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회는 행정부의 대외정책에 대해 법안 제정, 행정부의 정책 승인, 혹은 청문회 등의 방법으로 행정부를 지지 혹은 견제하는 기능을 수 행하고 있다. 특히 타국의 인권과 관련하여 여론조성과 입법이라는
2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여론조성의 방안으로는 청문회
가 활용되고 있다.
의회는 청문회를 통하여 북한인권 실태와 미국의 대북정책을 파악 하고 있다. 청문회에는 미 행정부 관리와 전문가, NGO 관계자, 탈북 자 등이 증인으로 참석하고 있다.
미 의회에서는 청문회를 통하여 여론을 조성하는 동시에 여론조 성 단계를 넘어 북한의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 조치의 일환 으로 입법이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먼저 미 의회에서는 북한 인권 관련 결의안을 채택하고 있다. 즉 2002년 5월 탈북자에 관한 의회의 입장을 표명하는 결의안을 제출하였다.28 그리고 2002년 6월 에는 북한의 언론, 종교,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에 관한 결의안이 통과되었다.29
미국은 타국의 인권과 민주주의 문제에 개입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 는데, 국제법과 국내법의 2가지에 의거하고 있다. 국내법을 통한 입법 조치는 1992년의 「쿠바민주주의법」, 1996년 「쿠바자유․민주연대법」, 2001년의 「쿠바자유법」, 1998년의 「이라크해방법」, 2003년의 「이란민 주주의법」, 2004년 「북한인권법」 등을 들 수 있다.30
28S.CON.RES.114.RS.
29S.CON.RES.114.ES.
30이들 법안의 내용에 대한 비교 검토에 대해서는 조성렬, “미국의 개입주의정책
45
Ⅲ. 미국 내 북한인권 관련 동향
<표 Ⅲ-1> 최근 북한인권 관련 주요 청문회 동향
일 자 해당위원회 주 제 비 고
2004년 4월 28일
미 하원 국제관계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소위와 국제테러리즘, 비확산, 인권 소위(Subcommittee on International Terrorism, Nonproliferation and Human Rights) 공동
North Korea:
Human Rights, Refugees and Humanitarian Challenges
2004년 4월 19일
하원,
Congressional-Executive Commission on China
The Plight of North Koreans in China:
A Current Assessment
Joel R. Charny (Refugee International) Suzzane Scholte (Defense Forum) 김상현(탈북자 지원 활동가) 등
2003년 11월 4일
미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The Hidden Gulag: Putting Human Rights of the North Korea Policy Agenda
데이비드 호크 Joel R. Charny (Refugee International) 등
2003년 6월 5일
미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Life inside North Korea
오공단 (Institute for Defense Analysis) 지해남 (탈북자) Stephen W. Linton (유진벨 재단) Marcus Nolan (Institute for Inter- national Economics)등 2003년
3월 5일 미 하원 국제관계위원회
일본인 납치자 문제에 관한 Meeting
2004년 10월 18일 부시대통령의 서명으로 확정된 북한인권법 제정 이 전에 다양한 입법이 시도되었다는 사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과 대북 특별법안: 쿠바, 이라크, 이란 관련 특별법과의 비교,” 미국의 개입주의 정책과 북한인권법 , 좋은벗들 주최 토론회 자료집 (2004.6.25) 참조.
46
미국의 대북인권정책 연구
1999년 5월 하원(H.R. 1835. IH), 7월 상원(S. 1352. IS)에 대량살상무 기로 인한 북한의 위협을 감소시키는 조치를 담은 「북한위협감소법 1999」(North Korea Threat Reduction Act of 1999)이 상정되었는 데, 동 법안에서는 대북지원(sec 4 Food Assistance to North Korea)과 탈북자 관련 조항(sec 8 Refugees From North Korea)이 포함되어 있다.
2002년 샘 브라운백 상원의원(Sam Brownback, 공화당, 캔자스)을
중심으로 북한인권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입법화가 추진되기 시작 하였다. 2002년 10월 16일 브라운백 상원의원은 탈북자들이 미국으로 의 난민지위나 망명신청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북한난민구 호법 2002」(North Korean Refugee Relief Act of 2002, S. 3122) 를 상정하였다. 이 법안은 국제구호협회(the International Rescue Committee), 미국난민협회(the U.S. Committee on Refugees), 국 제사면위원회(Amnesty International), 미국이민․난민봉사협회 (Immigration and Refugee Services of America), 인권법률가협회 (the Lawyers Committee on Human Rights) 등의 NGO들이 동참 하였다. 동 법안은 중국 내 탈북자들의 미국 정착에 따른 장벽을 제 거할 목적으로 발의되었는데, 미국 정부가 재중 탈북자들에게 미국 내 구난처를 제공하기 위해 미국으로 입국시키려 해도 대한민국 헌 법에 따라 대한민국 국적자로 간주되어 까다로운 입국절차를 밟지 않을 수 없어 미국 입국에 장애요인이 되어 온 현실을 고려한 것이 다. 또한 탈북자들에게 난민지위를 부여하여 미국 입국 절차를 간소 화하려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 법안은 한국정부의 반발을 우려 한 미 국무부의 반대에 부딪쳐 입법화되지 못했다가 2003년 6월 25일 브라운백 의원이 재상정하여 7월 9일 수정안의 형태로 미 상하
47
Ⅲ. 미국 내 북한인권 관련 동향
원 전체회의를 통과하였다.31
그리고 2003년 1월 13일 킬(Jon Kyl, 공화당, 애리조나) 의원이 북한이 나 한반도 개발기구(Korean Peninsula Development Orgainzation)에 대한 원조를 금지할 목적으로 「북한민주주의법 2003」(North Korea Democracy Act of 2003, 법안번호 S. 145. IS)을 외교위원회에 상 정하였으나 검토과정에서 폐기되었다. 이 법률은 1994년 북미기본합 의문에 대한 의회의 입장(sec 4), 기본합의문 하에서의 미국의 지원 금지(sec 5), 핵 협력 금지(sec 6), 제재의 적용(sec 7), 다자적 조치 의 추진(sec 8), 북한난민에 대한 대우(sec 309), 자유아시아방송의 확대(sec 10)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2003년 11월 「북한자유법」이 상정되는데 그 과정에서 미국의 기독 교계를 중심으로 한 비정부 인권단체의 강력한 미 의회 상대 로비가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한 것으로 평가된다. 종교와 민주주의 연구소 (Institute on Religion and Democracy, IRD)는 2003년 1월 17일자 월스트리트저널에 북한당국이 인권을 유린하는 실상을 비판하는 선 언문을 게재하였다. 이 선언에서 제기하고 있는 정책 요구 사항은 자 유법안에 상당히 반영되고 있다. 특히 2003년 6월 26일 허드슨연구 소와 디펜스포럼, 미국을 걱정하는 여성들 등의 단체가 중심이 되어 북한자유연합이 결성되면서 이들 연합을 중심으로 법안 발의를 추진 하게 되었다. 특히 허드슨 연구소의 마이클 호로위츠(Michael
Horowitz)는 「북한자유법」이 통과되도록 국무부와 의회를 상대로
로비를 전개하였다.32 또한 북한인권시민연합은 NED의 자금 지원으
31<http://brownback.senate.gov/pressapp/record.cfm?id=187792&>; 연합뉴 스 , 2003년 7월 16일; 이 법안은 「2003회계년도 대외관계수권법」(Foreign Relations Authorization Act, Fiscal Year 2003)의 부속법안의 형태를 띠고 있다. 조성렬, “미국의 개입주의정책과 대북 특별법안.”
48
미국의 대북인권정책 연구
로 매년 북한인권에 관한 국제회의를 개최하는 등 여론을 조성하여 왔다.
이러한 여론 조성을 바탕으로 상원에서는 2003년 11월 20일 브라 운백 의원 등이 주도하여 「북한자유법 2003」(North Korea Freedom
Act of 2003)을 상정했다. 그리고 하원에서도 2003년 11월 22일 짐
리치(Jim Leach, 공화당, 아이오와) 국제관계위 아시아태평양소위원 장 등이 주도하여 「북한자유법 2003」(North Korea Freedom Act of 2003)을 상정하였다.
그런데 북한자유법에 대한 국내외적 비판이 고조되자 2004년 3월
23일 미 하원에서는 북한자유법의 내용을 대폭 수정한 「북한인권법
2004」(North Korea Human Rights Act of 2004)를 상정하였다. 하 원에서는 7월 21일 탈북자에 대한 특혜조항 등을 삭제한 「북한인권 법」 수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그리고 상원에서는 9월 29일 북한인권담당 특사 임명 등 2개 조항을 추가한 수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상원을 통과한 수정안에 대해 10월 4일 하원에서 재통과 절차를 거쳐 10월 18일 부시대통령이 서명함으로써 북한인권법에 대 한 입법 절차가 마무리되었다.
이외에도 미국 민주당 일부의원들이 대북 강경파 의원들이 상정 한 「북한자유법」은 물론 「북한인권법」도 대북지원 규제, 탈북자 수 용조항 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 에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여 대체법안으로 「한반도 평화안보법」(Act of Peace and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을 추진한 바 있 다. 이 법안은 북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촉진하는 데 최우선적인
32 연합뉴스 , 2003년 6월 27일, 7월 26일.
49
Ⅲ. 미국 내 북한인권 관련 동향
목적을 두고 있으며, 북한 내 인권․민주주의 증진, 대북식량․인도 적 지원의 제공, 탈북자의 구원 및 보호, 북한 경제개혁의 장려 등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노력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규정하고 있다.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