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통일국민협약
(1) 추진 과정2017년부터 2018년까지는 통일국민협약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적인 여건을 조성하는 데 집중했다. 2018년도에 수립된 「제3차 남북관계발전기본계획(2018~2022)」의 5개년 계획에 따르면,25) 통 일국민협약 사업은 국민적 합의에 기반한 통일국민협약 체결을 통 해 지속가능한 대북정책의 추진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표를 두고 추 진한다. 이는 통일국민협약 체결의 목표로 두고 있는 각계각층의 국 민적 여론을 수렴하고 쌍방향 소통과 공론화 과정을 통해 통일과 대
23) 「통일교육 지원법」 제3조의3(통일교육주간) 국민의 통일의지를 높이기 위하여 매년 5월 넷째 주를 통일교육주간으로 한다.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
law.go.kr/%EB%B2%95%EB%A0%B9/%ED%86%B5%EC%9D%BC%EA%B5%90%E C%9C%A1%EC%A7%80%EC%9B%90%EB%B2%95/(15433)> (검색일: 2020.4.25.).
24) 통일부 통일교육원, “통일교육주간이란?,” <https://www.uniedu.go.kr/uniedu/home/
cms/page/uniweek_info/view.do> (검색일: 2020.4.25.).
25) 대한민국 정부, 제3차 남북관계발전기본계획(2018~2022) 및 2018년 시행계획, p. 28.
북정책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형성하여 향후 통일‧대북정책의 일관 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차원에서 진행한다. 통일국민협약을 체결하는 추진 과정에서 기존 정부가 주도하는 상부구조식 및 하향 식의 논의구조에서 벗어나 시민사회 주도로 많은 국민을 참여시켜 여론을 수렴하고 공론화 과정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기 위함 이다. 또한 논쟁적인 사안보다는 합의가 가능한 사안부터 논의를 시 작하여 점차 쟁점적인 사안으로 논의를 확대시키는 단계적 방식으 로 통일국민협약에 대한 정책을 추진하고자 했다.
<그림 Ⅱ-2> 통일국민협약 추진 체계
출처: 한국갈등학회, 통일국민협약 도출을 위한 사회적 대화 개선 방안 연구(통일부 연구용역 보고서, 2019.8.), p. 105.
2018년도 통일국민협약 정책은 우선 국민적 합의기반 강화를 목 표로 추진했다.26) 이는 대북정책의 추진 과정에서 적극적인 소통과 국민적 의견수렴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한 데서 출발한다. 소통과
26) 위의 책, pp. 29~30.
의견수렴을 위해서는 국회, 정당, 언론, 지방자치단체 등 광범위하 고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대북정책에 대한 초당적 지지와 협력을 마 련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와 협력을 바탕으로 통일‧대북정책에 대 한 일관성을 확보하여 추진할 수 있는 근거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 고 통일국민협약의 본격적 추진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시민사회 의 네트워크 구축을 추진한다. 시민단체, 종교계, 학계 등 여러 민간 시민사회의 주도로 다양한 시민과 전문가 및 활동가들이 직접 참여 하여 자유로운 방식으로 소통하고 논의하는 포럼을 마련하게 된다.
시민사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원활한 포럼 진행을 위해 2018년 11월 1일 「평화‧통일비전 사회적 대화를 위한 전국시민회의」 발기인 대 회를 진행했다. 통일국민협약을 추진하기 위해 민간이 주도하여 보 수, 진보, 중도 및 종교계 시민단체와 일반시민이 참여하는 민간기 구인 ‘통일비전 시민회의’를 구성했다. ‘통일비전 시민회의’의 발기 인 대회를 통해 다양한 이해집단 간 의견을 공유하고 수렴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인 사회적 대화를 추진하는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통 일비전 시민회의’를 통해 통일정책과 남북관계에 대한 여러 가지 의 견들을 토의하는 공론의 장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2018년도에는
‘통일비전 시민회의’를 통해 사회적 대화를 시범적으로 실시하여 향 후 통일국민협약 사업에 대한 추진기반을 마련하는 데 집중했다.
<표 Ⅱ-2> 2018년 사회적 대화 개최 현황
구분 지역 일시 장소 참석인원(명)
지역별대화
수도권 9/15(토) 서울 천도교 중앙 대교당 81
영남권 9/15(토) 대구 프린스호텔 93
호남권 9/15(토)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88
충청권 9/29(토) 대전 호텔인터시티 80
진영대화 9/11(화) 서울 시의회 서소문별관 대회의실 77 미래세대대화 9/29(토) 서울 YWCA 강당 76 출처: 한국갈등학회, 통일국민협약 도출을 위한 사회적 대화 개선 방안 연구(통일부 연구용역
보고서, 2019.8.), p. 36.
또한 2018년 8월부터는 국민참여형 온라인 소통플랫폼을 운영하 기 위해 통일국민협약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시범운영했다. 이는 통 일‧대북정책에 대해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상시적으로 의견을 제 안하고 토론할 수 있는 소위 온라인 소통의 채널을 홈페이지 시범운 영을 통해 진행한 것이다. 2018년 주요 추진활동을 보면, 평창동계 올림픽과 남북정상회담 등을 계기로 진행된 사회적 대화(3회, 100여 명), 권역/진영/미래세대/지역 사회적 대화(20회, 국민 1,500여 명 참여), 통일국민협약 홈페이지 개발(4~7월) 및 운영(8월~), 「평화‧통일비 전 사회적 대화를 위한 전국시민회의」 발기인(1,035명) 대회(11.1.) 등을 진행했다.27)
2019년 통일국민협약에 대한 추진 과정은 통일국민협약안의 도출 을 위해 보다 많은 국민적 참여와 사회적 대화를 확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28) 2018년 시범적으로 운영된 사회적 대화의 의제 와 내용들을 보다 정교하게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했다. 2019년 도에는 통일국민협약의 도출을 위한 사회적 대화를 본격적으로 실 시하고, 통일국민협약 사업의 내용과 체계 등을 내실화하는 성과를 도출하려 했다. 즉 사회적 대화의 콘텐츠 개발 및 운영 방안 개선 차원에서 기존 사회적 대화의 의제를 수정‧보완하고 보다 쉽게 접 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통일 관련 의제를 추가 발굴하는 작업을 진행 했다. 이는 대북관, 한반도 미래상, 평화체제와 비핵화, 인도적 지 원, 경협 등 기존에 개발한 12가지 의제뿐만 아니라 신규로 고령사 회의 통일방안과 관련된 새로운 생활밀착형 의제를 개발한 것이다.
또한 권역별, 지역별로 청년세대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와 규모를 확대하고자 했다. 남북관계에 대한 주요 이슈 및 계기가 발생할 때 각 대상별로 사회적 대화를 실시했다. 2018년 통일국민협약 사업을
27) 대한민국 정부, 「제3차 남북관계발전기본계획」 2019년도 시행계획, p. 30.
28) 통일부, 2019년 통일부 주요업무 추진계획, p. 10.
이행했던 ‘통일비전 시민회의’에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개 방성을 확대하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와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 회 등 유관기관들과의 역할을 분담하고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협 력 강화를 추진했다. 2019년에는 통일국민협약 도출을 위한 사회적 대화를 본격적으로 실시하여 해당 사업의 내용과 체계 등에 대한 내 실화를 진행했다. 특히 보수‧진보‧중도‧시민사회단체와 종교계가 참여하는 ‘통일비전 시민회의’를 2019년 4월 30일 공식 출범시켰다.
‘통일비전 시민회의’에는 평화와 통일정책에 대한 민간 차원의 의견 수렴을 위한 네트워크 구축 차원에서 정파와 진영 그리고 세대를 망 라하는 다양한 시민사회단체 102개와 시민 1,164명이 회원으로 참 여하였다. 2019년도에는 평화와 통일정책에 대한 국민적 합의 도출 을 위해 여러 다양한 국민이 참여하는 사회적 대화를 본격적으로 추 진했다. 2019년도 사회적 대화에는 권역/지역/해외 등에서 총 30회 를 진행하여 3,400여 명이 참여했다.29) ‘통일비전 시민회의’를 중심 으로 수십 차례 사회적 대화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민간 차원의 네트 워크가 형성되면서 평화공감대 정책에 대한 소통의 역할을 담당했 다. 2019년 본격적으로 진행된 사회적 대화는 다양한 성향을 지닌 국민들의 참여를 통해 한반도 미래상, 평화체제와 비핵화, 대북 인 도적 지원의 조건 등 여러 주제에 대해 토의를 진행했다. 2019년 10월 에는 종합 사회적 대화를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한 주제로 합의형 숙의 및 토론방식으로 진행하여 합의 도출을 시도하기도 했다. 그리 고 통일기획패널사업을 통해 통일국민협약 도출을 위한 사회적 대 화의 개선 방안 연구와 통일국민협약 제도화 방안을 위한 연구 등 평화통일에 대한 다양한 학술적 연구논의도 진행했다. 2019년 9월 9일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 30주년 기념행사를 진행했고, 참여와
29) 대한민국 정부, 제3차 남북관계발전기본계획: 2020년도 시행계획(서울: 대한민국 정부, 2020), p. 28.
소통의 프로그램인 토크콘서트, 토론클럽, 청년대화를 운영하여 통일 및 남북관계 등을 논의하기도 했다.30)
<표 Ⅱ-3> 2019년 사회적 대화 개최 현황
구분 지역 개최일 참여자
권역
광주(호남권) 6.1.(토) 180명
세종(충청권) 6.15.(토) 209명
부산(영남권) 6.29.(토) 190명
서울(수도권) 7.6.(토) 183명
용인(종합) 10.26.(토)~27.(일) 150명
시‧도
부산 8.17.(토) 60명
안양 8.24.(토) 60명
창원 8.29.(목) 60명
인천 8.29.(목) 60명
원주 8.29.(목) 60명
대전 8.30.(금) 56명
울산 9.4.(수) 90명
구미 9.7.(토) 55명
서울 9.9.(월) 68명
제주 9.20.(금) 70명
전주 9.24.(화) 70명
광주 9.29.(일) 75명
온양 9.30.(월) 80명
대구 10.9.(수) 70명
여수 10.11.(금) 64명
세종 10.14.(월) 57명
청주 10.18.(금) 62명
해외 시애틀 6.21.(금) 72명
LA 6.25.(화) 95명
대상
서울시민
서울(서북권) 9.21.(토) 137명
서울(동남권) 9.22.(일) 192명
서울(동북권) 9.28.(토) 207명
서울(서남권) 9.29.(일) 203명
고교생 서울 10.11.(금) 110명
해외 한인회장 서울 10.4.(금) 350명
총 30회 총 3,395명
출처: 통일부, 2020 통일백서(서울: 통일부, 2020), p. 30.
30) 국무총리 정부업무평가위원회, “100대 국정과제, 2019년 국정과제별 보고서 94-통 일공감대 확산과 통일국민협약 추진,” <https://www.evaluation.go.kr/psec/np/np_
2_1_2.jsp> (검색일: 2020.10.10.).
2020년 통일국민협약 체결을 위한 사회적 대화의 가장 중요한 목 표는 민간과 정치권, 정부의 협력을 통해 통일국민협약의 초안을 도 출하고 합의하는 데 있다. 통일국민협약에 대한 초안은 사회적 대화 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시민사회가 주축이 되어 기반을 만들지만, 협 약에 대한 합의과정에서는 국회 차원의 정치권과 긴밀한 협의와 소 통이 진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2020년 초부터 예상하지 못한 코로 나19로 인해 2020년 상반기에는 원활한 사업과 행사가 추진되지 못 하고 하반기부터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행사를 계획하여 추진하 고 있다.
종합적으로 보면 2018년 ‘통일비전 시민회의’를 통해 사회적 대화 를 시범적으로 실시하여 통일국민협약 사업에 대한 추진기반을 마 련하는 데 집중했다. 2019년부터 2020년까지 국민참여 사회적 대화 를 통한 통일국민협약안을 도출하고, 2021년 국회비준을 통해 통일 국민협약을 선포한 뒤, 2022년 제도적 개선과 보안방안을 마련하는 추진 과정을 계획하고 있다. 통일국민협약 추진 로드맵은 통일에 대 한 구체적인 내용과 명칭 역시 시민들의 참여와 국민적 소통과 합의 를 통해 결정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