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진로교육 체제 개편방안
정윤경·류지은·안유진·곽초롱
목 차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3절 용어의 정의
제2장 고교학점제 및 진로교육 체제 관련 문헌 고찰 제1절 고교학점제 도입 현황 및 선행연구 고찰 제2절 고교학점제 진로교육 체제 분석틀 고찰 제3절 고등학교 진로교육 기존 현황 고찰 제4절 시사점
제3장 국내외 고교학점제 진로교육 사례 분석 제1절 국내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사례 제2절 해외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사례 제3절 시사점
고교학점제는 미래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학생의 진로·학습 수요와 과목 선택권을 강화하기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체제로서 2025년 전체 고등학교에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현황과 쟁점을 분석하고,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체제 개편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고교학점제, 고등학교 진로교육, 진로교육 체제
제4장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체제 실태 및 요구분석
제1절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학생, 교사 및 조직 특성 제2절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활동 및 효과 제3절 고교학점제 운영학교의 진로교육 문제점 및 요구사항 제4절 고교학점제에 따른 진로교육 체제의 영역별 주요 쟁점 제5절 시사점
제5장 고교학점제에 따른 진로교육 체제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 제1절 학점제에 따른 전반적인 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개편방향 제2절 학점제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조직과 인력의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
제3절 학점제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의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
제4절 학점제에 따른 학교 밖 지원체제의 개편방향 및 정책과제
Ⅰ. 배경 및 목적
Ⅱ. 결론 및 정책 제언
□ 연구의 배경
미래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역량을 길러 주고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과정 운영 체제인 고교학점제가 도입됨.
-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이수하고 누적학점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인정받는 교육과정 이수 운영 제도로서, 2020년 728개교의 연구·선도학교가 운영되고(교육부, 2020. 1. 14.) 2020년 마이스터고, 2022년 특성화고, 2025년 전체 고등학교에 시행될 예정임(교육부, 2018. 8. 17.).
고교학점제는 학생 진로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체제임에도 불구하고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교육 체제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임.
- 고교학점제는 제도, 교육과정, 교원 및 학교문화, 시설 및 공간, 교육평가 등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나 고교학점제 운영 학교의 진로교육 실태와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뤄지지 않음.
□ 연구의 목적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고등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현황과 쟁점을 분석하고,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학교 진로교육 체제 개편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음.
□ 고교학점제에 따른 전반적인 학교 진로교육 체제의 개편 방향
생애주기와 역량을 중심으로 학교 진로교육 목표 구체화, 개별화·유연화된 진로교육 교육과정을 운영, 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상담 강화
조직 및 협력체계는 학점제 운영을 기반으로 업무를 재구조화하고, ‘진로전담교사-교육과정 부장교사-담임교사-교과교사’ 협력 체제 구축 철학과 가치에 기반한 총체적인 지원체제를 설계하고, 지역사회의 거버넌스 구축 및 역할 확대
□ 고교학점제에 따른 진로교육 체제 개편을 위한 영역별 정책과제
<고교학점제에 따른 진로교육 체제의 영역별 정책과제>
연관부처: 교육부
보고서 상세내용 열람 방법
1. 원문 PDF 무료 다운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홈페이지(www.krivet.re.kr)
· QR 코드 3. 유료 도서회원 가입
· 문 의 : 044-415-5270, [email protected]
2. 원문 책자 열람
· 장 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도서관(817호)
· 운영시간 : 평일 09:30~11:30, 13:30~17:30
· 문 의 처 : 044-415-5026, [email protected]
구 분 주요 내용
조직 및 인력
효과적인 고교학점제 진로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 협력문화 조성 - 고교학점제 진로교육 이해도 제고를 통한 공감대 형성 -∙학교 내 고교학점제 진로교육 협의체 제도화 효과적인 고교학점제 진로교육 운영을 위한
교사 업무환경 개선 - 학교 내 진로교육 전담부서 마련 의무화 - 담임교사의 행정업무 경감 효과적인 고교학점제 진로교육 운영을 위한
인력 운영 제도 개편 - 심도 있는 진로결정을 위한 진로전담교사 증원 - 교사별, 단계별 역량 강화 연수
교육 과정
중·고등학교 진로교육 교육과정 필수화 및
성취기준 보완 -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 선택 필수화 및 성취기준 보완 - 고등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 선택 필수화 및 성취기준 보완 교과 및 체험활동과 연계를 강화한 융합적
진로교육의 시행 - 교과와의 연계를 강화한 진로교육 지침 개선 - 진로체험 활동이 강화된 창의적 체험활동 학생 개인 맞춤 진로교육 프로그램 편성 - 학생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
학교 밖 지원체제
학점제에 따른 진로교육 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보급 확대 - 학교 밖 지원센터의 진로교육 자료 및 프로그램 개발·보급 - 외부 전문기관을 통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범 사업 추진 학교 밖 인적·물적 자원 인증 및정보 활용
지원 강화 - 학교 밖 자원 활용을 위한 기준 마련 및 행정 간소화 - 학교 밖 인적·물적 자원의 인증제 추진 학점제와 진로교육 온라인 시스템 기능 강화 및
원스톱 연계 시스템 구축
- 고교학점제 온라인 시스템의 기능 강화 - 교육행정·학습·진로교육 온라인 시스템 간 연계 추진 - 학교급별 학생 진로교육 이력 연계 활용 시스템 및 절차 간소화 - 커리어넷 진로상담 기능 강화 및 단위학교 진로상담 시스템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