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문재인 정부에서는 한반도 정책의 5대 원칙을 우리 주도, 강한 안 보, 상호 존중, 국민과의 소통,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제시했다.10) 이 중 국민과의 소통과 관련하여서는 정부가 정책을 일방적으로 추 진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국민들과 소통, 참여와 합의를 통해 정책 을 만들어 완성하겠다고 내세웠다. 국회, 지방자치단체, 민간 시민 단체, 관련 전문가 등 다양한 참여 주체들의 소통을 통해 제도화하 여, 통일과 대북 문제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가겠다는 목표와 원칙을 세웠다. 한반도 정책의 원칙 과 목표를 세운 이유는 과거 정권이 교체되면 대북정책이 단절되고 남북 간 합의도 이행되지 못하여 남북관계의 부침이 되풀이되는 악 순환이 나타났고, 대북‧통일정책과 관련된 문제에서도 한국사회의 내부적 갈등이 해소되지 못한 상태에서 불필요한 논쟁이 계속되는 악순환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한반도 정책의 목표와 원칙을 통해 지속가능한 남북관계 발전의 토대를 구 축하여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추구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게 된 것이다.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역대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계승하고 존중할 부분은 더욱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정책을 마련한 것이다. 국내적 측면에서는 통일국민협약, 남북관계 측면에서는 남 북기본협정, 국제적 측면에서는 한반도 평화협정을 체결하여 제도 적 장치를 마련한 지속가능한 남북관계를 추진하겠다는 것이 문재 인 정부 한반도 정책의 배경이라 할 수 있다.

이 중 평화공감대 확산 추진전략과 정책과제는 문재인 정부의 국 정과제 목표인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의 ‘남북한 화해협력과 한반 도 비핵화’라는 전략 속에 실천과제로 ‘통일공감대 확산과 통일국민 협약 추진’에서 제시됐다. 평화공감대 확산을 위한 정책은 국정과제

10) 통일부, 󰡔문재인의 한반도 정책: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 p. 11.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11) 「제3차 남북관계발전기본계획(2018~

2022)」,12) 통일부 연도별 업무보고13) 등을 통해 추진 현황과 내용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본 장에서는 명확성, 적절성, 효과성, 지 속가능성 4가지 평가기준을 토대로 정부에서 추진한 평화공감대 확 산의 추진전략과 정책에 대해 통일국민협약 체결, 통일센터 설치, 차세대 통일전문가 양성, 통일교육 강화 등 정책들의 성과에 대해 평가하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