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한국의 공공외교 정책
한국은 공공외교의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었지만 2010년을 공공 외교의 원년으로 선포하였으며, 기존의 정무‧
경제외교와 함 께 공
공외교를 외교의 3대 축으로 설정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 다.43) 구체적으로 2010년 5월에 「한국 공공외교 포럼
」을 창설한데 이어 2011년 9월에 공공외교 대사를 임명하였고, 2012년 1월에는 문화외교국 산하에 공공외교정책과를 신설하였다. 그리고 2016년 1월에는 정책 공공외교 전담부서(정책 공공외교담당관실, 지역공 공외교담당관실)를 신설하는 한편, ‘공공외교정책과’를 ‘공공외교 총 괄
과’로 명칭
을 변경하는 등 정책 공공외교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개편
하였다.44)이
처럼 외교부는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공공외교포럼, 쌍
방향 문 화교류 증진사업 등을 수행해왔고,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류확 산 및 한국어(학)
‧태권
도 진흥, 재외공관 문화 전시장화, 청년‧시니 어 공공외교단 등 다양한 사업
을 통해 공공외교의 활성화를 위해 노 력하고 있다.45)특히, 한국 정부는 공공외교의 통합적‧
체계적 수행을 위한 목적
으로 2016년 8월에 발효된 「공공외교법」에 근거하여 2017년 8월 공 공외교위원회를 출범시켰다. 공공외교위원회는 범
정부 차원의 공공 외교 통합조정기구로서 외교부 장관이 위원장이며, 기획재정부
‧교43) 전병곤 외, 뺷중국인의 한국에 대한 인식조사뺸(서울: 외교부, 2017), p. 9.
44) 위의 책, p. 9.
45) 외교부 홈페이지 참조, <http://www.mofa.go.kr/www/wpge/m_22713/contents.do>
(검색일: 2021.6.8.).
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외교부‧통일부‧행정안전부‧문화체육 관광부
‧농 림축산식 품부 차관, 국 무조정실 차장
등 9개 정부 부처의 당연직 위원9명과 관련 정부 부처의 임명직 위원 5명, 그리고 민간 위원 5명 등 총 20명으로 구성된다.46)공공외교위원회의 제1차 회의(2017.8.10)에서는 「제1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2017-2021년)」 확정, 공공외교 추진기관 지정, 중
앙부 처간
‧중앙부처-지자체간 협업 및 민간의 공공외교 역량 활 용
방안, 일반 국민의 공공외교에 대한 인지도 제고 및 사회적 공감 대 확산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47)공공외교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확정된 「제1차 대한민국 공공외 교 기본계획(2017-2021년)」은 「공공외교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 해야 하는 기본계획이며, 이 기본계획에 의거 2018년부
터 매년 공공
외교 종합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중앙부처와 지자체, 재외공관 등 공
공외교 주체들이 체
계적인 공공외교 활동을 수행해왔다.48)46) 외교부, 「제1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2017-2021)」, p. 15.
47) 외교부, “공공외교위원회 제1차 회의 개최,” 2017.8.9., <https://www.mofat.go.kr/
www/brd/m_22721/view.do?seq=3113&srchFr=&srchTo=&srchWord
=&srchTp=&multi_itm_seq=0&itm_seq_1=0&itm_seq_2=0
&company_cd=&company_nm=&page=22> (검색일: 2021.6.8.).
48) 외교부, 뺷2021년도 공공외교 종합시행계획 Ⅰ권뺸(서울: 외교부, 2021), p. 3.
<그림 Ⅲ-1> 한국 공공외교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비 전
목 표
“국민과 함께, 세계와 소통하는 매력 한국”
풍부한 문화자산을 활용한 국격제고 및 국가이미지 강화
한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 확산
우리 정책에 대한 전략 환경 조성우호적
공공외교 주체의 역량강화와 상호 협업체계 정착
추 진 전 략
문화 공공외교선진문화국가로서의 매력 확산 풍부한 문화자산을 활용한 호감도 증진 쌍방향 문화 교류를 통한 소통 강화
지식 공공외교
한국의 역사, 전통, 발전상 등에 대한 이해 제고
한국학 진흥 및 한국어 보급 확대
정책 공공외교
주요국 대상 우리 정책에 대한 이해도 제고 정책 공공외교 외연 확대 국내외국인 대상 정책 공공외교 활동 강화
국민과 함께하는 공공외교
공공외교 인프라
국민 참여형 공공외교 체계화 민·관 협업을 통한 국민 공공외교 강화
중앙부처-지자체-민간간 협업 및 조율 체계 확립 공공외교 국제 네트워크 강화
선순환적 공공외교 성과평가 체계 확립 정보공유와 소통을 위한 온라인 시스템 구축 공공외교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실시
출처: 외교부, 「제1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2017-2021)」, p. 11.
이 기본계획
은 ‘국민과 함 께, 세계와 소통하는 매
력 한국’이란 한 국 공공외교의 비전 아래 4개의 목표와 6개 전략부문, 15개 추진전략
및 50개 중점추진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49) 4개의 목표는 ①풍부한 문화자산을 활용한 국격 제고 및 국가 이미지 강화, ②한국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해 확산, ③우리 정책에 대한 우
호적 전략
환경
조성, ④공공외교 주체의 역량강화와 상호 협업체계 정착이다. 그
리고 6개 전략부문은 공공외교 추진체계 확립, 문화 공공외교, 지식 공공외교, 정책 공공외교, 국민과 함께하는 공공외교, 공공외교 인 프라 강화 등이다(<그림 Ⅲ-33>참
조).이
처럼 통합조정기구인 공공외교위원회가 설치됨에 따라 한국의
공공외교는 중앙
정부간, 중앙과 지방정부간, 정부와 민간 등 공공외 교 수행 주체 간 거 버넌스를 형성하게 되었다. 물론 공공외교의 특
성상 다양한 주체로 인한 분산성과 중복성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공 공외교 주체들이 상 호
조율
과 협업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점에 서 한국 공공외교의 추진체계는 강화되었다고 평가된다. 또
한 국가별
, 지역별 맞춤형 전략을 수립하고 국민참여형 공공외교의 도입과활
성화를 모색함으로써 공공외교의 목표와 주체, 자원과 대상 등이 상호 협력적이고 체
계적인 수행이 가능해졌다.이러한 공공외교의 추진체계 내에서 한국의 평화‧통일 공공외교 가 수행된다는 점에서 한국의 평화‧통일 공공외교의 추진도 체계적 일 수 있다. 그러나 평화와 통일 관련 공공외교에 집중할 경우, 특히 한반도 통일과 밀접한 이해관계를 갖고 있는 주변 4국을 대상으로 할 경우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지 점
검
할 필요가 있다. 이하 에서는 한국의 대주변 4국 공공외교 추진체계를 목표, 주체, 자원
(산), 매체, 대상으로 구분하여살펴보고자 한다.
49) 외교부, 「제1차 대한민국 공공외교 기본계획(2017-2021)」, p. 11.
나. 한국의 대주변 4국 평화 ‧ 통일 공공외교 추진체계 (1) 미국
(가) 목표
평화‧통일 공공외교의 주된 목적은 국제사회 속에서 한반도의 평 화와 통일을 위해 유리한 조건과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라 할 수 있 다.50) 정부가 명시적으로 밝히는 평화‧통일 공공외교의 목표도 이 와 다
르지 않다. 통일부는 「2021년 주요업무 추진계획」보고를 통해
‘국제사회 평화‧통일 기반 조성’을 위해 통일 공공외교를 강화하겠
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여기서 목적으로서 평화와 통일의 의미를 조금 더 구
체적으로 검 토
할 필요가 있다. 평화와 통일은 사실상 순차적 성격을 가진다. 한
국이 민족공동체통일방안에 근
거한 통일을 추구한다면, 그 통일은급격하게 이루어지거나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을 일방적으로 흡수 하는 방식의 통일이라기보다는 남북 간 화해‧협
력 단계 등 평화적 공존 상태를 거치는 점진적 과정에서 장기적으로 도 출되는 결과일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통일을 위한 기반 조성은 현실적으로 혹은 중단기적으로는 남북관계의 발전을 위한 기반 조성의 의미를 가진 다. 그리고 남북관계의 발전은 남북 간 적대관계의 해소로부터
시작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반도의 평화라는 보편적 가치의 실현과 직결 되는 문제이기도 하다.따라서 평화‧통일 공공외교의 실질적 목적은 중단기적으로 한반 도 평화의 증진과 남북관계의 발전을 위한 국제사회 기반 조성이라 할 수 있다. 통일이 장기적 국가정책 목표로서 타당하지만, 그 목표 에 초점을 맞출 때 통일에 이르는 과정, 즉 남북 간 화해와 교류‧
50) 평화‧통일 공공외교의 개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보고서의 제2장 참조 바람.
협력을 통한 관계의 발전이라는 우 선적 목표의 중요성이 간과될
수 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현시점에서, 평화와 직결될 수 있는 남북 간 교류
‧협력의 증진과 관계의 발전이 국제사회에서 통일보다 더욱
보편적으로 공감대와 지지를 얻을 수 있는 가치일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미국에 대한 평화‧통일 공공외교의 목표도 ‘한반도 평화의 증진 과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국제사회 기반 조성’이라는 일반적 목표와 다
르지 않다. 다만, 현재 시점에서 미국은
여러 국가들 중에서 가장
중요할 수 있는 공공외교 대상이라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첫째, 한반도 평화의 증진을 위한 당면 정책목표는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협상의 진전이며, 이 목표의 실현을 위해 미 국의 지지와 협력은 (북한의 협
력을 제외하고는) 가장 필수적인 요 소이기 때문이다. 둘째,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국제적 기반 조성을 위해서도 미국은 가장 중요한 공공외교 대상이다. 주지하듯
이 현재 와 같은 강력한 대북제재가 지속될 때 남북 간 교류‧협력의 증진은
한계가 뚜렷할 것이며, 대북제재의 완화 혹은 해제의 열쇠를 쥐고 있는 것은 바로 미국이다. 따라서 대미 공공외교를 통해 남북 교류‧
협력에 관한 미국 내 지지 여론을 확대하는 것 은 중차대한 과제라
할 수 있다.(나) 주체
대미 평화‧통일 공공외교의 주체는 행정부와 국회, 그리고 학계 및 전문가 집단으로 대표될 수 있다. 평화‧통일 공공외교의 목표를 고려할 때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체는 대북정책을 실질적으 로 추진하는 정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입법기관으로서 대북정책의 제도화를 추진하며, 정부의 대북정책을 정치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