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연구 결과
3) RC 실무 담당자들의 업무 이해도 환기
셋째, RC교육의 향후 전망에 대한 실무 담당자들의 현실성과 이해도가 분명 히 있어야 한다. 사실상 실무 담당자들의 관심과 판단이 새로운 RC교육 시스 템을 개발하고 지원하는 데 유용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현재 RC교육은 신입 생이 처음 대학에 입학하여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받는 대표적인 교육 시스템 으로서 RC교육의 주 대상은 바로 신입생이다. 신입생은 실무 담당자들이 관리 하는 교육 시설에 거주해야 하며, 담당자들은 해당 시설에 거주하는 학생의 학업과 개인생활 전반에 책임을 맡는다. 이번 연구에서 FGI 조사에 응답한 응
답자들은 현재 학생 관리를 도맡아 교육을 진행하는 실무 담당자들이 대부분 이었다. 응답자들을 통해 RC교육에 있어 향후 계획이 있는지 확인하며, RC교 육의 내실화와 선진화를 위한 운영자의 고민과 관점이 뚜렷하게 설정되어 있 는지 그 내용에 대한 질의를 함께 진행하였다. 아래는 이에 대한 응답자들의 답변이다.
①“저는 요즘 고민하고 있는 게, RC 인성 교육을 내가 제대로 알 고 하는가라는 질문을 계속 던지고 있고, 지금도 그 질문을 하고 있거든요. 그래서 저도 아이들 앞에 서면서 저의 인성에 대한 도 전도 받고, 저도 계속 같이 아이들과 변화해야 된다는 생각을 많 이 하고 있어요. 그래서 요즘의 대학생들이 원하는 게 무엇이고, 그 아이들의 인성에 도움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일단 고민을 계 속해 봐야 되고요. 마음이 힘들거나 좀 힘든 아이들이 많이 들어 올 때, 그 아이들은 또 어떻게 보듬어서 같이 가야 될지도 고민해 야 되고. 그리고 이것을 2~3주간의 프로그램 안에 다 녹여내야 되 다 보니까, 그럼 핵심적인 사항을 애들이 나갈 때 무엇을 가지고 나가게 해야 될지, 그 고민도 계속 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요즘 많은 피드백 중의 하나가 인지적으로, 머릿속으로 만 활동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아이들이 많이 소중하게 느끼고, 실천해야겠다는 다짐들을 하게끔 하려고 해요. 지금 저희 가 고민하고 있는 것은 약간 문화 예술 쪽으로, 음악이나 미술 활 동이나 몸을, 동작을 움직이거나, 이런 활동을 통해서도 아이들이 조금 더 동기 부여도 되고, 그냥 머리로써 끝나는 게 아니라, 아까 말씀 드린 통합적 교육이 일어날 수 있도록 그런 방법적인 면을 지금 고민하고 있고요. 그리고 지금 현재 시범적으로 세부 활동에 그런 면을 조금씩 넣었어요. 그래서 아이들이 정서적으로 느끼고, 내가 정말 나가서 이렇게 살아야겠다는 걸 할 수 있게끔 하는 그 런 고민들을 쭉 해 봐야 된다는 게 제 개별적인 고민입니다.” (A 대학, 응답자1)
②“저희 학교의 RC교육의 특징 중에 가장 큰 특징은 교육을 인 성 교육을 하고 있다, 그게 가장 큰 특징이 아닐까요. 저희는 RC
교육을 그냥 인성 교육이라는 콘텐츠로 들어가거든요. 그래서 굉 장히 정성을 들여서, 다른 교육도 마찬가지지만, 인성 교육은 정말 정성이 들어가는 교육이에요. 그리고 아이들이 인격적으로 대우받 고 있다, 이 느낌이 있어야 나가서 본인들도 이렇게 베풀어야 되 는 거구나, 이렇게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학교 건물을 투어하시면 아시겠지만, 정말 여기 안에서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신경 을 나름대로 많이 썼거든요. 애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그래서 저는 저희가 향후 인성 교육의 메카라고 하면 좀 너무한 가요. “아, 정말 A대학 인성 교육 정말 잘한다.”, “A대학 학생 들은 인격적인 대우 참 잘하지.”이렇게 누구나 다 인정하는 대학 으로 만들고 싶고, 그렇게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A대학, 응답자2)
③ “지금은 초창기기 때문에 다들 이렇게 잘하려고 노력도 하고, 총장님의 의지라든가 이런 걸 얘기를 할 때, 그 과정을 잘 알아서 이렇게 하지만, 이게 또 시간이 되면 지금처럼 탄력을 갖고 할지 는 모르겠지만 이런 것 같아요. 어떤 결과물이 나오게 되면 그 결 과물을 지키기 위해서 그때부터는 계속 노력을 해야 하는 것 같아 요. 처음에 어떤 사업을 위해서 한 거라면 시간이 가면 좀 흐트러 질 수도 있지만 그 결과물이 나오고 그게 정말 학교 발전에 도움 이 된다고 했을 때는 학교에서 교비로라도 순수 예산을 투입을 해 서, 운용 예산으로 운영을 해야 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을 드리면 저희가 이 사업을 하면 서 제일 중요하게 생각한 거는 학과 지도교수님도 신입생도 중요 하지만 재학생 멘토예요. 그래서 재학생 관련된 멘토링도 확대를 하고 있고요. 재학생 관련된 ASP 신청이나 모든 학생들은 졸업할 때 비교과 활동 확인서, 비교과 활동 확인서를 클릭하면 전산화로 요렇게 출력해서, 총장님 직인이 찍힌 활동서를 받을 수 있게 합 니다. ASP를 하게 되면 재학생들도 이 확인서를 다 줄 입장에 있 고요. 그러기 때문에 학생들한테도 저희가 가지고 있는 시스템에 탑재를 해서, 활동 유도를 더 하고 있지요. 그렇게 해서 재학생들 까지 확대를 하고 있고요.
또 환경적인 게 굉장히 중요한 것 같아요. 저는 이 일을 하면서, 관건은 장치 시설이라는 얘기를 하거든요. 그 대표적인 케이스로 저희는 학생들이 와서 편안하게, 본인들이 공부도 하고, 대화도 하 고, 여러 가지 비교과 다른 활동을 할 수 있는 그런 공간을 만들 었어요. 조용한 분위기에서 자기가 원하는 것들을 할 수 있는 걸 로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환경으로 꾸며 보자고 만들었어요. 그리 고 오픈을 했더니 다행스럽게 정말 학생들이, 여태까지 학생들도 시끄럽다, 떠들지 마라 하는 소리 단 한 번도 한 적이 없어요. 학 생들이 그 분위기에 맞춰서, '아, 여기는 이렇게 하는구나', 이렇게 시설에 맞춰서 움직이는 걸 저희가 배웠거든요.
그래서 장치 시설이라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저희가 굉장히 많 이 깨달았고, 향후에도 그런 쪽에 변화를 줘야 되지 않겠나, RC를 하려면 많은 활동을 해야 되는데, 활동실이나 이런 것들도 활동 목적에 맞춰서 준비를 해 줘야 되지 않을까. 학생들이 시설이나 공간이 있어야 목적적인 걸 달성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굉장히 많 은 프로그램들을 할 수 있으니까 기본적으로 이런 환경적인 것을 만들어 놔야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B대학, 응답자1)
④ “RC를 할 때 처음에는 다 비교과 과목을 프로그램으로 하다 가 이것 갖고는 도저히 안 되겠다, 그래서 교과 프로그램을 시작 했어요. 교과 과정이 생활관 RC에도 필요하다는 생각을 교수들이 갖고 있기 때문에. 지금은 현재 이 교과 과정 중에 단순히 교양 과목만 하고 있잖아요. 그런데 교양 과목에서 좀 더 심화된 교양 과정을 한다면 금상첨화겠지요. 좀 더 심화돼 있는, 그쪽을 생활관 RC에서 만들어 줄 수 있다면 좋겠지요. 그리고 그렇게 만드는 것 을 우리 같은 경우, 학부하고 교무팀하고 그쪽에서 협조가 되어야 지만 가능한 건데, 그게 아니라 우리가 자체적으로 그런 교육 과 정을 만들어서 학생들한테 학점을 줄 수 있는 날이 되면 더 많은 것들이 만들어지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합니다. (C대학, 응답자1)
⑤ “저희 C대가 RC제도를 시작하면서 학생들의 어떤 변화 추이 나 이런 부분들을 계속 연구를 하고 있는 상황이고요. 그리고 기
본적으로 저희가, 가까운 미래에 대학에서도 인성 교육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춰서 인성에 대한 부 분들을 많이 다룰 거예요. 그리고 RC 내에서도 또는 학교의 장기 적인 발전에서도 인성 교육 센터를 신설할 생각을 하는 부분들이 있어요. 그런 쪽으로 접목을 시켜서 인성 교육을 좀 더 강하게 하 면서 다른 대학들에게 정보를 교류하고 싶어요.
그리고 1학년 학생이 RC를 접해서 RC에 멋모르고 들어와 가지 고 이렇게 하는데, 접해서 4학년 졸업할 때까지 어떤 변화가 있느 냐, 그러니까 4년차 계획으로 연구를 지금 하고 있는 중이에요. 그 래서 그 과제가 조금씩 나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확 나아지거나 뭔가 눈에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올해로 3년차인데 설문 조사를 통해서 1학년 때 했던 학생이 4년 동안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꾸 준히 표본 설문을 하고 있고, 조사를 하고 있거든요. 그 연구가 다 되면 저희가 4년 연구를 마치고 각 대학들하고도 정보를 나눠 볼 까, 그렇게 계획은 하고 있는 중입니다. 결국에 요지는 대학에서도 인성을 할 수 있다, 인성 교육이 가능하다, 그 부분입니다. 그런데 그게 생활관에서 같이 함께 한다는 것. 고민이나 전망은 그런 부 분들인 것 같아요.” (C대학, 응답자2)
응답자들은 본인들이 소속된 학교의 특수성을 감안해 RC 프로그램 내용, RC 프로그램 시설, RC 프로그램의 방향성에 대해 뚜렷한 의식과 나름의 고민 이 있었다. 분명한 것은 이 같은 고민들이 끊임없는 모색과 진지한 논의로 확 산된다면 우리나라 대학의 RC교육 전반에 걸쳐 새로운 패러다임이 마련될 수 있다는 점이다. 고유 환경에 따른 변화와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RC교육이 추구하고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엿볼 수 있었던 주요 응답들이었다.
또한 FGI에 응답한 응답자들은 공통적으로 RC교육의 방향 설정과 그에 따 른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 지원 방안을 심도 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 했다. 그러한 노력이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안목이 될 것이라는 전망에 동의하며 각자의 자리에서 문제의식을 내놓았다.
FGI 조사를 통해 살펴본 실무자들의 관점은 RC교육의 현장이기에 들을 수 있 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응답들이었기에 더욱 유의미했으며, 응답의 많은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