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컴퓨터실 빔 프로젝트를 통해 실험에 대한 사후안내문을 보여주고 실험에 대한 소개와 사후안내를 진행하였다.

실험에 대한 안내는 서울대학교 인지창의성센터에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지처리능력검사를 개발하고 있으며, 개발된 능력 검사를 이용해 전국 중학생을 대상으로 인지처리능력을 측정하고 있다고 안내한 후, 사전설문을 시행하였다.

사전설문이 종료된 후, 1차 과제에 대한 안내와 함께 시간압박 조작이 이루어 졌다. 처치별로 주어진 시간과 중학생 평균 소요시간을 달리 안내하고, 과제의 예시문항을 함께 보면서 문제 푸는 방법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였다.

시간압박집단의 경우, 중학생 대상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검사소요 시간 평균이 15분이 걸렸으나, 이번 검사에서는 10분의 제한시간 내에 많은 문제를 푸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10분 동안 화면 상단에 남은 시간을 계속 제시하여 보여 줄 것이라고 안내하였다. 효과적인 시간압박 조작을 위하여 안내문에서 시간에 관련된 내용은 붉은 글씨로 제시하고, 시간제한에 대한 인식을 상기시켜 주기 위해 안내가 종료된 후, “중학생 평균 몇 분이 걸린다고 했지요?”, “여러분에게 주어진 시간은 몇 분이라고 했지요?” 라고 재확인 하여 시간압박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시간압박이 없는 통제집단의 경우, 중학생 대상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검사소요 시간이 평균 7~8분이 걸렸으나, 이번 검사에서는 제한시간을 10분으로 늘렸다고 안내하고 역시 시간압박에 대한 인식을 상기시켜 주기 위하여 시간압박집단과 동일하게 시간에 대한 재확인 과정을 거쳤다. 시간압박이 없는 통제집단의 경우라도, 일반적인 학습상황, 시험상황에서 시간에 대한 제약이 존재하고, 시간에 대한 안내도 이루어

진다는 점을 감안하여, 과제 종료 시간 3분전 남은 시간을 1회 안내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시나리오는 아래 [그림 4], [그림5] 와 같다.

[그림 4] 시간압박집단 안내 시나리오

[그림 5] 통제집단(시간압박 없는) 안내 시나리오

[그림 6] 시간압박집단 남은 시간 안내

본 실험의 과제 문항의 수와 제한시간은 사전에 중학생 60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적절한 문항의 수와 제한시간을 점검하여 확정 시행하였다.

1차과제가 종료된 이후, 1차 과제를 푸는 동안 느낀 불안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마치면 1차 과제 채점 결과가 점수로 안내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1차 과제 점수 확인 후, 연구자가 제시한 규준표를 기준으로 2차 과제에 대한 목표 구간을 선택하고, 목표 점수를 함께 기입하도록 하였다. 1차 과제 점수 확인과 2차 과제 목표 설정 화면은 다음과 같다.

[그림 7] 1차 과제 검사 결과 안내

[그림 8] 2차 검사 목표 설정

이후 이어지는 2차 과제에서도 1차과제와 동일한 순서로 안내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2차 과제를 푸는 동안 느낀 불안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끝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실험 과정은 모두 종료 되었다. 이후 실험에 대한 사후안내를 진행한 후 모든 실험과정은 종료하였다.

검사 안내 (2분)

󰀻

사전설문 (5분)

󰀻

1차과제 안내 및 시간압박 조작 (3분)

󰀻

1차과제 수행 (10분)

󰀻

1차검사 후 불안정서 측정 (3분)

󰀻

1차검사 결과 안내 및 2차과제 목표설정 (1분)

󰀻

2차과제 안내 및 시간압박 조작 (3분)

󰀻

2차과제 수행(10분)

󰀻

2차검사 후 불안정서 측정(3분)

󰀻

실험종료 및 실험에 대한 사후안내 (5분) [그림 9] 실험 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