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 국내 관련 법, 제도
가. 도시재생의 법제 발전 및 현황 (1) 도시재생의 개념
ㅇ 재생(regeneration)의 사전적 개념은 생명체가 절단된 신체의 일부를 대체 또는
복구시키는 과정”(the process by which some organisms replace or restore
lost or amputated body parts)49)으로 도시공간에 적용해 본다면, 도시재생
(urban regeneration)은 물리적⋅기능적으로 쇠퇴해진 구시가지가 기능회복을
통해 새로운 도시환경의 변화에 부응하여 활기 넘치는 도시로 변모해가는 것을 의미함(김혜천, 2013)
ㅇ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도시재생 개념이 적극 논의되기 시작하여 도시 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도시재생지원법)의 제정⋅공포
(2013.06)에 따라 법⋅제도적으로 도시재생 개념이 공식화됨
ㅇ 우리나라에서 도시재생 개념이 적극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부터라 할 수 있으며,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도시재생지원법)의 제정⋅공포(2013.06)에 따라 법⋅제도적으로 도시재생 개념이 공식화됨
ㅇ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 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 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 시키는 것을 말한다.” (법 제2조)
- 재생(regeneration)의 사전적 개념은 “생명체가 절단된 신체의 일부를 대체 또
는 복구시키는 과정”(the process by which some organisms replace or restore lost or amputated body parts)50)
- 이러한 재생의 의미를 도시공간에 적용해 본다면,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은 물리적⋅기능적으로 쇠퇴해진 구시가지가 기능회복을 통해 새로운 도시환경의 변화에 부응하여 활기 넘치는 도시로 변모해가는 것을 의미함(김혜천, 2013) - 도시재생사업단에서는 도시재생을 “산업구조의 변화 및 신도시⋅신시가지 위
주의 도시 확장으로 상대적으로 쇠퇴되고 있는 기존 도시를 새로운 기능을 도 입⋅창출함으로써 경제적⋅사회적⋅물리적으로 부흥시키는 것”으로 정의51) ㅇ 도시재생의 개념은 크게 3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음. 협의적 의미인“노후⋅
쇠퇴지역의 공간에 대한 물리적 환경개선”, 중간적 의미인“물리적⋅환경적⋅경 제적 쇠퇴지역에 대한 물리적 환경개선과 지역주민의 주거환경 및 생활의 질을
49) 브리테니커사전, http://search.eb.com/eb/article 50) 브리테니커사전, http://search.eb.com/eb/article 51) 도시재생사업단 홈페이지, http://www.kourc.or.kr
개선해나가는 과정”, 그리고 광의적 의미인“쇠퇴지역에 대한 환경개선과 함께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로 물리⋅환경적, 경제적, 사회⋅문화적으로 재활성화 되는 것”(김혜천, 2013. 재정리)
(2) 도시재생 관련 정책의 발전과정 (가) 도시 재생 관련 법제 변화
ㅇ 1970년대 이후 도시의 인구집중에 의한 신도시개발과 구도시의 노후화로 인한 도시정비를 동시에 진행
- 2002년 「도시재개발법」과 「도시 저소득주민의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임시 조
치법」을 폐지하고 「주택건설촉진법」을 「주택법」으로 전면 개정한 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을 제정하여 2003년부터 개별 법령에 의해 추진되던 주 거환경개선사업, 주택재건축사업, 주택재개발사업, 도심재개발사업 등을 통합 된 하나의 법령에 의해 시행함
- 2005년에는 도시의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도시
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재생사업이 필요한 구시가지 등 22 개 지구를 ‘재정비 촉진지구’로 지정하고, 종로(중구) 세운상가, 성북 장위, 영등포 신길 등 3개 지구를 시범지구로 지정함.
ㅇ 이후 개별법에 의해 추진 중인 다양한 도시정비 관련 사업 간의 연계를 강화하 고 지역의 특수성과 정체성을 살린 종합적인 도시재생을 위해 2013년 「도시재 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례법」을 제정함
ㅇ 철거 위주의 물리적 환경정비방식에서 벗어나 도시의 경제⋅사회⋅문화 등 종 합적인 도시기능 회복을 위해 도시정책방향을 도시재생으로 전환
- 재개발⋅재건축 위주의 도시재정비 방식의 문제를 개선하고 주민과 상인, 전 문가, 지자체 등이 중심이 되어 지역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맞춤형 재생이 추진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함
- 개별법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각종 지원 사업을 장소 중심 재생계획에 따라 연계⋅통합하고, 저출산⋅고령화 및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구 감소, 경제 침 체, 주거환경 노후화 등이 심각하게 나타나는 쇠퇴지역의 재생을 지원함
그림 2-2-1 도시재생 관련 법률 변화
* 자료: 봉인식 외, 경기도 도시재생 정책방향 수립 연구(2015). p.8
(나)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약칭: 도시재생법)」 법령에 따른 주요 제도
ㅇ ‘도시재생’의 정의(법 제2조):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 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 로 활성화시키는 것
ㅇ 도시재생기본방침 : 국가 도시재생 시책, 도시재생 전략 및 활성화계획 작성 에 관한 원칙과 선도지역 지정기준, 도시쇠퇴 및 진단기준, 기초생활 인프라 기준 등 국가차원의 도시재생 기본방향 설정과 지자체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
ㅇ 도시재생전략계획 : 도시 전체 또는 일부 지역,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도시 에 대하여 도시재생과 관련한 각종 계획, 사업, 프로그램, 유⋅무형의 지역자 산 등을 조사⋅발굴하고, 재생정책 및 지원을 집중하는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 및 변경, 활성화지역별 우선순위 및 지역 간 연계방안, 실행 주체 구성 방안, 재원조달 계획 등을 포함하여 작성함
※ 전략계획 수립권자 : 특별시장, 광역시장, 시장, 군수, 특별자치시장, 특별 자치도지사
ㅇ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실행계획 수립 ⟹ 국가지원사항에 대해 도시재생특별위원 회(위원장: 총리)의 심의 ⟹ 부처협업을 통해 지원
그림 2-2-2 도시재생활성화를 위한 추진체계(중앙조직은 의무 설치, 지방조직은 필요시 설치)
* 출처: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주요내용
ㅇ 도시재생특별위원회 : 도시재생정책을 종합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 무총리 소속으로 설치하며, 국가도시재생 기본방침, 국가지원 사항이 포함된 도 시재생활성화계획, 도시재생 선도 지역 지정 등의 사항을 심의함
ㅇ 지방도시재생위원회 : 지방자치단체의 도시재생 관련 주요 시책, 도시재생전략계 획 및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등의 심의 및 자문
ㅇ 도시재생기획단 : 특별위원회 업무의 지원 및 기본방침 작성, 활성화계획⋅사업 등의 평가 및 지원, 관계기관 및 예산 협의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국토부 에 설치함(도시재생 관련 현황 및 주요지표의 조사·관리,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및 도시재생사업의 총괄·조정·관리·지원, 관계 기관, 관계 행정기관과의 업무 협의 및 교류, 지역 협업체제의 구축·운영, 도시재생 관련 국고보조금 등의 관 리, 마을기업 등 지역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의 발굴 및 추진, 도시재생활성 화계획 및 도시재생사업 평가 및 점검, 재원 조달 및 관리 등)
ㅇ 도시재생지원기구 : 국토부 장관은 국가 및 지자체의 도시재생 활성화를 지원하 기 위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공기관에 지원기구를 설치 할 수 있고, 도시 재생 활성화 시책 발굴, 제도발전을 위한 조사⋅연구, 도시재생 전략 및 활성화 계획 수립지원, 사업시행⋅운영⋅관리 등의 지원, 도시재생 종합정보체계 및 전 문가 육성⋅파견 등 도시재생 기반구축 업무를 담당함
ㅇ 도시재생지원센터 :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재생사업의 기획⋅관리⋅운영 및 지자 체의 기획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공공단체, NPO, 지역대학 등 관련 조직을 연 계⋅조정하여 시너지효과를 창출함
ㅇ 특례 및 제도적 지원
- 보조․융자: 계획비 지원, 기반시설 지원, 도시재생사업 비용 등(H/W) 및 마을
기업 창업지원․상권 활성화 등(S/W) 지원
- 특례: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국․공유재산 처분, 조세․부담금 감면, 건폐율․용적 률․높이 제한 등 건축규제 완화 가능
ㅇ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의 세부 기준(시행령 제17조)
- 인구 : 최근 30년간 인구 최대치 대비 현재 인구가 20퍼센트 이상 감소 또는 최근 5년간 3년 이상 연속으로 인구가 감소
- 산업 : 최근 10년간 총 사업체 수 최대치 대비 현재 5퍼센트 이상 감소 또는 최근 5년간 3년 이상 연속으로 총 사업체 수가 감소
- 노후건축물 : 전체 건축물 중 20년 이상 지난 건축물이 50퍼센트 이상
(다) 중앙정부의 도시재생 관련 정책 추진 동향
ㅇ 정부는 2006 건설교통 R&D 혁신로드맵의 ‘미래가치 창출 10대과제(VC-10)’
로 도시재생사업을 선정하고, 2007년 도시재생사업단을 출범해 핵심 R&D 사업 으로 도시재생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
- 도시재생에 대한 정책⋅제도, 사업기법, 건설⋅환경기술 분야 등 4개 핵심과 제, 14개 세부과제에 대해 2006년 12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총 1,364억원(정 부 952억원, 민간 394억원)을 투자함
ㅇ 2010년에는 도시재생 R&D를 통해 도출된 각종 연구 성과를 현장에 실제로 적 용해 실용화 및 확산을 도모하기 위해 도시재생 테스트베드를 지정
ㅇ 2013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시행해 쇠퇴하는 도 시지역의 재생을 지원하고 도시재생사업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
- 국토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건축도시연구정보센터(AURIC)를 도시재 생 지원기구로 선정하고, 지자체의 도시재생 전략 및 활성화계획에 대한 상 담 및 컨설팅을 시행함
- 도시재생 기본전략인 ‘국가도시재생기본방침’을 수립하고, 총리를 위원장으로 하여 각 부처 장관, 민간위원 13명 등 총 29명으로 구성된 심의조정기구 도 시재생특별위원회를 출범함
ㅇ 2014년 공모를 통해 도시재생 선도 지역 13곳을 선정하고 사업 착수
ㅇ 2015년에는 도시재생 선도 지역 이외 지자체에 대한 도시재생 관련 교육, 상담 및 컨설팅 등의 지원을 확대하고 2016년 도시재생사업 공모를 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