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정치적 권리: 선거제도를 중심으로 | 민태은

Dalam dokumen PDF KINU (Halaman 84-88)

선거제도를 중심으로

민태은

북한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권침해 문제의 일차적 책임과 해결 당사 자는 북한 당국이다. 그러나 보편적 가치인 ‘인권’의 문제는 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다. 이러한 이유로 남한뿐만 아니라 국제사회는 북한의 인권개선을 목적으로 북한의 인권상황을 파악하고 구체적 개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 특히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상황을 파악하려는 노력은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첫 번째 방향은 북한 당국이 인권과 관련하여 어떠한 제도를 갖추고 있는지 조사하고 검토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향은 실제로 이러한 제도가 ’어떻게’ 실현 되는지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노력은 북한인권 의 개선을 위해서는 북한제도의 이해와 관련 실태파악이 동시에 이루 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그런데 현재 국제사회의 북한인권과 관련한 제도조사는 포괄적인 접근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시 말해 북한의 법조항을 고루 검토 하고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북한에서 일어나고 있는 인권침 해 사례에 대한 조사 역시 장기적 시각의 체계적 조사라기보다 다양한 종류의 침해사례들을 취합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국제사회의 노력 방 향과 상호보완적이기 위해서 우리 정부와 관련 전문가는 보다 세부적 차원에서 전문적으로 북한인권과 관련한 법제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특정 인권사항과 관련한 법제도를 면밀히 분석하고, 실제로 그 제도 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해야한다. 왜냐하면 북한의 특정법제 와 관련 실태의 변화를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이해할 때 북한인권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북한과의 인권논의에서 보다 명확한 근거를 바탕으로 구체적 사안을 의제화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전문적 내용을 국제사회와 공유함 으로써 북한인권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인류 보편적 가치로서 의 인권개선을 위한 보편적 방안을 수립하는 데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제Ⅲ장은 다양한 인권의 영역에서 국가의 주권자로서 국민에게 주어 지는 정치권에 대해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참정권과 관련한 북한 의 법제를 집중 검토함으로써 북한의 인권실태 및 관련 문제를 논의하 고자 한다. 참정권이란 정치에 참여하는 권리이다. 그런데 오늘날 대부 분의 국가는 국민이 선거를 통해 대표를 뽑아 국가를 운영하는 간접민 주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현대국가에서 참정권의 핵심은 선거 제도이다. 선거는 복잡하고 다층적 구조로 이루어진 정치과정 속에서 국민이 직접 정책결정자를 선택하여 자신들의 정치적 의사를 정부에 전달하는 거의 유일한 통로이다. 따라서 선거는 진정한 의미에서 참정 권 실현의 핵심이다. 이러한 선거를 통한 국민의 정치참여가 올바르게 이루어지 않는다면 다른 권리 역시 보장되고 실현되는 데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참정권이 실현되지 않고는 국민이 자신의 다른 권리를 정부 를 상대로 표현하고 요구할 방법이 없다. 본 연구가 참정권 특히 선거제 도에 주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장은 1948년 이후 2010년대까지 선거와 관련한 북한 의 헌법 및 선거법을 통시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북한의 인권제도 와 실태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분석한다. 더불어 올바른 선거제도 실현을 위해 필수적인 ‘표현의 자유’와 ‘집회 및 결사의 자유’가 제도적 으로 어떻게 변화되고 실현되어 왔는지 살펴본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자료를 검토 분석한다.

먼저 북한의 헌법과 선거법을 분석한다. 두 번째로 북한이 가입한 인권과 관련한 국제규약과 협약의 이행사항으로 제출한 보고서와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권고사항과 평가를 담은 보고서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북한뿐만 아니라 국제사회가 참정권과 관련하여 북한의 법제도와 실태 변화를 바라보는 시각을 살펴본다. 그리고 특히 국제자료를 살펴 봄으로써 북한의 참정권제도와 실태변화 추적에 보다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북한이탈주민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에서 선거제도, 표현의 자유 그리고 집회 및 결사의 자유가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실태를 살펴본다.

Dalam dokumen PDF KINU (Halaman 84-88)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