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제정목적: 이라크, 이란 관련 특별법과의 비교

Dalam dokumen 미국의 대북인권정책 연구 (Halaman 72-77)

북한인권법 제정과정과 통과 이후 국내적으로 북한인권법이 의도 하는 목적을 두고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 북한인권법이 북한의 인권 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보다는 북한정권의 교체 등 한반도정세 에 부정적 영향만을 가져올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반면, 보 수성향의 단체들은 미국의 직접 개입방식에 의한 인권개선정책을 적 극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북한인권법의 목적은 법률상으로 명시적으 로 규정된 내용과 북한인권법을 주도한 미국 내 인사의 성향과 실질 적 영향이라는 2가지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북한인권법에 명시된 법안제정의 목적을 이라크해방법과 이 란민주주의법, 이란자유․민주주의지원법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기 로 한다. 북한인권법에서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제정목적을 제시 하고 있다.

첫째, 북한 내에서 기본적 인권의 존중과 보호의 증진

둘째, 북한난민의 곤경에 대한 보다 지속적인 인도적 해결의 촉진

65

Ⅳ. 북한인권법 주요 내용

셋째, 북한 내 인도적 지원의 제공시 모니터링, 접근성, 투명성의 향상

넷째, 북한내부, 외부로의 정보흐름의 촉진

다섯째, 민주적 정부체제로의 한반도 평화 통일 과정 가속화

그렇다면 북한과 동일하게 ‘악의 축’으로 규정하고 있는 「이라크해 방법」과 「이란민주주의법」, 「이란자유․민주주의지원법」은 어떠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정하고 있는가? 1998년에 제정된 이라 크해방법은 전문에서 민주주의로의 이라크 체제전환(transition to

democracy)을 제정목적이라고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다. 나아가 보다

구체적으로 후세인 정권을 제거하고 민주적 정부의 출현을 지원한다 (sec 7 Assistance for Iraqi on Replacement of Saddam Hussein

Regime)고 명시하고 있다. 특히 반체제 단체에 대해 군사교육 및 훈

련을 위한 원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라크 반 체제 민주조직의 편성’(sec 5 designation of Iraqi democratic

opposition organization)을 규정하고 있는 바, 후세인 정권에 반대

하는 개인이나 단체를 포함하고 있다.46 이와 같이 이라크해방법에서 는 체제전환과 정권교체가 명시적으로 규정되어 있고 반체제단체 지 원이라는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개입수단을 명시하고 있다.

2003년 5월 19일에 제정된 이란민주주의법은 투명하고 완전한 민

주주의 지지, 국제감시 하에 국민투표 실시, 자유로운 국민생활 지지, 언론자유의 실현 지원 및 개방적이고 민주적이며 자유로운 사회건설

등 4가지 제정목적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민주주의 성취 및

46Iraq Liberation Act of 1998 (H.R. 4655 ENR).

66

미국의 대북인권정책 연구

국민투표를 통해 정권을 수립하겠다는 점에서 명시적으로 정권교체 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47 그리고 2004년 7월 16일 상원에 상정된 이란자유․민주주의지원법(Iran Freedom and Democracy Act of 2004, S 2681 IS)에서는 이라크해방법과 마찬가 지로 이란의 민주주의 체제전환(transition to democracy)을 제정목 적으로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란이슬람공화국(Islamic Republic of Iran)을 제거하고 민주정부로의 정권교체를 지원한다 고 명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민주적 반체제단체를 지원하도 록 하고 있다. 민주주의로의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1천만 달러를 지 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반체제 민주조직의 편성 조항을 두 고 있다. 따라서 이란자유․민주주의지원법은 이라크해방법과 유사 한 구조로 조문이 편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보듯이 북한인권법은 이라크해방법, 이란민주주의법, 이 란자유․민주주의지원법과는 달리 북한의 정권교체를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법안 통과 과정에서 북한체제 변화와 직 접적인 관련이 있는 조문들은 대부분 삭제되었다. 뿐만 아니라 법안 보고과정에서 북한정권을 붕괴하려는 의도가 없다는 점을 분명하게 밝히고 있다. 전체적으로 북한인권법은 북한의 인권상황 개선과 탈북 자의 보호가 기본적인 1차 목적으로 정권교체를 명시적으로 규정하 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민주적’ 정부체제로의 한반도 통일과정 가속 화를 주요 목적의 하나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간접적으로 북한체제 의 변화를 유도하려는 의도가 내재되어 있다.

47Iran Democracy Act (S 1082 IS). 그리고 2003년 6월 12일 하원에 「이란 자 유․민주주의 지원법(Iran Freedom and Democracy Support Act, HR 2466

IH)」이 상정되었는데, 이란상품의 미국 금지 등이 추가되고 있다.

67

Ⅳ. 북한인권법 주요 내용

이러한 미국의 의도는 북한인권법의 조문에서 간접적으로 추론하 여 볼 수 있다. 북한인권법은 북한의 인권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단기 적인 관점에서 보다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북한사회를 변화시키려는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다. 특히 이란, 이라크와 마찬가지로 체제변화 를 위해 ‘방송’이라는 수단을 활용하게 될 것이다. 북한사회의 변화를 위해 북한사회 내부로의 외부정보의 유입과 북한 내 상황의 파악을 위한 외부로의 정보 흐름 등 정보의 원활한 흐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내외부로의 원활한 정보의 흐름을 통해 북한주민들이 외부실 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북한주민들이 자신들의 삶과 외부세 계와의 비교 관점을 갖게 되어 자신들의 삶의 실상을 스스로 깨달을 수 있는 여건을 직접적으로 조성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북한 내부 실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 수집을 통해 북한정권의 부도덕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동시에 대북인권운동에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대북지원과 인권을 연계하는 조문을 규정하고 있는데, 대북지원 시 투명성, 접근성을 확대할 경우 북한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 동시에 북한주민과의 접촉면이 확대되어 정보유입은 물론 북한의 개방을 촉진시키겠다는 전략이다.

68

미국의 대북인권정책 연구

<표 Ⅳ-2> 북한인권법, 이라크해방법, 이란민주주의법 제정목적 비교

구 분 북한인권법 이라크해방법 이란민주주의법

(2003)

이란자유․민주 주의지원법(2004)

제정 목적

-북한 내 기본적 인 권의 보호와 증진 -탈북자들에 대한 지속적 인도적 해 결책 촉진 -대북인도적 지원

의 모니터링, 접 근, 투명성 제고 -북한 안팎으로의

자유로운 정보흐 름 촉진 -민주적 정부체제

로의 한반도 평 화통일 가속화

-이라크의 민주주 의로의 체제 전

-사담후세인 정권 제거, 민주정부 로의 정권 교체

이란에서의 민주주 의 지원

-투명하고 완전한 민주주의 지지 -국제감시하에 국

민투표 실시 -자유로운 국민생

활 지지 -언론자유의 실현

지원 및 개방적이 고 민주적이며 자 유로운 사회건설

-이란의 민주주의 로의 체제 전환 -이란이슬람공화

국 제거, 민주정 부로의 정권 교체

구체적 조치

-탈북자 지원 단 체 및 개인에게 재정 지원 -북한 내 민주주

의 촉진 활동을 하는 단체 및 개 인에게 재정 지

-대북방송 하루 12시간 실시 -대북협상시 북한

인권 고려 -대북지원의 투명

성 제고 -탈북자의 미국입

국 허용을 위한 법적 조치 -북한인권담당 특

사 임명 -지역인권대화 추

진 모색 * 매년 2,400만 달

러 재정 지원

-라디오․TV방 송 송출 (1999회계년도에

200만 달러 제공) -반체제단체에 대 해 군사교육 및 훈련 원조 (9,700 만 달러 범위 내 에서 예산 지원) - 이 라크 반체 제

민주조직의 편성 -전범재판소 설치

-반정부방송인 라 디오 파르다(Ra- dio Farda) 프로 그램 개발 -민주주의․법치․

자유시장경제 관 련 서적이나 영상 물 번역 및 이란국 내 배포 -국무부 중동우호

구상(Middle East Partnership Initi- ative, MPEI)과 교 육․문화사업국 (Educational and Cultural Affairs, ECA)은 민주적 국민투표증진 프 로그램 증진 목적 으로 이란내로 라 디오․TV송출하 는 사람에게 재정 지원 제공 * 재정지원 규모 제

시하지 않고 있음.

-민주적 반체제단 체에 대한 지원 (1천만 달러까지

지원)

- 이 란 반 체 제 민 주조직의 편성

69

Ⅳ. 북한인권법 주요 내용

Dalam dokumen 미국의 대북인권정책 연구 (Halaman 7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