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0년 까지는 배양 장치 및 시스템(ABA) 및 배양 조건 및 방법(ABB) 분야에서만 특허 가 출원되었으며, 그 이후로도 전체 중 가장 많은 출원 비중을 차지하지만 상대적으로 용 암해수 및 그 활용(AAA) 분야의 특허 출원의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경향을 보임(그림 3-6)
나 . 시장별 세부기술 동향
[그림 3-7] 시장별 세부기술 동향
○ 주요 시장국별로 각 세부기술 분야에서의 특허 출원 현황을 위 [그림 3-7]과 같이 정리함
○ 용암해수 및 그 활용(AAA) 분야에서는 거의 모든 출원이 한국에서 이루어졌으며, 거의 모든 건이 한국 국적의 출원인에 의한 것이며, PCT에 출원된 1건도 한국 국적의 출원인 에 의한 것임
○ 배양 장치 및 시스템(ABA) 분야와 배양 조건 및 방법(ABB) 분야에서는 한국과 미국에서 출원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음
○ 용암해수 및 그 활용(AAA) 분야에서 일본에 출원된 특허는 주로 다랑어 및 참치의 양식 에 용암해수(지하염수)를 사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조사되었음. 용암해수 및 그 활용 (AAA) 분야에서 해외에 출원된 주요 특허를 아래 표와 같이 정리함
[표 3-9] 용암해수 및 그 활용(AAA) 분야에서 해외에 출원된 주요 특허
다 . 다출원인별 특허동향
■ 전체중 다출원인
[그림 3-8] 전체 중 다출원인의 기술별 특허동향
○ 용암해수 및 그 활용(AA) 분야와 해양생물 복합배양 시스템(AB) 분야를 합한 전체 중 출 원 건수가 가장 많은 20개의 출원인의 주요 시장국별 및 세부기술별 출원 현황을 위 그 림과 같이 정리하였음
○ 전체적으로, 제주테크노파크, 인하대학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립수산과학원 등 한국 국 적 출원인에 의한 한국에서의 출원이 가장 많았으며, 가장 출원이 많은 제주테크노파크의 경우에는 용암해수 및 그 활용(AAA) 분야에서의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남
○ 그러나 한국 국적의 출원인들은 해외에서는 출원을 거의 하지 않아, 아직은 내수 시장 중 심으로 사업화를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해양과학기술원은 PCT 출원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른 한국 출원인들에 비해 세계 시장 진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보임
○ 외국 국적의 출원인 중에서는 일본의 WHA Corp.의 출원이 가장 많았으며, 일본에서만 출원을 하였고 용암해수 및 그 활용(AAA) 분야에서의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남
■ 해양생물 복합배양 시스템(중분류 AB) 분야 중 다출원인
[그림 3-9] 중분류 AB 중 다출원인의 세부기술별 특허집중도
○ 용암해수를 이용한 해양생물 복합배양시스템(Live Marine Biotechnium) 구축 관련 기술 분야에서의 주요 출원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해양생물 복합배양 시스템(AB) 분야에서 출 원 건수가 가장 많은 20개의 출원인의 주요 시장국별 및 세부기술별 출원 현황을 위 그 림과 같이 정리하였음
○ 전체적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인하대학교, 국립수산과학원, 부경대학교, ㈜엔바이로젠 등 한국 국적 출원인에 의한 한국에서의 출원이 가장 많았으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 경대학교 및 ㈜엔바이로젠은 배양 조건 및 방법(ABB) 분야에서의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인하대학교의 경우에는 배양 장치 및 시스템(ABA) 분야에서의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외국 국적의 출원인으로는 독일의 Stiftung Alfred-Wegener Institute fur Polar und Meeresforschung, 인도의 Council of Scientific Industrial Research, 호주의 McRobert Aquaculture Systems Pty Ltd., 영국의 Pharma MARSA, 일본의 Onnason Gyogyo Kyodo Kumai 및 노르웨이의 Oxsea Vision AS.등의 출원인이 다출원인으로 조사됨
○ Alfred-Wegener Institute fur Polar und Meeresforschung, McRobert Aquaculture Systems Pty Ltd. 및 Oxsea Vision AS은 배양 장치 및 시스템(ABA) 분야에서의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반면 Council of Scientific Industrial Research, Pharma MARSA 및 Onnason Gyogyo Kyodo Kumai는 배양 조건 및 방법(ABB) 분야에서의 기술 개발 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최근 출원을 많이 한 출원인으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외에도 국립수산과학원, 부경대 학교 및 Council of Scientific Industrial Research이 있었으며, 이들 출원인은 현재 관련 기술 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사료되므로, 향후 출원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 가 있음
○ 외국계 출원인에 비해 우리나라 출원인은 아직 한국에서의 특허 출원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며, 세계 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해외 각국에서의 특허 출원에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