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마을교육공동체와 지역인적자원개발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마을교육공동체와 지역인적자원개발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Copied!
2
0
0

Teks penuh

(1)

마을교육공동체와 지역인적자원개발

김승보·김민석·김형만·이혜숙

목 차

요 약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 배경과 필요성 제2절 연구 목적과 내용 제3절 주요 연구방법

제2장 지역인적자원개발로서 마을교육공동체의 구조와 의의 제1절 인적자원개발과 지역인적자원개발

1. 인적자원개발의 개념과 맥락 2. 인적자원개발과 지역인적자원개발 3.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과 과제 제2절 마을공동체와 마을교육공동체

1. 공동체 개념과 마을공동체 2. 마을공동체와 마을교육공동체 3. 마을교육공동체의 맥락과 유형 제3절 마을교육공동체와 지역인적자원개발

1.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역인적자원개발 접근 의의 2. 마을교육공동체 접근 모형

3. 인적자원개발 관점의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정책적 기대 제3장 마을교육공동체 추진 현황과 지역인적자원개발

제1절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추진 현황 1. 법령과 제도 현황 2. 정책 추진 현황 3. 예산 및 재정 현황 제2절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특징

1. 협력적 거버넌스와 지역사회의 참여 2. 역동적인 정책의 확산 3. 지역균형적 참여

본 연구는 교육청과 기초 지자체 간의 협력적 관계로부터 마을과 학교 중심의 새로운 거버넌스 체계로의 전환기에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가능성과 과제 그리고 전략을 지역인적자원개발의 관점에서 제시함. 설문조사 및 방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마을교육공동체의 전문성, 지속성 및 통합성에 터한 마을 단위 학습생태계 전략으로서 12개 영역의 세부 정책 과제 및 제언을 도출함.

·주제어: 마을교육공동체, 마을공동체, 지역인적자원개발

제3절 주요 이슈와 과제 1. 풀뿌리 공동체의 발굴과 육성 2. 지원체계와 플랫폼 구축 3. 공동체 지속성과 일자리 제4장 마을교육공동체 실태조사

제1절 조사 개요 제2절 설문조사 결과

1.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목적 및 현황 2. 마을교육공동체 사업 추진의 애로사항 3. 마을교육공동체 사업과 코로나19의 영향 4.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의 필요성과 실질 성과 제3절 사례조사 결과

1. 충청남도 아산시 2. 강원도 홍천군 3. 서울시 은평구 제4절 조사 결과의 함의

1. 실태조사 결과의 함의 2. 사례조사 결과의 함의 제5장 정책 방향 및 과제

제1절 기본 방향

1. 현장 거버넌스를 위한 정책 재구조화 2. 정책 재구조화를 위한 프레임 제2절 정책 과제

1. 학습·교육생태계 구축 영역 2. 마을과 학교의 지도역량 영역 3. 행정의 실행 및 지원 영역 4. 정책과 제도 영역

(2)

Ⅰ. 배경 및 목적

Ⅱ. 결론 및 정책 제언

지역사회의 활력과 공교육 혁신을 추구하는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이 전국적으로 추진되는 가운데, 교육행정과 일반행정 간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역동적인 정책 확산, 지역균형적 참여 등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지속성이나 통합성, 전문성 등에서 여러 한계와 시행착오도 나타나고 있음.

마을과 학교에 터한 마을교육공동체 결성 및 마을 단위 학습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가능성 및 과제, 전략을 지역인적자원개발의 관점에서 접근하여 파악하고자 함.

마을교육공동체 중심의 마을단위 학습·교육생태계를 위해서는 그간의 교육청·지자체 간 협력적 관계를 마을과 학교가 주체가 되는 새로운 교육 거버넌스로 전환해야 하며, 이를 위한 혁신교육지구 추진체계 전반의 정책 재구조화가 불가피함.

[그림 2]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원 및 추진체계

<표 1> 구성요소와 실행 영역에 따른 세부 과제 매트릭스

연관부처: 교육부

보고서 상세내용 열람 방법

1. 원문 PDF 무료 다운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홈페이지(www.krivet.re.kr)

· QR 코드

3. 유료 도서회원 가입

· 문 의 : 044-415-5270, [email protected]

2. 원문 책자 열람

· 장 소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도서관(817호)

· 운영시간 : 평일 09:30~11:30, 13:30~17:30

· 문 의 처 : 044-415-5026, [email protected]

Ⅰ 학습·교육생태계

(수민·교원의 참여, 생태계의 유지·관리·운영)

교육·지도역량

(콘텐츠 및 프로그램 개발 및 역량 강화)

행정실행·지원

(운영협의체, 시설과 공간)

정책

(사업과 예산)

제도

(조례)

① 사람(전문성) ② 공동체(통합성) ③ 생산(지속성)

Ⅰ. 학습·교육 생태계 Ⅰ-①전문인력과 공동체 발굴 Ⅰ-②마을교육 허브 및 환경 조성 Ⅰ-③ 콘텐츠 보상체계 구축

Ⅱ. 교육·지도 역량 Ⅱ-①자율 연수 및 교육과정 Ⅱ-② 지역학습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Ⅱ-③ 중간지원 조직과 플랫폼

Ⅲ. 행정 실행·지원 Ⅲ-①역량 개발 지원방식 개선 Ⅲ-② 마을주민과 교원의 공감대

확장 Ⅲ-③ 공익사업 정보의 통합 제공

Ⅳ. 정책과 제도 Ⅳ-①마을 단위 민관 협의체 구성 Ⅳ-② 진흥법 및 자치조례 제정 Ⅳ-③ 콘텐츠 질 평가 및 마을교사제 도입

Referensi

Dokumen terkait

전형방법 및 전형요소 전형방법 전형요소 및 반영비율 일괄합산 서류 100% 학생부, 자기소개서, 추천서 등을 토대로 지원자의 고등학교 재학기간 동안 학업역량 및 학교 활동의 우수성, 발전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모집단위 및 모집인원 총인원 48명을 학부/학과/전공별로 다음과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