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결과분석

Dalam dokumen 변경금지 2.0 (Halaman 102-117)

5.2 신항 정박지 예정안에 대한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검증

5.2.2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결과분석

선박조종 시뮬레이션을 위한 흐름도는 <그림 5-3>과 같다.

<그림 5-3> 선박조종 시뮬레이션 흐름도

① 통항 조건 : 바람 NNE - 25kts, 조류 057° - 1.3knots

② 특이점 :

- <그림 5-4>와 같이 신항 정박지 해역으로 진입 후 좌현변침하면서 지 정된 정박지에 투묘함

- 정박중심지와의 이격거리 평균 약 120m이며, 타선과의 최근접거리는 576m로 분석됨

<그림 5-4> 3만톤급 제 1 안 a 누계 항적도

2) 8만톤급 원형정박지 제1안 b 항적도

① 통항 조건 : 바람 NNE - 25kts, 조류 057° - 1.3knots

② 특이점 :

- <그림 5-5>와 같이 풍상쪽으로 접근하면서 지정 정박지의 좌측으로 진 입함. 항계선에 위치하고 있어 정박중인 타선박과의 간섭현상은 존재하 지 않음

- 정박중심지까지의 이격거리는 약 50m

<그림 5-5> 8만톤급 제 1 안 b 항적도

3) 8만톤급 원형정박지 제1안 c 항적도

① 통항 조건 : 바람 NNE - 25kts, 조류 057° - 1.3knots

② 특이점 :

- <그림 5-6>과 같이 지정정박지의 좌측으로 진입하면서 타선과 충분한 안전거리 확보함. 타 선박과 간섭현상이 적기 때문에 선박 조종상 어려

움은 없음. 조류에 의해 우현측으로 압류되는 현상을 알 수 있음 - 정박중심지와의 이격거리 약 51m로 정박지 중앙에 정확하게 투묘함

<그림 5-6> 8만톤급 제 1 안 c 항적도

4) 3만톤급 원형정박지 제2안 a 항적도

① 통항 조건 : 바람 NNE - 25kts, 조류 057° - 1.3knots

② 특이점 :

- <그림 5-7>과 같이 타선과 1000m내외의 거리로 항과하며 지정 정박지 로 접근함. 선박조종자에 따라 정박지에 접근하는 방식이 조종자에 따라 상이함. 타선과의 간섭현상을 때문에 전면보다는 심리적 부담이 큰 것으 로 분석됨

- 정박중심지와의 이격거리 평균 98m

<그림 5-7> 3만톤급 제 2 안 a 누계 항적도

5) 8만톤급 원형정박지 제2안 b 항적도

① 통항 조건 : 바람 NNE - 25kts, 조류 057° - 1.3knots

② 특이점 :

- <그림 5-8>과 같이 8만톤급 대형선이지만, 전면 배치로 타선과의 900m 내외의 거리로 지정된 정박지의 중심지 가까이 안전하게 투묘함

- 정박중심지와의 이격거리 50m

<그림 5-8> 8만톤급 제 2 안 b 항적도

6) 8만톤급 원형정박지 제2안 c 항적도

① 통항 조건 : 바람 NNE - 25kts, 조류 057° - 1.3knots

② 특이점 :

- <그림 5-9>와 같이 지정된 정박지의 좌측으로 접근하여 중심지 가까이 정박하였으며, 타선박과의 간섭현상이 없어 선박 조종상 어려움은 없음 - 정박중심지와의 이격거리 60m

<그림 5-9> 8만톤급 제 2 안 c 항적도

7) 3만톤급 집단 정박지 제1안 항적도

① 통항 조건 : 바람 NNE - 25kts, 조류 057° - 1.3knots

② 특이점 :

- <그림 5-10>과 같이 정박지까지 풍상쪽으로 접근하여 투묘함. 원형정박 지와 큰 차이 없이 안전하게 정박함

- 정박중심지까지 이격거리 357m로 다소 벗어난 항적을 나타냄

<그림 5-10> 3만톤급 집단 정박지 제 1 안

8) 8만톤급 집단 정박지 제1안 항적도

① 통항 조건 : 바람 NNE - 25kts, 조류 057° - 1.3knots

② 특이점 :

- <그림 5-11>과 같이 정박지 해역을 직선으로 진입하였고, 타선과의 최근 접 거리는 376m

- 정박중심지까지 이격거리 400m

<그림 5-11> 8만톤급 집단 정박지 제 1 안

9) 3만톤급 집단 정박지 제2안 항적도

① 통항 조건 : 바람 NNE - 25kts, 조류 057° - 1.3knots

② 특이점 :

- <그림 5-12>와 같이 정박지해역으로 직선으로 진입 후 후진타력 사용 함

- 정박중심지까지 이격거리 228m

<그림 5-12> 3만톤급 집단 정박지 제 2 안

10) 8만톤급 집단 정박지 제2안 항적도

① 통항 조건 : 바람 NNE - 25kts, 조류 057° - 1.3knots

② 특이점 :

- <그림 5-13>과 같이 최대한 넓은 공간을 활용하는 정박형태를 나타냄 - 정박중심지까지 이격거리 420m로, 정박 중심점을 다소 벗어나 투묘한

것으로 분석됨

<그림 5-13> 8만톤급 집단 정박지 제 2 안

(2) 주관적 평가 분석

정박지 부근 접근 및 투묘시의 심리적 위험감 및 정박지(안)의 적정성(선호 도)을 레이팅 스케일로 주관적으로 평가한 결과, 주관적 평가값은 약간 안전측 면인 양(+)의 값으로 위험감이 적게 나타났다.

1) 정박지안 별 선박운항자 심리적 위험도

선박운항자가 느끼는 조종위험도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표 5-5>와 같다.

3만톤급 선박을 후면에 배치한 (a)안의 경우 제2안이 제1안보다 심리적 위험감 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8만톤급 선박을 전면에 배치한 (b) 및 (c)안의 경우 운항자 심리적 위험감은 약간 안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관적 평가결과 비 고

제1안 (a) 0.4 보통~약간 안전

제2안 (a) 0.8 보통~약간 안전

제1안 (b) 1.0 약간 안전

제2안 (b) 1.0 약간 안전

제1안 (c) 1.0 약간 안전

제2안 (c) 1.0 약간 안전

<표 5-5> 선박운항자 위험도 평가결과

0.0 0.2 0.4 0.6 0.8 1.0 1.2

1안a 2안a 1안b 2안b 1안c 2안c

조종위험도

약간 안전

보통

<그림 5-14> 선박운항자 위험도 평가결과 2) 정박지안 별 선호도 (적정성)

선박운항자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평가한 정박지(안)의 적정성(선호도) 을 정리하면 <그림 5-15> 및 <그림 5-16>과 같다. 뒷면에 배치된 (a)의 경우 우측배치의 경우를 좌측보다 선박운항자가 선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가 급적 육지와 거리를 두고 정박하길 희망하는 선박운항자의 심리적 의견이 반영 된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b)안은 정박지 전면 배치에 따라 타선과의 간섭 현 상이 적고, 정박지로의 접근성도 용이하여 제1안 및 제2안 모두 선호도는 양호 하게 평가되었다. (c)안은 육지와 충분한 거리를 두고 있는 제2안을 더 선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0.0 0.2 0.4 0.6 0.8 1.0 1.2 1.4 1.6

1안a 2안a

정박지 선호도

<그림 5-15> 정박지안에 대한 선호도(a안) 결과 (3만톤급)

0.0 0.5 1.0 1.5 2.0 2.5 3.0

1안b 2안b 1안c 2안c

정박지 선호도

<그림 5-16> 정박지안에 대한 선호도 결과(b 및 c안) (8만톤급)

3) 정박지 지정방식에 대한 선호도

선박운항자 5명 및 도선사 4명에게 정박지 지정방식(박스형 집단 정박지 및 정박지 원형 지정방식)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9명중 7명(77.8%)

이 위치를 지정해주는 원형 정박지 형태를 선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 5-17> 정박지 지정방식에 대한 선호도 결과

시뮬레이션 수행시 운항자가 느끼는 심리적 위험감 등을 포함한 운항자의 의 견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선박운항자 측면에서 지정 예정인 신항 정박지(안)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

⃝ 대형선 전면 배치가 바람직함

⃝ 타선박의 간섭 및 어망의 근접으로 정박지로서는 다소 좋지 않음

■ 신항 정박지(안)의 개선사항 및 선박통항 안전을 위해 필요한 대책

⃝ 정박지 부근 어망 제거

⃝ 대형선 전면 배치 및 VTS 적극적 통제 필요

⃝ 정박지에서 특정거리(최소 대형 선박길이 10L 거리)까지는 어망이나 장애 물이 없어야 함

■ 기타 의견사항

⃝ 부산의 탁월풍인 NE 계열에서는 문제가 없음

⃝ 신항만 정박지는 방파제에서 가까운 연도 혹은 “D" Buoy 근처에 사용 하 고 있는 정박지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됨

(3) 정박중 타선과의 최 근접거리 분석

정박중인 타선과의 평균 최근접거리 분석 결과 <표 5-6>과 같이 3만톤급 선박의 경우, 우측 배치안(2안)이 좌측 배치안(1안) 보다 타선과 근접하지 않고 투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8만톤급 선박의 전면 배치안인 (b) 및 (c)안의 경우도 큰 차이는 없으나, 8 만톤급 선박의 우측 배치안인 제2안의 경우가 타선과 근접하지 않고, 다소 여 유 있게 투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Case 타선과의 최근접거리 비고

제1안 (a) 576m

제2안 (a) 831m 양호

제1안 (b) 828m

제2안 (b) 872m 양호

제1안 (c) 859m

제2안 (c) 877m 양호

<표 5-6> 타선과의 최근접거리 분석결과

Dalam dokumen 변경금지 2.0 (Halaman 10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