centonze, L. A., and J. K. Levy. 2002. Characteristics of free-roaming cats and their caretakers.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20:1627-1633.

Cooch, E., and G. White. 2006. Program MARK: a gentle introduction. Available in.

pdf format for free download at http://www. phidot. org/software/mark/docs/book.

Danner, R. M., C. Farmer, S. C. Hess, R. M. Stephens, and P. C. Banko. 2010.

Denny, E. A., and C. Dickman. 2010. Review of cat ecology and management strategies in Australia. Invasive Animals Cooperative Research Centre, Canberra.

Duffy, D. C., and P. Capece. 2012. Biology and Impacts of Pacific Island Invasive Species. 7. The Domestic Cat (Felis catus) 1. Pacific Science 66:173-212.

Edwards, G. P., N. de Preu, B. J. Shakeshaft, I. V. Crealy, and R. M. Paltridge.

2001. Home range and movements of male feral cats (Felis catus) in a semiarid woodland environment in central Australia. Austral Ecology 26:93-101.

Faulquier, L., R. Fontaine, E. Vidal, M. Salamolard, and M. Le Corre. 2009. Feral cats Felis catus threaten the endangered endemic Barau's petrel Pterodroma baraui at Reunion Island (Western Indian Ocean). Waterbirds 32:330-336.

Ferreira, G. A., E. Nakano-Oliveira, and G. Genaro. 2014. Domestic cat predation on Neotropical species in an insular Atlantic Forest remnant in southeastern Brazil. Wildlife Biology 20:167-175.

Ferreira, J. P., I. Leitão, M. Santos-Reis, and E. Revilla. 2011. Human-related factors regulate the spatial ecology of domestic cats in sensitive areas for conservation. PloS one 6:e25970.

Foley, P., J. E. Foley, J. K. Levy, and T. Paik. 2005. Analysis of the impact of trap-neuter-return programs on populations of feral cats.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27:1775-1781.

Gannon, W. L., and R. S. Sikes. 2007. Guidelines of th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for the use of wild mammals in research. Journal of Mammalogy 88:809-823.

Goltz, D. M., S. C. Hess, K. W. Brinck, P. C. Banko, and R. M. Danner. 2008.

Home range and movements of feral cats on Mauna Kea, Hawai‘i.

Gunther, I., H. Finkler, and J. Terkel. 2011. Demographic differences between urban feeding groups of neutered and sexually intact free-roaming cats following a trap-neuter-return procedure.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38:1134-1140.

Harper, G. A. 2007. Habitat selection of feral cats (Felis catus) on a temperate, forested island. Austral Ecology 32:305-314.

Hughes, K. L., and M. R. Slater. 2002. Implementation of a feral cat management program on a university campus. Journal of Applied Animal Welfare Science 5:15-28.

Hughes, K. L., M. R. Slater, and L. Haller. 2002. The effects of implementing a feral cat spay/neuter program in a Florida county animal control service.

Journal of Applied Animal Welfare Science 5:285-298.

Jensen, A. 1995. Simple density-dependent matrix model for population projection. Ecological Modelling 77:43-48.

Kaeuffer, R., D. Pontier, S. Devillard, and N. Perrin. 2004. Effective size of two feral domestic cat populations (Felis catus L.): effect of the mating system.

Molecular Ecology 13:483-490.

Kim, Y.-s., K.-w. Seo, J.-h. Lee, E.-w. Choi, H.-w. Lee, C.-y. Hwang, N.-s. Shin, and H.-j. Youn. 2009. Prevalence of Bartonella henselae and Bartonella clarridgeiae in cats and dogs in Korea.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10:85-87.

Levy, J. 2004. Feral cat management. Shelter Medicine for Veterinarians and Staff. Ames, IA, Blackwell Publishing:381-385.

Levy, J. K., and P. C. Crawford. 2004. Humane strategies for controlling feral cat popul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25:1354-1360.

Levy, J. K., D. W. Gale, and L. A. Gale. 2003.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 long-term trap-neuter-return and adoption program on a free-roaming cat popul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222:42-46.

Lohr, C. A., L. J. Cox, and C. A. Lepczyk. 2013. Costs and Benefits of Trap‐

Neuter‐Release and Euthanasia for Removal of Urban Cats in Oahu, Hawaii.

Conservation Biology 27:64-73.

Dalam dokumen 3차년도 최종보고서 (Halaman 87-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