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위의 결과로 전세계해양을 21개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우리나라는

2절. Assessment of Assessments(AoA)

G. SANDER

4) 위의 결과로 전세계해양을 21개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우리나라는

No AoA Regions Related Large Marine Ecosystems(GIWA assessment for those marked *)

01 Antarctic Ocean Antarctica

02 Arctic Ocean

Arctic Ocean, Beaufort Sea, Hudson Bay, West Greenland Shelf*, East Greenland Shelf*, Iceland Shelf, Faeroe Plateau*, Norwegian Shelf, Barents Sea*, Kara Sea*, Laptev Sea*, East Siberian Sea*, Chuckchi Sea*, West Bering Sea*, East Bering Sea

03 Baltic Sea Baltic Sea*

04 Black Sea Black Sea*

05 East Asian Seas Gulf of Thailand, South China Sea*, Sulu-Celebes Sea*, 표 11. AoA 21개 지역과 관련된 광역해양생태계(LME)

Indonesian Sea*, Yellow Sea*, East China Sea 06 Eastern African

Seas Agulhas Current, Somali Coastal Current 07 Mediterranean Mediterranean Sea

08 North Central Pacific Ocean

Insular-Pacific Hawaiian(GIWA assessment of Eastern Equatorial Pacific)

09 North-East

Atlantic Ocean Iberian Coastal, Celtic-Biscay Shelf, North Sea 10 North-East Pacific

Ocean

Pacific-Central American Coastal, Gulf of California*, California Current, Gulf of Alaska

11 North-West Atlantic Ocean

Northeast US Continental Shelf, Scotian Shelf, Newfoundland-Labrador Shelf

12 North-West Pacific Ocean

Kuroshio Current*, Sea of Japan, Oyashio Current*, Sea of Okhotsk*

13 Red Sea & Gulf

of Aden Red Sea 14 ROPME/RECOFI

Area Arabian Sea(part)

15 South Asian Seas Arabian Sea, Gulf of Bengal(GIWA assessment of Indian Ocean Islands)

16 South-East Pacific

Ocean Humboldt Current*

17 Southern Indian Ocean

North Australian Shelf, North-West Australian Shelf, West-Central Australian Shelf, Southwest Australian Shelf

18 Southern Pacific Ocean

North-East Australian Shelf Great Barrier Reef, East-Central Australian Shelf, Southeast Australian Shelf, New Zealand Shelf(GIWA assessment of Pacific Islands)

19 South-West Atlantic Ocean

Patagonian Shelf*, South Brazil Shelf, East Brazil Shelf, North Brazil Shelf(GIWA assessment of Brazil Current)

20 Western African

Seas Canary Current*, Guinea Current*, Benguela Current*

21 Wider Caribbean

Sea Caribbean Sea*

나. AoA 평가과정 1) 개별평가

가) 기존 해양환경평가사업(국가적, 지역적, 초지역적 평가사업)의 수집․조사

나) 약 360개 평가사업을 수집․조사하여 300개의 조사항목 평가분석틀19)

(template) 개발 및 평가해역 구분(21개 지역)을 완료함

평가명 YSLME의 거버넌스 분석

규모 지역

지역 동아시아해

국가 적절하지 않음 약성어 입력된 정보 없음

Full Reference YSLME의 거버넌스 분석 Full Text 보고서/

Output URL http://www.yslme.org/doc/ga/Governance%20Analysis.pdf GoE의 평가 검토

여부 검토되었음

분류/활동형태 Narrow Assessment

기구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UNDP)

평가 정당성/내용

이 평가는 지역해 기구의 정규적인 업무의 하나임. RWG-I 는 중국과 한국을 위한 국가 거버넌스 분석을 각각 시행했 음. 이 분석은 제도, 법, 정책, 이해당사자의 관점으로부터 각 각의 나라에 관한 거버넌스 이슈들을 조사함. 이 분석은 가 능한 미래 중재들을 규명하기 위한 기본적인 토대와 황해 환 경문제의 근본적인 원인과 관련한 정보를 성공적으로 제공 함. 이런 이슈들을 논의하면서, 제3차 RWG-I 회의는 2007년 새로운 활동으로 지역 거버넌스 분석을 제안하기로 결정함

평가 목적

YSLME 프로젝트 안에 지역 거버넌스 분석을 시행하는 목

적은 황해 생태계 문제점들의 근본원인을 이해하기 위한 것 임. 황해 전략실행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프로젝트 준비 작 업으로서 환경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인 환경분석을 통 하여, 가능한 미래 간섭을 규명하기 위한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함

활동 상태 완성됨 평가 반복여부 반복 안함

시작일 2007

표 12. AoA 평가 분석 요약 데이터(YSLME 예)

다) 기존 360개 해양환경평가사업들에 대한 평가

(1) 평가방법론 비교, 자료출처, 평가범위, 평가목적, 과학적 신뢰성 등을 평가함

종료일 입력된 정보 없음

제도적 조정

기구 형태 TBA

기구 접촉 입력된 정보 없음 기구 URL http://www.undp.org/

협력 기구 Global Environment Facility(GEF) 사업을 수행한 조직에

의한 평가결과인가? 그렇다

부가 설명 입력된 정보 없음 예산 입력된 정보 없음 의뢰인 또는 위탁조직 입력된 정보 없음 방침/정당성 입력된 정보 없음 Objectives URL 입력된 정보 없음 정책과 평가는 어떤

관계인가?

분석은 정책, 법, 제도, 이해당사자의 관점에서 각 나라의 거버넌스 이슈를 조사함. 이러한 국가 거버넌스 분석은 황 해 환경 문제점의 근본원인에 관계된 정보 뿐 아니라 가능 한 미래 제재들을 규명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도 제공함 타겟 청중이 구체화

되었는가?

타겟그룹

정책 결정자 X

시민사회 X

과학자/연구원 X

교사 X

학생 X

기타 X

만약 다른 사항이 있다면

기술하시오 입력된 정보 없음 정보 자원과 범위

구체적인 지리적 범위 입력된 정보 없음 지리적 지역 선정 이유

전세계 해양에서 63개의 광역해양생태계(LMEs) 중에서 황 해광역생태계는 인간개발에 의해 심각하게 영향을 받고 있 표 13. AoA 평가분석틀 및 분석방법(YSLME 예)

분포로 심각한 환경오염에 시달리고 있음. 황해는 세계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개발된 지역해 중 하나임

평가실행 횟수 입력된 정보 없음 평가 시기 2007년부터

평가는 어떤 정보에 기초한 것인가?

황해환경에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인 정치환경과 관 련한 기존의 데이터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함. 국가 거버 넌스 분석의 결과들은 4개의 프로젝트 구성요소들에 의해 완성된 원인연쇄분석과 선택된 기관들에 의해 검토되어야 함. 이때 이 지역 관련 기관들이 가지고 있는 가능한 모든 데이터와 정보를 포함시켜야 함

공간적 데이탸 존재

여부 입력된 정보 없음 환경, 경제, 사회 관련

데이터에 접근이 있나?

환경, 경제, 사회 관련

자료 URL 입력된 정보 없음 추가적인 정보 입력된 정보 없음 사용된 데이터에서

메타데이터 활용이 가능한가?

어떤 메타데이터가 이용가능한지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이 주어지지 않음

사용된 평가 방법들

주요 데이터 수집 X

부수적인 데이터 종합 X

공간 데이터 분석 X

통계적 분석 X

사례연구 개발 X

메타데이터 개발 X

모델링 X

전문가 의견 X

과정

사용된 데이터 통제

방법 데이터 질에 대한 특별한 통제는 보고되지 않았음 모델 사용 여부 그렇다

부가 설명 입력된 정보 없음 지표들이 사용되었나? 그렇다

부가 설명 모델들이 개발되었고 평가의 중요치 않은 부분들을 위해

사용되었음. 환경적이고 사회ㆍ경제적인 지표에서의 변화와 같은 사소한 평가를 위해 사용되었음

만약 기존 지식이 사용되었다면 어떤 질

통제(Quality Control)가 사용되었나?

기존 지식에 관한 특별한 통제는 보고되지 않았음

만약 전문가 의견이 활용되었다면, 어떤

검증이 있었는가?

전문가 의견을 검토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은 보고되지 않았음

개념적인 프레임웍이 활용되었는가?

부가 설명 입력된 정보 없음 서로 다른 과학 분야의

참여가 있었나?

PMO에 결과물을 제출했음. 예비 결과들은 PMO와 RWG-I

에 의해 검토된 것임 과학자와 정책입안자

사이에 상호관계는 어떻게 조직되었나?

평가에 참여한 정책결정자는 경제ㆍ사회적인 정보를 제공 했음

비공식적인 이해관계자들이 어떻게

참여했는가?

알려진 이슈에 관계된 산업, 부처, 기구, 기관을 포함한 모 든 이해당사자들에 대한 설명이 구체화 될 것임

평가결과에 관한 다른 의견들이 나타났는가?

만약 그렇다면 어떻게 해결되었나?

최종 평가 분석이 정부간 기구회의에서 동의되었음

피어 리뷰는 있었는가? 모름

부가 설명 보고되지 않았음 당시의 다른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연계가 있었는가?

분석범위는 황해 생태계관리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 하는 메커니즘 파악을 포함. YSLME 회원국, NOWPAP, WESTPAC, GPA, PEAMSEA 등과 협력함

평가를 위한 과학적, 제도적, 기술적인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특별한 노력들이 있었나?

제도적 역량강화

a. TDA/SAP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의사소통 및 과학장

비 제공 활동

b. 행정상의 협력 기능을 통한 지원활동 기대결과: 지속적 활동을 위한 지역의 역량강화 커뮤니케이션

평가결과들은 어떻게 데이터베이스 X

제공되었나?

기술적 보고서 √

정책 통합 X

입문서(메뉴얼) X

지도 X

데이터 셋 X

웹싸이트 √

뉴스레터와 게시판 X

기타 X

기타를 기술하시오 입력된 정보 없음

보고서 작성 언어

아랍어 X

중국어 X

영어 √

러시아어 X

프랑스어 X

스페인어 X

기타를 기술하시오 입력된 정보 없음 결과를 보급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있었나?

그렇다.

부가설명 사본이 관련 부처로 보내짐 추후 조치

평가는 활용된 데이터 질 통제를 어떻게

하였나?

데이터 질에 대한 특별한 통제는 보고되지 않았음 평가가 파악된

문제들을 서명화하거나 등급을 매기는가?

그렇다

부가설명 입력된 정보 없음 평가는 미래 정책

옵션들에 대한 가치를 검토하는가?

그렇다

부가설명

평가는 가능한 미래 정책의 범위를 살피고 사회ㆍ경제적 요소와 관련된 것과 해양환경상태를 위해 예상되는 결과를 검토했음

정보 갭은 확인되었나? 그렇다

부가설명 일반적임

과학적 이해에 대한

결함이 확인되었나? 그렇다

부가설명 일반적임

검토

향후 평가들을 위한 교훈을 도출하기 위한 검토나 평가가 있었나?

아니다

부가설명 입력된 정보 없음 검토나 평가 URL 입력된 정보 없음

주제적 초점 (A)해양생태계의 어떤 측면이 포함되어졌나?

비인간 해양환경과 관련된 이슈

해양환경의 물리적 화학적 배경 구체적으로 포함됨

일반적인

용어로 포함됨 관계없음

A1 수로학(해저) √ X X

A2 수문학(염분, 해류) √ X X

A3 주요 민물 투입의 영향 √ X X

A4 수질- 영양분 수준 √ X X

A5 수질- 오염 √ X X

A6 수질- 혼탁도 X X √

A7 평가에 의해 포함된 물리적이고

화학적 배경에 관련된 다른 이슈들 입력된 정보 없음 해양 동물군과 식물군

B1 주요 생산물 X X √

B2 플랑크톤 풍부성과 다양성 √ X X

B3 어류 개체군 - 야생 상업적 어족들 √ X X B4 어류 개체군- 해저와 대양의 어종

의 다른 개체군들 √ X X

B5 어류 개체군- 바다목장 √ X X

B6 저생 동물군 - 연체동물과 갑각류

동물의 야생 상업적 어족들 √ X X

B7 저생 동물군 - 연체동물과 갑각류

동물의 다른 개체군들 √ X X

B8 저생 동물군 - 연체동물과 갑각류

동물의 바다목장 √ X X

B9 저생 식물군- 해초 √ X X

B10 해양 양서류 √ X X

B11 해양 포유류 √ X X

B12 바닷새 X X √

B13 해양동물군과 식물군 - 위협종들

과 위험종들의 확인 X X √

B14 평가에 포함된 해양 식물군과 동

물군에 관련된 다른 이슈들 입력된 정보 없음 해양 서식지

C1 산호초 X X √

C2 다른 산란, 양육 지역 X X √

C3 위협받고 있고 위험에 처한 해양

서식지의 확인 X X √

C4 평가에 포함된 해양 서식지에 관 련한 다른 이슈

인간활동과 해양환경 사이에 상호 관계와 관련된 이슈들

식량 구적으로

포함됨

일반적인

용어로 포함됨 관계없음 상업적 포획 어업들의 범위(어획

량) √ X X

D1

상업적 포획 어업으로 부터의 압 력(비대상 어종의 포획량과 수산 기구의 물리적 영향 )

√ X X

D2 바다목장의 규모 √ X X

D3

어업과 바다목장의 경제적 사회 적 측면(상품과 고용의 경제적 가 치)

√ X X

D4 지역 내 어업과 바다목장의 비율 √ X X 인간 건강

E1

오염된 물고기와 조개 또는 오염 된 바닷물이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

√ X X

E2

수문학적 현상(엘리뇨, 허리케인, 태풍, 쓰나미)이 인간의 건강과 삶에 미치는 영향

X X √

에너지 F1

해안파도와 바람 에너지 생성: 환 경적 측면(해양환경에 대한 규모 와 영향)

X X √

F2 해안파도와 바람 에너지 생성: 사 X 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