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진료비 증가요인별 기여율

II. 진료비 증가원인 분석

2. 진료비 증가요인별 기여율

O 총진료비 = 적용인구수X적용인구1인당 내원일수X내원일당 진료비 O 총진료비 증감 = 적용인구수 증감소인구구조 변동소

적용인구1인당내원일수 증감X내원일당진료비 증감소 수가인상률 X급여확대율

» 분석방법

의료급여 총진료비의 연간 진료비 증가율을 결정하는 6개의 요인으 로 결정론적 모형을 구성하고, 각 요인들의 증가율은 실제자료를 적 용하여 계산함. 여기서, t년도의 증가율은 t년도의 총량과 t너년도 의 총량의 차이를 t너년도의 총량으로 나누어 계산돋1. 마지막으로 각 요인별 증가요인의 기여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곱의 형태로 표현 된 증가율 수식에 로그변환을 하여, 증가율들의 합으로 나타냄. 이 수치들을 사용하여 산출된 퍼센트를 기여율로 사용(정의)함

나. 총 진료비 증가요인별 기여율

► 의료급여

표 19. 총 진료비 증가요인별 기여율(의료급여)

구분 2003 2004 2005 S균 증가율’ 총 진료비(백만원)

(증가율)

2,212,081 2,616,105 (18.3%)

3,237,172

(23.7%) (21.0%) 요인별 증가율 (기여율)

총 진료비 증가

적용인구수 증가

인구구조 변동

적용인구1 인당 내원일수 2

내원일당

진료비’ 수가인상 급여확대 0.210

(100.0%)

0.0758 (46.5%)

-0.0063 (-3.9%)

0.0167 (10.4%)

0.0246 (15.4%)

0.0287 (18.0%)

0.0218 (13.6%) 주 : 1) 2003~2005년 평균 증가율

2) 적용인구1인당 내원일수는 인구구조 변동을 보정함

3) 내원일당 진료비는 인구구조 변동, 수가인상율, 급여확대율을 보정함 자료 : 건강보험심사통계연보, 각 연도 자료재구성

O 의료급여의 경우 2003년에서 2005년까지 총 진료비 증가율 평균은 약 21%이며, 이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별 증가기여율를 계산함.

총 진료비 증가의 약 46.5%는 대상자수 증가(차상위계층 둥)에 기인 하였으며, 수가인상에 기인한 부분이 18.0%, 급여확대(MRI, 항암제, 본인부담 경감 등)에 기인한 부분이 약 13.6%임. 즉, 의료급여 총 진 료비 증가의 약 74.2%는 진료비가 증가할 수밖에 없는 자연증가 요인 임

O 자연증가 요소 이외에 적용인구1인당 내원일수 증가에 의한 진료비 증가기여율이 10.4%, 내원일당 진료비 증가에 의한 기여율이 15.4%

25.8%는 공급자 과잉진료 • 처방/부당청구, 환자의 과다의료이용 둥 도덕적 해이, 기타 요인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개념상은 대책 마련 을 통한 통제가능한 부분이나 실제 과다이용 등 절감가능부분이 어느 정도인지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함

적용인구1 인당 내원일수내원일당 진료비의 증가에서도 질병구 성 및 질병난이도의 변화, 장기요양서비스의 대체기능 등이 혼재되어 있음

O 인구구조 변동의 진료비 증가기여율이 (-)값이 나온 이유는 1인당 진 료비가 상대적으로 낮은 어린이의 인구비중이 2005년도 크게 증가한 원인에 근거함(국내입양아동 포함 및 차상위계층 12세미만 어린이 포 함). 실제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인구구조 변동에 의한 진료비 증가 기여율은 (+)값을 보임

► 건강보험

표 20. 총 진료비 증가요인별 기여율(건강보험)

구분 2003 2004 2005 평균 증가율’ 총 진료비(백만원)

(증가율)

20,533,558 22,355,887 (8.9%)

24,796,775

(10.9%) (9.9%) 요인별 증가율 (기여율)

총 진료비 증가

적용인구수 증가

인구구조 변동

적용인구1 내원일수 2

내원일 9

진료비 수가인상 급여확대 0.099

(100.0%)

0.00553 (6.0%)

0.0097 (11.0%)

0.0145 (16.4%)

t 0.0107 (12.2%)

0.0287 (32.2%)

0.0199 (22.5%) 주 : 1) 2003~2005년 평균 증가율

2) 1인당내원일수는 인구구조 변동을 보정함

3) 내원일당진료비는 인구구조 변동, 수가인상율, 급여확대율을 보정함 자료 : 건강보험심사통계연보, 각 연도 자료재구성

o 건강보험의 경우 2003년에서 2005년까지 총 진료비 증가율 평균은 약 9.9%이며, 총 진료비 증가 중 대상자수 증가에 기인한 부분이 의료급

여는 46.6%인 반면 건강보험은 6.0%로 큰 차이를 보임

O 인구의 노령화 등 인구구조 변동에 기인한 증가분은 의료급여가 (-)값 인데 반해 건강보험은 11.0%로 크게 나타남

O 건강보험 총 진료비 증가에 수가인상 및 급여확대가 기인한 부분이

각 32.2%, 22.5%로, 상기 논의된 이러한 요인들은 진료비의 자연증가

요인임

O 적용인구1인당 내원일수 증가에 의한 부분이 16.4%, 내원일당 진료비 증가에 기인한 부분이 12.2%로 총 28.6%는 공급자 과잉/부당청구, 환 자의 도덕적 해이, 기타 요인들이 포함된 통제가능성이 있는 부분임 O 의료급여 총 진료비 증가분 중 자연증가 부분을 제외한 통제가능성이

있는 부분이 약 26%로서 건강보험(28.6%)과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음.

즉, 총 진료비 증가 중 자연증가 요인를 제외한 후에도 건강보험과 의 료급여의 진료비 증가가 유사함

O 다만, 통제가능한 부분(약 26%-29%) 중 manageable portiono] 어느 정도 되는지는 면밀한 분석이 필요함

다. 진료유형별 진료비 증가요인별 기여율

► 의료급여

표 21. 진료유형별 기여율(의료급여)

구분

진으비 적용인구수 증가

인구구조 변동

적용인구 1인당 입내‘궈일수’

내원일당

진료비’ 수가인상 급여확대

입원 100.0% 41.6% -3.6% 34.5% -1.3% 16.1% 13.4%

외래 100.0% 63.4% -5.5% 4.1% -0.9% 25.4% 14.0%

약국 100.0% 38.5% -3.3% 1.6% 33.8% 14.9% 14.2%

O 진료유형별로 자연증가 요인를 제외한 적용인구1인당 입 • 내원일수와 내원일당 진료비에 의한 진료비 증가기여율을 보면, 입원의 경우 적 용인구1인당 입 • 내원일수의 증가가 총 입원진료비 증가에 크게 기여 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내원일당 진료비의 증가에 의한 진료비 증가부 분은 크지 않음

O 반면 약국약제비는 내원일당 진료비의 기여율이 매우 커서 약국 방문 횟수 증가에 의한 부분보다는 방문했을 경우 내원일당 약국약제비 증 가가 총 약국약제비 증가에 크게 기여함

► 건강보험

표 22. 진료유형별 기여율(건강보험)

구분

진을비 적용인구수 증가

인구구조 변동

적용인구 1인당 입. 내휴일수2

내원일당

진료비 3 수가인상 급여확대

입원 100.0% 4.7% 13.1% 44.7% -6.9% 25.3% 19.1%

외래 100.0% 8.4% 9.9% 33.0% -20.9% 45.4% 24.0%

약국 100.0% 4.7% 10.0% 1.8% 34.1% 25.6% 24.2%

O 건강보험의 진료유형별로 자연증가 요소를 제외한 적용인구1인당 입 • 내원일수와 내원일당 진료비에 의한 진료비 증가율을 보면, 입원 과 외래의 경우는 적용인구1인당 입 • 내원일수에 의한 진료비 증가기 여율이 매우 크며, 상대적으로 내원일당 진료비는 총 진료비 증가에 기여하지 않음(-)

O 약국약제비는 의료급여와 마찬가지로 내원일당 진료비의 기여율이 매 우 커서 약국 방문횟수에 의한 약국약제비 증가기여율은 적으나 방문 했을 경우 내원일당 약국약제비 증가에 의한 기여율이 매우 큼

라. 의료급여 자격종별이 따른 진료비 증가요인별 기여율

► 의료급여

표 23. 진료유형별 자격종별 기여율(의료급여)

구분

5 적용인구수 증가

인구구조 변동

적용인구 1 인당 일수

내원일당

진료비 수가인상 급여확대

1 100.0% 37.9% 0.8% 18.3% 12.0% 17.4% 13.6%

1

입원 100.0% 35.0% 2.9% 26.3% 6.5% 16.1% 13.3%

외래 100.0% 48.2% -0.1% 182% -2.7% 22.2% 13.7%

약국 100.0% 32.0% -3.4% 13.2% 29.4% 14.7% 14.0%

2 100.0% 65.8% X).5% -16.9% 15.5% 20.4% 14.5%

2

입원 100.0% 50.4% •4.0% 46.1% -20.6% 15.7% 13.0%

외래 100.0% 117.3% 0.5% ■43.6% -28.5% 36.4% 17.1%

약국 100.0% 48.9% 3.6% -21,4% 37.0% 15.2% 14.7%

O 의료급여 자격종별로 보면, 자연증가 요소를 보정했을 때 의료급예 종의 진료비 증가의 약 30.3%가 적용인구1인당 입 • 내원일수(18.3%) 및 내원일당 진료비(12.0%) 증가에 기인함

O 의료급여2종의 경우는 적용인구1인당 입 • 내원일수 증가에 기인하지 않았으며, 내원일당 진료비에 의한 증가기여율이 약 15.5%로 나타남.

단, 의료급여2종 입원의 경우는 적용인구1인당 입원일수에 의한 입원 진료비 증가기여율이 46.1%로 매우 큼

O 의료급여2종 대상자 중 차상위계층 12세미만 아동은 총 87,341명으로 의료급여2종 대상자의 약 11.4%이며, 2005년도에 실제 의료이용을 한

아동은 70,964명(총 의료급여2종 대상자의 약 9.3%)임. 2005년도 의료 급여2종 아동의 총 진료비는 158억으로 의료급여2종 총진료비의 약 2.5%로 나타나 의료급여2종 총 외래진료비 증가에 '적용인구1인당 내 원일수'의 기여율이 (-)값을 보인 것에 차상위계층 12세미만 아동의 진료비의 영향은 크지 않고 차상위계층 아동을 제외한 의료급여2종 대상자의 적용인구1인당 내원일수가 실제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 으로 보임

O 총 약국약제비 증가는 적용인구1인당 내원일수보다 내원일당 진료비 가 기여한 부분이 의료급여 1종 및 2종 모두 매우 큼

O <표 23>에서 보듯이 의료급여 자격종별(1종 및 2종), 진료유형별(입 원, 외래, 약국)로 총 진료비 증가에 기여한 부분이 상이함

[의료급예종]

■ 입원 : 자연증가 요소 외에 총 진료비 증가에 적용인구1인당 입원 일수 기여도가 큼

■ 외래 : 적용이구1인당 내워일수의 기여도가 상대적으로 큼

■ 약국 : 적용인구1인당 입 • 내원일수보다는 내원일당 진료비가 총 진료비 증가에 기여한 정도가 매우 큼

[의료급여 2종]

■ 입원 : 자연증가 요소 외에 내원일당 진료비보다는 적용인구1인당 압원알수의 기여도가 매우 큼

■ 외래 : 자연증가 요인에 의한 진료비 증가가 큼

■ 약국 : 내 워일당 진료비의 기여도가 매우 큼

今 적용인구1인당 입내원일수의 증가는 적용인구 중 실제 의료이용 을 한 수진자수(수진율)의 증가와 의료이용을 한 수진자당 내원 일수가 증가한 부분으로 구분되며, 내원일당 진료비의 증가는 의 료서비스의 강도(intensity)의 증가로 해석이 가능함

今 종 진료비 증가에 적용인구1인당 입•내원일수 증가기여율이 큰 의 료급예종의 입원과 외래, 의료급여2종의 입원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진료비 증가에 내원일당 진료비 증가가 크게 기여한 의료급예종 및 의료급여2종의 약국에 대하여 항별 기여도를 분석함

마. 진료비 증가요인별 기여율 종합

표 24. 진료비 증가 요인별 기여율 종합

구분 증가원인 총진료비 증가분

중 기여율

진료비 중가

(100%)

제도적 측면

필요 증가

수가인상 17.4%

급여범위 확대 13.6%

적용 대상자

중가

필요 중가

인구 노령화 0.8%

대상자 확대 37.9%

1인당 내 요일수

(방문일수)

증가

필요

중가 질병의 난이도 증가 불필요

증가

환경적 요인

장기요양서비스 요구의 부적절한 이용 등

(대체서비스 부족) 1.96%*

공급자 요인 공급자 과잉/부당청구

28.3%

환자 요인 도덕적 해이 내원일당

진료비 증가

필요

증가 질병구성의 변화/질병의 난이도 증가 불필요

중가

공급자 요인 공급자 과잉/부당청구 환자 요인 도덕적 헤이

asa

20 ■■ .

구분 증가원인 총진료비 증가분

중 기여율

진료비 증가

(100%)

제도적 측면

필요 증가

수가인상 20.4%

급여범위 확대 14.5%

적용 대상자

중가

필요 증가

인구 노령화 -0.5%

대상자 확대 65.8%

1인당 내요일수

(방문일수)

증가

필요

증가 질병의 난이도 증가

2.86%*:

불필요 중가

환경적 요인

장기요양서비스 요구의 부적절한 이용 둥

(대체서비스 부족)

공급자 요인 공급자 과잉/부당청구 환자 요인 도덕적 해이

내원일당 진료비

증가

필요

증가 질병구성의 변화/질병의 난이도 증가 불필요

증가

공급자 요인 공급자 과잉/부당청구 환자 요인 도덕적 해이

주 : * 의료급여 총 진료비 증가에 질병구성 및 질병난이도 증가가 미치는 영향(기여율)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