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체면 민감성(Social-Face Sensitivity)의 개념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36-39)

(2007)는 이러한 체면 민감성이 권위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한국인 의 특성에 따라 현대사회에서 과시소비 형태로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체면 민감성이란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이 체면에 대해 얼마나 중 요하게 생각하는가를 나타내는 특성으로서(장해순, 한주리, & 이인희, 2008),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정도이자 자신의 행동이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는 정도이자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평가받거나 관찰될 수 있음 을 의식하고 이로 인해 불안을 느끼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상생활에서 체면을 얼마나 중요시하는가를 반영하는 개념이므로 단순한 체면과는 차이가 있으며, 사회적 신분이 높고 권위적인 성격이거나, 자신 의 이미지 및 명예를 중요시하는 사람, 내성적이거나 소극적인 성격, 예 절이나 관습을 중시하는 사람이 체면 민감성이 높다(최상진, 2011). 또한, 체면 민감성은 사회생활에서 자신의 신분이나 지위, 인격, 또는 도덕성과 능력에 대한 타인의 인정이나 승인 및 사회적 불안에 대한 민감성을 의 미한다(김양하, 200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바탕 으로 체면 민감성을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평가받거나 관찰되는 것을 의식하는 정도라고 정의하였다.

최상진과 최인재(1999)는 체면 민감성에 대한 경험적 인과관계 분석을 최초로 시도하였는데, 체면을 창피 의식성 체면, 자괴 의식성 체면, 사회 격식성 체면의 3가지 하위차원으로 구분하여 측정한 후, 체면 민감성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최상진과 김기범(2000)은 기존의 체면 욕구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체면 민감성 척도 (최상진, 최인재, & 김기범, 1999)를 보다 정교하게 수정·보완하였는데, 창피의식성은 남에 대한 평가에 민감하고, 남의 시선을 의식하는 민감성 을 의미한다. 그리고 자괴 의식성은 위신과 부끄러움, 거절에 대한 걱정 등에 대한 정도이며, 사회 격식성은 교양과 예절, 격식을 중요시하고 조 심하는 정도이다.

한편, 정명선과 김헤진(2009)은 최상진과 김기범(2000)의 측정항목을 바탕으로 체면 민감성을 측정하고, 체면 민감성의 하위요인을 남의 시선 을 의식하는 ‘타인 의식성’과 격식과 예의, 교양있게 행동하려고 노력하

는 ‘사회 격식성’, 의견이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기분이 상하거나 부끄러움을 느끼는 ‘자괴 의식성’의 3가지 요인으로 분류했다. 박상룡과 김선아(2007)는 체면 민감성의 하위요인을 창피 의식성, 형식 격식성, 타 인 의식성으로 분류하였고, 창피 의식성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부끄럽거 나 창피함을 느끼는 정도이다. 그리고 형식 격식성은 형식과 격식에 어 긋나지 않으려고 하는 심리이며, 타인 의식성은 타인에 대한 의식 정도 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앞선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체면 민감성의 하 위요인을 ‘타인 의식성’, ‘자괴 의식성’, ‘사회 격식성’의 3가지 하위요인으 로 분류하고, 타인 의식성은 타인의 시선이나 타인의 평가를 의식하는 정도이며, 자괴 의식성은 위신과 부끄러움, 거절에 대한 걱정 등에 대한 정도이며, 사회 격식성은 교양과 예절, 격식을 중요시하는 정도로 정의하 였다.

<표 3> 체면 민감성의 하위요인

체면 민감성 하위요인

타인 의식성 타인의 시선 또는 타인의 평가를 의식하는 정도

자괴 의식성 위신과 부끄러움, 거절에 대한 걱정 등에 대한 정도

사회 격식성 교양과 예절, 격식을 중요시하는 정도

Dalam dokumen 비영리 - S-Space - 서울대학교 (Halaman 3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