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조사 결과

Dalam dokumen Untitled (Halaman 106-113)

5. 조사 결과

건물 옹도별 회수 비율은 <표 5-19>에 정리되어 있다. 회수(응답) 비율이 가장 높은 건물은 업무시설이었으며, 다음으로는 판매, 교육연 구, 의료시설 순이었다. 숙박시설과 방송통신시설은 20%대로 상대적 으로 회수 비율이 낮았다. 방송통신시설의 경우 보안 상의 이유로 건 물 출입 자체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으며, 배정된 표본 수와 대체 표본 수가 작기 때문에 조사 거절 시 대체할 수 있는 여유 표본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회수(응답) 부수 미회수(무응답) 부수

회수(응답) 비율(%)

판매 55 84 39.6

의료 55 99 35.7

교육연구 86 138 38.4

업무 177 101 63.7

숙박 32 116 21.6

방송통신 13 44 22.8

418 582 -

<표 5-19> 건물 용도별 회수(응답) 부수 및 비율

나. 결과

조사 완료된 419개의 표본 건물에 대한 분석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 고자 한다. 2014년도 조사의 목적이 모집단 추정에 있는 것이 아니며, 회수(응답)율 또한 42%로 낮은 편이기 때문에 모집단 추정 및 소비량 에 대한 분석은 하지 않는다. 정책 분석과 연관성이 높은 항목에 대한 조사 가능성 여부에 대해 정리하고자 하며 정리 결과는 모두 표본 결

과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조사에서 조사 대상은 건축물 1동이 아 닌 동일 대지위에 건축된 건물을 1개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표본 건 물과 동일 대지 위에 있는 건축물의 동 수를 조사한 결과 조사 완료된 표본 건물 중 78.5%는 1개의 동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건물 동 수는 최대 13동까지 조사되었으며 건물 동 수의 합은 601동으로 표본 건물 1개당 1.4동이이다.

건물 준공연도를 조사한 결과, 항목무응답은 없었으며 조사된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은 1913년에 준공되었으며 가장 최근 건물은

2014년에 준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는 [그림 5-3]에 나타나

있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준공된 건물이 236동으로 가장 많았으 며 다음으로는 1990년대, 1980년대에 준공된 건물이 많은 것으로 조 사되었다. 리모델링 관련 사항을 조사한 결과, 응답하지 않은 표본 건 물은 2개이며, 응답한 건물 중 준공 이후 1회 이상 리모델링 공사를 한 건물은 37.9%로 조사되었다.

중앙 에너지공급 설비를 조사한 결과, 419개의 표본 건물에서 총

784대의 설비를 이용하고 있다고 조사되었다. 조사된 설비 중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설비는 온수보일러로 전체 중 20.4%를 차지하였 으며 다음으로는 EHP(17.5%), 흡수식 냉온수기(16.6%), 증기보일러

(11.6%), 패키지/룸 에어컨(10.2%) 순이었다. 지역난방을 사용하고 있

다고 답한 건물은 29개였으며 이 중 지역냉방을 사용하는 건물은 3개 뿐이었다.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이용하고 있다고 답한 건물은 4.3%로 비율이 매우 낮았으며 공조 설비를 이용하고 있다고 답한 건물은 45.8% 정도 였다.

[그림 5-3] 준공 연도 조사 결과

[그림 5-4] 중앙 에너지공급 설비 조사 결과

이번 조사에서는 에너지기자재의 고효율인증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 펴보기 위해 관련 항목을 조사하였다. 고효율인증 대상 품목은 모두

45개이며 절반 이상의 항목이 조명기기와 관련된 제품이다. 본 조사

에서는 21개의 제품에 대해 보유 현황과 고효율인증 여부 등을 조사 하였다. 조사 결과는 <표 4-20>과 같다. 열회수형 환기장치와 원심 식․스크류 냉동기의 경우 보유하고 있는 비율은 4.1%로 낮았으나 제 품(설비) 중 고효율에너지 기자재 인증을 받은 제품(설비)의 비중은 각각 32%, 24.1%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보유율(%) 보유 대수(대)

고효율 인증기기 보유대수(대)

고효율 인증기기 보유율(%) 고기밀성 단열문 3.9 826 409 49.5

냉방용 창유리필름 8.2 - - -

산업건물용 가스보일러 18.1 2165 33 1.5 가스진공 온수보일러 12.3 78 12 15.4

산업․건물용 기름보일러 0.5 1 0 0.0

기름연소 온수보일러 1.9 9 0 0.0

가스히트펌프 3.1 249 5 2.0

원심식스크류 냉동기 4.1 29 7 24.1 직화흡수식 냉온수기 16.4 147 28 19.0 난방용 자동 온도조절기 19.8 3543 207 5.8

항온항습기 11.8 144 3 2.1

열회수형 환기장치 4.1 259 83 32.0

환풍기 61.2 8028 203 2.5

원심식 송풍기 8.4 301 63 20.9

인버터 17.3 525 115 21.9

단상 유도전동기 13.5 676 9 1.3

조도자동조절 조명기구 5.5 1517 60 4.0 무정전전원장치 25.5 243 29 11.9 복합기능형 수배전시스템 10.6 58 5 8.6

전력저장장치(ESS) 4.1 18 1 5.6

최대수요전력 제어장치 14.2 70 8 11.4

<표 5-20> 고효율에너지 기자재 보유현황 조사 결과

제6장 상업 ․ 공공용 건물 에너지소비조사 시스템 구축안

조사표 회수(응답)율이 42%로 낮아 모집단에 대한 추정이나 상세 분석 등은 어려우나 앞서 살펴보았던 건물부문의 에너지 소비 추세와 관련 에너지정책, 기존 자료의 한계점, 조사 완료된 조사표에 대한 분 석 결과 등을 바탕으로 건물에너지소비조사의 향후 방향과 수행 내용 에 대해 제안37)하고자 한다.

Dalam dokumen Untitled (Halaman 106-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