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절 용암해수 산업 동향
3. 지역산업 여건분석
■ 지역산업 여건 분석
일 반 현 황
○ 주 민 등 록 인 구 604,670명 (전 국 대 비 1.1% )
○ 면 적 1,849.3km2(전 국 대 비 1.8% )
○ 행정구역 2개 시, 43개 읍・면・동(제주시 26, 서귀포시 17)
○ 재 정 자 립 도 30.6% (전 국 51.1% )
○ 연 평 균 성 장 률 (1.56% )
고 용 현 황
○ 2013년 기준 제주 고용률은 65.9%로 전국 59.5% 대 비 6.4% p 높 은 수 준
○ 2013년 기준 제주 실업률은 1.8%로 전국 3.1% 대비 1.3% p 낮 은 수 준
○ 고용률은 전국에서 가장 높고, 실업률은 전국에서 가 장 낮지만 비정규직 고용이 많고 고용의 질은 낮은 수준
생 산 현 황
○ 1인당 지역내 총생산은 2012년 기준 22.74백만원으 로 2008년 17.20백 만 원 대 비 7.23% 증 가
○ 1인당 지역내 총생산 증가율은 16개 시도중 2위이며, 2012년 기준 1인당 총생산은 16개 시도중 9위를 차지
○ 제 조 업 생 산 액 은 2012년 기 준 4천 억 원 으 로 2008년 2천 억 원 대 비 18.9% 증 가
산 업 구 조
○ 농 림 어 업 및 서 비 스 업 중 심 의 산 업 구 조 를 갖 고 있 으 나 , 3% 대 에 머 물 던 제 조 업 비 중 이 2009년 4% 대 로 성 장 , 현 재 까 지 유 지 (2012년 기 준 )
- 2003년 이후 지속적인 지역산업 육성 정책 등 제조업 육성정책을 통한 성과
사 업 체 현 황
○ 2012년 제 주 지 역 전 체 사 업 체 수 는 49,252개 로 5년 동 안 2.17% 증 가 , 종 사 자 수 는 211,468명 으 로 동 기 간 3.39% 증 가
○ 사업체는 대부분 9명 이하 규모의 영세기업(93.3%) 으 로 이 들 기 업 에 종 사 자 수 는 총 종 사 자 수 의 50.4% 수 준
○ 1차 산 업 은 감 소 추 세 , 2차 산 업 은 종 사 자 수 가 연 평 균 3.1% 증 가 , 사 업 체 규 모 확 대 중
시 별 사 업 체 현 황 및 입 지 분 석
○ 2012년 기준 총 사업체 49,252개 중 제주시 36,382 개사(74% ), 서 귀 포 시 에 12,870개 사 (26% )가 위 치
○ 종 사 자 인 경 우 제 주 시 159,332명 (75% ), 서 귀 포 시 에 52,136명 (25% )가 종 사 중
○ 최근 서귀포시의 사업체수 및 종사자수 증감률이 전 체 증감률보다 높은 수준
제 조 업 주 요 지 표
○ 제주지역 10인 이상 제조업체는 193개(2012년 기 준)로 5년 동 안 3.56% 증 가 , 종 사 자 수 는 4,459 명 으 로 동 기 간 5.86% 증 가
○ 생 산 액 은 11,829억 원 (2012년 기 준 )으 로 5년 동 안 11.18% 증 가 하 였 고 , 부 가 가 치 는 4,584억 원 으 로 동 기 간 6.37% 증 가 하 여 생 산 성 이 향 상
수 출 입 동 향
○ 제 주 지 역 수 출 은 83백 만 불 (2008년 ) → 103백 만 불 (2013년 )으 로 4.41% 증 가
○ 지 속 적 인 수 출 증 가 속 에 2011년 수 출 1억 불 달 성 이 후 1억 불 이 상 유 지
○ 제 주 지 역 수 입 은 202백 만 불 (2008년 ) → 260백 만 불 (2013년 )으 로 5.17% 증 가
■ 지역산업 현황 분석
제 조 업 현 황
○ 제 주 지역 10인 이 상 제 조업 체 는 193개로 4,459명 종 사
○ 최 근 5년 간 연 평 균 사 업 체 수 는 3.56% , 종 사 자 수 는 5.86% , 매 출 액 은 12.1% 증 가
○ 제 조 업 체 의 93.3% 가 10명 이 상 49명 이 하 의 소 기 업 체 로 종 사 자 의 75.4% 가 종 사 하 고 있 으 며 , 생 산 액 의 71.4% 차 지
서 비 스 업 현 황
○ 제 주 지 역 대 표 산 업 코 드 가 포 함 된 서 비 스 업 체 는 7,478 개 로 33,449명 종 사
○ 서비스업체는 9명 이하 영세기업이 사업체의 94.0% 차지
○ 사 업 체 비 중 이 1% 인 중 기 업 이 종 사 자 분 포 33.1% , 매 출 액 분 포 47.2% 로 매 우 큰 비 중 차 지
○ 2013년 기 준 제 주 관 광 수 입 은 3조 7천 억 원 으 로 꾸 준 히 늘 고 있 으 며 , 외 부 IT기 업 이 지 속 적 으 로 유 입 중
산 업 입 지 현 황
○ 제 주 지 역 은 총 5개 의 산 업 단 지 (국 가 1개 , 일 반 1개 , 농 공 3개 )가 있 으 며 , 2014년 2/4분 기 기 준 전 년 동 분 기 와 비 교 하 여 입 주 기 업 은 89개 사 로 11.3% , 고 용 인 원 은 1,297명 으 로 35.8% , 생 산 액 은 5,876억 원 으 로 339.6% , 수 출 액 은 3백 만 불 로 116.4% 각 각 증 가
○ 제 주 지 역 5개 산 업 단 지 총 분 양 률 이 97.6% , 일 반 산 업 단 지 를 제 외 한 4개 산 업 단 지 분 양 률 100%
제주첨단과학단지 제주용암해수일반산업단지 구좌농공단지
연 구 개 발 조 직
○ 제주지역 연구개발 조직은 2012년 기준 98개로 전국대비 0.4% 수준
- 1단계 지역산업지원사업 종료시점인 2007년과 비교할 때 44개 증가하였으며, 이 중 43개가 민간기업 연구소 로 기업 중심의 연구개발 조직으로 구성
연 구 개 발 현 황
○ 2012년 기 준 제 주 도 연 구 개 발 비 는 1,209억 원 으 로 전 년 대 비 10% 감 소
- 정부주도 추진사업인 기반조성 사업 종료로 인 해 사 업 비 가 다 소 감 소
○ 연구인력은 2012년 기준 2,499명으로 전년대비 5% 증가 - 민 간 기 업 인 경 우 전 년 대 비 4.3% 증 가
○ 2012년 기준 연 구 조직 은 98개 로 전년 대 비 5.3% 증 가 - 민 간 기 업 연 구 조 직 이 84개 로 전 년 대 비 7.6% 증 가
연 구 성 과
○ 2012년 제주지역 특허등록건수는 279건으로 전국의 0.3%
수준
- 최 근 5년 간 전 국 은 특 허 등 록 건 수 가 연 평 균 1.7% 감 소 하 고 있 는 반 면 , 제 주 지 역 은 연 평 균 13.7% 의 높 은 증 가 율 을 보 임
기 술 수 준
○ 전 산 업 평 균 기 술 수 준
- 미국(100%), 일본(95.1%), 유럽(95%), 한국(84.7%), 중국 (71.4%) 순(KEIT, 2011)
○ 제 주 도 전 산 업 평 균 기 술 수 준
- 제 주 도 특 화 산 업 중 심 기 술 수 준 분 석 결 과 전 산 업 평 균 기 술 수 준 60% 대 수 준 (정 책 기 획 단 , 2013)
- 기 술 수 준 분 석 결 과 핵 심 기 술 보 유 에 대 한 기 술 수 준 이 낮 은 것 으 로 분 석
기 업 부 설 연 구 소 현 황
○ 기 업 부 설 연 구 소 및 연 구 원 수 지 속 적 으 로 증 가 - 지난 3년간(2010~2013년) 제주도 기업부설연구소는
연평균 29.8% 증가, 연구원 수는 14.1% 증가 - 중 소 기 업 기 업 부 설 연 구 소 는 연 평 균 30% 증 가 , 연
구 원 수 는 19.1% 증 가
- 2013년 기준 기업부설연구소 중 중소기업의 수가 전체 의 95.7%, 연구원 수는 87.7% 차지
혁신자원 현황
○ 지 역 내 혁 신 자 원 은 43개 기 관 (지 역 거 점 기 관 5개 , 특 화 센 터 4개 , 3R 6개 , 지 역 유 관 기 관 및 연 구 기 관 28개 등 )이 있 음
○ 지 역 내 혁 신 자 원 은 과 학 기 술 , 산 업 생 산 , 기 업 지 원 , 전 문 가 양 성 , 네 트 워 킹 , 지 역 혁 신 인 프 라 로 나 누 어 짐
■ 지역 혁신자원 분석
제 5 절 용암해수 미디어 리서치 결과
○ 미디어 리서치 개요
∙ 검색 방법으로 키워드를 ‘용암 해수’를 지정하였으며, Naver의 기사통합검색 기능을 활 용하여, 전국종합일간신문 등 322개의 언론매체를 검색
∙ 검색 범위는 기사제목과 내용을 포함하였으며, 검색 기간은 2016년 2월 11일을 기준으 로 모든 기사를 대상으로 실시
∙ 검색 기사 건수는 총 2,344건으로 이중 297건이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 었으며, 긍정, 중립, 부정적 측면으로 분류함
∙ 제주맥주 산업, 수상, 화장품, 제주테크노파크, 인터뷰, 인사, 부고, 제주도개발공사, 분양, 풍력발전, 기업 모집, 한라산청정고사리축제, 심포지엄, 행정구역 등 관련 기사 제외함
[표 2-14] 미디어 리서치 개요
구분 내용 비고
검색 방법 Naver의 기사통합검색 기능을 활용 지면기사, 경제지, 지역지, 매거진, 전문지 등
검색 매체 전국종합일간신문 등 322개 언론매체
검색 키워드 용암 해수
https://search.naver.com/search.nav er?where=news&se=0&query=%EC
%9A%A9%EC%95%94%20%ED%9 5%B4%EC%88%98&ie=utf8&sm=ta b_srt&sort=2&photo=0&field=0&re porter_article=&pd=0&ds=&de=&d ocid=&nso=so%3Ar%2Cp%3Aall%2 Ca%3Aall&mynews=0&mson=0&ref resh_start=0&related=0
검색 범위 기사제목+내용
검색 기간 전체(1990년 10월 19일~2016년 2월 11일)
검색 기사 건수 2,344 건
관련 기사 건수 총 297건 노출(긍정적 ,중립적, 부정적 기사 로 구분하여 분석)
용암해수 이슈와 관련된 기사 (제주맥주산업,수상,화장품,제주테크 노파크,인터뷰,인사,부고,제주도개발공 사,분양,풍력발전,기업모집,한라산청정 고사리축제,심포지엄,행정구역 등 관 련 기사 제외)
주요 키워드
용암해수사업, 행정, 홍보, 규정, 산업화, 지 하수, 수출, 민간기업, 표류, 정책, 물산업, 자 원세, 사업성, 염지하수, 행정, 해수사우나, 화장품, 소금, 타당성, 전망, 도의회, 기능성 음료 등
○ 미디어 리서치 결과
∙ 용암해수 관련 주요 보도 언론매체는 SBS, 국민일보, 국제뉴스, 노컷뉴스, 뉴시스, 동아 일보, 서울신문, 아시아뉴스통신, 아주경제, 연합뉴스, 전자신문, 한겨레 등이 존재
∙ 지역 매체는 시사제주, 제민일보, 제주도민일보, 제주신보, 제주의소리, 제주일보, 헤드라 인제주, 한라일보 등으로 조사
∙ 기사 성향은 용암해수에 대한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 기사로 구분하였으며, 66.1%가 긍 정적 성향을 보였으며, 반면 25.7%가 부정적인 성향을 보임
∙ 주요 긍정적 기사는 융합산업, 투자, 친환경 양식, 수출, 지역산업, 민간기업, 물산업, 신 성장동력, 화장품, 기능성, 상품화, 투자 등의 키워드가 존재
∙ 주요 부정적 기사는 행정, 규제, 확장, 실효성, 정책, 타당성, 산업화 논란, 지하수법 등 으로 나타남
기사 성향 기사 건수 비율
긍정 72 66.1%
중립 9 8.3%
부정 28 25.7%
* 2016년 2월 11일 검색 기준
[그림 2-24] 성향별 기사 건수
연도 노출건수
2005 6
2006 11
2007 6
2008 10
2009 6
2010 12
2011 26
2012 28
2013 88
2014 22
2015 72
2016 11
* 2016년 2월 11일 검색 기준
[그림 2-25] 연도별 기사 건수
∙ 연도별 언론 노출강도(동일 기사에 대한 보도 건수)가 높은 기사로는 2005년 용암해수 산업화를 위한 투자, 2006년 용암해수의 기능성 음료, 2007년 용암해수 산업화 연구, 2008년 제주도의회 용암해수 산업화 제동, 2009년 용암해수 먹는물 개발 허용 등이 있 으며,
∙ 2010년 용암해수사업 타당성 저조, 2011년 용암해수산업지원센터 착공, 2012년 용암해 수 소금산업, 2013년 제주용암해수단지 산업용지 분양과 호주 수출, 2014년 용암해수와 창조경제, 2015년 용암해수 판매, 화장품원료, 2016년 용암해수 융합산업 투자 등으로 분석
[그림 2-26] 용암해수관련 키워드를 이용한 TagCloud
■ 제2장 요약
○ 2015년도 해양수산 R&D 중장기계획의 중점 추진내용으로 신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창조 결 제 실현과제와 국정과제에서 중점적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기술 중 파급효과가 크고 성과 창 출이 가능한 분야 20개를 우선 지원하고자 하고 있으며, 해양바이오, 고부가 양식기술 등이 포함되어 있음
○ 제주권의 선도산업은 물 산업과 관광레저 산업이며, 지역전략 산업은 건강뷰티 생물산업 등으로 제주특별자치도는 청정자원 활용을 통한 고부가가치 산업육성계획에 용암해수산업 단지와 연계한 국내외 기술 선도기업 유치를 통해 제주형 제조업 육성 추진
○ LMB 관련 해양수산생명공학 주요 정부 정책 내용
∙ 해양수산생명공학 기술개발 사업 - 해양수산생명자원 확보 및 활용기반 - 해양수산바이오 신소재 개발
∙ 차세대 바이오 그린 21 (2단계) 사업 - 바이오 신의약 소재 개발
∙ 해양바이오 기초원천 기술개발 사업 - 해양생명 기능 연구
- 해양바이오 신소재 기초・원천기술 연구 - 해양바이오 기반 신의약 소재 기초 원천기술 연구
○ 지역발전 비전과의 부합성, 지역별 장점과 특성, 일자리 창출 극대화 등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위하여 제주지역은 용암수 융합산업 육성사업을 지역특화 발전 프로젝트로 선정되 었고, 제주도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지역전략산업 진흥사업을 통하여, 건강뷰티생물, 디지털콘텐츠산업, 용암수산업 기반구축 등에 집중 투자하여 전략산업 육성에 필요한 인 프라 조성
○ 바이오산업 시장은 2009년부터 2013년 까지 연평균 6.71%의 성장률을 보이며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2009년 대비 2013년 시장 확대 규모는 바이오식품이 가장 크게 확 대 되었으며 바이오에너지 및 자원에 이어, 바이오의약이 세 번째로 시장의 확장이 두드러 지게 나타나고 있음. 바이오식품이 안정적인 시장성과 성장성을 바탕으로 바이오산업을 주 도하고 있으며, 바이오의약은 Cash Cows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 전세계적으로 해양바이오 시장규모는 2003년 2,480백만 달러에서 2012년 3,781백만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