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해조류 생산량
○ 세계 해조류 생산량은 2012년 기준 2,378만 톤으로 2000년에 비해 250% 증가한 것으로 전해짐6)
∙ 생산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중국으로 전체 해조류의 54%를 생산하였고, 한국은 4번째 생산국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4.3%인 102만 유로를 생산한 것으로 나타남
■ 미국
○ 미국의 경우, 일부 갈조류가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 로 분류되어 주로 일식 과 관련된 식품 산업에 원물 그 자체로서 활용되고 있으나, 해조류 추출물 등 정제된 생 리활성성분을 기반으로 한 건강보조식품(Dietary supplement)은 1994년 이전에는 유통되어 온 역사가 없으므로, 해조유래 생리활성 성분은 모두 FDA 에 NDI(New Dietary Ingredient) 로서 그 안전성에 대해 철저한 Review 를 받아야 공식 유통이 가능
∙ 현재까지 NDI 인정을 받은 성분으로는 미세조류에서 추출한 carotenoid 계 항산화제인 asaxanthine 과 갈조류에서 추출한 플로로탄닌계 항산화제인 씨놀이 대표적임
자료: FAO, 'The State of World Fisheries and Aquaculture 2014', 2014
[그림 3-44] 전세계 해조류 생산량 및 국가별 생산 비중(2012년 기준)(단위: 톤, %)
■ 유럽연합
○ 유럽연합은 해조류 양식 프로젝트로서 해조류 양식의 효율성을 높이는 특수직물 개발을 중점 과제로 하는 “AT~SEA” 프로젝트 진행 중7)
∙ 현재 해조류는 야생에서 채집하거나, 밧줄을 이용해서 양식을 하는 노동집약적이고 비 효율적인 방식으로 생산되고 있음.
∙ AT~SEA 프로젝트롤 통해서 끊어지지 않으며, 불필요한 식물류나 연체동물이 걸리지
6) KOTRA 암스테르담무역관, “EU, 해조류 양식 프로젝트에 발 벗고 나서”, 2014.09.11 7) KOTRA 암스테르담무역관, “EU, 해조류 양식 프로젝트에 발 벗고 나서”, 2014.09.11
않고 대량의 해조류를 지탱할 수 있는 직물을 개발하고자 함
○ 유럽의 경우, 해조류는 식품으로 충분히 사용되지 못하는데 이는 해조추출물의 중금속 및 요오드 함량이 높음에 기인하기도 함
○ 유럽의 경우 해조류가 사료 성분, 바이오화학, 바이오연료 생산에 중요한 자원이지만 아직 개발이 충분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음
∙ 프로젝트 담당자에 따르면, 식품이나 식품 첨가제, 사료, 화학, 연료로서의 해조류의 활 용방안과 경제적 잠재성이 무궁무진한 만큼, AT~SEA 프로젝트에서 개발한 특수섬유로 해조류 양식의 효율성이 높아지면 수십억 유로의 산업을 창출해낼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음
∙ 특히 바이오연료 생산원으로 주목을 받는데, 1㏊당 생산 가능량이 팜유는 연간 6,000ℓ, 랩시드 오일은 1,000~1,500ℓ임에 비해 조류는 2만ℓ를 생산할 수 있을 정도로 경작지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아직까지 2세대 바이오 연료원인 식물성 에탄올에 비해 생산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 음. AT~SEA 프로젝트는 생산효율성을 높여 단가를 낮출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음
○ EU 프로젝트는 해조류 양식용 3D 다층 특수섬유기판, 섬유기판을 바다에 고정시키기 위 한 특수섬유로 된 케이블과 커넥터, 특수섬유로 코팅된 신축성 있는 경량 부유튜브와 탱 크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함
∙ 특수섬유로 만든 두께 1㎜의 넓은 직물 매트를 해수면 아래에 설치하며, 해조류가 다 자라면 선박과 특수 수확 기계를 이용해 해조류를 매트로부터 잘라냄.
∙ 수확된 해조류는 또다시 AT~SEA에서 개발한 직물로 만들어진 탱크에 보관・운송되도록 개발 중
○ 동 프로젝트는 800억 유로 규모의 EU 혁신 연구개발 보조 프로그램인 Horizon 2020의 일부이며, EU 집행위로부터 지원받은 연구자금은 340만 유로임.
∙ 2012년 4월 1일부터 시작된 이 프로젝트에 11개의 파트너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 하고 있음.
∙ 중소기업 5개 사, 대기업 2개 사, 연구소 4개. 섬유, 생물학, 생물공학, 오프쇼어 엔지니 어링, 신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 종사하는 기업이 참가함.
∙ 프로젝트가 주로 직물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11개 사 중 6개 사가 섬유업에 종사하는 기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