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III.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가. 연구의 패러다임 및 논리

비보이들의 생활 탐색이라는 본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선택한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 방법이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와 대비되는 연 구 방법으로서 양적 연구 방법은 사물이나 현상을 설명(explanation)하는 데 관심을 둔다고 한다면 질적 연구 방법은 사물이나 현상을 이해 (understand)하는데 관심을 둔다. 영어 ‘explanation’과 ‘understand’에서

‘explanation’의‘plane’과 ‘understand’의 ‘stand’는 어떤 입장이나 위치를 의 미한다. 따라서 이 두 단어의 차이는 접두어에 해당하는 ‘ex’와 ‘under’에 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설명을 학술적 용어로 풀어내자면 설명은 모두가 볼 수 있게 바깥으로 드러내어 객관화 한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반면 이해는 자신을 낮추어 사물이나 사람, 현상 안으로 들어간다 는 의미를 함축한다. 설명의 방향은 현상에서 연구자, 이해의 방향은 연 구자에서 현상으로 볼 수 있다(조용환, 2011).

비보이들의 비보잉 경험의 의미를 밝혀내기 위해서 그들이 겪는 체험 의 내적 속성과 그 이면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에 집중하며 해석주의적 연구 패러다임을 가진다. 해석주의적 연구 패러다임은 인간의 경험세계 는 경험자의 입장에서, 그리고 상황의 맥락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해석주의 패러다임의 가장 핵심적인 개념이 ‘이해’이다. 보편 적이고 일반화를 위한 규칙의 발견보다는 특정 상황 속에서 다양한 특성 을 지닌 참여자들이 그들과 그들 주변의 세상을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대 한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김영천, 2012).

이러한 패러다임을 바탕에 둔 본 연구는 브레이크 댄스를 행하는 비보

이들의 비보잉 경험 역시 복합적이며 다양한 맥락 안에서 상호적인 성격 을 띠고 있음으로 비보잉을 경험한 당사자의 경험의 의미를 충분히 파헤 치는 것에 주목한다. 경험은 전후관계의 파악이 필연적이며 현상학 연구 는 미리 정해진 변인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여러 상황과 맥락들에 대한 연구이다(Barritt et al., 1983).

본 연구는 비보이들이 비보잉을 통해 겪은 경험과 체험을 구성하고 있 는 본질에 관심을 가지며 현상학적 접근을 취한다. 현상학적 접근은

Denzin과 Lincoln(2011)에 의한 질적 연구 전략들의 유형 분류에서 수년

간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다섯 가지 질적 연구 접근 방법(문화기술 지, 현상학, 사례연구, 내러티브) 중 한 가지 접근으로 하나의 개념 또는 현상에 대한 다수의 체험(lived experience)의 공통적 의미를 기술하는 것 을 의미한다(Creswell, 2012).

경험의 특수한 유형인 체험이란 개인이 겪고 인식하는 그대로의 경험 을 의미한다. 직접적, 전반성적 생활의식은 체험의 가장 기본적인 형식이 다. 이는 의식이기는 하지만 그것을 의식하지 못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체험은 그 순간에는 포착할 수 없고 지나간 후에 단지 반성적으로만 포 착할 수 있다. 따라서 체험의 의미는 언제나 과거의 어떤 것에 대한 것 이다. 이와 같은 체험은 현상학적 연구의 출발점이자 종착점이라고 할 수 있다(van Manen, 1990).

가. 연구의 수행 절차 및 단계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비보이들의 비보잉 경험을 탐 색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2017년 1월 연구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2018년 1월 결론도출까지 총 13개월간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 구의 전체 과정은 크게 계획, 실행, 결과 단계로 구분되며 각각의 과정은 순차적이라기보다 유기적인 관계를 가진다.

첫째, 계획단계에서는 주제를 포함하여 본 연구의 전반적인 계획을 설

정한다. 주제를 중심으로 관련 문헌과 연구들을 통해 구체적인 연구문제 를 도출하였다.

둘째, 실행단계의 첫 번째 순서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 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전반적인 계획에 대한 설명, 자료수집 방법에 대 한 동의, 비밀 보장에 대한 약속 등의 연구윤리에 관한 합의를 이끌어낸 다. 그 후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가이드 할 수 있는 질문지와 관찰 가 이드를 만든다. 이를 통해 얻은 자료들을 전사, 코딩, 해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셋째,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비보잉 경험을 통해 습득할 수 있는 라 이프스킬들을 알아내고 라이프 스킬 습득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이 무엇 인지를 탐색하였다.

<그림 1> 연구 수행 절차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