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검정 수요 전망
앞서 국내의 검정 현황에 대한 보고와 같이 우리나라의 해양 관측 장비 검정 현황에 대한 자료는 거의 전무하며, 현재로서는 장비의 제작사가 제작 초기에 개발된 장비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장착된 센서에 대한 외국 원 제조사에 의한 결과뿐이다. 따라서 기존의 우리나라의 검정 현황 자료를 바 탕으로 하여 향후 우리나라 해양 관측 장비의 검정 수요를 예측은 불가능하 다. 이러한 이유로 이미 보고된 검정 대상 장비와 현재 우리나라의 각 기관 의 장비 조유 현황을 조합하여, 향후 법적으로 검정 대상 장비의 검정을 의 무화하여 모든 보유 장비에 대한 검정이 이루어질 것으로 가정하고 예측하 는 방법이 거의 유일하다.
제1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립해양조사원의 연구 결과 (국립해양조사 원, 2005)에 따라 선정된 검정 대상 장비는 본 연구에서 분류한 항목들 중 해수 특성 관측 장비, 해류 특성 관측 장비, 조위․파고 장비, 수중음향 장 비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들 장비는 검정만을 필요로 하는 장비와 검정 및 교정이 요구되는 장비로 구분 될 수 있다. 잎서 설명했듯이 검정을 포함한 교정이 필요한 장비는 해수 특성 관측 장비 전부와 해류 특성 관측 장비, 조 위․파고 관측 장비에 포함된 수온, 염분, 수압 센서이다. 따라서 검정 대상 장비에서는 교정 대상 장비에 해당하는 해수 특성 관측 장비를 제외한 해류 특성 관측 장비와 조위․파고 관측 장비 및 수중음향 장비로 한정지었다.
이러한 검정 대상 장비는 제2장에서 조사된 국내 각 기관이 보유한 전체 장비들 중 21.9%에 해당한다 (표 3-9).
No. 해양장비 분류 국내 보유 장비 수 (대)
비율
(%) 비고
1 해수특성 340 9.52 교정대상
2 해류특성 239 6.69
검정대상
3 조위․파고 231 6.47
4 수중음향 313 8.77
5 기상․대기관측 71 1.99
6 지자기․중력 13 0.36
7 위치측정․원격탐사 206 5.77
8 수중카메라 42 1.18
9 샘플채집장비 75 2.10
10 분석․실험장비 1,328 37.20
11 계측장비 102 2.86
12 전산장비 271 7.59
13 기타 339 9.50
계 3,570 100
표 3-10 해양 장비 분류별 국내 보유 장비 및 비율
또한 그림 2-4에 보인 바와 같이 보유 장비의 숫자가 증가할 것으로 가 정하면 지속적인 증가는 계속되겠지만 그 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소 감소할 것이다. 또한 내구연한을 5년으로 가정한 경우에는 이러한 추세가 더 욱 뚜렷하다. 이러한 이유로 이들 보유 장비의 증가를 로그함수로 추정하면 비교적 좋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그림 3-17, R2 = 0.96). 따라서 향후 우리 나라의 해양 관측 장비의 보유는 이러한 함수로 증가한다고 전망할 수 있다.
그림 3-17 해양 연구 기기 및 장비 보유 현황 추정
따라서 전체 보유 장비 중에 검정 대상 장비가 차지하는 비율이 21.9%로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검정 대상 장비 역시 같은 추세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매년 증가하는 모든 장비를 대상으로 검정을 실시하는 것 이 아니라 선행 연구에 따라 매 2년 마다 검정을 실시한다고 가정하면 대 상 장비의 50%에 해당하는 장비가 결국 검정 수요가 될 것이다. 이러한 대 상 장비는 그림 3-18과 같은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2020년에 이르면 약 120여대로 검정 대상 장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3-18 검정 대상 장비 수 추정
나) 교정 수요 전망
해양 관측 장비에 대한 교정의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앞으로의 교정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하여 앞서 분석된 해양 관측 장비의 보유 현황과 교정 의뢰 현황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향후 교정의 수요를 추정하여 보았다.
우선 검정 대상 장비의 수요 전망에서와 마찬가지로 향후의 해양 관측 장비의 보유는 그림 3-15와 같이 로그함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한다.
가장 대표적인 교정 대상 장비인 CTD에 대하여 앞서 논의한 CTD 교정 환산건수를 이용하여 전체 보유 장비 중 이것이 차지하는 비율은 표 3-10과 같다. 2004년에 0.25%에 불과하던 것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9년에는 4.59%에 이른다.
이러한 연도별 CTD 교정 환산 건수의 증가를 기준으로 전체 보유장비에 대한 비율을 이용하여 로그함수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하였을 때에 실제 수 집한 자료에 잘 일치함으로 보여준다 (그림 3-19). 이를 기준으로 살펴보는
경우 2009년 현재 약 5% 미만이던 교정 비율이 2020년에는 약 9% 정도로 증가할 것이 예상된다.
년도 CTD 교정 의뢰 환산 건수 전체 보유장비에 대한 비율
2004 1 0.25%
2005 19 3.68%
2006 22 3.75%
2007 37 4.81%
2008 33 3.83%
2009 43 4.59%
소계 155 20.91%
표 3-11 연도별 CTD 교정 의뢰 환산 건수 및 전체 보유장비에 대한 비율
그림 3-19 연도별 전체 보유장비에 대한 CTD 교정 비율의 변화
그림 3-17에서의 보유장비 숫자의 증가 예측과 그림 3-19의 교정 비율 증가 예측을 곱하여 향후 교정 수요를 예측하여 그림 3-20과 표 3-11에 표
그림 3-20 장비 교정의 수요 예측
연도 보유장비 예측
(대)
교정비율 예측 (%)
교정장비 수요 예측 (대)
2005 579 2.48% 14
2010 839 5.55% 47
2011 875 5.97% 52
2012 908 6.36% 58
2013 938 6.71% 63
2014 965 7.04% 68
2015 991 7.35% 73
2016 1016 7.63% 78
2017 1038 7.90% 82
2018 1060 8.15% 86
2019 1080 8.39% 91
2020 1099 8.62% 95
표 3-12 장비 교정 수요 예측
장비 교정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년 뒤인 2020년에는 약 95 대로 증가한다. 이러한 증가는 단지 장비의 사용자의 인식 변화로 인한 장비 의 교정 수요 증가에 따른 증가분을 반영한 결과이다. 그러나 현재 정부에서 계획 중인 가칭 “해양관측 표준화법”이 발효되어 해수 특성 관측 장비 등
에 대한 교정이 의무화되는 경우에는 훨씬 더 많은 교정 수요의 증가가 예 상된다.
현재 계획 중인 법률이 발효되어 2015년에 해수 특성 관측 장비 등에 대 한 교정이 의무화된다고 가정하면 그림 3-2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강제 규정 적용 이후에는 그 이전에 비해 150% 이상의 교정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 상된다, 이러한 경우 10년 뒤인 2020년에 연간 약 250 건의 교정 수요가 예상된다.
그림 3-21 2015년 강제 규정 적용을 가정한 경우 교정 수요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