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결정적 사건기법 및 자유연상기법, 그리고 SNS 데이터를 통해 수집되고 분석된 소비자 효용·비효용 관련 요인들을 토 대로 실증분석에 사용할 변수를 구성하였다. 소비자가 스마트폰에 대하여 인지하는 효용 ·비효용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의 기본적 구조는 Sheth et al.(1991)가 제시한 다섯 가지 가치체계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인지 적 가치, 상황적 가치, 감정적 가치의 분류를 따랐다. 여기에 모바일 서비스 (Vuolle et al., 2008), 모바일 앱(Wang et al., 2013), 위치기반 서비스 (Pura, 2005) 등을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스마트폰의 기 술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이 드러날 수 있도록 조정하였다.
선행연구들에서 측정되었던 가치의 항목들과 본 연구의 앞부분에서 도출 된 스마트기술 또는 스마트폰의 소비자 효용·비효용 요소들을 비교하며, 조 사도구를 구성해나갔다.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본 연구에서 도출된 스마트폰 에 대한 소비자 효용·비효용 요소들은 많은 항목들에서 유사하였지만, 일부 결과에서는 차별되기도 하였다. 또한 Sheth et al.(1991)의 연구를 토대로 측정도구를 발전시킨 선행연구들은 모두 가치, 즉 해당 기술이 가져오는 효 용에 관심을 두고 있었기 때문에 소비자들의 경험에서 수집된 비효용 요소 들을 포함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협이나 상실 등 스마트폰에 대하여 소비자가 비효용으로 인식한 부분까지도 포괄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작성하고자 시도하였다(표 4-1, 표 4-2).
본 조사에 들어가기에 앞서 소비자학 전공의 석·박사 과정생 10여명에게 작성된 문항의 검토를 요청하여, 문항을 정제하고 내적 일관성을 확인받았 다. 개발된 측정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항목 출처 카메라나 mp3 등 여러 기기를 따로 휴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시켜준다.
Sheth et al.(1991) 기능적 가치 참고 스마트폰뱅킹을 이용할 때 추가 금리를 제공하거나, 모바일 전용
쿠폰 등을 발급받는 기회를 제공하여, 경제적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한다.
Wang et al.(2013) 경제적 가치
내 취향이나 욕구에 맞춰준다. Pura(2005)
상황적 가치
나에게 즐거움을 준다. Wang et al.(2013)
감정적 가치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정보를 받아들여 세상과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한다.
Pura(2005) 상황적 가치 참고
지인들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더 깊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Sheth et al.(1991)
사회적 가치 새로운 사람들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내 인간관계를
넓힐 수 있도록 한다.
나의 경험을 즉시 저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Sheth et al.(1991) 기능적 가치 참고 나의 경험을 기억하기 쉽도록 도와준다.
내가 해야 할 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Pura(2005) 편의적 가치 내가 장소에 매이지 않고 좀 더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한다.
내가 시간에 얽매이지 않고 좀 더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한다.
나에게 주어진 시간을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도록 한다.
나에게 잠재된 가능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Vuolle et al.(2008) 생산성 참고
내가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여 준다.
내가 모든 일에서 만능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He & Chi(2010) 행위결과로서의 우월감 내가 혁신적인 사람이라는 기분이 들도록 한다.
[표 4-1] 스마트폰 소비자 효용의 측정
통제감과 기술준비도의 하위 항목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내렸고,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통제감은 통제소재와 지각된 통제감을 다룬 선행연구(Hoffman et al., 2003; Koo, 2009; Taylor & Todd, 1995;
Verkasalo et al., 2010) 등을 참고하여 “생활 전반에서의 통제에 대한 사용 자의 지각”으로 정의하였다.
기술준비도의 네 가지 하위차원에 대하여서는 Parasuraman(2000)이 내린 조작적 정의를 그대로 따랐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술 낙관성은
“기술이 일상생활 및 업무 수행에 있어서 조절 능력, 융통성, 효율성을 제공
항목 출처 내가 생활시간을 배분하고, 조절하는 능력을 잃어버리게끔 한다.
자체 개발 내가 중독된 것 같은 기분이 들도록 만든다.
내 기억을 전적으로 스마트폰에 의존하게끔 한다.
내 생활을 바쁘게 만든다.
내 생활이 간섭받는 기분이 들도록 만든다.
내 생활이 감시받는 기분이 들도록 만든다.
내가 더 이상 자유롭지 않은 것 같은 기분이 들도록 만든다.
내가 스마트폰에서 벗어나고 싶은 기분이 들도록 만든다.
내가 멍청해진 것 같은 기분이 들도록 만든다. Wang et al.(2013) 감정적 가치 변형 나를 혼란스럽게 만든다. Verhagen et al.(2011)
사용용이성 변형 나를 여러 가지 귀찮은 일에 직면하게 만든다.
나에게 두려움을 준다. Wang et al.(2013)
감정적 가치 내 건강이 나빠지게 만든다.
연구자가 개발 내 생활을 피곤하게 만든다.
내 인간관계가 단절되도록 만든다. Sheth et al.(1991) 사회적 가치 변형 사용법을 배우기 위하여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게끔 만든다. Verhagen et al.(2011)
사용용이성 변형
[표 4-2] 스마트폰 소비자 비효용의 측정
할 것이라고 믿는 개인의 신념과 태도”로, 기술 혁신성은 “자기 자신이 스 스로 신기술에 대하여 선구자라고 생각하는 경향과 태도”로 정의되었다. 부 정적인 태도를 구성하는 기술 불편감은 “신기술에 대하여 자신감을 상실하 거나, 신기술을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압도된다고 느끼는 느낌”으로, 기술 불안감은 “신기술을 통해 과업을 올바로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신과 회의적인 태도”로 정의되었다.
변수 문항 신뢰도
통제감
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뛰어날 수 있을지는 전적으로 내게 달려있다.
.73 나는 내 인생에서 무슨 일이 일어날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
내가 마음먹은 것은 어떤 것이든 할 수 있다.
내가 살아가는 도중 발생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있어 나는 무력하다.(R)
나에게 발생하는 문제들에 대해서 나는 통제력이 거의 없는 것 같다.(R)
기술 낙관성
기술은 인간으로 하여금 일상생활을 보다 잘 해낼 수 있도록 도와준다.
.73 기술은 내가 원하는 생활이 구현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스마트폰을 포함한 하이테크 기술의 사용법을 배우는 것 자체만으로도 의미있는 일이다.
나는 가장 최신 기술로 구현되는 제품을 선호한다.
기술 혁신성
다른 사람들은 기술에 대한 조언을 얻기 위해 나를 찾아온다.
.85 나는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도 첨단 기술이 적용된 제품과 서비스를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기술이 발표되었을 때, 나는 지인들 중 가장 먼저 바로 사용해보는 축이다.
새로운 기술을 이용함에 있어서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문제를 적게 느낀다.
기술 불편감
나는 기술이 일반인을 위하여 설계된 것 같지 않다고 생각될 때가 가끔 있다.
.69 이해하기 쉽게 작성된 하이테크 제품 사용설명서는 정말 찾아보기
어렵다.
몇몇 기술은 사용자의 건강이나 안전에 위협을 줄 수 있고, 그런 위험성은 실제로 해당 기술을 사용해보기 전까지는 알 수 없다.
기술이 적용된 제품은 고장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중요한 업무를 기술로 대체할 때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기술 불안감
온라인으로 중요한 정보를 전송할 때, 다른 사람이 볼까봐 걱정스럽다.
.69 나는 온라인으로만 접근 가능한 사업이나 일들이 있다면, 그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는다.
어떠한 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대면 접촉이 매우 중요하다.
[표 4-3] 통제감과 기술준비도 측정 문항 및 변수의 신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