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가. 사전검사

1)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은 시험불안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친다(Rana, &

Mahmood, 2010). 따라서 자기효능감을 사전 측정하여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습 상황에서 시험이나 과제를 해결할 때 느끼는 불안과, 과제 성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고자 일반 학업상황에서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으며(Selkirk & Eccles, 2010), 문항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한국교육종단연구’ 5차년도 자기조절설문지 문항 5의 9)부터 12)까지의 문항을 활용하였다. 이 문항은 PISA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설문문항으로서 어려운 문제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선생님이 제시하는 복잡한 내용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물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배운 내용의 사용과 활용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고 있다. 문항은 4점 척도이며, 신뢰도 분석 결과 문항신뢰도(Cronbach's α)는 .86으로 나타났다.

2) 성취목표지향성

성취목표지향성이 시험불안과 과제의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Elliot & McGregor, 1999; Pekrun, Elliot, & Maier, 2006;

Tanaka, Takehara, & Yamauchi, 2006), 사전설문을 통하여 측정하고

실험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성취목표지향성 척도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한국교육종단연구’ 5차년도 자기조절설문지 문항 3의 1)부터 12)까지의 문항을 활용하였다. 이 문항은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 각 목표 당 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점 척도로 이루어졌다. 신뢰도 분석결과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 각각의 문항신뢰도(Cronbach's α)는 숙달접근α=.70, 숙달회피α=.76, 수행접근α=.77, 수행회피α=.74로 나타났다.

나. 시험불안/과제불안

본 연구에서 시험불안/과제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척도는 Spielberger, Gonzalez, Taylor, Anton, Algaze, Ross, Westberry(1980)가 만든 시험불안검사(Test Anxiety Inventory:TAI)를 최진승(1989)이 번역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5점 평정척도(5-point rating item)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거의 그렇지 않다” 2점,

“보통이다” 3점, “대체로 그런 편이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채점하며 높은 점수를 받으면 일반적인 시험불안이 높고 낮은 점수는 불안이 낮다고 해석하게 된다.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험불안의 인지적 측면(Worry), 정서적 측면(Emotionality)을 각 10문항씩 측정하고 있으며, 하위척도별 문항구성과 신뢰도는 다음과 같다.

<표 2 > 시험불안검사의 하위척도별 문항구성과 신뢰도

하위척도 문항번호 문항신뢰도

(Cronbach's α) 걱정 3,5,7,9,10,12,13,14,17,19 .90 정서성 1,2,4,6,8,11,15,16,18,20 .89

전체 .94

본 연구에서 분석한 시험불안의 문항신뢰도(Cronbach's α) 는 .95이다.

문항의 예시는 아래와 같고 전체 문항은 <부록>으로 별도로 제시하였다.

<표 3 > 시험불안/과제불안 측정 검사도구 문항 예시

문항

해당하는 정도 전혀

아니다 아니다 보통

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시험을 치는 동안 긴장되어 마음을 안정 시키기 어렵다

시험기간이 끝날 때까지 줄곧 마음이 느 긋하지 못해 어쩔 줄 모른다.

시험을 치면서 시험성적이 걱정되어 문제 가 잘 안 풀린다.

다. 시험과제

본 연구에서 과제는 총 2번, 1차과제와 2차과제로 나누어서 제시되었다. 과제는 지능검사 유형 중 언어추론검사를 1차과제로 사용 하였고, 2차 과제는 도형추론검사를 사용하였다. 1차과제인

언어추론검사는 총 2개의 파트로 이루어 졌으며, 단어 쌍 검사 16문항, 언어공통성 검사 16문항 총 30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언어추론검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적성검사 문항 중 언어추론검사 문항을 활용 하였다. 2차 과제는 도형추론검사로 1차 검사와 마찬가지로 총 30문항으로 이루어 졌으며,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에서 제작한 WISC-IV 검사 영역 중 행렬추리 문항을 활용하였다. 각 과제는 30문제 중에서 정답을 맞힌 개수로 과제성취를 측정하였다. 각 문항의 예시는 다음과 같으며 전체 문항은 <부록>으로 별도로 제시 하였다.

아래의 <보기> 에서처럼 그 관계를 알아내야 할 단어 쌍이 제시되고 다음 에 5개의 단어 쌍이 주어집니다. 당신은 <보기>의 단어 쌍과 가장 유사한 관계를 갖는 단어 쌍을 이 5개 중에서 골라야 합니다. 단어 사이의 관계는 대소(예, 첼로 : 바이올린), 인과(예, 질병 : 병균), 소유(예, 부리 : 새) 등 여러 가지입니다. 그러면 <보기>를 보십시오.

<보기>

용암 : 화산

(1) 얼음 : 물 (2) 별 : 하늘 (3) 건강 : 운동 (4) 망치 : 수선 (5) 피 : 상처

[그림 1] 1차 과제 언어추론검사 중 단어 쌍 문항 예시

아래의 <보기>에서처럼 제시되어 있는 5개의 단어 중에서 비슷한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는 두 개의 낱말을 골라서 번호에 체크를 하는 문제입니다.

5개의 단어 중 비슷하다고 생각되는 2개의 단어 번호 앞에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보기>를 보십시오.

<보기>

(1) 풀 (2) 보리 (3) 과자 (4) 나무 (5) 밀

[그림 2] 1차 과제 언어추론검사 중 언어공통성 문항 예시

당신은 <보기>의 그림을 보고 다섯 개의 보기 중에서 빠진 부분에 들어갈 가장 적합한 그림을 찾아내면 됩니다. 그러면 <보기>를 보십시오.

<보기>

[그림 3] 2차 과제 도형추론검사 문항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