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 재원
정되어 있으므로 장비구입에 막대한 외화를 지출하고 있다. 해양관측장비 검 정 및 교정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함으로서 관련된 기술의 향상이 촉진되 면, 장래에 해양관측장비의 국산화 및 해양관측장비 분야의 산업을 증대시키 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으로 검정 및 교정 시스템 구축에 국가가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
다섯째, 해양관측장비 관련 인력을 양성한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해양관 측장비는 소수에 불과하여 관련 장비에 대한 수리, 보수 및 관측 기술력이 외국에 비하여 뒤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해양관측장비의 검정 및 교정 센 터가 구축되면 이들에 관련되는 기술인력이 양성되어 장비사용, 보수, 검정 및 교정기술이 축적되어 관측 자료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다.
나)정부 지원의 근거
「해양수산발전기본법」3)을 준용한다. 즉, 정부는 “해양에 대한 과학조사 및 관측을 실시”하기 위한 선행조건으로 해양관측장비 검정 및 교정을 담당 할 전문기관을 육성․지원하는 등 필요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3) 해양수산발전기본법 [(타)일부개정 2009.5.27 법률 제9717호] 제17조(해양과학조사 및 기술개발 등) ①정부는 해양 및 해양자원의 합리적인 관리․보전 및 개발․이용을 위하 여 해양에 대한 과학조사 및 관측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하여 국 가해양관측망을 구축․운영할 수 있다.
② 국토해양부장관은 해양과학기술을 향상하게 하고 해양과학기술의 실용화·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하여 해양과학기술개발계획을 세우고, 이를 시행하여야 한다<개정 2008.
2.29>
제2절 검정 및 교정 센터 구축
검정 및 교정 센터의 구축과 관련하여 사업 단계별 목표 및 추진전략과 사업 1단계의 연차별 사업내용을 제시하였다 (표 5-3, 5-4).
단 계 목 표 추진전략
1단계 (2010
∼ 2012)
수온, 염분, 압력 분야 등에 대한 교정 인프라 구축
- 교정 표준기 확보
- 해양관련기관 보유 장비에 대한 교정업무수행
- 교정 결과의 측정치와 국제표준과의 상호 비교를 통 한 선진측정표준기술 확보
- 기본 수질(용존산소, pH, 탁도, 엽록소, 영양염류) 분 야에 대한 교정용 기자재 시설 추가 구축
- 표준 현장운영지침 개발
국가 해양장비 검정 및 교정 센터 설립
- 국가 검정 및 교정 기관 지정 추진
- 국제수준의 검정 및 교정을 위한 제도 정비 - 국내 해양관련기관 보유 해양장비의 검‧교정 - 실무 전문기술교육 실시
- 해양장비 수리(보수)업무, 제작, 개발 수행 조위․파고계 및 수압(수밀) 분
야에 대한 검정 및 교정 인 프라 구축
- 검정 및 교정 기자재 확보
- 검정 및 교정의 최고 측정능력 확보 - 표준 현장운영지침 개발
해류계, 수중음향 탐사장비에 대한 검정 인프라 구축
- 검정 시설 설계 및 구축
- 검정 결과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유속, 수중음향 분 야별 선진검정기술 개척 및 확보
- 표준 현장운영지침 개발 해양관측․조사자료 정도관리 - 상호검정을 통한 관리역량 강화
- 정도관리 교육훈련 체계 구축
2단계 (2013
∼ 2015)
전 해양관측 항목의 검정 및 교정 분야 확대
- 기본 수질(수온, 염분, 수심, 용존산소, pH, 탁도, 엽 록소, 영양염류)장비의 교정 업무 실시
- 광 및 전기(전방, 전류, 저항, 주파수 및 시간) 교정 분야의 검정 및 교정 시설 구축
- 전 관측분야에 대한 국제수준의 측정 및 현장관측능 력 배양
- 국가 해양장비 검정 및 교 정 센터 운영
- 선진국 수준의 정도관리,
- 해양장비 검정 및 교정 업무 수행 - 검정 및 교정용 표준물질 개발 및 보급 - 검정 및 교정용 표준기의 정밀도 유지 - 숙련도 시험 및 측정품질 외부 평가
표 5-3 검정 및 교정 센터의 단계별 목표 및 추진전략
* 각 단계는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임.
단 계 목 표 추진전략
3단계 (2016
∼ 2018
전 해양관측 항목의 검정 및
교정 실시 - 전 해양관측 항목의 검정 및 교정 실시 국가 해양장비 검정 및 교정
센터 운영(계속)
- 전 해양관측 항목의 검정 및 교정 수행
- 해양관련기관에 대한 검정용 장비 및 표준물질 보급 - 해양관측 전문 기술인 양성 프로그램 교육실시 - 정도관리 평가 감사관 양성 운영
선진국 수준의 해양기기 및 장비의 관측표준화
- 세계 일류 수준의 해양장비 유지 관리 및 관측 표준화 - 해양장비의 국산화 개발
연 도 사업내용 및 범위
1차년도(2010)
◦ 분야별 검정 및 교정 기반시설 구축 - 수온, 염분, 압력 검․교정 기자재 확보 - 분야별 검정 및 교정 절차와 방법 등 설계 - 조위(파고)계 검정 및 교정 기자재 구입 준비 - 해류계 및 수중음향 분야의 검정 시설 실시설계
◦ 국가교정기관 지정 추진
- 수온, 압력 분야 국가교정기관 지정 준비 - 염분분야 국제자율교정기관 추진 준비
◦ 검정 및 교정용 표준기의 국가(국제)표준 소급 계획 수립
- 국가(국제) 표준과 연계된 표준기의 정밀정확도 유지 계획 수립
◦ 검정 및 교정 센터 발족
- 검정 및 교정 센터 건립 추진계획 수립 및 건축설계
◦ 실무 전문기술 교육
- 실무 전문기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상시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 해양관측․조사자료 정도관리 - 해양자료 정도관리체계 기반 구축
◦ 해양장비 유지 관리 및 수리(보수)용 기자재 확보
◦ 맞춤형 해양장비 제작 및 보급
- 연구자들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장비 제작 및 개발
2차년도(2011)
◦ 해양장비 검정 및 교정 및 정도관리 - 수온, 염분, 압력 분야의 검 교정 실시
- 조위(파고)계 및 수압(수밀)분야의 검정 및 교정 기자재 확보 - 해류계 및 수중음향 분야의 검정 시설 실시설계(완료) 및 공사시행
◦ 국가교정기관 지정 공인
표 5-4 검정 및 교정 센터 1단계의 연차별 사업내용
* 각 연도별 사업내용은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연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임.
연 도 사업내용 및 범위 - 수온, 압력 분야 국가교정기관 공인 - 염분분야 국제자율교정기관 인정
◦ 검정 및 교정용 표준기의 국제 유지 확립 - 정기적으로 국가(국제)표준과의 비교 검증 - 표준기의 정밀도 및 정확도 유지 확립
◦ 해양장비 검정 및 교정 센터 건립 및 운영 - 국가 해양장비 검정 및 교정 센터 건립 및 운영 - 관련법규 정비 및 제도적 장치 마련
◦ 현장 검정 및 교정용 인증 표준물질 기초설계 - 염분 인증 표준물질 개발 기초설계
◦ 실무 전문기술 교육
◦ 해양관측․조사자료 정도관리
- 해양자료 정도관리체계 기반 구축(계속) - 표준운영지침 개발
◦ 해양관측장비 유지 관리 및 수리(보수) 실시
◦ 맞춤형 해양장비 제작 및 보급
- 연구자들의 요구에 따라 맞춤형 장비 제작 및 개발
3차년도(2012)
◦ 해양장비 검정 및 교정 센터 운영
- 국내 해양관련기관의 해양장비 검정 및 교정 실시 - 검정 및 교정용 표준기의 유지 관리 체계 확립 - 해양관련기관의 해양장비 유지 관리 및 보수
◦ 해양관련기관에 대한 인증 표준물질 보급
- 염분 인증 표준물질 개발 및 해양관련기관 보급 - 용존산소, pH 등 인증 표준물질 개발
◦ 실무 전문기술 교육
- 해양관측 전문기술인 양성 프로그램 운영(계속)
◦ 전 해양관측 분야에 대한 검정 및 교정 확대
- 기본수질(용존산소, pH, 탁도, 엽록소, 영양염류)분야 및 광 분야에 대한 교정용 기자재 확보 및 보급
- 해류계, 수중음향 탐사장비에 대한 검정 시설 준공 및 가동
가. 기반시설
검정 및 교정 센터에 구축해야할 기반 시설을 각 교정 분야별로 표 5-5 에 기술하였다.
검정 및 교정 분야 검정 및 교정시스템
공통
분야 환경시설 항온항습기
검정 및
교정 온 도(수 온)
Standard Platinum Resistance Thermometer Fixed Point Cell
DC Comparator Resistance Bridge AC Resistance Thermometer Bridge Standard Resistor
High Precision Bath Calibration Bath 검정 및
교정
압 력 (수심) / 수압식 조위(파고)계
Oil Dead-Weight Piston Gauge Air Dead-Weight Piston Gauge Precision Digital Barometer 검정 및
교정
전기전도도 (염분)
AUTOSAL PORTASAL
검정 수압(수밀) Pressure Testing System (내경 1m x 2m(D))
검정 파고(랑) 파고 시험장치
검정 유속(유향) 예인조파수조시설 (100m x 15m x 10m(D)) 유속계 검정시스템
검정 수중음향
무향수조 (15m x 6m x 6m(D)) 수중음향 검정 시스템
전자계측기류 (오실로스코우프, 주파수 카운터 등)
검정
전 기
(직류전압, 전류/교류 전압, 전류/시간, 주파수/
저항
Precision Meter Calibrator 표 5-5 검정 및 교정센터의 기반 시설
나. 소요시간
검정 및 교정센터 구축에 있어서 각 단계별 특성과 소요 예상 시간 및 주요 사업을 표 5-6에 정리하였다.
단계 1단계(2010~2012) 2단계(2013~2015) 3단계(2016~2018)
특성 설립 운영 성숙
주요 사업
- 수온, 염분, 압력 분야에 대한 교정 인프라 구축 - 조위․파고, 해류,
수중음향에 대한 검정시설 구축 - 국가 해양장비
검정 및 교정 전문기관 설립 - 해양관측․조사
자료 정도관리
- 전 해양관측 항목의 검정 및 교정 확대 - 국가 해양장비 검정
및 교정 전문기관 운영
- 선진국 수준의 정도관리 및 교정 기반 구축
- 전 해양관측 항목의 검정 및 교정 실시 - 국가 해양장비 검정
및 교정 전문기관 운영(계속)
- 선진국 수준의 해양 관측기술의 표준화 표 5-6 검정 및 교정센터 구축에 소요되는 기간
제3절 설립 및 운영 방안 가. 사무위임 및 위탁관계
검정 및 교정대행 민간 전문기관의 설립과 관련되는 법률들을 고찰하여 정비방안을 제안하였다.
1) 「민간」 용어의 사용(Operational Definition)
이 항에서 사용하는 민간이란 용어는 정부기관, 국립기관, 지방자치단체 가 아닌 법인ㆍ단체 또는 그 기관의 의미로 사용한다. 이 중에는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의 공공기관4),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 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 및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의한 정부출연연구기관, 기타 민법 또는 개별 법률에 의한 법인 등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