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 현 정부의 국정과제
○ 박근혜 정부는 해양수산 분야 국정과제로 ①해양수산업의 미래산업화 및 체계적 해양영토 관리, ②해양환경 보전과 개발의 조화를 제시
[그림 2-2] 현정부 140대 국정과제 중 해양수산분야 과제
○ “해양수산업의 미래산업화 및 체계적 해양영토 관리”는 다음과 같은 개념으로 접근
∙ 수산업의 미래산업화 : 피쉬플레이션 시대를 맞아 국민이 필요로 하는 신선한 수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부가가치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
∙ 해외신성장 동력 창출 및 체계적 영토관리 : 체계적 해양관리를 통해 해양주권을 강화 하고, 해외 해양경제영역 개척, 해양신산업 육성 등 신성장동력 창출
○ “해양환경 보전과 개발의 조화”는 다음과 같은 개념으로 접근
∙ 지속가능하고 쾌적한 해양환경을 조성하고, 그간 방치된 해양공간에 대한 이용・활용 제고
분야 주요 추진계획
해양수산업의 미래산업화 및 체계적 해양영토
관리
수산업의 미래산업화
수산업의 미래산업화, 지속가능한 수산업실현, 어 항기능 고도화, 수산 식품산업 육성, 안정적 수산 물 식량수급체계 구축
해외 신성장 동력 창출 및 체계적 영토관리
해양바이오, 해양에너지・플랜트, 수자원 등 해양 신산업 육성, 경제영토 개척, 해양관리
해양환경 보전과 개발의 조화
특별관리해역 관리강화, 해양정화 및 보호, 무인 도서 관리, 기후변화 및 연안침식 관리 대응, 연 안보호 강화
[표 2-1] 현정부 140대 국정과제 중 해양수산분야 과제 요소분해
○ 이밖에 또 다른 국정과제인 “산・학・연・지역 연계를 통한 창조산업 생태계 조성”에서는 첫째, 과학기술을 매개로 지역 대학・산업・연구소와 지자체를 융합공동체로 육성하고 둘째, 산학 협력 매개와 중소기업 지원자로서의 출연(연) 역할 강화, ‘창업과 신산업 창출’로의 산・
학・연 협력 패러다임 전환 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음
다 . 제 3 차 과학기술기본계획 (2013~2017)
○ 과학기술 분야의 최상위 국가정책은 과학기술기본법 제7조에 의거 수립하는 과학기술기 본계획이며, 2013년 7월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수립(’13~’17)(그림 2-3)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는 ‘창조적 과학기술로 여는 희망의 새시대’라는 비전 하에 경제부흥과 국민행복을 위한 하이파이브(High Five) 전략을 제시
∙ 동 계획 상 추진전략은 투입관점에서 High 1. 국가 R&D 투자확대 및 효율화, 과정관점에 서 High 2. 국가전략기술 개발, High 3. 중장기 창의역량 강화, High 4. 신산업 창출 지원, High 5. 일자리 창출로 설정
∙ 특히 기본계획 상 성과목표로 ①R&D 경제성장 기여도 40%, ②일자리 64만개 창출,
③과학기술혁신역량 세계 Top 7 달성을 제시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박근혜 정부 국정운 영 기조인 ‘창조경제’의 축 안에서 추진전략과 성과목표 선정
∙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상 해양수산분야의 경우 20대 추진과제에 ‘해양수산의 미래산업 화’ 과제가 포함되어 있고, 이와 관련된 30개 중점 국가전략기술에 ‘첨단소재 개발’, ‘유용 유전자원 이용기술’이 포함됨(그림 2-3)
[그림 2-3]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그림 2-4]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상의 30개 중점 국가과학기술
라 . 2020 해양과학기술로드맵 (2012∼2020)
○ 비전 및 추진전략
∙ 정부정책 및 변화된 환경 여건에 맞춘 장기적 비전 및 목표를 제시하고 효과적인 추진 을 위해 2011년 수립된 ‘2020 해양과학기술 로드맵’은 「2020 신해양 가치 창출로 선진 일류 국가 실현」을 비전으로 4대 이슈별 중점기술 달성목표를 설정하고 있음
[그림 2-5] 2020 해양과학기술 로드맵 비전 및 목표
○ 해양수산 관련 과제
∙ 2020 해양과학기술 로드맵은 다음 표와 같이 4대 이슈 대응을 위한 13대 전략기술 및 50대 중점과제를 선정함(표 2-2)
∙ 이슈(해양산업진흥)-전략기술(해양산업신소재)의 중점과제에 “해양생물유래 산업신소재 기술”이 포함됨
이슈 전략기술 중점과제
해양산업 진흥
해양에너지 01. 해양에너지 복합발전플랜트 기술 02. 해양바이오에너지 생산기술 03. 미활용 해수역 이용발전기술
해양장비
04. 해양핵심장비 국산화 기술 05. 해양구조물 시공 유지보수 수중로봇 기술 06. 해저극한지 수중탐사 잠수정 기술 07. 수중무선통신 고도화 산업화 기술 08. 해저플랜트 구축 기반기술
해양산업신소재
09. 해수용존물질의 산업소재화 생산기술 10. 해양생물유래 산업신소재 기술 11. 해양 신재생에너지 기반 해수담수화 기술
12. 해양생명현상 분석을 통한 생리 기능 활용 기술 13. 이산화탄소 및 농축해수의 산업소재화 기술 항만 물류시스템
14. 해상풍력기반 에너지 자립형 녹색 항만 구축 기술
15. 스마트그린 컨테이너 터미널 기술 16. U기반 해운물류시스템 기반기술 17. 피해저감 항만 구조물 개발 및 항만재해 대응기술
신선박기술 18. 탄소배출 저감 녹색선박 기술 19. 무탄소 동력선박 기술
20. 극한지 운항 선박용 핵심기술 21. 위험환경 대응 지능형 무인선박 기술 기후변화 및
연안재해 대응
연안재해 관측・예보 22. 연안재해 관리기술 23. 운용해양(해양예보) 시스템 구축 기술 24. 침식해안관리기술
전지구적 기후변화 예측 및 대응
25. 전지구적 통합 해양기후관측 및 예측모델링 기술 26. CO2 해양지중저장 기술
27. 해양산성화 관리 기술 28. 극지해양이 한반도 기후에 미치는 영향 규명
해양경제 영토확보
해양영토 주권강화
29. 해양 종합관측시스템 구축 및 활용 30. 해양영토관리를 위한 관할해역 해양과학조사 31. 위성기반 해양관측 정보시스템 구축
해양자원선점
32. 해양생명자원 확보 및 통합관리 기술 33. 심해저광물자원 확보 및 실용화 기술 34. 극지 해저자원 보존 및 기반기술
35. 해외 해양과학기지 활용 다변화를 통한 과학외교 거점 구축
삶의 질 향상
청정한 바다조성
36. 유류 HNS 해양유출사고 대응 기술
37. 중금속/유해물질 해양생태계 위해성평가 기술 38. 해양 폐기물 및 쓰레기 오염 대응 기술 건강한 연안환경
구축
39. 연안습지 및 하구역 보존 복원 기술 40. 장기해양생태계 관리 기술 41. 해양생태계 교란생물 감시 제어 기술
안전한 해양이용
42. 지능형 해난구난 시스템 기술 43. 북극해 안전운항 기술 44. G-Navigation 기술 45. 위성함법시스템(GNSS) 기술 46. 첨단 항로표지 기술
친수공간 해양문화 창조
47. 초대형 해양/항만구조물 구축 alv 활용기술 48. 친환경 항만조성 및 신기술 실증 인프라 구축
49. 해양레저 장비개발 및 기반조성기술 50. 해저문화재 관리기술 [표 2-2] 2020 해양과학기술 로드맵 중점과제
마 . 2020 해양수산 R&D 중장기계획 (2014∼2020)
○ 비전 및 추진전략
∙ 박근혜 정부에서의 해양수산부 부활에 따라 2020 해양과학기술로드맵에 수산분야를 포함 하고 대내외 여건을 반영한 중장기 R&D 추진전략 마련을 위해 ‘2020 해양수산 R&D 중장기계획’이 새로이 수립되었으며, 「국민의 꿈과 행복을 실현하는 창조형 해양수산 과 학기술」을 비전으로 3대 전략 및 12대 실행전략을 설정
[그림 2-6] 2020 해양수산 R&D 중장기계획 비전 및 전략
○ 해양수산 관련 과제
∙ 해양수산 R&D 중장기계획은 다음 표와 같이 12대 실행전략 하에 70대 중점기술을 선정
∙ 해양수산생명자원의 산업화 촉진(실행전략) 분야에 해양수산생물 유래 바이오메디컬소재 개발, 해양유래 나노 복합소재기술 등이 포함
∙ 또한, 중점적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기술 중 파급효과가 크고 조기 성과창출이 가능한 분야(20개 Quick-Win 기술)에 우선 지원하고자 하고 있으며 조기 성과창출이 가능한 20개 분야로는 국가해양영토광역감시망구축, 수중로봇개발, U기반 해운물류, e-Nav, 수 산물 유통가공기술과 함께 해양바이오, 고부가 양식기술 등이 포함되어 있음
R&D 전략 실행전략 중점기술
해양영토 주권 강화 및 해양경제
영토 확대
1. 해양과학조사 및 예보 역량 강화
① 해 양 예 측 예 보 시 스 템 구 축 기 술 , ② 전 지 구 적 통 합 해 양 기 후 관 측 및 모 델 링 기 술 , ③ 국 가 해 양 영 토 광 역 감 시 망 구 축 및 활 용 , ④ 관 할 해 역
해 양 과 학 조 사 및 탐 사 기 술 2. 극한 공간 활용 및
국제협력 확대
① 극 한 환 경 융 복 합 플 랜 트 기 술 및 장 비 개 발 , ② 대 양 심 해 지 역 해 양 탐 사 기 술 , ③ 남 북 극 환 경 및 자 원 탐 사 기 술 , ④ 북 극 해 수 산 자 원 발 굴 및 개 발 기 술 ,
⑤ 해 외 해 양 수 산 과 학 기 지 구 축 및 활 용
창조형 해양수산 산업 육성
3. 해양자원 및 해양 에너지 개발 활성화
① 해 양 자 원 탐 사 및 개 발 기 술 , ② 이 산 화 탄 소 및 농 축 해 수 의 산 업 소 재 화 기 술 , ③ 해 양 에 너 지 복 합 발 전 플 랜 트 기 술 , ④ 미 활 용 해 양 에 너 지 원 발 전 기 술 ,
⑤ 해 양 에 너 지 를 활 용 한 해 수 담 수 화 기 술 4. 첨단 해양장비산업
육성
① 수 중 로 봇 개 발 및 시 스 템 활 용 기 술 , ② 해 상 및 수 중 무 선 통 신 고 도 화 표 준 화 기 술 , ③ 마 리 나 등 해 양 레 저 산 업 관 련 기 술 , ④ 해 양 수 산 R& D
성 과 물 사 업 화 기 술 5. 항만・해운물류의
허브기능 고도화
① 초 대 형 해 양 항 만 구 조 물 구 축 및 활 용 기 술 , ② 항 만 재 해 대 응 및 피 해 저 감 기 술 , ③ 친 환 경 항 만 조 성 기 술 , ④ U기 반 해 운 물 류 시 스 템 구 축 기 술 , ⑤
스 마 트 그 린 항 만 구 축 기 술 , ⑥ 해 중 터 널 실 용 화 기 술 6. 해양수산 생명자원의
산업화 촉진
① 해 양 수 산 생 물 유 래 바 이 오 메 디 컬 소 재 기 술, ② 해 양 수 산 생 물 기 능 모 방 기 술, ③ 해 양 생 물 로 봇 합 성 기 술 , ④ 해 양 유 래 나 노 복 합 소 재 기 술, ⑤ 해 양
바 이 오 에 너 지 생 산 기 술, ⑥ 국 가 관 할 해 역 생 명 자 원 통 합 관 리 기 술 , ⑦ 해 외 해 양 수 산 생 명 자 원 발 굴 기 술
7. 전통 수산업의 미래산업화
① 수 산 종 자 육 성 및 산 업 화 기 술 , ② 친 환 경 수 산 물 생 산 자 동 화 기 술 , ③ 수 산 물 질 병 관 리 기 술 , ④ 친 환 경 고 부 가 양 식 기 술 , ⑤ 수 산 물 안 전 및 유 통
선 진 화 기 술 , ⑥ 수 산 물 고 부 가 가 공 기 술 8. 해양플랜트산업
경쟁력 확보
① 해 양 플 랜 트 엔 지 니 어 링 기 술 , ② 해 양 플 랜 트 기 자 재 기 술 , ③ 해 저 플 랜 트 구 축 기 반 기 술 , ④ 해 샹 부 유 식 벙 커 링 터 미 널 기 술 , ⑤ 해 양 플 랜 트 서 비 스
산 업 육 성 기 술 9. 친환경선박 시장
선도
① 선 박 환 경 오 염 저 감 기 술 , ② 현 존 선 운 항 최 적 화 기 술 , ③ 차 세 대 선 박 환 경 안 전 기 자 재 기 술 , ④ 선 박 설 계 및 성 능 의 시 험 인 증 표 준 화 , ⑤
선 박 평 형 수 관 리 기 술
국민행복 해양공간
창조
10. 해양환경 개선 및 위해요소 대응역량
강화
① 유 류 위 험 유 해 물 질 해 양 유 출 사 고 신 속 대 응 기 술 , ② 적 조 해 파 리 등 유 해 해 양 생 물 관 리 기 술 , ③ 해 양 폐 기 물 및 쓰 레 기 오 염 대 응 기 술 , ④ 해 양 산 성 화 관 리 기 술 , ⑤ 중 금 속 유 해 물 질 해 양 생 태 계 위 해 성 평 가 기 술 , ⑥
C O 2 해 양 지 중 저 장 기 술 , ⑦ 연 안 습 지 및 하 구 역 보 존 복 원 기 술 , ⑧ 해 양 생 태 계 보 존 복 원 기 술 , ⑨ 장 기 해 양 생 태 계 관 리 기 술 11. 연안재해 저감 및
해양교통 안전 확보
① 연 안 재 해 관 리 기 술 , ② 침 식 해 안 관 리 기 술 , ③ e-N avigation 기 술 , ④ 첨 단 (IT 융 복 합 ) 항 로 표 지 기 술 , ⑤ 항 법 시 스 템 기 술 , ⑥ 북 극 항 로 및 극 지 권
안 전 운 항 기 술 , ⑦ 해 양 구 난 기 술 , ⑧ 인 적 요 인 에 의 한 해 양 사 고 저 감 기 술 12. 친수공간 및
해양문화 콘텐츠 창출
① 살 기 좋 은 어 촌 조 성 기 술 , ② 유 무 인 도 서 관 리 및 활 용 기 술 , ③ 해 양 헬 스 케 어 기 반 구 축 , ④ 해 수 욕 장 의 오 염 관 리 기 술 , ⑤ 해 양 수 산 문 화 진 흥
기 술 , ⑥ 차 세 대 해 양 수 산 융 합 과 제 연 구 [표 2-3] 2020 해양수산 R&D 중장기계획 중점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