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간 지역적 다자간 환경협약 세계적 다자간 환경협약 합계
1933-1950 4 2 6
1951-1960 9 9 18
표 34. 국제환경협약 체결동향(※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국제환경협약편람) 가) 해양환경보전에 관한 연안국 의무와 역할 강화
(1) 유엔해양법협약 발효 등 신해양질서 태동에 따른 범지구적 해양환경보 전 의무 강화
- 협약 제12장에서 “해양환경의 보호와 보전” 별도 규정
- 해양환경보전 및 자원관리에 대한 연안국의 권리와 의무 강화 (2) 항만국 통제제도(Port State Control) 도입
- 노후선박들에 대한 안전관리를 선박소유국가가 행하던 제국주의 방식 에서 항만국이 직접 통제하는 방식으로 전환, 해난사고 및 해양환경오 염 방지의 효율성 제고
나) 과거 성장위주의 패러다임에서 개발과 환경의 조화를 중시하는 패러다 임으로의 변화
(1) 1970년대 이후 주요 선진국들은 환경개선과 경제성장을 동시에 달성한 다는 인식으로의 전환 시도. 1992년 리우회의 이후 지속가능한 개발 개 념의 국제적으로 확립
다) 사후적 대응체제에서 사전적⋅예방적 관리체제로의 변화
(1) 1980년대까지 주로 오염의 사후처리 위주의 관리정책에 의존했으나, 1990년대 이후부터 오염발생 이전의 사전적⋅예방적 관리체제로의 전환
3)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국제규제 동향
가) 국제환경 관련 협약 등 증가 추세
(1) 현재 대기, 수질, 폐기물 및 자연환경 분야에서 체결된 국제환경 협약 은 220여개에 달함32)
(2) 해양환경 분야의 국제규범은 크게 해양오염방지, 수산자원 보호, 해양 생물다양성 및 서식지보전 분야의 문제를 규제하고 있음
1961-1970 16 7 23
1971-1980 27 18 45
1981-1990 34 20 54
1991-2000 49 38 87
2001-2003 5 3 8
총계 144 97 241
분 류 내 용 지역
협약
국제
협약 합계 대기 및
기후
대기오염물질, 온실가스, 오존층파괴물질의 배
출 등 규제, 대기환경⋅오존층 보호 등 2 16 18 담수 담수보호, 친환경 담수이용, 담수의 공평한 이
용 등 16 1 17
해양어업 해양오염의 방지, 해양생태계보존, 해양생물어
족자원의 보존, 해저천연자원의 보존 등 69 26 95 생물종 ·
생태계
생물다양성 보존, 동식물 유전자원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안전성, 산림보호, 사막화 방지 등
32 14 46
유해물질 · 폐기물
유해화학물질의 배출 저감 및 국가간 이동 규 제, 유해물질⋅폐기물의 안전한 취급처리, 유 해성 상품의 이동 규제, 유해물질의 사용⋅관 리의 제한 및 규제 등
4 11 15
핵안전 핵물질의 안전한 관리, 핵사고의 예방과 협력,
핵사고 등 긴급사태시 대응 등 3 14 17
기타
환경영향평가정보접근, 공공참여, 환경정의 2 1 3
문화⋅자연유산 3 2 5
천연자원, 자연환경, 자연경관 4 4
환경침해행위 법적 규제 1 3 4
보건 및 안전 1 7 8
에너지 3 3
표 35. 국제환경협약 분야별 체결현황(※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국제환경협약편람)
책임손해배상 1 1
환경협력 3 3
극지생태계⋅천연자원⋅자연환경 3 3
나)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국제적 규제의 강화 및 규제물질의 다양화
(1) 점점 악화되는 연안 및 바다 오염은 전지구적인 현상으로 육상기인 오 염과 선박기인 오염 등 각종 오염 원인별로 통제하려는 시도가 국제사 회의 공통된 흐름이며,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결의와 대응 조치 또한 갈수록 강화 추세
(2) 이러한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동참하고 자국의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정 책들이 다양하게 추진
- 국제기구(UNEP, GEP)와 주요 선진국에서는 해양오염발생원을 중심으 로 한 실태조사 및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 이며, 전통적인 어업관리가 수산자원관리에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점을 인식해 총 허용어획량제도(TAC)의 실시, 해양보호구역의 지정 등의 다양한 정책 시행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