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정부의 접근 전략 : 평화프로세스와 경제협력 병행 추진

134

한반도 경제통합 모형의 이론적 모색

가. 정경연계 vs. 정경분리

북한의 핵실험으로 우려되었던 북한의 핵보유가 확인되면서 우리 사회는 충격에 휩싸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가 추 진해 왔던 포용정책에 대한 비판과 함께 야당을 중심으로 대북정 책의 수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다시 이야기하면, 철저한 정경연계 정책으로 전환하라는 것이라 고 할 수 있다. 북한의 핵실험은 그동안 정부가 견지해 왔던 정경 분리 원칙이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사례 라고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정경분리 원칙은 정치적 상황 변화와는 무관하게 경제적 협력 을 지속함으로써 정치적 상황 개선에 필요한 신뢰 구축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관련 정경분리 원칙의 수정을 주장 하는 측에서는 그동안 경제협력을 통해서 북한에 상당량의 경제 지원의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남북간의 관계 역시 매우 취약한 상태라는 점이다. 반면에 북한의 핵실험에도 불구하고 우리 정부의 정경분 리 원칙은 아직도 유용성이 있다고 주장하는 측에서는 남북체제 의 이질성과 북한정권의 취약성을 고려할 때, 정부의 포용정책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점 때문에 이번 사태로 대북표용 정책 전체의 실패를 주장하는 것은 다소 이른감이 있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이러한 논란은 당분간 지속될 것 으로 예상되는 바, 현실적으로는 어느 정도 절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대북정책은 국민들의 동의를 결집

136

한반도 경제통합 모형의 이론적 모색

해 가면서 추진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 서 향후 우리 정부는 우선적으로 한반도 비핵화의 원칙을 고수하 고 북핵을 용인하지 않으면서도 사태의 평화적․외교적 해결 원 칙을 견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역할이라는 측면에 서는 정경연계, 남북협력이라는 측면에서는 정경분리라는 이중화 전략을 기본입장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 평화 정착과 경제협력의 연계 추진

정경연계와 정경분리의 이중화 전략의 다른 측면은 평화 증진 과 경제협력 확대 노력을 연계시켜 나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하여 평화프로세스를 추진하면서, 평화프로세스의 진전 상황과 연계하 여 평화 증진을 촉진시키는 데 필요한 경제협력을 전략적으로 추 진하는 것이다. 북한에 대한 정부차원의 경제 지원을 재개하는 문제와 기존의 3대 경협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문제, 소위

5대 신경협사업의 추진, 그리고 북한지역에 대한 에너지 지원 문

제 등이 순차적으로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이러한 전략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남북경제 협력의 최소한의 추진 동력은 확보되어야 한다는 점이 고려되어 야 있다. 이런 점에서 민․관간의 적절한 역할분담을 통해서 경 제협력의 모멘텀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이 또한 평화협력과 경제협력을 연계 추진한다는 차원에서 북한의 핵문 제 해결이 진전되는 상황에 맞추어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점 진적인 접근전략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