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秦代의 罰金刑과 贖刑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秦代의 罰金刑과 贖刑"

Copied!
23
0
0

Teks penuh

(1)

林 炳 德 (忠北大)

Ⅰ. 머리말

Ⅱ. 岳麓秦簡의 貲罰刑과 贖刑

Ⅲ. 里耶秦簡의 貲罰刑과 贖刑

Ⅳ. 맺음말

Ⅰ. 머리말

秦代의 貲罰刑은 ‘貲 1甲’ㆍ‘貲 1盾’ 등의 단어로 나타난다. 일찍이 沈家本은 齊國에서 管子가 甲兵이 부족하여 甲兵으로 贖하게 하는 “使 以甲兵贖”의 제도를 시행하였음을 지적하였다.1) 이와 같은 맥락에서 秦의 ‘貲甲’ㆍ‘貲盾’의 제도를 이해하기도 한다.2) 그러나 秦의 ‘貲甲’,

‘貲盾’은 용어상 언뜻 무기를 바치는 것으로 보이지만 甲과 盾은 청동 과 피혁으로 만들어졌고 매우 정교하였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쉽게 만 들 수 없다. 甲과 盾은 전문 장인만이 만들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일 반인들은 甲과 盾으로 만들어 납부하였다기 보다는 甲과 盾 대신에 대 체로 錢納으로 대신하였을 것이다.3) 이러한 기존의 견해는 2012년에 출간된 里耶秦簡4)과 2011년에 출간된 岳麓書院藏秦簡5)에 의해서

1) 沈家本 撰, 歷代刑法考 一 (中華書局, 1985), p.436.

2) 孫力, 「罰金刑的歷史沿革」 (罰金刑硏究, 中國人民公安大學出版社, 1995), p.4.

3) 劉海年, 「秦律刑罰考析」 (雲夢秦簡硏究, 中華書局, 1981), p.195.

4) 湖南省文物考古硏究所 編, 里耶秦簡(壹) (北京: 文物出版社, 2012).

5) 岳麓書院藏秦簡(貳) (朱漢民ㆍ陳松長 主編, 上海辭書出版社, 2011).

(2)

입증되었다. 왜냐하면 里耶秦簡(壹)과 岳麓書院藏秦簡(貳)에 ‘貲甲’

ㆍ‘貲盾’ㆍ‘金’에 대해서의 화폐 秦代의 환산 가격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 보다 앞서 里耶發掘報告에는6) 陽陵縣의 士伍에 대한 貲錢 혹은 贖錢에 대한 적지 않은 기록이 나와 주목을 받았다. 또한 岳麓書院秦 簡에 의해 貲는 甲ㆍ盾에 의해, 贖은 馬甲을 단위로 하는 것이 처음 으로 알려지면서 秦律의 貲刑이 후대의 罰金刑과는 성격이 다르고 秦 律에는 罰金이라는 刑罰名이 없다는 所說은7) 二年律令 以後 이미 비판을 받고 있었지만,8) 더욱 설득력을 잃게 되었다. ‘貲甲’ㆍ‘貲盾’에 대한 종래의 환산 가격이 추정이었고 또한 그 추정을 근거로 많은 분 석이 이뤄졌다면 이제는 里耶秦簡(壹)과 岳麓書院藏秦簡(貳)에 나 온 기록을 통해 秦代의 貲罰刑과 贖刑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 서는 주로 里耶秦簡(壹)과 岳麓書院藏秦簡(貳)에 나오는 ‘貲甲’ㆍ

‘貲盾’ 에 대한 환산액을 기준으로 秦代의 罰金刑과 贖刑을 재검토하 고자 한다.

Ⅱ. 岳麓秦簡의 貲罰刑과 贖刑

종전에 ‘貲甲’ㆍ‘貲盾’에 대해서는 환산가격을 추정하는데, 가장 중요 한 근거가 되었던 것은 睡虎地秦簡 「法律答問」의 다음과 같은 내용 이었다.

① 當貲盾, 沒錢五千而失之, 可(何)論? 當誶(마땅히 순을 내도록 하는 벌 금형을 내렸어야 함에도 5,000전을 몰수하도록 부당하게 판결하였을 경우, 어떻게 논죄해야 하는가? 응당 견책해야 한다).9)

6) 里耶發掘報告 (岳麓書社, 2007).

7) 冨谷至, 「漢代の財産刑」 (秦漢刑罰制度の硏究, 同朋社, 1998), p.188.

8) 任仲爀, 「秦漢律の罰金刑」 (中國古中世史硏究 15, 2006년 2월).

9) 睡虎地秦墓竹簡整理小組, 睡虎地秦墓竹簡 (文物出版社, 1978)을 통상 睡虎 地秦墓竹簡의 사료로 했는데, 최근 陳偉를 중심으로 睡虎地11號秦墓竹簡ㆍ

睡虎地4號秦墓木牘ㆍ龍崗秦墓簡簡ㆍ郝家坪秦墓木牘ㆍ周家臺秦墓木牘

(3)

그 다음으로 二年律令 150-151號簡의 「捕律」의 다음 내용도 주 목을 받았다.

② 捕從諸侯來爲閒者一人,

(拜)爵一級, 有(又)購二萬錢. 不當

(拜)爵者, 級賜萬錢, 有(又)行其購. 數人共捕罪人而當購賞, 欲相移者, 許之(諸侯國 에서 온 爲閒者 1人을 잡아들이면, 爵 1級을 수여하고, 또한 2萬錢을 購賞한다. 爵을 수여하는데 합당하지 않은 者는 1級에 1萬錢을 賜與하 고, 또한 그 포상을 行한다. 여러 사람이 함께 罪人을 잡아들여 포상할 (대상에) 해당되는데, 서로 移讓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것을 허락한 다).10)

①에서 나오는 5,000전을 貲1盾의 가격으로 보고 ②에서는 작1급 대신 1만전 사여라는 내용을 작1급=1만전으로 유추하여 堀毅와 若江 賢三은 秦律의 刑罰과 贖額과의 대응관계를 복원하여 秦律의 刑罰과 贖錢額을 다음 표와 같이 고찰하였다. 城旦을 비롯한 秦의 勞役刑徒에 형기가 있었을 것이라고 판단한 堀毅는 秦律을 근거로 貲盾의 액수가 5,000전이라고 해석하고 完城旦舂의 贖錢額을 8만전으로 보았다. 노 역으로 속형을 대신하는 사람은 하루 6전 내지 8전으로 계산한다는 秦律의 내용을 근거로 1년의 贖錢額을 2,600錢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贖錢의 금액으로 환산하여 完城旦은 30여 년에 해당하는 勞役刑徒일 것이라 하였다.11)

ㆍ嶽山秦墓木牘 등이 정리되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 인용하는 睡虎地秦 墓竹簡도 陳偉가 主編이 되어 출간한 秦簡牘合集에 따른다(睡虎地秦簡 「 法律答問」 48號簡, 陳偉 主編, 秦簡牘合集, 武漢大學出版社, 2014, p.213).

10) 張家山二四七號漢墓竹簡整理小組, 張家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釋文修訂 本) (北京: 文物出版社, 2006), 150~151號簡. 張家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

에 대해서는, 張家山二四七號漢墓竹簡整理小組, 張家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

(文物出版社, 2001); 張家山二四七號漢墓竹簡整理小組, 張家山漢墓竹簡〔二四 七號墓〕(釋文修訂本) (文物出版社, 2006); 彭浩ㆍ陳偉ㆍ工藤元男 主編, 二 年律令與奏讞書 -張家山二四七號漢墓出土法律文獻釋讀 (上海古籍出版社, 2007) 등이 있는데, 이 가운데 필자는 張家山二四七號漢墓竹簡整理小組, 張 家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釋文修訂本) (北京: 文物出版社, 2006)를 기준으 로 인용하도록 하겠다. 이하 二年律令으로 약칭하도록 하겠다.

(4)

刑罰名 贖錢額 5千錢

耐候 1萬錢

耐司寇 2萬錢

耐隷臣妾 4萬錢

完城旦舂 8萬錢

刑城旦舂死罪 8萬錢以上

贖錢額

耐隷臣 贖耐 1萬5千錢

完城旦 貲二甲 2萬錢

黥城旦 贖黥 3萬錢

<표 1>秦律의 刑罰과 贖錢額(堀毅)12) <표 2>秦律의 刑罰과 贖錢額(若江賢三)13)

이에 대하여 徐鴻修는 贖免에 爵 2級이 필요한 隸臣妾의 贖免價는 6만 전에 해당한다고 보고, 居贖의 보수가 1일 8전으로 되어 있으므 로 贖免價 6만전은 도저히 贖徒價로 해석할 수 없고 贖奴價로 보아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14) 이에 대하여 若江賢三은 다음과 같은 논리로 형기를 산출하였다.15) ① 秦律에 爵二級을 돌려주어 친부모의 隸臣妾 한사람을 면제해준다는 규정에 의하면 隸臣妾刑은 爵2級과 동등한 가 치가 있다. ② 商君書 境內篇의 甲首를 얻는 자는 爵 1級의 상을 준 다는 기재를 근거로 爵1級이 1甲에 상당한다. ③ 秦律의 규정으로 판 단해보면 秦의 罰金刑 1甲은 2盾이라는 관계가 성립된다. ④ 秦律의 「 法律答問」에 ‘貲盾沒錢五千’이라고 있는 부분에서 1盾=5千錢인 것을 알 수 있다. ⑤ 漢書 「食貨志」에 인용하는 李悝의 말에서 판단하면 평균적인 농민의 일년간 총수입은 약 5千錢이었다. 이상 ①-⑤에서 隸 臣妾刑=爵2級=2甲=4盾=2萬錢=4년간의 농민수입이라는 등식이 성립 되며 隸臣妾刑이 4년형으로 정해진 것이 추정된다는 것이다.

11) 堀毅, 「秦漢刑名攷」 (秦漢刑法史論攷法律出版社, 1988), p.169.

12) 堀毅, 「秦漢刑名攷」 (早稻田大學大學院硏究科紀要 4, 1977).

13) 若江賢三, 「秦律における贖刑制度(上)」 (愛媛大學法文學部論集 18, 1985);

若江賢三, 「秦律における贖刑制度(下)」 (愛媛大學法文學部論集 19, 1986).

14) 徐鴻修, 「從古代罪人收奴刑的變遷看‘隸臣妾’‘城旦舂’的身分」 (文史哲 84-5, 1984), p.18.

15) 若江賢三, 「秦律における贖刑制度(下)」 (愛媛大學法文學部論集 19, 1986), pp.114-120.

(5)

그런데, 岳麓書院藏秦簡(貳)에는 그동안 이러한 논쟁이 얼마나 虛 荒된 주장이었는가를 보여주는 다음과 같은 결정적인 자료가 나오고 있다.

① 貲一甲 直錢千三百卌四, 直金二兩一垂. 一盾直金二垂. 贖耐, 馬甲四 錢 七千六百八十(貲1甲은 1,344錢에 해당하고, 金2兩은 1錘에 해당하고, 一盾은 金2錘. 贖耐는 4馬甲으로 7,680錢에 해당한다).16)

② 馬甲一 金三兩一垂 直錢千□百卄. 金一朱(銖) 直錢卄四. 贖死, 馬甲十 二, 錢二萬三千卌(1馬甲은 金3兩1錘로 1,920錢에 해당. 金1銖는 24전 에 해당. 贖死는 12馬甲으로 23,040전에 해당한다)17)

③ 卄四朱(銖)一兩. 三百八十四朱(銖)一斤. 萬一千五百朱(銖)一鈞. 四百八 十兩一鈞(24銖는 1兩, 384銖는 1斤, 11,500銖는 1鈞, 480兩은 1鈞에 각각 해당한다).18)

④ 十六兩一斤. 卅斤一鈞. 四鈞一石(16兩은 1근, 30근은 1鈞, 4鈞은 1石 에 각각 해당한다).19)

⑤ 四萬六千八十朱(銖)一石. 千九百卄兩一石. 百卄斤一石(46080銖는 1石.

1920兩은 1石. 120斤은 1石에 각각 해당한다).20)(0303)

상기한 관련 기사를 근거로 甲과 盾의 가격을 계산하여 보면, ① 0970簡의 “金一朱 直錢卄四”에 따라 金1銖는 24錢에 해당한다. ② 0957簡의 “貲一甲 直錢千三百卌四 直金二兩一垂”는 1甲은 1344錢이 고 이는 2兩1錘이다. ③金1銖=24錢, 1甲=1344錢, 그러므로 1甲=56銖 이다. ④1兩=24銖, 56銖=2兩8銖, 즉 1甲은 金56銖이고 金2兩8銖이다.

⑤ 1甲은 金2兩1錘, 또한 ④에 의하면 1甲은 金2兩8銖 따라서 1錘는 8銖이다. 또한 “盾”의 가격은 0957簡에 의하면 貲1盾이 金2垂이고 金 2垂는 金16銖이다. 金1銖는 24錢, 따라서 “貲1盾”은 384錢(金16銖)에 해당한다. 4馬甲이 7,680전이므로 1馬甲은 1,920전이다.21) 계산 방식

16) 岳麓書院藏秦簡(貳) (朱漢民ㆍ陳松長 主編, 上海辭書出版社, 2011), 0957 號簡.

17) 위의 책, 0970號簡.

18) 위의 책, 0646號簡.

19) 위의 책, 0458號簡.

20) 위의 책, 0303號簡.

(6)

貲罰 居貲

日八錢 日六錢

貲二甲 112銖(14錘: 4兩 2錘) 2,688錢 336일 448일 貲一甲 56銖(7錘: 2兩 1錘) 1,344錢 168일 224일 貲二盾 32銖(4錘: 1兩 1錘) 768錢 96일 128일 貲一盾 16銖(2錘: ⅔兩) 384錢 48일 64일

貲刑과 贖刑 居貲

日八錢 日六錢

一馬甲 1,920錢 240日 320日

貲一甲 1,344錢 168日 224日

金一兩 576錢 72日 96日

貲一盾 384錢 48日 64日

을 조금 달리하면, ②에 의하면, 1,344전이 金2兩1錘=2⅓兩, 즉 1甲

=金2兩8銖 따라서 1錘=8銖가 된다. 이 결과는 “錙, 六銖也”, “錘, 八 銖也”라는22) 說文解字의 내용과 일치한다. 금1량은 1344÷2⅓=576 錢. 金3兩1錘로 1,920전이므로 金1兩은 1920÷3⅓=576錢이 된다.23)

<표 3>

岳麓秦簡의 貲刑과 贖刑

于振派는 岳麓書院藏秦簡(貳)의 ①~⑤를 기준으로 秦의 貲罰刑을 아래와 같이 도표화하였다.24)

<표 4> 秦의 貲罰刑

岳麓書院藏秦簡(貳)에는 이처럼 貲1甲 1344錢, 貲1盾 384錢, 金1 兩 576錢, 金1銖 24錢과 같은 貲罰刑의 錢 換算額의 표기가 나오기 때문에 秦의 貲罰刑에 대한 岳麓書院藏秦簡(貳) 출간 이전의 모든

21) 于振派, 「秦律中的甲盾比價及相關問題」 (史學集刊 2010-5), pp.36~37.

22) [淸]段玉裁 注, 說文解字注 「金部」 第14篇上 (上海:上海古籍出版社, 1981), p.708.

23) 田村誠, 「岳麓書院數譯注稿(2)」 (大阪産業大學論集(人文ㆍ社會科學編)

17, 2013.2), p.16.

24) 于振派, 위의 글, p.38.

(7)

추정은 무의미하게 되었다. 堀毅와 若江賢三의 추정은 크게 어긋난 것 이었는데, 특히 若江賢三씨의 주장에 대하여는 이미 籾山明씨가 “차원 이 다른 사료를 붙였다는 느낌이 들며 논증 과정에 불안이 느껴지기도 한다”는 지적을 하기도 하였다.25) 岳麓書院秦簡에 의해 貲는 甲ㆍ盾 에 의해, 贖은 馬甲을 단위로 하는 것이 처음 알려지게 된 것도 획기 적이다. 이에 의해 秦에서 이미 벌금형과 속형이 명확히 분리되어 있 음이 확인된다. 貲나 贖에 대한 기준가와 환산액이 명백해지면서 秦律 의 법체계 내에는 罰金이라는 발상은 없었으며, 罰金刑의 직접적인 유 래를 秦律 밖에서 찾아야 한다는 藤田高夫의 견해나26) 貲罰과 罰金刑 은 별개의 계통이라고 하여 그 연속성을 부정한 冨谷至의 所說27)도 과녁을 빗나간 화살이 되었다.

Ⅲ. 里耶秦簡의 貲罰刑과 贖刑

里耶秦簡(壹)에 앞서 출간된 里耶發掘報告에는 다음과 같이 陽 陵縣의 士伍의 貲錢 혹은 贖錢에 대한 많은 기록이 나오고 있다.

① …, 陽陵宜居士五(伍)毋死有貲, 餘錢八千六十四.28)

② …, 陽陵仁陽士五(伍)…有貲錢八百卅六.29)

③ …, 陽陵下里士五(伍)不識…有貲, 餘錢千七百卄八.30) 25) 籾山明, 「秦漢刑罰史硏究の現狀」 (中國史學 5, 1995), p.139.

26) 藤田高夫, 「秦漢罰金考」 (前近代中國の刑罰, 京都: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 所, 1996), p.113.

27) 冨谷至, 秦漢刑罰制度の硏究 (京都: 同朋社, 1998), pp.191-194. 즉, 秦律 에는 벌금이라는 표현이 없고 대신에 貲甲ㆍ盾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漢 律에는 黃金으로 표시된 벌금제도가 운용되고 있으므로, 양자는 연계되지 않 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벌금형의 유래는 秦의 밖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28) 里耶發掘報告 (岳麓書社, 2007), p.185, J1〔9〕1 號簡.

29) 위의 책, p.187, J1〔9〕2 號簡. 金慶浩, 「秦ㆍ漢初의 法律 繼承과 寬刑化 - 儒家的 性格을 중심으로-」 (中國史硏究 97, 2015).

30) 위의 책, J1〔9〕3 號簡.

(8)

④ …, 陽陵孝里士五(伍)衷有貲錢千三百卌四.31)

⑤ …, 陽陵下里士五(伍)鹽有貲錢三百八十四.32)

⑥ …, 陽陵禔陽上造徐有貲錢二千六百八十八.33)

⑦ …, 陽陵禔陽士五(伍)小欬有貲錢萬一千二百一十一.34)

⑧ …, 陽陵逆都士五(伍)越人有貲錢千三百卌.35)

⑨ …, 陽陵仁陽士五(伍)…有贖錢七千六百八十.36)

⑩ …, 陽陵戚作士五(伍)勝一有貲錢千三百卌四.37)

⑪ …, 陽陵谿里士五(伍)采有貲, 餘錢八百五十二.38)

⑫ …, 陽陵□□公卒廣有貲錢千三百卌四.39)

한편, 睡虎地秦簡의 다음 내용은 노역일수에 따른 하루 상환액이 8錢 혹은 6錢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有罪以貲贖及有責(債)於公, 以其令日問之, 其弗能入及賞(償), 以令日居 之, 日居八錢; 公食者, 日居六錢(유죄로 貲ㆍ贖을 받거나 관청에 채무가 있는 경우, 판결에 규정된 기일에 의거하여 심문하는데, 만일 貲ㆍ贖에 따른 금액을 납입하거나 채무를 배상할 능력이 없으면, 판결에 규정된 기 일동안 노역하게 하여 상환하도록 함에 하루 노역을 8전으로 계산하고, 관청에서 식사를 지급받는 경우는 하루 노역을 6전으로 계산한다).40)

任仲爀氏는 상기 里耶秦簡의 貲錢과 노역일수와의 관계 내용을 아 래와 같이 도표로 작성하였다.41)

31) 위의 책, J1〔9〕4 號簡.

32) 위의 책, p.188, J1〔9〕5 號簡.

33) 위의 책, J1〔9〕6 號簡.

34) 위의 책, J1〔9〕7 號簡.

35) 위의 책, p.189, J1〔9〕8 號簡.

36) 위의 책, J1〔9〕9 號簡.

37) 위의 책, J1〔9〕10 號簡.

38) 위의 책, p.190, J1〔9〕11 號簡.

39) 위의 책, J1〔9〕12 號簡.

40) 睡虎地秦簡 「秦律十八種」 ‘司空’133簡 (陳偉 主編, 秦簡牘合集, 武漢大 學出版社, 2014, p.120).

41) 任仲爀, 앞의 글, p.29.

(9)

<표 5> 貲錢과 노역 일수

貲餘錢 貲錢 贖錢

1일8전

8064전 1008일 836전 104.5일 7680전 960일

1728전 216일 384전 48일

852전 106.5일 2688전 336일 11211전 1401.375(3/8)일 1344전(4회) 168일

12전1일

8064전 672일 836전 69.6(70)일 7680전 640일

1728전 144일 384전 32일

852전 71일 2688전 224일

11211전 934.25(1/4)일 1344전(4회) 112일

그런데 임중혁씨가 만든 도표 가운데 1일 12錢은 二年律令 「興律

」의 다음 내용 가운데 ①을 기준으로 한 것이었다.

① 已(?)䌛(徭)及車牛當䌛(徭)而乏之, 皆貲日十二錢, 有(又)賞(償)乏䌛(徭) 日, 車⍁(요역 및 수레와 소…, 요역에 동원해야 하는데 내지 않으면 모두 하루에 벌금 12전을 부과하며, 또 요역에서 빠진 날짜만큼 배상 시킨다. 수레⍁).42)

② 乏徭[及車牛當徭而乏之, 皆貲日卄二錢, 有(又)賞(償)乏徭日, 車⍁(요역 에서 도망하거나 수레와 소를 요역에 동원해야 하는데 내지 않으면 모 두 하루에 벌금 22전을 부과하며, 또 요역에서 빠진 날짜만큼 배상시 킨다. 수레⍁)43)

본래 정리소조 釋文은 ①에서처럼 401簡의 맨 윗부분의 글자를 ‘已 (?)’로 해독하였지만, ‘已(?)’로 한 기존의 간독 도판만으로는 의미가

42) 張家山二四七號漢墓竹簡整理小組, 張家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 (文物出版 社, 2001), 401號簡; 張家山二四七號漢墓竹簡整理小組, 張家山漢墓竹簡〔二四 七號墓〕(釋文修訂本) (文物出版社, 2006), 401號簡.

43) 彭浩ㆍ陳偉ㆍ工藤元男 主編, 二年律令與奏讞書 -張家山二四七號漢墓出土法 律文獻釋讀 (上海古籍出版社, 2007), 401號簡.

(10)

잘 통하지 않았다. 二年律令與奏讞書(2007년)에서 적외선 사진 판독 을 통해 ②에서처럼 ‘乏’字로 고침으로써 401簡 조문 전체의 의미가 통하게 되었다. 또한 ‘貲日十二錢’은 적외선 사진 판독을 통해 ‘貲日卄 二錢’으로 교정되었다. 여기에서 ‘貲日卄二錢’은 노역일수에 따른 하루 償還額이 아니라 그 자체가 ‘貲1甲’같은 벌금형을 의미한다. 따라서 12일 혹은 22일은 노역일수에 따른 하루 贖錢償還額으로 삼을 수가 없고 睡虎地秦簡의 6전과 8전만을 기준으로 삼는 것이 타당하다. 노 역 임금은 8전이지만, 관부에 거주해서 노역을 하는 자에게는 식비로 2전을 차감하므로 1일 당 노동에 의한 實收는 6전이다. 6전과 8전을 기준으로 里耶秦簡의 貲錢과 노역일수를 다시 도표화하면 아래와 같 다.

<표 6>

里耶秦簡의 貲錢과 노역 일수

貲餘錢 貲錢 贖錢

1일6전

8064전 1344일 836전 139⅓일 7680전 1280일

1728전 288일 384전 64일

852전 142일 2688전 448일

11211전 1868½일 1344전(4회) 224일

1일8전

8064전 1008일 836전 104.½일 7680전 960일

1728전 216일 384전 48일

852전 106.5일 2688전 336일 11211전 1401.375(3/8)일 1344전(4회) 168일

앞서 살펴보았듯이 岳麓秦簡에 의해 貲1甲은 1,344錢, 貲1盾은 384 錢, 1馬甲 1,920錢, 金1兩 576錢인 것이 밝혀졌다. 盾ㆍ甲ㆍ兩ㆍ馬甲 모두 錘의 배수이었던 것이고 睡虎地秦簡의 내용을 기준으로 하루 노역을 8전으로 계산하고, 관청에서 식사를 지급받는 경우는 하루 노 역을 6전으로 계산할 경우, 盾ㆍ甲ㆍ兩ㆍ馬甲도 여기에 맞춰 최저한 8

(11)

혹은 6의 배수여야 할 것이다.44) 盾ㆍ甲ㆍ兩ㆍ馬甲을 하루 노역을 6 전과 하루 노역을 8전으로 계산하면 그 배수에 해당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里耶發掘報告의 貲錢ㆍ貲餘錢ㆍ贖錢 역시 대부분 6 혹은 8 의 배수로 되어 있지만, 貲錢836전은 6전으로 계산하면 139⅓일, 8전 으로 계산하면 104½일이 된다. 11,211전은 6전으로 계산하면 1868½ 일이 되고, 8전으로 계산하면 1401.375(3/8)일이 된다. 여기에서 貲錢 836전은 관청에서 식사를 지급받는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었 다고 가정하면, 즉 어떤 경우에는 8전, 어떤 경우에는 6전으로 계산된 것이라고 한다면, 倍數로 계산이 된다. 貲餘錢은 貲錢의 일부를 상환 하고 남은 것인데, 貲餘錢 852전도 8의 배수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6의 배수, 혹은 6의 배수와 8의 배수를 적절히 배열하면 정확히 배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11,211전은 6과 8, 혹은 6과 8의 수를 적절히 배열해서 나누어도 배수가 될 수 없다. 이와 관련해서는

睡虎地秦簡의 다음 내용을 주목하고 싶다.

錢十一當一布. 其出入錢以當金·布, 以律. 金布(11전은 1포로 환산한 다. 만일 錢으로 황금 또는 포를 환산하는데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응당 법률규정에 의해서 처리한다. 金布).45)

상기 睡虎地秦簡 「金布律」에는 1布의 가격이 11錢으로 되어 있 다. 이를 근거로 필자는 11,211전의 11전은 睡虎地秦簡 「金布律」에 나오는 11錢 1布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里耶發掘報告의 貲 刑과 贖刑을 6전 혹은 8전의 배수로 계산하는 것은 채무를 배상할 능 력이 없으면, 판결에 규정된 기일동안 노역하게 하여 상환하도록 하는 규정에 따른 셈법이고 貲ㆍ贖에 따른 금액을 납입할 경우 노역으로 상 환할 이유가 없다. 실제 睡虎地秦簡에는 貲刑과 贖刑을 변제하는 다

44) 若江賢三은 하루 노역을 8전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若江賢三, 「秦律における 爵價と贖刑の制度」, 愛媛大學法文學部論集(人文科學編) 37, 2014, p.14).

45) 睡虎地秦簡 「秦律十八種」 ‘金布’67號簡 (陳偉 主編, 秦簡牘合集, 武漢大 學出版社, 2014, p.91).

(12)

양한 방법이 나오고 있다.

百姓有貲贖責(債)而有一臣若一妾, 有一馬若一牛, 而欲居者, 許. 司(백 성이 벌금형ㆍ속형ㆍ채무가 있는데, 한 명의 남자 노예 혹은 여자 노예가 있거나, 한 마리의 말 또는 소가 있어, 이들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자신 의 벌금형ㆍ속형ㆍ채무를]변제하고자 하면 이를 허락한다. 司)46)

즉 대체노역에 의한 지불을 희망하는 경우, 소유하고 있는 노예 혹 은 馬ㆍ牛를 제출하는 것에 의해 자신의 속형을 감면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秦代에는 황금이나 전을 제출하는 것 이외에도 秦代에는 布帛 ㆍ粟米ㆍ馬牛 및 노예를 제출하여 貲刑과 贖刑을 감면받고 있다.47) 그 경우 표준 혹은 시장가격이 제시되어 있었을 것이다. 그 표준가격가운 데 최소 단위로 제시된 것이 睡虎地秦簡 「金布律」에 나오는 1布 가 격 11錢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里耶秦簡(壹)에도 벌금형과 속형에 대한 많은 기록이 나오고 있 다.48)

① 更戍裚贖耐 更戍得贖耐 更戍堂贖耐 更戍齒贖耐 更戍暴贖耐

(更戍인 裚는 贖耐로 한다.更戍인 得은 贖耐로 한다. 更戍인 堂은 贖耐 로 한다.更戍인 齒는 贖耐로 한다.更戍인 暴은 贖耐로 한다).49)

46) 위의 책, 「秦律十八種」 ‘司空’140號簡, p.121.

47) 池田夏樹, 「戰國秦漢期における贖刑の方法と制度の運用」 (中央大學アジア史 硏究 28, 2004), p.9.

48) 里耶秦簡(壹)은 斷片으로 되어 있어 순서대로 배열하기 매우 어려운데, 벌 금형과 속형부분에 대하여 陳偉氏가 간의 재배치를 시도하고 있고 본고는 이 에 따른다[陳偉, 「里耶秦簡に見える秦代行政と算術」, 大阪産業大學論集(人文 ㆍ社會科學編) 19, 2013. pp.13-14].

49) 湖南省文物考古硏究所 編, 里耶秦簡(壹), (北京: 文物出版社, 2012), 8-149 號簡, ‘第八層簡牘釋文’, p.19. 이하 쪽수는 생략하고 簡의 번호만 표기한다.

(13)

② 卂(訊)敬:令曰:諸有吏治已決而更治(8-1832)者其罪節重若(8-1418)益輕 吏前治者皆當以縱不直論今甾等當贖(8-1133)耐是即敬等縱弗論殹何故不 以縱論(8-1132)(敬을 이하와 같이 신문하였다. 令에 말하기를, “무릇 吏가 이미 재판을 행함에 이미 종결했는데, 더욱 다시 재판을 해서 그 죄가 이전보다 무겁거나 혹은 가벼우면 吏로 前에 재판한 자는 「縱不 直」으로 처벌한다. 지금 甾 등은 贖耐에 해당한다. 즉 敬 등은 풀어주 고 처벌하지 않았다. 무슨 까닭으로 풀어주고 처벌하지 않았던 것일 까?”).50)

③ □公士僰道西里亭貲三甲為錢四千卅二⍁(□ 公士인 僰道縣 西里의 亭의 罰金은 三甲, 錢으로는 4,032로 한다⍁).51)

④ 士五巫倉溲昌產尸貲錢萬二千五百五十二(士伍 巫縣 倉溲里의 產尸 貲 錢12,552)52)

⑤ 士五巫南就甘路娶貲錢二千六百⧄(士伍 巫縣 南就里 甘路 貲錢 2,600 을 취해서)53)

⑥ 卅年九月庚申, 少內守增出錢六千七百廿, 環令佐朝, 義, 佐貲各一甲, 史 汙二甲.(39년9월庚申 少內의 守인 增이 錢6720을 내서 令佐인 朝ㆍ義 ㆍ佐에게 각각 貲一甲을 史인 汙에게 貲二甲을 반환하였다).54)

①의 贖耐는 앞서 살펴보았듯이 岳麓書院藏秦簡(貳)에 의하면, 4 馬甲으로 7,680錢에 해당한다. 1馬甲은 1,920전이다. 貲의 계량단위는 甲 혹은 盾이지만, 집행 시에는 錢으로 환산해서 계산하는 것으로 되 어 있다. 貲一盾은 384전에 해당하고 貲一甲은 1,344전에 해당한다.

③의 「貲三甲為錢四千卅二」에 의하면, 貲三甲=4,032錢이므로 貲一甲

=1,344錢이 된다. 이는 앞서 살펴 본 岳麓書院藏秦簡(貳)의 수치와 정확히 일치한다. 이상 岳麓書院藏秦簡(貳)에 나오는 벌금과 속형은 贖耐, 貲三甲, 貲二甲, 貲一甲, 貲錢12,552, 貲錢2,600 등이라 할 수 있다.

50) 위의 책, 8-1832號簡 8-1418號簡 8-1133號簡 8-1132號簡 51) 위의 책, 8-60號簡.

52) 위의 책, 8-793號簡+8-1547號簡.

53) 위의 책, 8-1083號簡.

54) 위의 책, 8-1583號簡+8-890號簡.

(14)

貲刑ㆍ贖刑 居貲

日八錢 日六錢

贖耐 320銖(40錘: 4兩 2錘) 7,680錢 960일 1,280일 貲三甲 168銖(21錘: 6兩 3錘) 4,032錢 504일 224일 貲二甲 112銖(14錘: 4兩 2錘) 2,688錢 336일 448일 貲一甲 56銖(7錘: 2兩 1錘) 1,344錢 168일 224일

貲12,552錢 12,552錢 1569일 2092일

貲2,600錢 2,600錢 325일 466⅔일

<표 7>

里耶秦簡(壹)의 貲罰刑과 贖刑

한편 里耶秦簡(壹)에는 다음과 같은 포상금에 대한 규정이 나온다.

① 豎捕戍卒□□事贖耐罪賜, 購千百五十二(豎은 수졸로 事에 …, 贖耐罪로 된 賜를 체포하였다).55)

② 購錢五百七十六一人(1인에게 포상금 576전지급).56)

③ 錢三百五十. 卅五年八月丁巳朔癸亥, 少內沈出以購吏養城父士五得. 得 告戍卒贖耐罪惡350錢. 35년 8월 丁巳朔癸亥, 少內인 沈이 출연해서 吏養의 일을 하고 있는 城父의 士伍인 得에게 포상금을 주었다. 得은 戍卒의 贖耐에 해당하는 罪惡을 고발하였다).57)

④ 廿八年五月己亥朔甲寅, 都鄉守敬敢言之: 得虎, 當復六人, 人一牒, 署復

□于…從事, 敢言之(28年5月己亥朔甲寅, 都鄉里의 守인 敬이 감히 말씀 을 드립니다. 虎를 체포해서 노역을 면제해야할 자가 6人, 人마다 一 牒에, 면제를 기록해서…從事, 감히 말씀을 드립니다).58)

⑤ 出錢千一百五十二購隷臣于捕戍卒不從…(1,152錢을 내서 隷臣인 于에 게 포상금을 주고, 戍卒이 …에 따르지 않는 자를 체포하도록 하였다 ).59)

①~⑤의 포상금은 ③과 ④를 제외하고 금1량과 2량으로 되어있는 것이 주목된다. ①의 포상금은 1,152전으로 1,152전은 금2량에 해당 한다. ②의 576전은 금1량에 해당한다. 그러나 ③의 350전은 금과의

55) 위의 책, 8-1008號簡+8-1461號簡+8-1532號簡.

56) 위의 책, 8-1018號簡.

57) 위의 책, 8-1572號簡+8-1572號簡.

58) 위의 책, 8-170號簡.

59) 위의 책, 8-992號簡.

(15)

대응관계가 불분명하다.60) 포상금의 차이는 체포인가 고발인가에 따라 달랐을 것이다. ④는 포상으로 노역면제, ⑤의 포상금 1,152錢은 金1 兩이 576錢이므로 金2兩에 해당한다.

포상금에 관한 규정은 里耶秦簡(壹)에서만이 아니라 睡虎地秦簡

과 岳麓秦簡에도 아래와 같은 내용이 나오고 있다.

① 捕亡完城旦, 購幾可(何)? 當購二兩(도망간 完城旦을 체포하였을 경우, 포상금은 얼마인가? 응당 금2량이다).61)

②•…癸等智(知)治等羣盜盜殺人,利得其購,紿瑣等約死辠(罪)購、瑣等弗 能告,利得死辠(罪)購,聽請相移,紿券付死辠(罪)購. 先受私錢二千以為 購,得公購備. …死辠(罪)購四萬三百廿;羣盜盜殺人購八萬六百卌錢。綰 等以盜未有取吏貲灋(法)戍律令論癸、瑣等;不論[沛等……. 審. 疑癸. 瑣 等辠(罪). 癸、瑣、綰]及它不

(繫). 敢

(讞)之.(…癸等은 治等이 群盜 盜殺人이었음을 알고, 그 포상에서 이득을 얻고자, 거짓으로 瑣等에게 死罪 포상금을 약속하였다. 瑣等은 고할 수 없었고, 사죄포상금으로 이 득을 얻고자 범인을 타인에게 넘겨줄 것을 청하는 것을 들어주고, 증 서(券)를 거짓 작성하여 사죄 포상금을 위임하고, 먼저 私錢二千을 받 아서, 포상금으로 하였고, 관부에서 포상금을 얻어 채울 수 있었다. … 死罪포상금은 4만3백2십전이고, 群盜盜殺人 포상금은 8만6백40전이 다. 綰等은 以盜未有取吏貲法(戍)律로써 (癸)ㆍ瑣等을 논하도록 하였다.

[沛等...] 논하지 않았다).62)

睡虎地秦簡의 포상금 규정 ①은 금2량으로 1,152전이고, 岳麓秦 簡의 포상금 규정 ②에 따르면 死罪 포상금은 40,320전으로 금70량, 群盜盜殺人 포상금은 80640은 금140량에 해당한다. 이상의 秦簡에 서 나오는 사료를 근거로 판단하였을 때, 秦에서의 범죄자에 대한 체 포와 이에 대한 포상금은 대체로 금1량을 단위로 하였다고 생각된다.

60) 陳偉, 앞의 글, p.14.

61) 睡虎地秦簡 「法律答問」7號簡 (陳偉 主編, 秦簡牘合集, 武漢大學出版社, 2014, p.251).

62) 岳麓書院藏秦簡(參) (朱漢民ㆍ陳松長 主編, 上海辭書出版社, 2013), 018

~023號簡, p.14.

(16)

660전 이상

(660)­550전 (550)­440 (440)­330 (330)­220 (220)­110

경성단(黥城旦) 경귀신(黥鬼薪) 경예신(黥隸臣) 완성단(完城旦) 완귀신(完鬼薪) 완예신(完隸臣)

노역형

<표 8> 秦의 貲罰刑과 勞役刑

Ⅳ. 맺음말

秦에서의 貲罰刑의 종류와 관련해서는 ‘貲一盾’ㆍ‘貲二盾‘ㆍ’貲一甲’

ㆍ‘貲二甲’으로 이뤄졌다는 설과63) ‘貲1盾’ㆍ‘貲1甲’ㆍ‘貲2甲’으로 이뤄 졌다는 설로 나뉘어져 있다.64) 岳麓秦簡이후에도 秦의 罰金刑은 ‘貲 一盾’ㆍ‘貲二盾‘ㆍ’貲一甲’ㆍ‘貲二甲’이라는 4단계로 이뤄졌다는 설65)

‘貲1盾’ㆍ‘貲1甲’ㆍ‘貲2甲’으로 보아야 합리적이라는 주장66)이 제출된 상태이다. 于振派는 岳麓書院藏秦簡(貳)을 근거로 4단계설을 주장하 고 있고, 石洋은 里耶秦簡의 貲餘錢을 근거로 3단계설을 주장하고 있다. 任仲爀은 二年律令의 罰金一兩ㆍ二兩ㆍ四兩이라는 등급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3단계설을 주장하고 있다. 岳麓秦簡ㆍ里耶秦簡

이전에 睡虎地秦簡을 근거로 秦의 벌금형을 ‘貲一盾’ㆍ‘貲二盾‘ㆍ’貲 一甲’ㆍ‘貲二甲’으로 이해하는 대표적인 연구자는 冨谷至였는데, 冨谷 至는 秦의 형벌체계 속에 貲罰刑을 아래와 같이 위치시키고 있다.

63) 冨谷至, 秦漢刑罰制度の硏究 (同朋舍, 1988), p.66; 冨谷至著, 임병덕ㆍ임 대희역, 유골의 증언 -古代中國의 刑罰 (서경문화사, 1999), p.82.

64) 任仲爀, 「秦漢律의 罰金刑」 (中國古中世史硏究 15, 2006), pp. 45-46.

65) 于振派, 「秦律中的甲盾比價及相關問題」 (史學集刊 2010-5), p.38.

66) 石洋, 「戰國秦漢間“貲”的字義演變與其意義」 (華東政法大學學報 89, 2014 -4), p.157.

(17)

(110)­88 (88)­55 (55)­22 (22)­1

貲 2甲 貲 1甲 貲 2盾 貲 1盾

재산형

그런데, 秦簡의 貲罰에는 ‘貲1盾’ㆍ‘貲2盾’ㆍ‘貲1甲’ㆍ‘貲2甲’ 이외 에 ‘貲布’ㆍ‘貲絡組’ㆍ‘貲徭’ㆍ‘貲戍’ 등이 있다.67) 예컨대,

或盜采人桑葉, 臧(贓)不盈一錢, 可(何)論? 貲䌛(徭)三旬(어떤 사람이 타 인의 뽕잎을 몰래 땄는데, 그 장물의 가치가 1전 미만이었다. 이를 어떻 게 논죄할 것인가? 벌로 30일간의 요역에 복역하게 한다).68)

의 ‘貲徭三旬’이 그것이다. 또한 “□公士僰道西里亭貲三甲為錢四千卅二

⍁(□ 公士인 僰道縣 西里의 亭의 罰金은 三甲, 錢으로는 4,032로 한 다⍁)”69)의 사례에서 보듯이 ‘貲3甲’의 사례도 나온다. 그 외에도 ‘貲7 盾’ㆍ‘貲4甲’ㆍ‘貲6甲’ㆍ‘貲7甲’ㆍ‘貲14甲’ 등이 보인다.70) 이렇게 이해 해도 여전히 많은 의문이 남는다. 왜냐하면 里耶秦簡에는 貲一盾ㆍ 貲二盾ㆍ貲一甲ㆍ貲二甲 이외에 ‘貲3甲’ㆍ‘貲布’ㆍ‘貲絡組’ㆍ‘貲徭’ㆍ‘貲 戍’ㆍ‘貲日卄二錢’ㆍ貲7盾’ㆍ‘貲4甲’ㆍ‘貲6甲’ㆍ‘貲7甲’ㆍ‘貲14甲’등이 나올 뿐만 아니라, 벌금형을 盾ㆍ甲으로 표현한 것 외에도 貲錢萬二千 五百五十二, 貲錢二千六百, 貲餘錢八千六十四, 貲錢八百卅六, 貲餘錢千 七百卄八, 貲錢千三百卌四, 貲錢三百八十四, 貲錢二千六百八十八, 貲錢 萬一千二百一十一, 貲錢千三百卌, 贖錢七千六百八十, 貲錢千三百卌四, 貲餘錢八百五十二, 貲錢千三百卌四 등등의 다양한 貲錢ㆍ貲餘錢ㆍ贖錢 이 나오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貲錢千三百卌四처럼 이해하기 쉬운 것

67) 徐富昌, 睡虎地秦簡硏究 (文史哲出版社, 1993), pp.330-331.

68) 睡虎地秦簡 「法律答問」7號簡 (陳偉 主編, 秦簡牘合集, 武漢大學出版社, 2014), p.198.

69) 湖南省文物考古硏究所 編, 里耶秦簡(壹) (北京: 文物出版社, 2012), 8-60 號簡.

70) 湖南省文物考古硏究所編, 앞의 책, 8-149號簡, 8-489號簡, 8-300號簡.

(18)

문서종류 문서지연 내용 형량

急書 不輒行 貲二甲

郵行문서 半日 지연 貲一盾

도 있다. 그것은 앞서 里耶秦簡(壹) 8-60號簡의 “□公士僰道西里亭 貲三甲為錢四千卅二⍁貲錢ㆍ貲餘錢ㆍ贖錢貲”처럼 “貲一甲為錢千三百卌 四”로 해석이 되기 때문이다. 물론 6전, 8전으로 나누어 보면 이해하 기 쉽다. 그러나 貲錢萬一千二百一十一의 경우에는 6전, 8전으로 계산 해도 나눠지지 않을 뿐 아니라 甲ㆍ盾ㆍ馬甲 어떤 것을 조합해도 계산 이 되질 않는다. 게다가 貲餘錢이라면 납부하고 남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지만, 貲錢이어서 그런 식의 해석도 불가능하다. 어쨌든 里耶秦 簡에 貲錢萬一千二百一十一이나 ‘貲4甲’ㆍ‘貲6甲’ㆍ‘貲7甲’ㆍ‘貲14甲’

등이 나온다는 것은 그 외에 예를 들어 ‘貲8甲’ㆍ‘貲9甲’ㆍ‘貲10甲’…

등도 존재했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이것은 戰 國 秦에서의 罰金刑이 아직 법적으로 정비되지 못했던 시기의 사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二年律令 「興律」에 나오는 ‘貲日卄二錢’도 秦의 貲罰의 하나였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왜냐하면 睡虎地秦 簡 「金布律」에 나오는 1布 가격 11錢이었고, ‘貲日卄二錢’은 공교롭 게도 1布 가격의 2배, 즉 1布의 배수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貲3甲’ㆍ‘貲絡組’ㆍ‘貲徭’ㆍ‘貲戍’ㆍ‘貲日卄二錢’ㆍ貲7盾’ㆍ‘貲4甲’ㆍ‘貲6 甲’ㆍ‘貲7甲’ㆍ‘貲14甲’ 등은 ‘貲2盾’의 사례처럼 단 한차례밖에 나오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이다. 예컨대, 金慶浩씨가 작성한 岳麓秦簡 郵書 전달지연 처벌의 사례에도 ‘貲3甲’이나 ‘貲2盾’은 나오지 않는다.

<표 9> 岳麓秦簡 郵書 전달지연 처벌71)

71) 金慶浩, 「秦ㆍ漢初 行書律의 內容과 地方統治」 (史叢 73, 2011), p.120의

〈표2〉참조; 金慶浩의 표에 대하여는 吳峻錫, 「秦代 地方統治와 文書傳達體系

(中國史硏究 95, 2015), p.26에서 재인용하였다. 吳峻錫의 이 논문에 앞서 吳峻錫, 「漢代문서전달 노선과 郵傳기구의 설치」 (中國史硏究 88, 2014)를 읽으면 도움이 된다. 이 도표의 작성은 陳松長, 「岳麓書院藏秦簡中的行書律令 初論」 (中國史硏究 2009-3)에 의거한 것이다.

(19)

1일 지연 貲一甲

2일 지연 貲二甲

3일 지연 贖耐

3일 이상 지연

不急문서 1일-3일 지연 貲一盾

4일 이상 지연 貲一甲

二千石官문서 5일-10일 지연 貲一甲

10일-20일 지연 貲二甲

곧 공개될 岳麓書院藏秦簡(肆)의 「亡律」에도 貲一盾ㆍ貲一甲ㆍ貲二 甲이 나오고 貲二盾은 보이지 않는 것 같다.72) 그렇다면 貲罰의 단계 는 원래 ‘貲1盾’ㆍ‘貲2盾’ㆍ‘貲1甲’ㆍ‘貲2甲’ 이외에 ‘貲3甲’ㆍ‘貲布’ㆍ

‘貲絡組’ㆍ‘貲徭’ㆍ‘貲戍’ㆍ‘貲日卄二錢’ㆍ貲7盾’ㆍ‘貲4甲’ㆍ‘貲6甲’ㆍ‘貲7 甲’ㆍ‘貲14甲’ㆍ(‘貲8甲’ㆍ‘貲9甲’ㆍ‘貲10甲’)… 등이 있었는데, 이것이 貲一盾ㆍ貲二盾ㆍ貲一甲ㆍ貲二甲의 4단계를 거쳐 점차 貲二盾이 탈락 한 3단계로 정리되고 이것이 二年律令의 罰金一兩ㆍ二兩ㆍ四兩이라 는 등급으로 변모하는 과정을 거쳤던 것이 아닐까?

벌금형과 속형이라는 주제와 관련해서는 다뤄야할 주제가 적지 않 다. 예컨대, 秦에서 漢初, 혹은 漢初에서 漢文帝의 刑制改革과 그 이후 에 이르는 벌금형과 속형의 변화과정에 대한 고찰73), 유가사상의 보급 이라는 관점에서 贖刑의 보급을 관형화로 이해한 고찰74), 貲罰의 소멸 시기, 換刑으로서의 贖刑과 正刑으로서의 贖刑에 관한 논쟁 등이 그것 이다. 특히 貲一盾ㆍ貲二盾ㆍ貲一甲ㆍ貲二甲의 4단계에서 二年律令

의 罰金一兩ㆍ二兩ㆍ四兩이라는 등급으로 변모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72) 周海鋒, 「岳麓書院藏秦簡(肆)的內容和價値」 (文物 712, 2015.9), p.84에 亡律」의 일부가 소개되고 있다.

73) 한문제형제개혁에 의해서 속형은 노역형 중에서 흡수되었다는 견해(冨谷至,

秦漢刑罰制度の硏究, 同朋社, 1998, pp.194-206)에 대하여 贖刑은 罰金刑에 흡수되었다(水間大輔, 「秦律ㆍ漢律의の刑罰制度」, 秦漢法制硏究, 東京: 知泉 書館, 2007, p.71)는 견해도 제출되었다.

74) 金慶浩, 「秦ㆍ漢初의 法律 繼承과 寬刑化 -儒家的 性格을 중심으로-」 (中 國史硏究 97, 2015.8), pp.69-71.

(20)

좀 더 면밀한 고증이 필요하다. 본고는 岳麓秦簡ㆍ里耶秦簡ㆍ睡 虎地秦簡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확인된 秦의 貲罰과 贖刑에 대한 사료 에 대한 실증적 분석에 그치고자 한다. 秦代 이후 漢代의 貲罰과 贖刑 에 대한 논점과 관련해서는 이 논문의 다음 과제로 넘긴다.

<參考文獻目錄>

湖南省文物考古硏究所 編, 里耶秦簡(壹) (北京: 文物出版社, 2012)

岳麓書院藏秦簡(貳) (朱漢民ㆍ陳松長 主編, 上海辭書出版社, 2011)

岳麓書院藏秦簡(參) (朱漢民ㆍ陳松長 主編, 上海辭書出版社, 2013)

里耶發掘報告 (岳麓書社, 2007)

沈家本 撰, 歷代刑法考 一 (中華書局, 1985)

張家山二四七號漢墓竹簡整理小組, 張家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 (文物出版社, 2001)

張家山二四七號漢墓竹簡整理小組, 張家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釋文修訂本) (文 物出版社, 2006)

彭浩ㆍ陳偉ㆍ工藤元男 主編, 二年律令與奏讞書 -張家山二四七號漢墓出土法律文 獻釋讀 (上海古籍出版社, 2007)

[淸]段玉裁 注, 說文解字注 「金部」 第14篇上 (上海:上海古籍出版社, 1981) 陳偉 主編, 秦簡牘合集, 睡虎地秦簡 (武漢大學出版社, 2014)

冨谷至, 秦漢刑罰制度の硏究 (同朋社, 1998) 徐富昌, 睡虎地秦簡硏究 (文史哲出版社, 1993)

堀毅, 「秦漢刑名攷」 (早稻田大學大學院硏究科紀要 別冊, 第4集, 1977) 堀毅, 「秦漢刑名攷」 (秦漢刑法史論攷, 法律出版社, 1988)

金慶浩, 「秦ㆍ漢初 行書律의 內容과 地方統治」, 史叢 73, 2011)

金慶浩, 「秦ㆍ漢初의 法律 繼承과 寬刑化 -儒家的 性格을 중심으로-」 (中國史硏 究 97, 2015)

藤田高夫, 「秦漢罰金考」 (前近代中國の刑罰,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1996) 若江賢三, 「秦律における贖刑制度(上)」 (愛媛大學法文學部論集 18, 1985) 若江賢三, 「秦律における贖刑制度(下)」 (愛媛大學法文學部論集 19, 1986) 若江賢三, 「秦律における爵價と贖刑の制度」 (愛媛大學法文學部論集(人文科學編)

37, 2014)

劉海年, 「秦律刑罰考析」 (雲夢秦簡硏究, 中華書局, 1981)

孫力, 「罰金刑的歷史沿革」 (罰金刑硏究, 中國人民公安大學出版社, 1995) 徐鴻修, 「從古代罪人收奴刑的變遷看‘隸臣妾’‘城旦舂’的身分」 (文史哲 84-5,

(21)

1984)

石洋, 「戰國秦漢間“貲”的字義演變與其意義」 (華東政法大學學報 89, 2014-4) 水間大輔, 「秦律ㆍ漢律의の刑罰制度」 (秦漢法制硏究, 東京: 知泉書館, 2007) 于振派, 「秦律中的甲盾比價及相關問題」 (史學集刊 2010-5)

吳峻錫, 「漢代문서전달 노선과 郵傳기구의 설치」 (中國史硏究 88, 2014) 吳峻錫, 「秦代 地方統治와 文書傳達體系」 (中國史硏究 95, 2015) 籾山明, 「秦漢刑罰史硏究の現狀」 (中國史學 5, 1995)

任仲爀, 「秦漢律の罰金刑」 (中國古中世史硏究 15, 2006.2)

田村誠, 「岳麓書院數譯注稿(2)」 (大阪産業大學論集(人文ㆍ社會科學編) 17, 2013.2)

周海鋒, 「岳麓書院藏秦簡(肆)的內容和價値」 (文物 712, 2015)

池田夏樹, 「戰國秦漢期における贖刑の方法と制度の運用」 (中央大學アジア史硏究

 28, 2004)

陳松長, 「岳麓書院藏秦簡中的行書律令初論」 (中國史硏究 2009-3)

陳偉, 「里耶秦簡に見える秦代行政と算術」 (大阪産業大學論集(人文ㆍ社會科學編)

19, 2013)

(22)

(中文提要)

秦代的罚金刑和赎刑

林 炳 德

秦代的貲罰刑中‘赀1甲’,‘赀1盾’等词语出现. ‘貲甲’ㆍ‘貲盾’在用语上乍 一看像是上缴武器但是甲和盾是用青铜和皮革来制造, 因为非常精巧所以 一般人很难制造. 甲和盾因为只能由专门的匠人来制造, 比起一般人制造 甲和盾需要纳付来说甲和盾用钱纳来代替. 这样现有的见解根据在2012年 出刊的里耶秦簡和2011年出刊的岳麓書院藏秦簡里得到了确认. 即 在里耶秦簡(壹)和岳麓書院藏秦簡(貳)里出现了关于‘貲甲’ㆍ‘貲盾’ㆍ

‘金’的货币换算价格. 比起在前面里耶發掘報告里出现不少在陽陵縣的士 伍里关于貲錢或贖錢的记录而引起关注. 根据岳麓書院秦簡赀是以甲和 盾, 赎是以马甲为单位第一次被世人知道, 这个结果是秦律的貲刑和後代 的罰金刑性质是不一样的, 并且在秦律里所谓罚金是没有刑罚名, 在二年 律令 以后已经得到了批判但是却丢失了说服力. 本文主要再检讨了里耶 秦簡(壹)和 岳麓書院藏秦簡(貳)出现的关于‘貲甲’ㆍ‘貲盾’的换算额为 基准的秦代的罰金刑和贖刑.

和秦朝的貲罰刑的种类有关联的分为‘貲一盾’ㆍ‘貲二盾’ㆍ‘貲一甲’ㆍ‘貲 二甲’形成的说法和‘貲1盾’ㆍ‘貲1甲’ㆍ‘貲2甲’形成的说法. 岳麓秦簡以 后秦的罰金刑是所谓的‘貲一盾’ㆍ‘貲二盾’ㆍ‘貲一甲’ㆍ‘貲二甲’形成4阶段 的说法和‘貲1盾’ㆍ‘貲1甲’ㆍ‘貲2甲’来看提出合理主张的状态.

但是秦簡里的貲罰是除了‘貲1盾’ㆍ‘貲2盾’ㆍ‘貲1甲’ㆍ‘貲2甲’以外还 有‘貲布’ㆍ‘貲絡組’ㆍ‘貲徭’ㆍ‘貲戍’. 并且“□公士僰道西里亭貲三甲為錢四 千卅二⍁”的事例里可以看出‘貲3甲’的事例也出现了. 在二年律令 「興律

(23)

」出现的‘貲日卄二錢’也可能是秦的赀罚中一种的可能性无法排除. 因为在

睡虎地秦簡 「金布律」里出现的1布价格是11钱, ‘貲日卄二錢’恰巧是1布 价格的2倍, 即相当于1布的倍数. 但是 ‘貲3甲’ㆍ‘貲絡組’ㆍ‘貲徭’ㆍ‘貲戍’

ㆍ‘貲日卄二錢’等像‘貲2盾’的事例只有一个事例出现的这一点是问题. 即 将公开的岳麓書院藏秦簡(肆)的「亡律」里出现了貲一盾ㆍ貲一甲ㆍ貲二 甲, 好像没有看见貲二盾. 那么貲罰的阶段原来除了‘貲1盾’ㆍ‘貲2盾’ㆍ‘貲 1甲’ㆍ‘貲2甲’以外 有‘貲3甲’ㆍ‘貲布’ㆍ‘貲絡組’ㆍ‘貲徭’ㆍ‘貲戍’ㆍ‘貲日卄 二錢’等, 经过貲一盾ㆍ貲二盾ㆍ貲一甲ㆍ貲二甲的4阶段逐渐向貲二盾用 脱落的3阶段整理, 这个可以理解为是经历过二年律令的罰金一兩ㆍ二兩 ㆍ四兩的等级变化过程.

주제어 : 벌금형, 속형, 포상금, 상환액 關鍵詞 : 罰金刑, 贖刑, 褒賞金, 償還額

Keywords: Fine Penalty, Ransom, Reward, Reimbursements

(원고접수: 2016년 1월 15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2016년 2월 15일, 수 정원고 접수: 2월 16일, 게재 확정: 2월 25일)

Referensi

Dokumen terkait

對於《刑法》的敘述,下列何者正確? A《刑法》一旦制定,即無修改的必要 B人民可以選擇性的遵守《刑法 》的規定 C任何的犯罪行為,一定是出於故意的行為 D一個違反道德 規範的行為,若法律並未規定其為違法行為,則不得當作或比照犯罪行為而加 以處罰。 文賓在期刊雜誌上閱讀到一篇文章,部分內容如下。請問:文中所提到的是 何種刑罰? A無期徒刑 B有期徒刑 C拘役 D死刑。

이는 고지책에 반영된 사후세계관에 서 저승은 이승의 연장일 뿐 진묘문의 그것처럼 巫術的 세계는 아니었 음을 의미한다.17 반면 진묘문에 반영된 사자의 세계는 고지책과 달리 도교적 성향이 훨씬 강한 巫術的 혹은 呪術的 차원에서 설정된 세계로 서, 사자는 이승과 철저히 단절된 명계의 일원일 뿐 아니라 심지어 생 존중인 가족원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