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배경
○ 4월 16일 09:40 인터넷 뉴스를 통해, 사고 상황 인지
○ 09:40~10:20 주요 연구자 상황 전파 및 수치모의 준비
○ 10:45 해양경찰청 방제기획과 김정환 주무관으로부터 사고위치 유류확산 예측자료를
최초로 요청 받음.
○ 11:50 수색구조 및 유류유출 예측 자료를 해양경찰청 수색구조과 신광일 경감, 방제
기획과 김정환 주무관, 해양수산부 해양영토과 임채호 사무관에게 최초 발송
○ 11:53 원장, 제1부원장 보고
○ 17:53 고해상도 수치모의 결과를 이용한 수색구조 예측 자료를 해양경찰청 수색구조
과 신광일 경감에게 발송
○ 잠수작업을 위한 해상상태 예측 자료를 4월 17일부터 생산하여 제공
○ 수색작업 종료시(11월 18일)까지 해상상태, 수색구조 예측자료 지원
나. 실적
○ 해상상태 예측보고서, 유류유출 예측보고서, 수색구조 예측보고서를 ‘범대본’, 해양수 산부, 유실방지 T/F팀 요청자료 등에 제공
-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유실방지 T/F팀
- 안전행정부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정보연구실 중앙119구조본부 긴급기동팀 수
난구조
- 해양수산부 : 해양영토과, 해양환경정책과
- 국립해양조사원 : 해양관측과
- 해양경찰청 : 수색구조과, 방제기획과, 해경 3009함 (현장지휘함)
- 해군 : 작전사령부 상황실, 3함대 상황실, 독도함 상황실
○ 연구원 7명상시 투입 (책임급 2명, 선임급 1명, 원급 4명)
○ 운용해양(해양예보) 시스템을 이용한 사고 지원
○ 범대본 회의 참석 3회/3명
다. 내용
○ 해상상태 예측 보고서
- 침몰 지점의 3차원 유속, 유향, 파고, 파향, 조위, 풍향, 풍속 예측 정보 및 검증 결과 지원
- 10분 간격의 72시간 예측 자료 지원
- 4월 16일 ~ 4월 20일: 일 2회, 4월 21일 ~ 11월 18: 일 1회 지원
[그림 28] 사고지점 유속(실선), 유향(화살표) 예측자료(6.13. 예측)와 관측 표층 유속 (붉은점, 국립해양조사원 부이)
[그림 29] 사고지점 유속(실선), 유향(화살표) 예측자료(6.14. 예측)와 관측 표층 유속 (붉은점, 국립해양조사원 부이)
○ 유류유출 예측 보고서
- 사고지점으로부터 72시간 유류확산 예측 자료 지원
- 선박으로부터 벙커C유(200㎘) 유출을 가정한 이동확산 예측정보 제공
- 자료 지원 종료 (7월 11일, 유류유출 없음)
12시간 후 24시간 후
36시간 후 48시간 후
[그림 30] 사고해역 주변 유류유출 예측 자료 (6.14. 예측)
* 6월 13일 오후까지의 유출류는 방재작업이 모두 완료되었음을 가정하고,
이후 48시간 (6.13.21:00~6.15.21:00) 동안 벙커C유 2㎘의 유출만을 가정하였으며, 방제작업의 영 향은 무시함
○ 수색구조 예측 보고서
- 침몰 사고 주변 해역의 표류위치 예측 정보, 표층 표류 희생자 및 중층 표류 희생자의
수색범위 예측 정보, 최대 표류 범위, 집중수색구역 자료 제공
[그림 31] 수색구조 표층 표류예측 결과
(5.28~6.3. 발생한 표류자의 6.14.09:00 기준 범위)
[그림 32] 수색구조 표층 표류예측 결과
(5.28~6.13. 발생한 표류자의 6.14.09:00 기준 범위)
[그림 33] 수색구조 표층 표류예측 결과
(6.1.21:00에 발생한 표류자의 6.14.09:00 기준 이동경로와 신뢰구간)
* 6.1.21:00는 6.5.06:30 인양된 사망자의 역추적 결과에 따른 유출 가능 시간임.
○ 범정부 사고대책본부 요청자료
- 유실방지를 위한 시신 유실 예상 범위 자료 : 유실방지 해상/항공 수색 계획 수립 자료
- 유류품에 대한 역추적 결과 지원
[그림 34] 6.5.06:00경 인양된 사망자에 대한 역추적 결과 (6.1.22:00에 침몰 선박에서 유출된 것으로 추정)
라. 개선/건의사항
○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