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
한반도 경제통합 모형의 이론적 모색
할 사항은, 이러한 정부의 정책 방향이 북한의 도발적 행동에 대 한 우리 정부의 묵시적인 용인이나 동의의 표시로 인식되지 않도 록 하는 것이다. 정부는 사태의 평화적인 해결을 바라고 있으며 한반도의 비핵화 원칙을 포기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하게 하면서, 사태가 더 악화될 경우에는 민간단체의 활동도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북한측에 전달해야 한다.
나. 북한경제의 실태에 대한 전면적인 재평가 추진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북한과의 경제협력의 확대를 위한 대책 마련의 차원에 서 우리 정부는 두 가지 방향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 북 핵문제의 원만한 타결 이후 북한지역에 대한 개발협력사업이 대 대적으로 추진될 경우에 대한 준비이고, 다른 하나는 북한에 대 한 압박으로 북한체제에 급변사태가 발생할 상황에 대한 대비책 이다. 이 두 가지 경우 모두에서 우리의 이해관계를 확보하고 경 제․사회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실태 파악과 이 를 토대로 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북한개발계획을 내부적으로 마련하는 작업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 북한경제의 실태를 파악하는 작업이 우선적으로 요 구된다. 남북간의 경제협력이 확대되어 왔던 지난 수년 동안 다 양한 분야에서 북한경제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작업 을 추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객관적이고 정확한 실태 를 파악했다고 단언하기 힘든 상황이기 때문이다. 물론 자료의 접근성으로 인하여 어려운 작업이라는 점은 분명하지만, 그동안
북한이 중국을 포함하여 국제사회의 접촉을 증대시켜 왔을 뿐만 아니라, 북한 내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보유한 탈북자들의 수도 많기 때문에 어느 정도 근접한 평가는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문제는 정부가 정책적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느냐에 달려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정부의 의지를 바탕으로 시간을 가지고 체계적으 로 접근할 경우 좋은 성과가 기대된다.
다. 남북한을 포괄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경제발전계획의 청사진 마련 지금까지 남북경협은 북한지역에 대한 지원이나 투자협력의 차원에서 추진되어온 측면이 강했으며, 이에 따라 북한지역 전반 을 염두에 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개발협력 계획은 수립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북한경제에 대한 협력사업을 구 상하면서 우리 경제의 장기적인 성장전략이나 산업정책과의 연 계성은 아주 제한적으로만 고려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정부 차원에서 종합적인 한반도 개발계획을 수립한 사례는 있지만 북 측의 입장이 거의 반영되지 않은 일방적인 계획이었다. 따라서 남북한 지역을 아우르는 한반도 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함으로써 남북경제 공동번영의 청사진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청사진에는 공동번영의 비전과 경제협력의 추진 방안, 그리 고 남북한의 추진 역량 강화 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 다. 경제협력 추진 방안에는 북핵문제의 평화적 타결을 전제로 하 는 점진적인 접근 전략을 중심으로 하되, 급격한 사태 변화에 대비 한 방안도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노력은 북한의 태 도 변화를 설득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될 뿐만 아
140
한반도 경제통합 모형의 이론적 모색
니라, 북한과의 경제협력을 추진하는 문제와 관련해서 우리 사회 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라. 국내의 경제통합 추진 역량 강화를 위한 중장기 프로그램 마련 북핵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든지, 또는 북한에서 급변 사태 가 발생하여 북한과의 경제협력에 대한 수요가 갑작스럽게 대규 모로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재 상황을 기준 으로 평가할 경우, 우리 사회의 전반적인 준비 상황과 대비 태세 는 대체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104
우리 사회의 준비 상황은 인적 부문, 제도적 부문, 물리적 부문, 그리고 재정․금융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인적 부문의 준비는 남북경제통합과정 전반을 주도적으로 기획하고, 관리해 나갈 행 정인력과 남북간 경제체제의 차이로 발생할 수 있는 의식격차를 완화시켜 나갈 교육인력, 그리고 북한지역의 변화를 감당할 전문 인력 등을 준비시키는 작업을 포함한다. 제도적 부문의 준비는 남북간 경제협력을 확대시키는 데 필요한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물리적 부문은 남북한 산업의 균형발 전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산업인프라의 구축 작업을 내포한다. 마 지막으로 재정․금융 부문의 준비는 소위 ‘통일비용’의 조달 방안 과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우리 사회의 추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종합 적이고 장기적인 계획하에서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인적 역량을 강화하는 노력에는 북한지역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
104양문수 외, 남북한 경제통합의 인프라 확장방안}(서울: 통일연구원, 2005).
원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경우에 대비하여, 개발지원 전문가를 양 성하여 관련 업무의 추진 역량을 강화하는 작업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마. 국제기구와의 협력체계 구축
우리 사회의 남북통합 추진 역량을 제고하고 북한지역에 대한 개발협력사업을 우리의 이해관계를 반영하면서 효율적으로 추진 하기 위해서는 국제기구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경험을 축적해온 그들의 업무 능력이 우리 보 다 앞설뿐만 아니라, 재원 조달의 측면에서도 국제기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제기구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국내 관련기관들이 국제기구와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작업을 지원함으 로써 업무 차원에서의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하도록 유도한다. 이 와 함께 개발협력사업 관련한 우리의 업무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서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관련 분야의 공무원에 대한 해외 관계 기관 파견 및 연수 기회 확대를 통해 체계적인 육성시스템을 구축한다.
또한 국제적 수준과 비교할 때 전문성과 경험이 부족하면서도 교육․훈련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민간단체(NGO) 및 연구 기관의 개발협력분야의 전문가 육성작업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정부차원에서 국제기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체계적으로 전문 가를 양성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IMF, World Bank,
ADB, EBRD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1. 국내 문헌
박제훈. “이행기경제의 체제전환이론.” KIEP 지역경제. 1994년 6월호. 박형중. 북한의 경제관리체계. 서울: 도서출판 해남, 2002.
손병해. 경제통합의 이해. 서울: 법문사, 2002.
양문수 외. 남북한 경제통합의 인프라 확장방안. 서울: 통일연구원, 2005.
양영식. 통일정책론. 서울: 박영사, 1997.
임강택. “남북관계 발전과 한반도 경제권 형성전략.” 동북아구상과 남북 관계 발전전략. 서울: 통일연구원, 2006.
임성훈. “남북비지니스모형 개발 메커니즘 및 추진전략에 대한 연구.” 貿 易學會誌}제31권 제3호(2006년 6월).
제성호 외. 법․제도분야 통일인프라 실태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03.
통일부. 통일백서 2003. 서울: 통일부, 2003.
통일부. 통일백서 2005. 서울: 통일부, 2005.
2. 북한 문헌
김일성. “중국인민지원군 조선전선참전 2돐에 즈음하여(1952년 10월 25 일).” 김일성 저작집 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4기 제1차 회의에서 발표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정강(1967년 12월 16일).”
김일성 저작집 21.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 “미제국주의침략을 반대하여 투쟁하는 전세계기자들의 파업에 대한 국제회의에서 한 축하연설(1969년 9월 18일).” 김일성 저작
144
한반도 경제통합 모형의 이론적 모색
집 2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 “미국 《워싱톤포스트》지 기자와 한 담화(1972년 6월 21일).” 김 일성 저작집 2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4.
김정일. “신문편집에서 주체를 세울데 대하여(로동신문사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1982년 11월 13일).” 김정일 선집 7. 평양: 조선로동당출 판사, 1996.
. “당사업과 사회주의건설에서 전환을 일으켜 1990년대를 빛내이
자(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및 정무원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1990년
1월 1일).” 김정일 선집 10.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7.
. “민족주의에 대한 옳바른 리해를 가질데 대하여(조선로동당 중앙 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2002년 2월 26일, 28일).” 김정일 선집 15.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5.
사회과학원 경제연구소. 경제사전 Ⅰ.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85.
사회과학원 법학연구소. 국제법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2.
사회과학원 사회주의경제관리연구소. 재정금융사전. 평양: 사회과학출 판사, 1995.
3. 외국 문헌
Badinger, Harald. “Growth Effects of Economic Integration-the case of the EU Member States(1950~2000).” IEF Working Paper.
No. 40, 2001.
Balassa, B.. The Theory of Economic Integra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61.
Baldwin, R. E.. “On the Measurement of Dynamic Effects of Integration.” Empirica. Vol. 20, No. 2, 1993.
Bjola, Corneliu. “Romanian Political Horizons: Political Sovereignty, European Integration and European Elections.” <http://studint.
ong.ro/Nr7_eng.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