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신항 정박지 예비 배치안

Dalam dokumen 변경금지 2.0 (Halaman 84-88)

현행 정박지를 포함한 부산신항 집단 정박지는 현재 주위 어장의 분포, 수심 확보 가능성 등에 따라 물리적 확보가 가능한 범위 등을 검토해 볼 때, 가덕도 동남쪽 해역에 지정될 예정이며, 집단정박지의 주요 좌표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그림 4-9>참조)

집단정박지의 적정 규모에 대해서는 전국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2006.

12)[12] 및 부산신항 묘박지 소요 수심 및 규모 검토(2005. 12)[11]의 정박지 소

요 면적을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며, 집단정박지로 지정될 해역의 크기는 이용 선박의 안전을 고려하여 필요 소요면적보다 다소 넓은 해역을 획정하였다.3)

<그림 4-9> 부산신항 집단 정박지의 소요 규모

집단정박지의 소요규모에 산정에 있어서는 가덕신항만개발 기본계획 용역 보고서[4](1996. 12)에 의거 다음 식 (4.1)과 (4.2)와 같이 산출하였다.

○ 가덕 신항만의 1일 최대 입항 소요 척수 : 37척

- [ 연간입출항 척수(17,985) / 왕복(2) / 365일 ] × 피크 계수(1.5)...(4.1)

○ 정박지 소요 개소 : 8개소

- [ 일일 최대입항소요척수(37) × 선박 대기율(0.22) ] ...(4.2)

정박지의 규모는 8만톤 이하 선박 2척, 3만톤 이하 선박이 6척 동시에 정박 가능하도록 운영할 예정이다.

3) ① 35° 01′13″.2N, 128° 54′21″.7E, ② 35° 00′38″.1N, 128° 55′06″.9E

③ 35° 00′19″.2N, 128° 55′12″.1E, ④ 34° 59′38″.3N, 128° 51′27″.5E

⑤ 35° 00′10″.5N, 128° 51′18″.8E, ⑥ 35° 00′22″.2N, 128° 52′28″.4E

⑦ 35° 00′52″.7N, 128 °52′20″.8E

4.5.1 신항 정박지 대상 선박별 반경 산출

부산신항 집단 정박지를 이용할 선박의 적정 규모의 결정은, 정박지의 직경 이 최대가 되는 저질이 불량한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고 선박의 길이, 최대 수 심 등을 기초로 관련 규정[14]를 적용하여 산출하면 <표 4-6>과 같다. 한편, 미국의 정박지 소요 직경 기준은 수심에 따른 직경의 계산법으로, 선박의 크기 를 고려하지 않아 설계지침으로는 사용에 어려움이 발생하여 이 규정만 검토 분석하였다.

TEU (DWT) 선박길이(L) 선폭(B) 흘수(d) 수심(m) 소요 직경

= (L+6D+30)× 2

최종 적정 규모(직경) 2,000 (30,000) 210 27.0 10.0 22 744 750 4,000 (50,000) 280 35.8 13.0 22 884 900 6,000 (80,000) 310 40.0 14.0 22 944 950 8,000(100,000) 347 43.0 14.5 22 1018 1,020 10,000(140,000) 380 55.0 15.0 22 1084 1,100

<표 4-5> 집단 정박지 이용 선박의 적정 규모

(단위 : m)

4.5.2 정박지 배치안

앞에서 검토한 정박지 배치와 관련된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진출입 안전성 및 주변 환경 조건 등을 분석한 결과 가급적 정박지 전면에 대형 선박 들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파주력에 따른 정박 안 전성의 경우 집단 정박지 전체가 진흙 성분이 주류이면서 다소 모래 성분이 함 유되어 있어 파주력에 그다지 현저한 차이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집단 정박지 내에 대형선박의 정박지를 2개, 중형급 정박지를 6개 배 치를 고려한다면, <그림 4-10>과 같이 대형 선박을 집단 정박지 우측, 중앙 우 측, 중앙 좌측, 좌측으로 배치하는 4가지 안을 제시할 수 있다.

신항 정박지 배치안 배치안 도면

1. 대형선 우측 전면 배치

2. 대형선 우측 중앙 배치

3. 대형선 좌측 중앙 배치

4. 대형선 좌측 전면 배치

<그림 4-10> 신항 정박지 배치안

Dalam dokumen 변경금지 2.0 (Halaman 8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