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선행사례 분석

Dalam dokumen 통일교육 (Halaman 189-200)

Ⅴ1. 갈등해결교육과 통일교육의 접점

2. 선행사례 분석

동서고금을 통해 사람 사는 사회에서 갈등은 늘 함께한다. 따라서 갈등을 어떻게 다루느냐 하는 것은 한 사회가 어떠한 형태의 통합을 이룰 수 있는지 보여주는 잣대라고 할 수 있다. 우리에게 통일은 다른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남과 북의 사람들의 갈등을 다루는 과정이기 도 하다. 따라서 남한과 북한의 사람들이 평화적인 갈등해결 역량을

48_박보영, 󰡔평화교육의 이론과 과제 연구󰡕, p. 67.

얼마나 갖추었는가 하는 것은 통일 이후 사회 통합의 미래를 보여주는 것이다. 갈등해결 역량을 갖추기 위해 우리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갈등해결교육·훈련의 현황과 해외 사례를 살펴본다.

가. 해외 평화교육 사례

49

해외 평화교육의 사례로 대표적인 분쟁지역인 이스라엘과 북아일랜 드,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갈등과 화합을 이루어내는 미국, 그리고 동 서독 분단을 극복하여 통일을 이룩한 독일의 평화교육 사례를 살펴보 고자 한다.

위 나라들의 갈등과 분쟁은 각기 다르다. 북아일랜드의 경우, 종교분 쟁으로 보이는 카톨릭과 개신교의 갈등과 분쟁은 사회경제적, 문화적 불평등과 분리를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은 각 기 다른 인종과 종교를 바탕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불평등과 더 불어 심각한 무력분쟁이 현재 진행되고 있다. 독일은 분열과 분리를 넘어서 통일과 통합을 이루어 내었다는 점에서는 우리와 공통점을 가 지고 있으나, 각기 독특한 경제, 사회, 문화적 통일과 통합의 과제를 가 지고 있다. 미국은 다양한 차원의 폭력이 사회적으로 만연함으로 인해 폭력과 갈등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평화교육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북아일랜드의 ‘상호이해교육’은 북아일랜드 교육부에 의해 공식적으 로 운영되는 것이고, 미국의

‘갈등해결’

프로그램 역시 매우 광범위하 게 전개되고 있다. 반면에 이스라엘의 ‘공존 교육’이나 ‘집단감수성 훈 련’은 공교육의 차원이 아닌 시민단체와 평화단체에 의해 진행된다. 이

49_평화를만드는여성회, “국내외 평화교육 사례의 통일교육에서의 적용방안 연구,” 󰡔통 일부 정책연구용역󰡕 (2001); 정현백 외, 󰡔평화지향적 통일교육의 이해󰡕 참조.

스라엘은 국가적 차원에서 시오니즘과 유대인 민족 중심의 교육을 표 방하기 때문이다.

(1) 미국의 평화교육: 갈등해결 프로그램

표 Ⅲ-1

미국의 갈등해결 프로그램

구 분 내 용

학교갈등해결 프로그램

1960년대 미국 사회에 평화운동이 확산되면서 갈등해결교육 프로 그램이 학교 현장으로 편입되기 시작함. 또래조정 프로그램은 대 부분 지역사회 조정서비스의 일환으로 진행됨으로써 지속적인 지 원을 받음. 미국의 모델은 성인들의 도움을 적절히 활용하고, 조 정이 일과시간에 이루어짐.50

목적

- ‘평화를 가능하게 하는 교실’ 만들기를 통해서 미국 사회의 심 각한 폭력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 교실, 특히 교실에서 분출 되는 갈등을 평화적이고 건설적으로 해결하고자 함.

- 갈등을 폭력적으로 해결하기보다는 갈등을 통해서 ‘다름’을 적 극적이고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궁극적 인 목적임.

- 폭력적 갈등 당사자들이 모두 평화적 갈등해결자가 될 수 있 도록 하는 것이 갈등해결의 지향점임.

주요 프로그램

- 의사소통, 분노 조절, 편견과 적대감 줄이기, 갈등 분석, 협동, 중재, 협상 등의 기술을 배우고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 향상, 타 인에 대한 인정과 관용을 위한 가치와 태도 습득함.

- ‘또래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적극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HIPP

평화를 증진시키도록 돕는 프로그램(Help Increase Peace Program) 대표적인 평화운동 단체인 미국 친우봉사회(AFSC)에서 실시함.

목적

- 주로 지역에서 청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학교와 사회에서 폭력 과 불관용을 줄이고 다양한 인종과 문화를 넘나들 수 있는 이 해력을 강화시키고 갈등해결과 동시에 사회를 변화시키는 것 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

구 분 내 용

HIPP

주요 프로그램

- 미국 사회의 갈등과 폭력을 유발하는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해 청소년들이 올바른 관점을 형성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 는 대안 모색을 다양한 워크숍을 통해 훈련함.

- 역할극, 자기긍정향상, 감수성, 폭력과 편견에 대한 진지한 대 화, 윈·윈으로 이끄는 활동과 협동과 의사소통을 북돋우는 게 임, 세 가지 워크숍(기초편, 고급편, 훈련편)을 수료하고 나면 워크숍 진행자가 되어 변화를 위한 행동으로 이어지게 됨.

(2) 이스라엘-아랍평화센터(네베샬롬/와핫 알샬람)의

‘대면

프로그램’과 공존훈련

표 Ⅲ-2

이스라엘-아랍의 갈등해결 프로그램

구 분 내 용

대면프로그램

- 유대-아랍인 참석자들(청소년들이 가장 중요한 참석자임)이 동 수로 참석하여 두 언어를 사용하며 유대-아랍인 전문진행자에 의해 진행되는 집단 감수성 훈련과 공존훈련

- 네베샬롬(Neve Shalom)과 아랍어 와핫 알-살람(Wahat al-Salam) 은 ‘평화의 오아시스’라는 의미로 NS/WAS는 예루살렘과 텔아비 브 중간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로 두 민족이 협동과 평등한 공존의 모델을 수립하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세운 마을 - 두 민족공동체, 즉 유대-아랍인 사이의 창조적 협조를 성사시키

기 위한 노력 중 중요한 것이 공동체의 선구적 교육시설로 ‘두 민족·두 언어’를 통한 교육제도인 ‘평화학교’는 1979년 설립되어 다양한 공존프로그램 진행

목적

- ‘대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갈등과 그 안에서 자신 들의 역할을 인식하도록 도와주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탐색하고 발전시키도록 하는 것

- 즉 참여자들이 현실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갈등 에 대한 자신들의 의견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도록 돕는 것

50_양계민 외, 󰡔또래조정사업 결과 보고서󰡕 (서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참조.

구 분 내 용

대면프로그램

주요프로그램

- 교육 프로그램 실무자는 유대인-아랍인 같은 수로 행동과학, 인문학, 수학, 갈등 상황에 있는 그룹의 활동을 촉진시키는 특 수한 훈련을 수료한 사람들로 구성. 유대인-아랍인이 번갈아 교장 역할 수행

- 대표적 프로그램

유대인-아랍인 대면 프로그램

유니내셔널 프로그램: 특정한 한 나라의 문화적 특성에 속하 지 않는 프로그램

- 프로그램의 종류

청년대면프로그램, 대면프로그램 졸업생 대표들의 해외여름 캠프, 청년공동체에서의 장기간 집단감수성 프로그램. 청년지 도자의 대면과 학생위원회 활동, 기타 성인 프로그램, 팔레스 타인-유대인 프로그램, 대학과정, 전문진행자 훈련과정, 여성 교육, 카운슬링과 훈련

(3) 북아일랜드의 상호이해교육

북아일랜드의 경우 정치·경제적 분단을 정당화해왔던 종교적 분단, 구교와 신교라는 두 종교적 정체성만이 대립하던 분단구조에서 다문 화사회로 이행하는 오늘날, 다원화된 사회문제에 대해 비폭력적이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평화적인 실생활 문제해결 능력 을 키우는 것을 가장 시급한 평화교육적 과제로 꼽는다.

51

북아일랜드 는 오랫동안 카톨릭과 개신교로 분리되어 있는 양쪽 공동체의 학생들 이 서로 상호이해를 높이기 위해 정규 과정을 통해 상호이해교육, 통 합교육, 공동체 교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52

51_강순원, “북아일랜드 또래조정활동의 평화교육적 의미,” 󰡔국제이해교육연구󰡕, 제9권 1호 (2014) 참조.

52_북아일랜드의 학교 형태는 학교법인의 종파적 성격에 따라 신교계가 운영하는

Presbyterian School, 구교계의 교육 운영권을 유지한다는 의미의 Catholic

Maintained School, 이러한 분리주의를 배격하고 한 학교공간에서 함께 통합교육을

표 Ⅲ-3

북아일랜드 상호이해교육

구 분 내 용

상호이해교육

- 1970년대부터 교사와 학생들의 적극적 관심이 표명되면서 시도 - 1983년에는 <북아일랜드교육발전위원회,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유사정부기구>가 탄생하여 <EMU53 프로그램 개발 위원회>를 설립, ‘교사를 위한 EMU 가이드안’을 작성하여 학교 내부와 학 교간 활동을 촉진하는데 필요한 과정과 기법 소개

- 1989년 북아일랜드 교육부는 EMU라는 이름으로 문화적 유산 공 유 및 지역사회 간 접촉이라는 목적사업을 지정함.

- 1992년부터 모든 학교에서 법적으로 이 커리큘럼 시작

목적

- 수용, 공평, 상호존경의 정신에서 ‘다름’과 더불어 사는 것을 배우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4개의 목표에 의해 구체화됨.

① 자기와 타인에 대한 존중과 관계형성 촉진

② 갈등의 이해와 창의적 해결

③ 상호의존성에 대한 자각

④ 문화적 다양성 이해

- 종교교육에서 단일종교만 가르쳤던 기존 방식에서 다양한 종교 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바뀌었고, 아일랜드어를 학교에서 공식적 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아일랜드 역사도 배우게 되었음.

- 지리나 법률에서도 북아일랜드의 특수성을 구체적으로 다룸.

- ‘적극적 학습’을 통해 현장견학이나 구체적 실습을 경험해봄으 로써 북아일랜드의 현실을 이해하고 주인의식을 갖게 됨.

또래 조정교육54

- 북아일랜드의 경우엔 초등 고학년 단계에서 특히 통합학교의 경 우 또래조정은 반드시 거치는 과정으로 권고하고 있음. Key Stage 2(3년의 초등고학년 과정)의 마지막 학년인 7학년 때 또 래조정이 이루어지며, 대부분 학교에서 6학년 말에 전 학생을 교육시킴. 중학과정인 Key Stage 3단계에서는 시민성교육의 일 부로서 지역갈등 이해하기가 있고 학생활동으로 회복적 정의나 또래조정은 반드시 거치는 과정으로 권고하고 있음.

한다는 Intergrated School, 그리고 영어가 아닌 아이리쉬로 교유한다는 Irish-

Medium School로 이루어진다. 위의 글 참조.

53_EMU(Education for Mutural Understanding and Cultural Heitage), 상호이해교육

54_위의 글 참조.

Dalam dokumen 통일교육 (Halaman 189-200)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