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정박지 특성 조사
2.2.1 정박지 현행조사
부산신항 정박지는 개항 질서법 제6조(정박지등 지정) 및 개항 질서법 제37 조(어로의 제한)를 근거로 하여 정박지를 설정하고 있다. 해양수산부(1996년 12 월)에 의한 정박지 지정계획[4]에 의거하여 부산항 항계선 내의 가덕도 동측해 역을 정박지로 지정하였으며, 1일 최대 입항척수 등을 감안하여 50,000톤 이하 3개소 및 30,000톤 이하 5개소로 총 8개소를 지정하도록 계획하였다. 그리고 해 양수산부고시 제2001-135에 의거한 제2차 전국항만기본계획(2001년 12월)에서 50,000톤 3개소와 30,000톤 5개소를 부산신항 정박지로 고시하여 설정하였다.
하지만, 2003년 12월에 기본계획이 재검토[5]되어 정박지 소요개수를 재산정하 여 3개소로 운영하도록 제안되었다. 현재 지정되어 있는 정박구역은 2005년 12 월 29일에 80,000톤 이하용 S1 및 30,000톤 이하용 S3가 고시되었으며, 이후 2006년 3월 2일에 50,000톤 이하용 S2가 지정되어 현재 3개소를 <표 2-11> 및
<그림 2-10>과 같이 각각 지정하여 운영 중에 있다.
정박지명 위치(경위도) 수심(m) 반경(m) 시설능력
(DWT, 척) S1 35° 00′10″.8N
128° 52′57″.5E 18 ~ 22 475 80,000톤 이하× 1 S2 35° 00′18″.8N
128° 53′40″.5E 18 ~ 22 450 50,000톤 이하× 1 S3 35° 00′22″.8N
128° 54′17″.2E 18 ~ 22 375 30,000톤 이하× 1
<표 2-11> 부산신항 정박지 지정 현황
<그림 2-10> 현행 부산신항 정박지
부산신항 정박지가 가덕도 동측해역으로 지정된 것은 부산항 항계선내에 위 치하고 있기 때문이며, 타 해역을 정박지로 이용할 적정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 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4].
현행 부산신항 정박지의 개수가 산정된 소요 규모 산정 방법[5]은 아래와 같 다. 연간 입항척수가 9,302척으로 조사되었으며 1일 입항소요 척수로 환산하여 1일 평균 입항척수를 구하고 이에 피크계수(1.5)를 고려하여 산정한 결과 38척 이며, 선박 대기율은 컨테이너 중심항이고 대부분 민자부두로 전용화 될 것으 로 전망됨에 따라 선박의 대기율은 극히 적을 것이나, 보수적인 측면에서 표준 하역능력 산정시 적용된 선박 대기율 3~7%를 적용하여 정박지 소요 개소는 식 (2.1)과 같이 3개로 설정하였다.
정박지 소요개소 = (1일 최대 입항 소요척수) × (선박 대기율) ....(2.1)
= 38척 × 0.07
= 2.3 → 3개소
(2) 수심 및 저질 현황
현 정박지 수심(2005년도 측심)은 <그림 2-11>과 같이 S1의 최저수심은 18.3m이며 최고 22.1m로 S1정박지 중심부근에는 19~21m의 수심을 보이고 있 고, 정박지 S2의 최저 수심은 18.6m, 최고수심이 22.5m이며 정박지 중심 부근 은 19~21m이다. 정박지 S3의 최저수심은 19.6m이고 최고수심은 22.9m이며 정 박지 중심 부근에는 20~22m로 정박지 S3의 수심이 S1 및 S2 정박지 수심보다 1m 정도 더 깊은 것을 알 수 있다. 정박지 부근의 저질은 <그림 2-10>에서와 같이 해도 상에서는 Mud로 기록되어 있다.
<그림 2-11> 현 정박지 저질 현황
2.2.2 현 정박지 설정 기준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