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사례관리는 정신보건사회복지 영역에서 가장 효과적인 개입방법 중 의 하나이다. 정신장애인 대상 사례관리영역에서도 증거기반실천이 발전하 고 있으나 여전히 측정 규명되지 않은 요인들이 많기 때문에 연구결과가 충분히 받아들여지기 어렵고 오해의 소지도 있다. 다음의 요인들을 보완한 후속 연구를 통해 측정되지 못한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증거기반실천의 측
면에서 정신건강 토털케어서비스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정신건강 토털케어서비스의 효과성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 해 정신건강 토털케어서비스 이용자 집단과 함께 비교집단을 설정하여 집 단간의 성과 차이를 검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정신건강 토털케어서 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를 비교하거나 또는 정신건강 토털케어서비스가 제 공하는 집중형 사례관리와 정신보건센터의 중개형 사례관리의 성과를 비교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서비스 이용 후 6개월 시점 대비 12개월 시점의 재활성과가 감소 하는 2차형의 변화추세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연간 변화추이에서 2차형의 변화추세가 우세하게 나타남에 따라 서비스의 효과가 측정기간인 1년 이후 에도 장기적으로 유지되는지 의문시된다고 할 수 있다. 만성정신질환자들 은 서비스 제공이 중단되면 개입의 효과가 유지되기보다는 현저하게 하향 곡선을 그린다는 점을 감안할 때, 계속이용자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 측정 과 이용중지자에 대한 추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대전에 위치한 2개 기관에서만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정신건강 토털케어서비스가 전국단위로 시행되는 지역 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이며, 지역에 따라 서비스의 성과에서 차이가 나타난 만큼 보다 많은 지역에서 서비스 성과를 측정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정신건강 토털케어서비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공급자 의 특성 및 환경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제공기관, 지역의 특성을 함께 조 사함으로서 이용자의 특성과 함께 서비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정신건강 토털케어서비스 이용자의 재활성과가 정신과적 증상과 사회적 적응능력이라는 두 개의 성과지표만으로 측정되지 않았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한 성과지표 이외에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를 확 인하기 위해 자주 활용되는 삶의 질, 생활만족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또는 성과지표를 다양화하여 정신과적 증상 및 사회적 적응능력과 함께 조 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와 상반된 결과가 도출된 주제들에 대한 후 속연구가 필요하다. 소수의 사례이기는 하지만 정신의료서비스(외래진료, 약물복용)를 이용하지 않는 집단에서 증상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 는데, 정신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증상의 개선이 나타났 다면 그것이 어떻게 나타난 것인지, 실제로 증상이 개선된 것인지 해당 사 례에 대한 탐색적 조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강상경(2009). 사회서비스의 정신보건서비스적 이해: 현황과 전망. 한국정신 보건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보수교육 자료집. 27-53 ______(2012). 한국전쟁 후 사회서비스 전개과정: 정신보건서비스를 중
심으로. 서울대학교 한국학 연구보고서.
권석만(2003). 현대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권자영(2010). 한국어판 치료적 관계척도(STAR-K)의 타당화 연구. 정신보 건과 사회사업. 35(-). 81-110.
______(2012). 정신장애인이 지각한 실천관계가 재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119-148.
권진숙 김정진 전석균 성준모(2009). 정신보건사회복지론. 고양: 공동체.
권진숙 박지영(2009). 사례관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김규수 심경순 이지훈(2002).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 서울: 학지사
김기태 황성동 최송식 박봉길 최말옥(2001). 정신보건복지론. 파주: 양서 원.
김명숙(2000). 지역사회 정신보건요원의 사례관리 업무수행. 석사학위 청구 논문. 연세대학교.
김문근 김이영(2008). 재가정신장애인 및 가족의 생활실태 조사연구. 서 울: 국가인권위원회.
김상아 박웅섭(2006). 정신질환과 사회보장. 서울: 보문각.
김상희(2006).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과정: 증상과 직업성과 간에 관계를 중심으로. 박사학위 청구논문. 계명대학교
김성희 변용찬 손창균 이연희 이민경 이송희 강동욱 권선진 오혜경 윤상용 이선우(2011). 2011년 장애인 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김소형 오수성 이은희 김현정(2005).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 스트 레스 대처방식, 증상,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1). 73-87.
김시내(2004).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환경 요 인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청구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김영미 조병만 장기용 정영인(1999). 장기입원 만성정신질환자의 실태에 관 한 조사. 신경정신의학. 38(4). 774-783.
김영숙 박소라 우후남(2009). 정신장애인 사례관리의 욕구사정 정확도 향상 을 위한 사정도구 개발과 욕구추출 알고리즘 과정 연구. 한국케 어매니지먼트연구. 4(-). 79-109.
김영희(2012). 중증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을 위한 한국형 ACT(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 청구 논문. 아주대학교.
김유라(2009). 한국형 ACT(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신대학교.
김윤 외 15명(2010). 국가정신보건 5개년 계획(2011-2015) 수립. 서울:
서울대학교 건강증진사업지원단.
김윤수(2008).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업의 현황과 성과. 복지동향. 115(5).
13-20.
김이영 배성우(2008).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한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재 활동기에 미치는 효과의 종단적 검증.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1(-). 1-22.
_____________(2009). 지역사회 정신사회 재활프로그램이 만성정신질환자 의 증상에 미치는 영향 - 3년간의 종단연구. 사회과학 담론과 정 책. 2(2). 233-252.
김철권 장정희 김진원 조진석 강동호 심경순 하준선 공지현 변원탄(1998).
정신재활 치료가 정신분열병 환자의 재발률, 입원횟수, 입원일수 그리고 치료 경비에 미치는 효과: 2년 추적조사 연구. 신경정신 의학 37(5). 811-823.
김현숙(2003). 만성정신질환자의 정신사회재활모형 구축. 박사학위 청구논 문. 서울대학교.
김현철(2005). 반복측정 자료의 분석. 서울: 교육과학사
김홍곤 박민철 김재현(1996). 첫 발병 정신분열병 환자의 예후인자에 관한 조사. 신경정신의학. 35(5). 1014-1021.
나경세 김용구(2007). 양극성 장애에서 발병 연령에 따른 증상 및 예후의 차이 : 전향적 1년 추적 연구. 신경정신의학. 46(2). 122-128.
남정현 노성원 최준호 이 경우(2006). 일 대학병원 정신분열병 환자의 퇴원 후 경과에 미치는 치료적 요인. 생물정신의학. 13(1). 26-31.
노은선(2000).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 모형 개발. 박사학위 청구논문.
중앙대학교.
민성길(2006).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민소영(2005a). 지역사회서비스 전달체계 내에서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 례관리서비스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부산: 경성대학교.
______(2005b).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사례관리 구조에 대한 탐색적 고 찰. 사회과학연구. 21(2). 139-163.
______(2006). 만성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 모형과 수행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30(-). 215-242.
______(2009a). 사례관리 수행요소와 지역거주 정신장애인의 소비자 만족도 및 삶의 질 사이의 경로 탐색. 한국사회복지학. 61(3). 103-127.
______(2009b). 정신보건센터 사례관리 수행요소와 네트워크 활동에 대한 고찰.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3(-). 21-40.
______(2010). 지역기반 정신보건서비스 조직의 네트워킹 결정요인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4(-). 5-29.
민은희(2007). 이용자 중심의 정신장애인 케어매니지먼트 시행 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정신보건.
______(2009). 정신보건영역에 사회서비스의 도입과 적용. 한국정신보건사 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보수교육 자료집. 13-26.
박미은 박귀서(1999).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에서 자원 활용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8(-). 79-103.
박정임(2002). 정신장애인을 위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청구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반건호 노봉근 윤도준 김용희 염태호(2002). 조기 발병 및 후기 발병 정신 분열병 환자의 임상 특징. 생물치료정신의학. 8(2). 242-253.
배민진(1995). 만성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배성우 김이영(2005). 사회복귀시설에서 제공한 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삶 의 질에 미치는 효과의 종단적 검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 69-94.
배성우 김이영 손지아(2008). 정신보건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 능에 미치는 효과의 종단적 검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9.
234-256.
____________________(2010). 정신보건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프로그램의 종합적 및 개별적 영향력의 파악. 사회과학연구. 26(4). 247-269.
____________________(2011a). 정신보건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5년간의 종단연구. 사회과학연구. 22(2).
53-74.
____________________(2011b). 사회복귀시설 재활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5년 종단연구의 결과. 사회과학연구.
27(1). 203-225.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사업과(2011). ‘11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제공 기관 담당자 교육. 서울: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2012a). 2012 정신보건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__________(2012b). 2012년 장애인연금 사업안내. 서울: 보건복지부
서동우 김윤 이영문 임정기 김동진(1999). 전국정신보건시설의 정신건강 프로그램 및 재원환자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서울: 보건사회연 구원.
서울시정신보건센터 연구지원팀(2011). 2010 서울시정신보건지표. 서울:
서울시정신보건사업지원단
손명자 배정규(2003). 정신분열병과 가족. 대구: 정신재활.
신정이(2010). 정신장애인의 정신보건 성과에 관한 구조모형 비교연구: 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