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이용자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 토털케어서비스 이용자의 사회적 적응

연구문제 2-2.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사회적 적응능력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가설 2-2-1>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적응능력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1-2> 이용자의 의료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적응능력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1-3> 이용자의 사회보장 특성에 따라 사회적 적응능력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1-4> 이용자의 사회적 지지에 따라 사회적 적응능력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1-5> 이용자의 취업 특성에 따라 사회적 적응능력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연구대상자들의 사회적 적응능력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반복측정분산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1차, 2차, 3 차 시점에 측정한 이용자들의 MCAS 점수를 이용자 특성에 따라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두 집단간에 개입과정에서 측정한 평균변화 추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경우 평균값의 변화추이를 그래프와 함께 제 시하였다.

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별 MCAS 변화추이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MCAS 변화추이를 살펴보는 데 있어 성별, 연령, 학력, 혼인상태, 소득수준의 다섯 개 변수를 기준으로 MCAS 평균값 의 변화 추세와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1) 성별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표 5-25>와 같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집단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는 유의하였고, 집단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성별에 따른 MCAS 변화 추세는 집단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분산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개체간

절편 1020832.19 1 1020832.19 4319.59 .000

집단 16.65 1 16.65 .07 .791

오차 23868.94 101 236.33    

개체내

시기 선형 204.27 1 204.27 4.47 .037

2차형 339.68 1 339.68 10.88 .001

집단*시기 선형 14.14 1 14.14 .31 .579

2차형 30.86 1 30.86 .99 .323

오차 선형 4612.84 101 45.67    

2차형 3154.22 101 31.23    

<표 5-25> 성별에 따른 MCAS의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2) 연령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표 5-26>과 같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집단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 및 집단과 시기 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였다. 상호작용효과를 개체내 대비검정 결과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그래프의 패턴이 선형은 유의하였으나 2차형 은 유의하지 않았다(F=.02, p=.896).

분산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개체간

절편 829520.98 1 829520.98 3507.99 .000

집단 2.53 1 2.53 .01 .918

오차 23883.06 101 236.47    

개체내

시기 선형 415.13 1 415.13 9.65 .002

2차형 257.03 1 257.03 8.15 .005

집단*시기 선형 282.18 1 282.18 6.56 .012

2차형 .55 1 .55 .02 .896

오차 선형 4344.80 101 43.02    

2차형 3184.53 101 31.53    

<표 5-26> 연령에 따른 MCAS의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그림 5-16>의 그래프를 보면 40세 미만 저연령 집단의 MCAS는 1~2 차에서 54.1에서 59.0으로 증가하고 2~3차에서 59.9로 증가하는 우상향하 는 변화양상을 나타내었다. 40세 이상 고연령 집단의 MCAS는 1~2차에서 56.5에서 59.0으로 증가하였다가 2~3차에서 57.0으로 감소하는 음의 2차곡 선 변화양상을 나타냈다.

즉, 저연령 집단의 적응 평균은 개입에 따른 증가 경향이 지속되는 반면, 고연령 집단의 적응 평균은 개입에 따른 증가 경향을 나타내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증가폭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그림 5-16> 연령에 따른 MCAS의 변화

3) 학력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표 5-27>과 같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집단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는 유의하였고, 집단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학력에 따른 MCAS 변화 추세는 집단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분산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개체간

절편 665955.66 1 665955.66 2880.59 .000

집단 535.64 1 535.64 2.32 .131

오차 23349.95 101 231.19    

개체내

시기 선형 223.60 1 223.60 4.91 .029

2차형 189.02 1 189.02 6.00 .016

집단*시기 선형 28.81 1 28.81 .63 .428

2차형 4.07 1 4.07 .13 .720

오차 선형 4598.17 101 45.53    

2차형 3181.01 101 31.50    

<표 5-27> 학력에 따른 MCAS의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4) 혼인상태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표 5-28>과 같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집단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 및 집단과 시기 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였다. 상호작용효과를 개체내 대비검정 결과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그래프의 패턴 중 선형은 유의하였으나 2차형 은 유의하지 않았다(F=2.60, p=.110).

분산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개체간

절편 395317.08 1 395317.08 1661.57 .000

집단 21.31 1 21.31 .09 .765

오차 23791.84 100 237.92    

개체내

시기 선형 337.28 1 337.28 7.52 .007

2차형 16.87 1 16.87 .54 .463

집단*시기 선형 140.22 1 140.22 3.13 .080

2차형 80.83 1 80.83 2.60 .110

오차 선형 4482.16 100 44.82    

2차형 3103.10 100 31.03    

<표 5-28> 혼인상태에 따른 MCAS의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그림 5-17>의 그래프를 보면 배우자 있는 집단의 MCAS는 1~2차에서 55.3에서 57.7로 증가하고 2~3차에서 62.1로 증가하여 우상향하는 직선의 변화양상을 나타냈다. 배우자가 없는 집단의 MCAS는 1~2차에서 55.9에 서 59.2로 증가하였다가 2~3차에서 57.4로 감소하는 음의 2차곡선 변화양 상을 나타냈다.

즉, 배우자가 있는 집단의 적응 평균은 개입에 따른 증가 경향이 지속되 는 반면 배우자가 없는 집단의 적응 평균은 개입에 따른 증가 경향을 나타 내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증가폭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그림 5-17> 혼인상태에 따른 MCAS의 변화

5) 소득수준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표 5-29>와 같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집단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는 유의하였고, 집단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소득수준에 따 른 MCAS 변화 추세는 집단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11).

11) 소득수준은 기초생활보장 수급여부에 따라 저소득 집단과 저소득이 아닌 집단으로 나 누어 분석하였다.

분산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개체간

절편 827911.18 1 827911.18 3500.84 .000

집단 .19 1 .19 .00 .978

오차 23885.40 101 236.49    

개체내

시기 선형 257.39 1 257.39 5.68 .019

2차형 326.31 1 326.31 10.40 .002

집단*시기 선형 47.39 1 47.39 1.05 .309

2차형 15.30 1 15.30 .49 .487

오차 선형 4579.59 101 45.34    

2차형 3169.77 101 31.38    

<표 5-29> 소득수준에 따른 MCAS의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이상의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대한 사회적 적응능력(MCAS) 검 사 결과에 따르면 연령, 혼인상태에 따라 사회적 적응능력의 변화에 차이 가 있었고 성별, 학력, 소득수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정신건강 토털케어서비스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적응 능력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가설 2-2-1은 부분적으로 지지 되었다.

나. 의료적 특성에 따른 MCAS 변화추이

의료적 특성에 따른 MCAS 변화추이를 살펴보는 데 있어 주진단명, 초 발연령, 정신과 병원 입원경험, 최근 2년간 정신과병원 입원경험, 정신과 외래의료 이용여부, 외래진료시 정신치료 이용여부, 약물복용여부의 7개 변 수를 기준으로 MCAS 평균값의 변화 추세와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1) 주진단명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표 5-30>과 같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집단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 및 집단과 시기 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였다. 상호작용효과를 개체내 대비검정 결과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그래프의 패턴이 2차형은 유의하였으나 선형 은 유의하지 않았다(F=.70, p=.405).

분산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개체간

절편 984733.87 1 984733.87 4185.64 .000

집단 123.85 1 123.85 .53 .470

오차 23761.74 101 235.26    

개체내

시기 선형 174.29 1 174.29 3.83 .053

2차형 391.37 1 391.37 12.84 .001

집단*시기 선형 31.87 1 31.87 .70 .405

2차형 107.54 1 107.54 3.53 .063

오차 선형 4595.11 101 45.50    

2차형 3077.53 101 30.47    

<표 5-30> 주진단명에 따른 MCAS의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그림 5-18>의 그래프를 보면 정신분열증 집단의 MCAS는 1~2차에서 56.4에서 58.9로 증가하고 2~3차에서 59.0으로 증가하여 우상향하는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정신분열증이 아닌 집단의 MCAS는 1~2차에서 55.0 에서 59.3으로 증가하였다가 2~3차에서 56.1로 감소하는 음의 2차곡선 변 화양상을 나타냈다.

즉, 정신분열증 집단의 적응 평균은 개입에 따른 증가 경향이 지속되는 반면, 정신분열증이 집단의 적응 평균은 개입에 따른 증가 경향을 나타내 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증가폭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분산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개체간

절편 1020385.68 1 1020385.68 4335.48 .000

집단 114.53 1 114.53 .49 .487

오차 23771.06 101 235.36    

개체내

시기 선형 203.34 1 203.34 4.45 .037

2차형 314.78 1 314.78 10.09 .002

집단*시기 선형 8.55 1 8.55 .19 .666

2차형 34.31 1 34.31 1.10 .297

오차 선형 4618.43 101 45.73    

2차형 3150.77 101 31.20    

<표 5-31> 초발연령에 따른 MCAS의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그림 5-18> 주진단명에 따른 MCAS의 변화 2) 초발연령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표 5-31>과 같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집단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는 유의하였고, 집단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초발연령에 따 른 MCAS 변화 추세는 집단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12)

12) 초발연령은 30세 미만을 조기발병으로 30세 이후를 후기발병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3) 정신과병원 입원경험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표 5-32>와 같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집단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는 유의하였고, 집단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정신과병원 입 원경험 유무에 따른 MCAS 변화 추세는 집단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분산원 제곱합 자유도 평균제곱 F p

개체간

절편 850142.74 1 850142.74 3630.64 .000

집단 235.63 1 235.63 1.01 .318

오차 23649.96 101 234.16    

개체내

시기 선형 90.43 1 90.43 2.01 .159

2차형 316.67 1 316.67 10.07 .002

집단*시기 선형 90.43 1 90.43 2.01 .159

2차형 7.86 1 7.86 .25 .618

오차 선형 4536.56 101 44.92    

2차형 3177.22 101 31.46    

<표 5-32> 정신과병원 입원경험 유무에 따른 MCAS의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

4) 최근 2년간 정신과병원 입원여부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 <표 5-33>과 같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집단의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시기의 주효과는 유의하였고, 집단과 시기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최근 2년간 정 신과병원 입원여부에 따른 MCAS 변화 추세는 집단간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