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수행한 연구 내용과 결과 보고

1. 모형 개발에 맞는 관점 수립 위한 세미나 실시:

(1) 세미나 명: 읽기와 쓰기 프로그램 연구를 위한 세미나

(2) 시간: 2011년 12월 20일(화)부터 매주 화요일 6시에 진행

(3) 장소: 연세대학교 위당관 611호

(4) 세미나 커리큘럼

reading-Bedford/St.Martin’s

8

John Peter Five ways of interpreting a text …(9)

출처 James C. McDonald(2000), The Ally and Bacon sourcebook for college writing teachers, Allyn and Bacon

9

Jeanne Fahnestock and

Marie Secor Teaching Argument : A theory of types …(11)

출처 James C. McDonald(2000), The Ally and Bacon sourcebook for college writing teachers, Allyn and Bacon

10

Susan Naomi Bernstein Chapter 4. writing and reading …(3)

출처 Bernstein, Susan Naomi(2006), Teaching Developmental Writing (Background readings)_Bedford/St.Martin’s

11

Mariolina Salvatori The “Argument of Reading” in the Teaching of composition …(5)

출처 Timothy Barnett(2002), Teaching argument in the composition course background reading_Bedford/St.Martin’s

12

William Grabe Reading-Writing Relations :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Instructional Practices …(13)

출처 Diane Belcher and Alan Hirvela(2004), Linking Literacies Perspectives on L2 reading- Writing Connections,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Mary Deming and Maria Valeri-Gold

Making Reading and Writing Connections with Shay Youngblood’s Big Mama stories …(16)

출처 Norman A. Stahl, Hunter Boylan(2003), Teaching Developmental Reading Historical, Theoretical, and Practical Background Reading, Bedford/St.Martin’s

13

Richard Fulkerson Composition at the turn of the Twenty-first centry, CCC, 56:4 2005

…(17-나머지 부분)

출처 CCC, 56:4 2005

14

Glynda Hull and Mike Rose Toward a Social-Cognitive Understanding of Problematic Reading and Writing …(7)

출처 James C. McDonald(2000), The Ally and Bacon sourcebook for college writing teachers, Allyn and Bacon

(5) 세미나 진행 결과

1) 모형 개발의 토대가 되는 관점 수립을 위한 세미나를 집중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물을

학회에 발표함으로써 공개적으로 논의와 평가의 대상이 되게 하였다.

2) 학회 발표

가) 발표 1: 김미란(공동 연구원) - <대학작문학회·사고와표현학회 공동 학술대회>에서 발표함.

나) 발표 2: 정희모(책임 연구자)- 2012 홍방국제대학교․한국문법교육학회국제학술대회에

서 발표함.

no. Courses

1 21W.730 Writing on Contemporary Issues: Social and Ethical Issues

2 21W.730-

1

Expository Writing: Social and Ethical Issues in Print, Photography and Film

3 21W.730-

2 The Creative Spark

4 21W.730-

3 Writing and the Environment

5 21W.730-

3 Consumer Culture

6 21W.730-

3 Expository Writing: Autobiography - Theory and Practice

7 21W.730-

4

Writing on Contemporary Issues: Food for Thought: Writing and Reading about the Cultures of Food

8 21W.730-

4 Expository Writing: Analyzing Mass Media

9 21W.730-

5

Writing on Contemporary Issues: Culture Shock! Writing, Editing, and Publishing in Cyberspace

10 21W.730-

5 Writing on Contemporary Issues: Imagining the Future

11 21W.731-

1 Writing and Experience: Exploring Self in Society

12 21W.731-

2 Writing and Experience: Crossing Borders

13 21W.731-

4 Writing and Experience

* 세부적인 내용은5. 학회 발표'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함.

2. MIT 오픈코스웨어(MIT OPENCOURSEWARE) 검토

(1) 검토 목적: 미국 매사추세츠 공과대학의 오픈코스웨어(Open Course Ware)는 다양한 오픈

강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http://ocw.mit.edu/). 그중 하나가 글쓰기 분야의 양질의 프로 그램이다. 이 프로그램들은 체계적이면서 다양한 주제 개발, 인용법, 읽기-쓰기 모형 등을 상당 히 폭넓게 개발되어 있어, 우리의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되어 오픈코스웨어를 세미나 후 한 편씩 검토하였다.

(2) 검토 자료 목록표

14 21W.732 Science Writing and New Media

15 21W.732-

1

Introduction to Technical Communication: Perspectives on Medicine and Public Health

16 21W.732-

2

Introduction to Technical Communication: Ethics in Science and Technology

17 21W.732-

2 Intro to Tech Communication

18 21W.732-

5

Introduction to Technical Communication: Explorations in Scientific and Technical Writing

19 21W.734J Writing with Shakespeare 20 21W.734J Writing About Literature 21 21W.735 Writing and Reading the Essay 22 21W.739J Darwin and Design

23 21W.742J Writing About Race: Narratives of Multiraciality 24 21W.745 Advanced Essay Workshop

25 21W.746 Humanistic Perspectives on Medicine: From Ancient Greece to Modern America

26 21W.747 Classical Rhetoric and Modern Political Discourse

27 21W.747-

1 Rhetoric

28 21W.749 Documentary Photography and Photojournalism: Still Images of a World in Motion

29 21W.775 Writing about Nature and Environmental Issues 30 21W.784 Becoming Digital: Writing about Media Change 31 21W.785 Communicating in Cyberspace

(3) MIT 오픈코스웨어 검토 결과

- MIT 오픈코스웨어에 올라온 프로그램들의 주제들을 검토하고 프로그램의 주제 설정에 반영함.

- 인용법, 읽기-쓰기 모형 등을 프로그램에 활용함.

- 논증적 글쓰기와 표현적 글쓰기에 해당하는 자료들은 2차년도, 3차년도에 활용하기 위해 데

이 터로 축적해 둠.

3. 워크숍 개최

(1) 워크숍명: 쓰기를 위한 읽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워크숍

발표1 미국 대학 글쓰기 교육의 지형도에 관한 미국 논문 검토 (정희모) 토론: 유혜령

발표2

MIT 대학의 ''쓰기를 위한 읽기'' 프로그램 소개 1 (박정하) 토론: 옥현진

발표3 MIT 대학의 ''쓰기를 위한 읽기'' 프로그램 소개 2 (김미란) 토론: 김성숙

발표4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 중 ‘읽기와 쓰기 관계’에 대한 미국 논문 검토 (진영복) 토론: 이윤빈

(2) 워크숍 개요 1) 장소: (국내) 속초

2) 기간: 2012년 1월27(금)~28일(토)

3) 개최의 필요성: <21세기형 글쓰기 교육을 위한 융복합적 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1차

년도 연구 과제는 지식 중점 모형(읽기-쓰기 모형)의 개발이다. 지식 중점 모형 개 발시 중요 사항으로 다루어야 할 점은 텍스트 이해 능력 과 분석 능력, 비판 능력 의 배양이다. 이것은 지식 중점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과 실제에 대한 깊이 있고 다각적인 이해를 요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팀은 겨울 방학 동안 읽기-쓰기 모형 개발을 위한 세미나를

진 행해 왔다. 그리고 집중적인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는 판단하에쓰기를 위한 읽 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워크숍을 개최하기로 결정하였다.

4) 워크숍 개최 목적:

- 참여 연구자들이 중심되어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글쓰기 전문가들이나 전공자들이 토론

을 맡음으로써쓰기를 위한 읽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실제적 토대를 마련한 다.

- 발표와 토론 결과물을 읽기-쓰기 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한다.

5) 참가자 명단:

정희모(연세대 교수: 연구책임자), 박정하(성균관대 교수: 공동연구원), 김미란(성균관대 교수: 공동연구원), 진영복(연세대 학부대학 교수),

유혜령(연세대 교육대학원 교수), 옥현진(교육과정평가원), 김성숙(연세어학당),

이윤빈(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오현지(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김보연(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보조연구원),

이세라(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강지은(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김희용(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등 총13명

(3) 워크숍 발표 주제 및 발표자/토론자

발표5

대학 작문 교육에서 텍스트와 읽기의 문제에 관한 미국 논문 검토 (김희용) 토론: 김보연

학술대회명 대학작문학회·사고와표현학회 공동 학술대회 (4) 워크숍 개최 결과

- 세미나 구성원들이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글쓰기 전문가들이나 전공자들이 토론을 맡음으로써 쓰기를 위한 읽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실제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 기반을 형성하 였음.

- 발표와 토론 결과물을 책자로 만들어 공유하고 읽기-쓰기프로그램 개발에 적용하였음. 4. 정보수집 및 벤치마킹을 위한 해외 대학 방문 활동

(1) 정보 수집 및 벤치마킹을 위한 해외 대학 방문

 방문 지역: 미국 콜롬비아대학교

‚ 방문 기간: 2012년2월 17(금)~2월22일(수)〔3월1일(목) 귀국〕 ƒ 방문 연구자: 박정하(성균관대 교수: 공동연구원)

„ 방문의 목적:

-1차년도 연구 계획서에 따라, 지식 중점 모형(읽기-쓰기 모형)개발을 위해 해외 우수 글

쓰 기 프로그램을 벤치마킹하기 위한 것이다.

-미국 최우수 대학 중 하나인 콜롬비아대학교는 다양한 글쓰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

며, 특히 본 연구프로젝트의 대상이 되는 지식 중점 모형 강좌도 운영되고 있다. 그래서

Columbia 대학 학부 글쓰기 프로그램 책임자인 Niclole B. Wallack 교수를 만나서 글쓰기

프로그램 전반에 대하여 정보를 얻는 것이 이 방문의 주된 목적이다. 특히 지식 중점 모

형 에 가까운 글쓰기 강좌에 대한 정보를 얻고, 글쓰기 센터 운영에 대해서도 문의하며, 가능 하면 글쓰기 강좌도 참관할 예정이다.

(2) 정보수집 및 벤치마킹을 위한 해외 대학 방문 활동 결과

- 글쓰기 프로그램 책임자를 만나서 학술적 차원의 읽기와 쓰기 능력을 길러 대학의 지적 삶에

적응하게 한다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비판적 분석, 논증, 글 수정, 협동학습, 메타인지, 연구조 사를 위한 능력을 배양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얻음.

- 워크숍 형태의 수업 진행을 참관하고 이를 <프로그램형 워크숍> 모형 개발에 활용함.

5. 학회 발표

1) 발표1

학술대회명 2012 홍방국제대학교․한국문법교육학회국제학술대회 기획 주제 한국학 교육ㆍ연구의 진단과 방향 설정

주최 홍방국제대학교(ĐẠI HỌC QUỐC TẾ HỒNG BÀNG)

‧한국문법교육학회

장소 베트남 호치민 홍방국제대학교 회의실 대회 기간 2012년6월28(금)~6월30일(토) 참가자 명단 정희모(연세대 교수/연구 책임자)- 발표

김미란(성균관대 교수/공동 연구원) - 참관

발표 내용

「한국인 대학생 텍스트의 문법적 오류 빈도와 분석」(발표자-정희모) 논문은 학생 들의 읽기-쓰기 능력의 기초가 되는 문법적 측면을 중심으로 오류 빈도를 조사함으 로써 읽기-쓰기 교육의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함.

기획 주제 대학 글쓰기 교육의 다양성 모색 주최 대학작문학회, 사고와표현학회

장소 성균관대학교600주년기념관6층

일시 2012년7월7(토) 10:30∼18:30

참가자 명단 정희모(연세대 교수/연구 책임자) - 참관 김미란(성균관대 교수/공동 연구원) - 발표

발표 내용

「다매체 시대와 대학의 읽기-쓰기 교육「(발표자: 김미란) 한국 대학의 읽기-쓰기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하면서 읽기-쓰기 방법론이 소략한 현재의 상황을 극복 하기 위해 텍스트적, 수사학적, 담론적 접근 방법을 활용한 읽기-쓰기 방법론을 상 세하게 제시함.

2) 발표2

2) 발표 결과

- 발표 내용은 이론적 토대 정립을 위한 활용, 실제적인 교수-학습 방법론 개발을 위한 활용으로 이어짐.

- 발표에 대한 의견 수렴을 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