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수정본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상의 중국의 근대사 인식 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수정본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상의 중국의 근대사 인식 변화"

Copied!
29
0
0

Teks penuh

(1)

수정본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상의 중국의 근대사 인식 변화

반 채 영 (충북대)

Ⅰ. 머리말

Ⅱ. 역사교육과 근대사인식의 방향

Ⅲ. 중국근대사와 현대화론

Ⅳ. 보편의 재해석

Ⅴ. 맺음말

1. 머리말

국가의 자국사 및 타국사 나아가 세계사에 대한 역사인식은 객관적 역사사실에 입각한 인식 이외에도 국가위상과 국가상황에 따라 변화하 기도 한다. 이러한 역사인식의 변화는 국가 간 역사분쟁을 불러일으키 기도 한다. 현재 한․중․일 동아시아 삼국이 역사전쟁이라 할 만큼의 역사분쟁을 치르고 있는 것도 일본의 과거사 인식이 군국주의 침략에 대해 반성 대신에 합리화를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고, 중국이 현재적 관점에서 과거역사를 새로쓰기 위한 역사공정을 진행하며 한국역사와 직접 관련된 부분에 대한 역사인식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현재 중국은 G2의 국가위상에 어울리는 각종 행보를 보이고 있다.

‘도광양회’에 입각한 외교전략을 파기하고 ‘힘 있는 중국’, ‘할 말하는 중국’으로 급격히 선회하고 있다. 중국의 지식인들도 새롭게 부상한

‘중국의 자리매김’ 과 앞으로 지향해야 할 바에 대한 질문과 답을 찾고

(2)

있다.1)

중국은 역사인식의 전환을 반영하여 2001년 <교학대강>에서 <과정 표준>으로의 전환으로 상징되는 역사과정개혁을 시작하여 실험을 끝 내고, 2011년 12월 실험고를 뗀 초급중학교용 <의무교육역사과정표 준> 수정본을 제정․발표하였고, 2013년 고급중학교용 <역사과정표 준>의 수정을 예고하고 있다.2)

중국의 역사교육 개혁에 대해 학계에서는 적잖은 관심 속에 많은 연 구물을 축적해 왔다.3)이들 연구물의 주된 연구방향은 중국의 역사과정 개편내용에 대한 설명과 중국의 역사교과서 서술문제, 특히 우리나라 와 관련된 부분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는데 집중되어 있다. 필자도 최 근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의 수정내용을 분석하는 글을 발표한 적이 있다.4)이 글에서 필자는 초급중학교용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 수정 1) 許紀霖, 普世文明, 還是中國價値? -近十年中國歷史主義思潮之批判 (開放時 , 2010年 第5期); 윤경우, 중국 지식인 사회의 ‘중국모델’담론 ,중국지식네 트워크, 창간호,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11.4); 송인재, 부상하는 중국, 지식인의 자리찾기 (중국지식네트워크제2호, 국민대학교 중국인문사 회연구소, 2012.3)

2) 敎育部關于印發《敎育部2013年工作要點》的通知

http://www.moe.gov.cn/publicfiles/htmlfiles/moe/s7246/201301/147386.html.

3) 김종건, 중국 역사교과서상의 중국근대사 내용과 변화 검토 -최근 초급중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경북사학제27집, 경북사학회, 2004.8); 김유리, 역사 교학대강에서 역사과정표준으로 -최근 중국의 역사교육과정 개혁 (역사교육

제96집, 역사교육연구회, 2005); 권소연, 중국 역사교육과정의 변화와 추이 -‘사상중심 역사학’에서 ‘실용주의 역사학’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제31집, 한국중국근현대사학회, 2006.9); 윤휘탁, 중국 중고교 역사교과서에 반영된 ‘中 華意識’ (中國史硏究제45집, 중국사학회, 2006.12); 김지훈, 중국의 신교육 과정과 역사과정표준실험교과서 (동북아역사논총제17호, 동북아역사재단, 2007); 金鍾健, 중국 역사교과서상의 한국관련 서술내용 변화에 대한 검토 - 최근 초급중학중학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中國史硏究제69집, 중국사학 회, 2010.12); 김지훈 외,중국고등학교역사교과서의 현황과 특징, 동북아역사 재단, 2010.12); 김종박 외,중국역사교과서의 통일적다민족국가론, 동북아역 사재단, 2011.10); 禹成旼, 韓·中間 ‘相互理解와 歷史和解’의 認識提高를 위한 역사교과서의 과제-韓中 中高校 역사교과서의 서술 사례를 중심으로 (中國 史硏究제75집, 중국사학회, 2011.12.)

4) 반채영, <의무교육 역사과정표준>의 수정을 통해 본 중국의 역사교육 (

(3)

본을 실험고와 비교하여 변화된 내용을 분석하여 중국 역사교육의 최 종적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중국사 부분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중국의 전체적인 역사인식의 변화를 살피기 위해 중국사와 세계사를 연계하여 역사인식변화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특히 중국의 역사교육에서는 현재 중국의 모체가 된 근대사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어, 수정본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 상의 근대사 서술변화를 살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대대적 역사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2001년 제정된 실험고 와 2011년 수정된 초급중학교용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을 비교․분 석하는 방법으로, 최근 10년 간 중국의 중국근대사와 세계근대사 인식 에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다만 아직 초급중학교 용 수정 교과서가 발표되지 않았고, 고급중학교용 <보통고중역사과정 표준> 수정본이 발표되지 않아 정확한 비교․분석에 어려움이 있음을 밝혀둔다.

Ⅱ. 역사교육과 근대사인식의 방향

중국에서 역사는 ‘資治’의 도구이고 진리의 準據로서 모든 현실적 판 단의 근거가 되어왔다. 이에 중국에서의 역사연구는 정치적 입장이 역 사학적 정체성의 출발이 되는, 즉 역사가 정치에 종속되는 경향이 강 하였다.5) 현재 중국의 역사연구나 역사교육 역시도 정치중심적인 면에 서 자유롭지 못하다.

역사는 방대한 기록을 축적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어느 것을 강조 하고 어떻게 해석하느냐 하는 것은 국가적 이념과 그 현실적 필요에

사와 담론제65집, 호서사학회, 2013.1).

5) 김태승, 현대중국의 역사서술에 나타난 근대주의와 근대성 -중국 근대사 인 식을 중심으로 (중국학보제46집, 한국중국학회, 2002), p.338.

(4)

달려 있다. 국가적 이념과 현실적 필요에 유리한 역사적 경험은 주목 받을 것이고 그렇지 않은 경험들은 배제될 것이다.6)

역사교육 역시도 인민․주권․영토로 이루어진 국민국가의 인적 실 체인 ‘국민’을 형성하는 문제이고, 젊은 세대의 민족이해와 세계이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에 위정자에게는 더욱 관심이 가는 문 제이므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취사선택과 해석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 하기도 한다. 따라서 역사교육 내용이 현재의 중국을 설명하고 합리화 하는 역할을 한다면, 역사교육이야말로 가장 정치적인 내용을 갖는 선 전수단이 될 수 있다.

21세기 들어 중국은 대대적인 역사교육 개혁을 추진하였고, 그 결과 물이 실험고 <역사과정표준>의 제정이었다. 이후 10여년의 실험과정 을 거쳐 2011년 말 초급중학교용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 수정본이 발표되었다.7)

수정본에는 “전면적 소강사회 건설과 사회주의 현대화의 신속한 추 진이 시대가 중국인민에게 부여한 숭고한 사명으로, 사회주의 핵심가 치관을 갖춘 공민을 양성하는 것이 시대발전과 사회 전진에 필요하므 로 이것이 의무교육 단계 역사과정 개혁의 새로운 요구이다”8)라 하여 역사교육이 사회주의 현대화 실현을 주도하여 시대발전과 사회전진을 이룰 공민의 양성에 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인류역사의 연속과 발 전에 대해 흥미를 갖고, 중화문명의 역사가치와 현실의의를 깨달으며, 애국주의 감정을 양성하고, 세계를 관찰하는 시야를 개척하여 세계역 사발전의 총체적 추세를 인식한다”9)고 하여 역사과정에 인류역사의 연속과 발전에 대한 내용이 강화될 것이며, 이를 통해 학생이 세계역 사 발전의 총체적인 추세를 인식하도록 하는데 주안점이 두어질 것임

6) 예를 들어 당대에 토번과 당과의 관계에서 전쟁의 측면보다는 문성공주의 활 약 등의 문화교류 측면이 강조되는 것 등이다.

7) 중국교육부는 이를 ‘完善’이라 표현하였다.

8)義務敎育歷史課程標準(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12), 前言 , p.1.

9) 위책, 課程目標, p.5.

(5)

을 분명히 하고 있다.

수정본에서 밝힌 이상의 관점에서 보면, 수정본에는 중국사와 세계 사 인식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중국근대는 중국역사 전체 가운데 가장 큰 격변을 거친 시대이면서, 그 범위나 개 별사안에 대한 의미부여까지 지대한 논쟁의 대상이 되는 부분이므로 근대사 인식문제는 중국당국의 큰 관심의 대상이 되는 시기로서 수정 본에서 적잖은 인식변화가 나타났을 것이다.

실험고에서는 중국근대사를 반침략 구국운동과 함께 自强․救富를 위한 ‘근대화’를 추진한 시기로 규정하였다. 세계근대사에 대해서는 자 본주의 등장과 발전으로 자본주의 사회가 형성되고 식민확장과 세계시 장 개척으로 이를 전 세계에 파급시켜 세계통일체를 형성한 시기로 규 정하였다. 수정본에서는 전언 및 과정목표의 서술에 비추어 볼 때, ‘사 회주의 현대화’의 관점에서 근대사 전반에 대한 인식변화가 있을 것으 로 판단된다.

Ⅲ. 중국근대사와 현대화론

수정본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 10)중국근대사 서술과 과정내용을 실험고11)와 비교하여 수정본에 반영된 중국근대사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수정본에 서술된 중국근대사 서두의 총론은 다음과 같다.

중국근대사는 1840년 중․영간 아편전쟁이 폭발한데서 시작하여 1949 년 중화인민공화국이 건립하기까지로, 청 왕조 후기와 중화민국 시기를 거치는 시기이다. 중국근대사는 중국에서 점차 半植民地․半封建社會가 형성되었다가 와해에 이르는 역사이다. 또한 중화민족이 대외적으로 제국 10)義務敎育歷史課程標準(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12)를 참고하였다.

11)全日制義務敎育歷史課程標準(實驗稿)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1.7)을 참고 하였다.

(6)

주의 침략에 반항하고, 대내적으로 봉건전제통치에 반대하여 민족독립과 인민해방을 추구하고, 국가부강과 인민부유를 실현하기 위해 분투한 역사 이다.

전체적으로 중국근대사는 反침략․反봉건의 역사라고 평가하였다.

중국근대사의 시작점을 아편전쟁으로 한 것은 아편전쟁이 중국사회의 독립적 역사 진행을 중단시켜 중국이 半植民地․半封建사회의 길로 나 아가게 하였으므로 이때부터 중국의 반침략운동이 시작되기 때문이 며,12) 중국근대사의 끝을 중화인민공화국 건립으로 한 것은 중국이 사 회주의혁명을 완수하면서 모든 반민족세력을 제거하고 완전독립을 쟁 취하였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수정본은 중국근대사 시기와 성격 정의에서 실험고와 몇몇 부분에서 표현과 인식을 달리한다.

① 중국근대사가 끝나는 시점에 대한 표현이 바뀌었다.

수정본이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까지로 표현한데 비해, 실험고는 남경 국민당 정권 패망까지로 표현하였다. 또한 중국근대사 기간 내의 역사 를 실험고에서는 ‘청 왕조 후기, 중화민국임시정부시기, 북양군벌시기 와 국민정부시기’로 표현한데 반해, 수정본은 ‘청 왕조 후기와 중화민 국시기’로 정의하였다.

이는 중국근대사가 제국주의 침략에 저항한 역사이므로 중화인민공 화국의 수립은 반침략운동의 완전한 승리를 의미하며, 아편전쟁으로 중단되었던 중국사의 독립적 발전이 새롭게 시작되는 출발점이 됨을 강조하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현재 중국의 민감한 사안의 하 나인 양안문제, 즉 대만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생 각된다. 중국은 최종적으로 중화민국을 계승한 유일의 중국이라는 인 식을 분명히 한 것이다.

② 중국근대사 성격규명 변화이다.

중국근대사에 대한 성격규명에서 실험고의 “중국근대사는 중국에서 12) 張海鵬, 爲什麽說阿片戰爭是中國近代史的開端 (中國近代史綱要課疑難問

題解析, 高等敎育出版社(北京), 2007.5), p.1.

(7)

半植民地․半封建社會가 점차 형성되고 와해에 이르는 역사”라는 서술 외에, 수정본에서는 “또한 중화민족이 대외적으로 제국주의 침략에 반 항하고, 대내적으로 봉건전제통치에 반대하여, 민족독립과 인민해방을 추구하고, 국가부강과 인민부유를 실현하기 위해 분투한 역사이다”는 평가를 추가하였다. 이는 중국근대사가 반침략․반봉건을 성취하여 민 족독립과 인민해방을 이루었고, 나아가 국가부강과 인민부유를 위한 기초를 닦은 역사라는 인식을 분명히 한 것이다.

중국근대사의 전개과정에 대한 서술은 다음과 같이 이어진다.

19세기 중기, 영국․프랑스 등 서양 열강이 연속해서 중국을 침략하는 전쟁을 일으켜 중국의 주권독립과 영토는 완전히 끊임없는 파괴에 맞닥 트려 서방 열강과 중화민족의 모순이 격화되었다. 1870년대 이후 열강의 중화에 대한 침략은 가열되어 중화민족 위기는 날로 더욱 심각하고 엄중 해졌다. 중국인민은 열강의 침략에 반항하여 민족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영웅적이고 용맹스런 투쟁을 진행하여 국가를 위기에서 구하고 살길을 강구하기(救亡圖存)위한 탐색을 시작하였다.

19세기 중기(아편전쟁) 이후, 중국근대사는 서방 열강과 중화민족 간 의 민족모순이 격화된 시기로, 민족을 위기로부터 구하는 것이 최우선 의 과제였다고 강조하였다. 이 상황에서 중국인민은 ‘국가를 위기에서 구하고 살길을 강구하기(救亡圖存) 위한’ 탐색을 시작하였다고 서술하 였다.

이어 그 구체적인 ‘‘救亡圖存’의 탐색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태평천국 운동은 청왕조 통치와 외국침략세력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自强’․‘救富’를 제창한 양무운동은 객관상 중국의 자본주의적 생산과 발 전을 자극하였다. 자산계급 유신파는 민족을 위망에서 구하기 위해 유신 변법운동을 진행하였다. 의화단운동은 중국인민이 적극적으로 다년간 열 강의 침입에 반항한 의분의 총 폭발로 그 영웅적 투쟁은 객관상 열강이 중국을 瓜分하려는 기도를 깨트렸다. 신해혁명은 청 왕조의 통치를 전복 하였고, 중국에서 이천여년간 연속해온 군주전제제도를 끝내고 중화민국 을 건립하여 완전한 의의상의 근대 민족민주혁명을 개창하였다. 신문화운 동은 구 사상 도덕과 문화에 충격을 가해 사상해방의 갑문을 열었다.

(8)

이상의 각 사항에 대한 인식변화를 순서대로 알아보자.

< >

태평천국운동 서술은 수정본에서 추가되었다. 태평천국운동에 대해 서는 “태평천국 운동이 청 왕조통치와 외국침략세력을 엄중하게 타격 했다”는 서술과 함께 과정내용도 실험고와 비교해 변화하였다.

태평천국운동 과정내용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실험고 태평군이 상승군에 항거한 사실을 안다.

수정본 홍수전을 알고, 태평천국운동의 성쇠를 요해13)한다.

실험고는 서술부분에서 제외된 태평천국운동을 과정내용과 실험 교 과서상에서는 언급하고 있는데, 주된 서술은 과정내용처럼 반침략투쟁 을 강조할 뿐이다.14)수정본이 태평천국운동 평가에서 “외국침략 외에 청 왕조통치’를 엄중하게 타격했다”고 하고, 과정내용에서 태평천국운 동의 성쇠를 요해한다고 한 것에서 보면, 태평천국운동이 중국근대사 에서 민족독립과 인민해방, 국가부강과 인민부유를 위한 ‘구망도존’

운동이었음을 나타난 것이다. 과정내용을 통해 보면 향후 수정교과서 에서는 태평천국운동의 ‘구망도존’적 서술이 추가될 것으로 보인다.

13) 了解는 학습대상에 대하여 일정 수준의 인지와 기억이 있는 것을 말한다. 구 체적인 개념․작용․의지 등의 인지와 학습을 포괄한다. 그것이 요구하는 심리 적 과정은 주로 기억이다. 이것은 가장 낮은 수준의 인지와 학습의 결과이다.

14) 태평천국운동은 8년 상책 제 1단원 <침략과 반항> 제 2과 <제 2차 아편전 쟁기간 列强侵華罪行>에서 ‘태평군이 양창대(상승군)에 대항하여 격퇴하다’는 제목을 달고 서술하고 있다. 서술내용의 핵심은 아편전쟁이 중국에 엄중한 결 과를 준 이후, 인민이 청조통치에 반항하는 투쟁이 확산되는 와중에 발생한 태 평천국운동은 미국이 주도하는 양창대(상승군)가 성립하면서 이들을 격퇴하는 데 진력하여 끝내 양창대를 엄하게 징벌하였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義務敎 育課程標準實驗敎科書 中國歷史, 八卷 上冊, 人民敎育出版社(北京), 2006, pp.9-10).

(9)

< >

양무운동에 대해, “‘自强’․‘救富’를 제창한 양무운동은 객관상 중국 의 자본주의적 생산과 발전을 자극하였다”는 서술은 실험고와 같다.

그런데 과정내용의 서술에는 차이가 있다.

실험고 양무파가 ‘자강’, ‘구부’를 위하여 창립하고 경영한 주요 군사공업과 민용공업을 열거하고, 앙무운동이 중국근대화 진행과정에서의 지위와 작용을 평가한다.

수정본 양무파가 ‘자강’,‘구부’를 위하여 창립하고 경영한 주요 군사공업과 민 용공업을 요해하고, 양무운동의 작용과 국한성을 초보적으로 인식한 다.

실험고 과정내용에 입각한 실험 교과서상에서 양무운동은 8년 상책 제 2단원 근대화의 탐색 제 6과 양무운동에서 “양무운동의 주된 목적 은 봉건통치를 유지․보호하는 것이지 중국을 자본주의로 향하게 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이 중국을 부강하게 한 것은 없으나 서방선진의 과 학기술을 이끌어 들여 중국에 근대기업을 출현하게는 하였다. 양무운 동은 중국 근대기업에 생산경험을 쌓도록 하였고, 기술역량을 배양하 게 하여 객관상으로 중국민족 자본주의의 탄생과 발전에 촉진작용을 일으켜 중국의 근대화를 개척하는 길을 열게 하였다”고 평가하였다.15)

양무운동에 대해 실험고 과정내용의 “중국근대화 진행과정에서의 지 위와 작용을 평가한다” 는 서술을 “양무운동의 작용과 국한성을 인식 한다” 로 수정한 것은 중국근대사 인식의 큰 변화를 의미한다.

주제별 학습체제 하의 실험고는 제 2단원 근대화의 발걸음을 떼다에 서 양무운동․무술변법․신해혁명․신문화운동을 언급하고 있어 이 네 운동을 근대화운동으로 보았다. 그런데 수정본에서는 양무운동을 근대 화와 연결시키고 있지 않다. 과정내용을 보면 양무운동을 自强․救富, 즉 국가부강과 인민부유를 위해 창립하고 경영한 군사공업과 민용공업 을 요해하고 양무운동의 작용과 국한성을 인식하도록 한다고 한 것에 서 보면. 향후 교과서 서술에서는 양무운동을 근대공업발전과 연계하 15) 위책, p.30. 

(10)

여 그 작용과 국한성에 대해 서술할 것으로 보인다.

< >

무술변법에 대해, “자산계급 유신파는 민족을 危亡에서 구하기 위해 유신변법운동을 진행하였다”는 서술은, 실험고 “자산계급 유신파는 민 족을 위망에서 구하고 자본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 유신변법운동을 진 행하였다”는 서술에서 ‘자본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 부분을 삭제하였 다. 과정내용에서도 차이가 분명히 나타난다.

실험고 백일유신의 주요내용을 알고, 무술변법이 중국근대사회에 대한 영향 을 인식한다.

수정본 강유위․양계초 등 유신파 대표를 알고, 백일유신의 주요사실을 요해 한다.

실험고의 서술과 과정내용은 무술변법이 자본주의를 발전시키기 위 한 조치이고, 자본주의를 발전시키려 한 것이 중국근대사회에 대해 끼 친 영향이라는 논리로 이해되는데 반해, 수정본은 자산계급이 주도한 무술변법운동도 구망도존을 위한 운동이지만 그 방법론이 자본주의적 근대화는 아닌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의화단운동>

의화단운동에 대해 “중국인민이 다년간 열강의 침략에 반항한 의분 의 총 폭발이며, 그 영웅적 투쟁은 객관상 열강이 중국을 瓜分하려는 기도를 깨트렸다”는 수정본 서술은 실험고에는 없다. 실험고는 과정내 용과 실험 교과서상에서는 의화단운동 관련 내용이 8년 상책 제 1단원 침략과 반항 제 5과 ‘8국 연합군의 侵華전쟁’에서 의화단운동은 제국주 의 침략세력에 투쟁하여 이들을 크게 무찌른 것으로만 서술하고 있 다.16)

16) 위책, p.20. 

(11)

실험고 8국 연합군이 중국을 침략한 역사적 사실을 이해한다.

수정본 의화단운동과 8개국 연합군의 중국침략에 대항하여 격퇴한 사실을 안 다.

수정본의 의화단운동에 대한 평가도 실험고와 크게 다르지는 않지 만, 서술과 과정내용에서 반침략 구국운동의 성격을 보다 분명하게 서 술하고 있다. 과정내용을 보면 향후 발행될 교과서에서는 의화단운동 에 대한 전반적 서술이 추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 >

신해혁명의 의의를 국내전제통치의 부패 암흑에서 기인한 근대중국 의 심각하고 엄중한 고난을 극복할 기회를 제공한 근대 민족민주혁명 으로 인민해방의 기초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한 서술은 실험고와 같다.

그런데 과정내용에서는 차이가 나타난다.

실험고 손중산의 주요 혁명활동을 요해하고, 무창기의를 알고, 신해혁명의 역사의의를 탐구토론한다.

수정본 손중산 早年의 혁명활동을 요해하고, 손중산이 중국민주혁명의 先行 者임을 안다. 무창기의와 중화민국 성립의 사실을 요해하고, 신해혁명 의 역사의의를 인식한다.

수정본 과정내용, “손중산이 중국민주혁명의 先行者임을 안다”는 서 술은 신해혁명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으로 이어진 중국민주혁명과 연 계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하였다.

<신문화운동>

신문화운동에 대해, “신문화운동은 구 사상도덕과 문화에 충격을 가 해 사상해방의 갑문을 열었다” 고 평가하여 신문화운동을 중국의 근대 사상과 문화 해방운동으로 규정한 서술과 과정내용은 실험고와 같다.

(12)

실험고 진독수․호적 등 신문화운동의 대표인물을 열거하고, 신문화운동이 중국근대 사상해방운동 중의 지위와 작용을 요해한다.

수정본 진독수․호적 등 신문화운동의 대표인물을 알고, 신문화운동이 중 국근대 사상해방운동 중의 지위와 작용을 요해한다.

이상의 중국 인민의 구망도존 운동에 대한 총평은 다음과 같다.

중국인민은 간고의 환경 중에도 부단히 경제․정치와 사상․문화개혁 을 진행하였다.

실험고에서는 “열강의 침략을 받고, 개방을 요구받는 상황 속에서 중국은 끊임없이 경제․정치와 사상․문화의 변혁을 이루어내어, 중국 적 근대화의 어렵고도 험한 발걸음을 떼었고, 사회구조는 점차 전통사 회에서 근대사회 형태로 전환하기 시작하였다”고 서술하여 양무운동․

무술변법․신해혁명․신문화운동 등이 중국적 근대화를 추구하고 사회 구조를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 이행시키는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한 데 반해, 수정본은 문구도 ‘중국인민은 간고의 환경 중에도’로 바꾸고,

‘중국적 근대화’와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 형태로 전환’이란 표현을 삭 제하였다. 이는 중국근대사에서 ‘근대화’라는 용어는 애매성과 오해의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17)을 의식한 것일 수도 있지만, 중국근 대사에서는 외부적 충격과 영향에 의한 근대화와 근대사회 형성은 없 고, ‘구망’운동과 함께 ‘도존’을 위한 자체적 개혁을 추구한 여러 운동 을 전개했음을 강조한 것이다. 즉 중국근대사는 제국주의의 침략으로 半식민지화 한 상황 속에서도 민족독립과 인민해방, 국가부강과 인민 부유라는 목표를 향해 지속적으로 노력한 역사라는 인식을 강하게 드 러내고 있다.

17) 중국근대사상의 ‘근대화’는 서방과 접촉 교류하면서 점차 생겨난 용어이기 때 문에 ‘근대화’에 대해서는 특별한 이론 설명이 필요하며, 내함과 외연의 경계설 정을 분명히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학생에게 사상혼란을 줄 수 있다(田海 林, 《全日制義務敎育歷史課程標準(實驗稿)》(中国近代史部分)與教材編寫問題 略論 , 山東師大歷史系, p.2; http://www.pep.com.cn/peixun/xkpx/czls/kcyj/

kcyj/201009/t20100928_917612.htm).

(13)

5.4운동 이후부터는 중국적 사회주의운동과 연결된다.

1919년 폭발한 5.4애국운동은 중국 구민주주의 혁명의 마감과 신민주 주의혁명의 시작을 나타낸다. 막스주의가 중국의 선진적 인사 중에 광범 하게 전파되었고, 1921년 중국공산당이 성립하여 중국혁명의 면모가 이로 부터 확연하게 일신하였다. 제 1차 국공합작은 국민혁명운동 기운을 끌어 올렸다. 국공합작 결렬 후 중국공산당은 국민당의 반동정치에 대항하기 위해 농공무장혁명을 진행하여 농촌에 근거지를 건립하고 중국혁명의 새 로운 길을 탐색하였다. 1931년 일본제국주의가 9.18사변을 일으켜 중화민 족은 심각한 민족위기를 맞이하였고 전국적 항일 救亡운동이 부단히 고 조되었다. 1937년 일본제국주의가 7.7사변을 일으키자 국공 양당의 2차 합작에 기초하여 중화민족의 전국적 항전이 이로부터 개시되었다. 중국공 산당은 항전 중 중추적 역할을 발휘하였다. 중국인민은 피흘린 분전을 거 쳐 마침내 제 1차의 근대 이래 외적침입에 반항한 완전 승리를 얻었다.

항일전쟁 승리 후 중국은 두 종류의 명운과 두 가지 나아갈 길에 대한 결정을 해야 할 상황에 직면했다. 중국공산당은 화평민주를 쟁취하기 위 해 큰 노력을 하였다. 그러나 국민당은 독재통치를 견지하고 거리낌 없이 내전을 일으켰다. 중국공산당은 인민을 영도하고 3년여의 해방전쟁을 진 행하여 국민당의 중국대륙 통치를 전복하고 신민주주의혁명의 위대한 승 리를 얻어냈다.

<5.4 >

5.4운동에 대해 실험고의 “자산계급이 영도한 구민주주의혁명을 마 감하고 무산계급이 영도한 신민주주의혁명의 시작을 나타낸 것이다”는 평가에 대해, 수정본은 ‘자산계급이 영도한’과 ‘무산계급이 영도한’의 부분을 생략하였다. 이는 2000년 2월 강택민 총서기가 제시한 ‘‘3개대 표(三個代表)’ 노선18)에서 당이 대표해야 할 계급이 기존의 노동자·농 18) 2000년 2월 장쩌민(江澤民) 당시 중국공산당 총서기는 광둥성을 시찰하며 ‘3 개대표(三個代表)’ 노선을 제시했다. 주요 내용은 첫째, 선진생산력 발전요구로

3개 대표론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선진생산력 발전요구이다. 선진생산력은 바로 물질적 부와 정신적 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당은 생산력의 해방과 발전을 추진하여 인민의 생활수준을 부단히 향상시켜 인민의 근본이익을 대표해야 한 다. 이러한 생산력발전의 추진을 위해 경제건설의 중심과 과학기술을 발전시켜 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선진문화 발전요구로 선진문화 발전요구는 사회주의 정신문명건설을 강화하는 지도 사상이다. 선진문화는 인류 문명의 진보적인 결 정체로 정신적인 동력과 지력·기술의 총체이다. 또한 선진문화는 건설적이며,

(14)

민뿐만 아니라 기업인·자본가·지식인 등으로 확대하면서 계급투쟁적 시각에서 탈피하고자하는 의도에서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5.4 운동이 중국 구민주주의혁명의 마감과 신민주주의 혁명의 시작이라는 서술은 신해혁명과 중국민주혁명을 민주주의혁명이라는 동일선상의 연 속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하려는 태도가 반영된 것으로, 이는 신해혁명 - 5.4운동 - 중국민주혁명을 하나의 흐름으로 연결하여 중화민국과 중 화인민공화국을 일체화하고자 하는 의도의 표현으로 이해된다. 5.4운동 과정내용의 서술에도 이러한 인식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실험고 오사애국운동의 기본적 역사사실을 간술하고, 오사정신을 이해한다 수정본 오사애국운동의 기본적 역사사실을 알고, 오사운동이 중국신민주주의

혁명의 단초를 열었음을 인식한다.

< 운동>

중국공산당 성립과 제 1차 국공합작이 결렬된 후의 상황 설명에서 실험고의 “중국공산당은 국민당통치에 반항하기 위해 공농무장혁명을 진행하여 중국혁명의 험난하고 어려운 탐색을 시작하였다” 는 서술을 수정본은 “중국공산당은 국민당의 반동통치에 반항하고 工農무장혁명 을 진행하여 농촌에 근거지를 건립하고 중국혁명의 새로운 길을 탐색 하였다” 로 수정하였다. 이는 중국공산당은 민주혁명인 신해혁명에 위 배되는 국민당의 반동(독재)정치를 제거하고 민주혁명을 완수하기 위 해 대다수 중국인민의 생활근거지인 농촌에 근거지를 건립하여 공농혁 과학적이며, 미래지향적이며, 사회 전진적인 문화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선진문 화 발전을 위해 선진적인 사상도덕문화와 과학기술문화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셋째, 광대한 인민의 근본이익을 도모하는 것으로, 선진생산력 발전요구, 선진 문화 전진방향은 광대한 인민의 근본이익과 서로 친밀한 관계에 있다는 것이 다. 그 중3개 대표론을 관통하는 것은 인민의 광대한 이익을 대표하는 것으 로 인민대중의 물질적인 생활수준을 계속해서 향상시키고, 인민에 대한 복무를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공산당이 ‘선진 생산력, 선진 문화, 광범위한(廣大) 인민 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뜻이다. 핵심은 ‘광범위한 인민’에 있다. 당이 대표해야 할 계급이 노동자·농민에서 기업인·자본가·지식인 등으로 확대되었다.

(15)

명을 진행하였다는 것을 강조하려는 것이다. 이는 중국공산당의 기반 이 농촌에 있으며, 농촌의 지원으로 중국민주혁명이 성공했음을 강조 하려 한 것이다. 과정내용에서도 같은 맥락의 서술변화가 나타난다.

실험고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회의소집개최 사실을 말하고, 중국공산 당성립의 역사의의를 인식한다.

○ 제 1차 국공합작이 국민혁명운동을 촉진하였다. 국공합작이 결렬된 후 중국공산당은 국민당통치에 반대하여 농공무장혁명을 진행하여 중 국혁명의 험난한 길을 걷기 시작했음을 인식한다.

○ 중국농공홍군 대장정에 대해 말하고 홍군의 혁명 영웅주의 정신을 이해하고 중국혁명 역사과정의 고난과 굴곡을 인식한다.

수정본

○ 李大釗가 막스주의를 전파한 사실을 요해한다. 중국공산당 제1차 전국대표회의소집개최 사실을 말하고, 중국공산당성립의 역사의의를 인식한다.

○ 제 1차 국공합작은 국민혁명운동의 고조와 팽창을 이끌어냈으며, 국공합작 파열 후 중국공산당은 국민당의 반동통치에 반대하여 農工 武裝革命을 진행하고 농촌에서 근거지를 건립하고 중국혁명의 새로운 길을 탐색하였음을 요해한다.

○ 제 1차 국공합작과 북벌전쟁 승리와 진군의 주요사실을 간략히 진 술한다.○ 중국공농홍군장정 고사를 진술하고, 홍군의 혁명영웅주의정신을 몸 으로 안다. 遵義會議19)를 알고, 그것이 중국혁명사에서 갖는 지위를 인식한다.

< 항일투쟁>

수정본은 제 2차 국공합작을 통한 대일 항쟁과정에서 특히 중국공산 당이 중심적 작용을 하여 외래 침입자에 반항하여 완전한 승리를 얻어 냈다는 서술을 추가하여, 중국공산당의 역할을 크게 강조하였다.

19) 준의 회의(遵義会議)는 1935년 1월 중국 구이저우 성 북부의 도시 쭌이에서 열린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를 말한다. 장제스의 제 5차 공산 토벌전에 서 패배하여 괴멸직전 도주하던 중국 공산당은 장시 성을 출발해 북서쪽으로 퇴각하는 장정을 단행했는데 이 회의는 장정 도중에 열렸다. 이 회의에서 그때 까지 공산당의 권력을 장악하던 28인의 볼셰비키 그룹의 보구와 오토 브라운 등 '친 소련파'의 노선이 비판당했고 국민당과의 전투에서 실패한 책임을 물 었다. 반대파이자 당초부터 농민을 기반으로 한 유격전술을 주장하던 마오쩌둥 이 권력을 잡게 되었고 당권과 군사지도권을 장악하고 장정을 이끌게 되었다.

이 회의에서 또한 장정의 목표지역을 서북지역으로 설정하는 결정이 내려졌다.

(16)

<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

수정본은 실험고의 “국민당정부는 미 제국주의 지원 하에서 거리낌 없이 내전을 일으켰다”는 서술에서 ‘미 제국주의의 지원 하에서’ 를

‘독재정치를 견지하고’ 로 대체하였는데, 이는 국공내전의 원인을 외부 에서 찾지 않고 독재와 민주의 충돌로 해석하여, 민주가 승리한 것이 라는 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향후 교과서 서술 상에서 발 생할 수 있는 외교적 마찰을 미연에 방지하고,20)현재도 대만이 미국의 지원을 받고 있다는 인상을 심지 않으려는 의도도 내포되어 있다고 생 각된다.

중국공산당이 국민당의 중국대륙 통치를 전복하고 승리할 수 있었던 이유를 수정본 과정내용에서 “해방구의 토지개혁을 알아 국민당 남경 정권 몰락과 인민해방전쟁이 신속하게 승리한 주요원인임을 대략적으 로 분석한다” 고 하여 해방구에서의 토지개혁이 중국인민의 협력을 이 끌어내는 원동력이었음을 추가하였다.

끝으로 중국근대사 학습을 통해 학생이 얻어야 할 지식과 견지해야 할 태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근대중국이 받았던 심각하고 엄중한 고난은 국내전제통치의 부패 암흑과 외국열강이 침입하여 조성된 것임을 인식한다. 국가주권과 민족존 엄을 지킨 것은 중화민족의 우수한 전통임을 인식한다. 救亡圖存과 현대 화 실현은 근대중국인민이 분투한 기본목표였음을 안다. 민족민주혁명의 어렵고도 힘들었음을 알며, 중국공산당이 없었으면 신중국의 道理도 없었 음을 알아서 중화민족의 부흥을 위해서 분투하는 신념을 굳게 해야 한다.

수정본은 근대 중국이 받은 고난의 이유를 국내전제통치의 부패 암 흑과 외국열강이 침입한 결과에서 찾아, 실험고의 “외국열강의 침략, 몰락한 봉건전제제도와 종합국력의 쇠약이 중국이 조금씩 半식민지․

半봉건사회로 빠져든 근본원인임을 인식한다”는 표현을 수정하고 ‘종 합국력의 쇠약’이란 자조적 표현을 생략하였다. 이는 중국근대사는 결 20) 그 예로 중국은 ‘동북공정’ 추진이 한국과 외교적 마찰을 불러오자 초급중학

교 역사교과서에서 한국관련 서술을 완전 삭제하였다.

(17)

코 패배의 역사가 아니라, 끝내 중국공산당이 주도한 민족민주혁명을 완수하여 국가주권과 민족존엄을 지켜낸 승리의 역사이며, 그 바탕에 는 ‘현대화 실현’이라는 기본목표를 향한 근대 중국인민의 분투가 있었 기 때문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즉 중국근대사는 ‘현대화 실현’의 바탕을 마련한 성취의 역사로 인식하였다.

여기에서 ‘현대화 실현’이란 표현에 주목해 보자. 위에서 지적하였듯 이 수정본은 양무운동 이후의 각종 운동에 대한 평가에서 ‘근대화’라는 표현과 관련성을 모두 삭제하였다. 그리고 서술 말미 중국근대사 평가 에서 ‘현대화 실현’을 추구한 역사로 규정한 것에서 중국근대사 인식의 큰 변화의 방향을 읽을 수 있다. 즉 현대화이론을 중국근대사 인식에 적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현대화이론은 인류역사를 생산력을 근본추동력으로 삼아 고찰하여 중국과 세계의 역사를 보는 관점으로, 역사가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 로 변화한 것을 밝히는 이론으로, 이 이론에 의하면 세계사는 공업혁 명 이후의 역사, 중국사는 아편전쟁 이후의 역사가 이에 해당한다.21)

현대화의 유형은 自發的․傳導的 현대화, 자본주의 현대화․사회주 의 현대화가 있다.22) 현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은 경제상의 공업화, 정치상의 민주화, 사상문화상의 선진화인데, 식민․半식민국가 가 현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민족화 즉 제국주의 침략에 반대하여 민족독립과 통일을 쟁취하는 것이 전제조건이라고 한다.23)

이상의 관점에서 수정본에 담긴 중국근대사에서 전개된 각종 운동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경제상의 공업화는 양무운동에서 시작되었다. 자본주의적 생산 방식, 즉 공업화에 바탕한 군사공업․민용공업과 관련한 근대공장의 설립과

21) 錢承旦, 世界近現代史的主線是現代化 , p.1.

http://www.pep.con.cn/gzis/js/xsjl/sjsyj/201009/t20100926-914364..htm 22) 楊寧一, 20世紀世界現代化進程簡論 , p.2.

http://www.pep.com.cn/czis/js/xsjl/sjsyj/201009/t20100926-914378.htm 23) 錢承旦, 앞글, pp,1-5.

(18)

운영 경험이 양무운동을 통해 축적되었다. 정치상의 민주화는 전제(독 재)통치에 저항한 태평천국운동과 전제통치를 마감한 민주혁명인 신해 혁명, 그리고 최종적으로 중국민주혁명으로 일단락되었다. 사상문화상 의 선진화는 구 사상도덕과 문화로부터 사상해방의 계기를 제공한 신 문화운동, 사회주의운동과 결부된 5.4애국운동을 통해 달성되었다는 인 식이다.

최종적으로 중국인민의 지속적인 구망 투쟁, 중국민주혁명과 내전에 서의 승리로 민족의 완전독립을 달성함으로써, 이상의 근대기에 축적 된 현대화 요소들이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발휘되어 사회주의 현 대화가 실현되고 더욱 발전해가고 있다는 인식이다.

Ⅳ. 보편의 재해석

수정본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의 서술에 나타난 세계근대사 인식 변화의 핵심은 사실상 서양근대사 중심으로 진행된 세계근대사 전개에 서의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인 자본주의에 대한 재해석이다.

수정본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 세계근대사 부분 서술과 과정내용 을 실험고와 비교하여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자.

세계근대사는 16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 이다. 이 역사단계 중에 세계 각 지구는 자본주의문명 이전의 상대고립과 상호격절상태가 날로 발전한 자본주의 세계시장과 피비린내 나는 식민확장에 의해 타파되어 인류가 점차 상호관계․상호의뢰의 단계로 진입하였고, 나아가 진정한 의 의상의 세계역사를 탄생시켰다.

수정본이 세계근대사 정의에서 실험고와 비교하여 변화한 부분은 크 게 두 가지이다.

① 세계근대사의 시기설정의 변화이다.

세계근대사의 하한을 19세기 말, 즉 제 1차 세계대전 이전으로 보고

(19)

있다는 점이다. 이는 세계근대사도 현대화이론에 바탕하여 인식한 결 과물이다. 즉 식민확장을 통한 자본주의 현대화의 확산은 세계 통일체 형성과 발전을 불러 일으켰고, 그 과정에서 자본주의가 초래한 계급모 순․민족모순 속에서 19세기 중엽 등장한 막스주의와 국제공산주의운 동의 확산으로 사회주의운동이 활발히 전개되는 등의 다양하고 독자적 인 발전이 추구되었다. 20세기가 되면서 이러한 현상이 세계 각지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 사회주의 현대화 흐름이 정착되었다는24)인식의 변 화가 반영된 결과이다.

② 세계근대사에 대한 평가 변화이다.

수정본은 실험고가 세계근대사는 “자본주의 사회형태가 배태․탄생․

발전한 역사이다” 라고 서술한 부분을 삭제하였다. 현대화이론에 입각 해 세계근대사도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로 전환해간 시대라는 인식의 반영이다. 다만 자본주의는 사회형태로서가 아니라 공업화라는 생산방 식과 관련이 있을 뿐이다. 세계근대사는 세계가 격절․고립된 상태에 서 상호관계․상호의뢰의 단계로 전환하여 진정한 의의에서의 세계역 사를 탄생시켰다는 의의를 가진 시기로 규정하였다. 그것은 날로 발전 한 자본주의적 공업화생산에 바탕한 열강의 세계시장 개척과 식민확장 에 의해 나타난 현상으로, 세계근대사는 세계시장 확대의 역사, 이를 위해 식민확장이 진행된 역사라는 인식이다. 한편 그 영향으로 세계사 가 상호격절에서 상호관계․상호의뢰의 관계로 전환하도록 만드는 계 기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세계근대사의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14세기에서 17세기에 지중해와 대서양 연안지구에는 자본주의 수공업 공장과 租地農場이 출현하였고, 문예부흥운동․신항로 개척과 초기의 식 민약탈은 자본주의적 경제 발전을 촉진하였다.

수정본은 실험고에 비해, 조지농장의 출현을 추가하였고, 지리대발견 을 신항로 개척으로 수정하였다. 자본주의 생산방식 도입과 문예부 24) 楊寧一, 앞글, p.4.

http://www.pep.com.cn/czis/js/xsjl/sjsyj/201009/t20100926-914378.htm

(20)

흥․신항로 개척과 근대 초기의 식민약탈은 자본주의적 경제 발전을 촉진하였을 뿐이라는 해석에 따라, 실험고가 “자본주의 사회형태의 기 본요소를 잉태․양육하였고, 세계가 일체화 방향으로 나아가게 하는 한 걸음을 떼게 하였다”고 한 서술은 삭제되었다. 실험고의 서술은 17 세기 이후 나타난 세계적 현상이 자본주의 사회를 모방하여 자본주의 사회화의 방향으로 매진하게 하였다는 뜻으로 해석되는데, 수정본의 서술변화는 위에서도 지적하였듯이 자본주의를 사회형태로서 보지 않 는 견해에 따른 인식변화이다. 세계근대사도 자본주의적 생산방식인 공업화, 이를 진일보하게 한 과학발전, 문예부흥이 가져온 인간 사상해 방 등을 통해 자본주의 현대화를 형성하고 발전시킨 역사로 인식한 것 이다. 이러한 인식은 과정내용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실험고 ○ 신곡을 알고 다빈치, 콜롬버스의 주요활동을 언급하고 문예부흥과 신항로개척이 유럽자본주의 사회의 탄생에 미친 작용을 인식한다 수정본

○ 신곡 섹스피어의 희극 등을 알아 문예부흥이 인간 사상 해방에 대 한 의의를 초보적으로 이해한다

○수공업공장, 租地농장의 탄생에서 근대 초기 서구사회 경제의 중요 변화를 초보적으로 이해한다.

17세기에서 19세기, 자산계급은 혁명 혹은 개혁을 통해 잇달아 구미 주요국가와 아시아의 일본에서 정권을 취득하였고, 자본주의제도는 확립 될 수 있었다. 이 시기에 뉴턴․다윈 등으로 대표되는 과학자가 생겨나서 인류의 자연과학 지식을 풍부하게 하였고, 공업혁명과 기타의 과학기술 창조에 중요한 전제를 제공하였다. 18세기 중엽부터 시작되어 주요 자본 주의 국가는 선후로 공업혁명을 시작하거나 완성하여 생산력을 신속하게 발전시켰고 사회 면모에는 대단히 큰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문학예술은 전에 없이 번영하였다. 한편 공업화는 경제 대발전을 가져온 동시에 인류 생존환경의 파괴문제를 드러냈다. 19세기 말에 이르러 선진기술을 가진 구미인의 대양주와 태평양 도서에 대한 식민은 세계가 완전히 연계되어 하나의 통일체를 이루게 하였다. 서방 자본주의 국가가 핵심이고 주재적 지위에 있는 세계시장이 부단히 확대되어 서방 선진 동방 낙후의 국면이 초보적으로 형성되었다.

세계근대사에서 구미 주요국가와 아시아의 일본에서는 혁명이나 개

(21)

실험고

○ 권리법안, 독립선언과 인권선언의 기본내용을 간략히 진술하여 영 국자산계급혁명, 미국독립전쟁과 프랑스대혁명의 역사적 영향을 초보 적으로 요해한다.

○ 링컨이 남북전쟁에서의 주요활동을 말하고, 흑인노예해방선언의 주요내용을 설명하며, 남북전쟁이 미국 역사발전 중에 끼친 작용을 이해한다.

○ 러시아가 폐지한 농노제 법령의 주요내용을 말하고, 농노제개혁의 역사적 작용을 인식한다.

○ 메이지유신의 주요내용을 말하고, 메이지유신이 일본이 자본주의 사회로 전환하도록 촉진한 작용을 인식한다.

○ 와트가 증기기계를 만든 사실을 알고, 증기기계가 대량 공장생산 중의 작용을 인식한다.

수정본 ○ 1640년 혁명(청교도혁명)과 그 후의 명예혁명을 통해 영국군주입 혁을 통해 탄생한 정권 하에서 자연과학 지식과 과학정신 강조, 공업 혁명 등을 통해 생산력을 신속히 발전시켰다. 그 여파로 사회면모의 변화와 문학예술의 번영을 이루었다고 평가하였다.25)

과학발전과 공업혁명이 불러온 경제발전이 사회의 변화, 사상의 변 화로 이어졌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무분별한 공업화에 의한 경제발 전은 인류 생존 환경의 파괴문제를 야기하였다는 지적을 추가하였다.

실험고에서 “서방의 공업혁명 완성이 생산력의 비약적 발전과 사회 면모의 변화로 이어지고, 이는 자본주의제도가 봉건제도를 싸워 이기 게 하였다” 고 한 서술은 삭제하였다. 이는 세계근대사가 자본주의제 도와 봉건제도 간의 갈등이 아니라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로 전환하는 현대화가 추구된 시대라는 인식에 기인한 것이다.

서방 자본주의 국가들이 주도한 식민확장은 19세기 말 세계가 하나 로 연계된 통일체를 이루도록 하였고, 서방이 세계시장에 대한 주도권 을 확대하였다. 그 결과는 서방선진, 동방후진의 국면 형성으로 나타났 다고 평가하여 국가발전을 위해서는 세계시장의 확대가 중요함을 강조 하였다.

과정내용도 이상의 변화된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25) 구미 주요국가와 일본의 혁명․개혁이 국가발전으로 이어졌다는 해석은 중국 (중국공산당)이 주도한 중국민주혁명 국가발전을 이루기 위해 추진한 개혁이 현재 중국의 발전을 이루는 원동력이었음을 증명하려는 해석이기도 하다.

(22)

헌제도확립의 역사의의를 초보적으로 이해한다.

○ 워싱턴,독립선언, 1787년 헌법을 통해 미국혁명이 미국역사발전에 끼친 영향을 이해한다.

○ 프랑스대혁명과 나폴레옹 제국의 활동을 통해 프랑스혁명의 역사 의의를 초보적으로 이해한다.

○ 러시아개혁을 알아 개혁이 러시아의 역사진보를 촉진하였음을 요 해한다.○ 흑인노예해방 선언을 알고, 남북전쟁이 미국 역사발전 중에 끼친 작용을 이해한다.

○ 메이지유신의 주요정책을 알고, 메이지유신이 일본역사발전 중에 끼친 작용을 이해한다.

○ 공업화시대를 맞이한 역사의의를 이해한다.

○ 2차 공업혁명을 이해하고, 공업혁명이 가져온 사회진보와 사회문제 를 이해한다.

자본의 잔혹한 박탈과 열강의 광기어린 식민확장은 자산계급과 무산계 급의 계급모순, 자본주의 열강과 식민지․반식민지국가의 민족모순을 전 에 없이 격화시켰고, 노동자운동․사회주의운동과 민족해방운동이 왕성하 게 발전하였다. 19세기 중엽 막스주의의 탄생은 국제공산주의운동이 나아 가야 할 방향을 분명하게 제시하게 되었다.

전반적인 서술은 실험고와 같다. 단지 수정본은 막스주의 탄생이 19 세기 중엽임을 명시하였고 막스주의의 탄생은 국제공산주의운동이 나 아가야 할 방향을 분명하게 제시하게 되었다고 하여, 막스주의 탄생과 국제공산주의운동을 직접 연결시키고 있다.

그런데 세계근대사 서술에서는 실험고와 수정본 모두 민주화에 대한 구체적 서술이 없다. 다만 자본의 박탈과 식민확장으로 인한 계급 모 순의 발생을 강조하고 이것이 사회주의 탄생과 확산으로 이어졌음을 강조할 뿐이다.

세계근대사 학습을 통해 학생이 얻어야 할 지식과 견지해야 할 태도 를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세계가 점차 하나의 통일체를 형성하였음을 이해한다. 초보적으로 同類의 역사事物에 대해 비교 개괄하고 종합하는 것을 배운다. 자본주의 발전의 역사진보성과 국한성은 물론 그 야만성과 확장성을 이해․분석한 다. 막스주의 탄생의 중대한 역사의의를 인식하고, 식민지․半식민지 인 민의 반항이 자본주의 침략확장에 대한 정의성과 합리성을 갖는 투쟁임

(23)

을 이해한다. 초보적으로 과학정신을 숭상하는 의식, 역사진보의식, 역사 정의감과 사람을 근본으로 삼는 가치관을 형성한다.

실험고의 “자본주의 사회제도의 역사진보성․야만성․탐학성과 확장 성을 분석한다”에서 ‘자본주의 사회제도’를 삭제하고 대신 ‘자본주의 발전’으로 표기하였다. 다만 세계근대사는 세계가 점차 하나의 통일체 를 형성하도록 한 역할을 수행하여, 세계사가 상호관계 속에서 다양한 발전을 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나타난 자본주의 적 식민침략의 야만성과 팽창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며 그에 대한 반발이 막스주의를 탄생시켰고 이에 근거한 식민저항의 정의성과 합리 성을 강조하고 있다.

실험고의 ‘식민지 인민의 반항’을 ‘식민지․半식민지 인민의 반항으 로’ 대신하였는데, 이는 중국과 같은 半식민지상태의 국가에서 진행된 인민의 반식민저항을 포괄하고자 하는 의미이다. 그리고 과학정신을 숭배하는 의식을 가질 것을 촉구하여 현재 중국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밑바탕이 과학발전에 있음도 강조하고 있다.

이상의 세계근대사 인식은 세계근대사를 공업화․과학화․사상 선진 화를 거쳐 자본주의 현대화를 형성하고 발전시킨 역사이며, 동시에 식 민확장을 통한 자본주의 현대화의 확산은 세계 통일체 형성과 발전을 불러일으켰으며, 그 반작용으로 사회주의운동을 자극하고 확산시켜, 20 세기가 되면서 자본주의 현대화와 함께 사회주의 현대화 흐름이 정착 되어 간 것으로 보고 있다.

Ⅴ. 맺음말

수정본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에 나타난 중국의 근대사 인식변화 의 주요부분은 ‘보편과 특수’의 문제 즉 세계사의 기본법칙과 중국사 의 관계설정에 대한 재정립 문제이다. 중국은 이 문제에 대해 현대화

(24)

이론을 접목하여 새로운 근대사인식을 드러냈다.

현대화는 인류사회 발전의 공통적 조류와 규율로, 세계는 현대화를 통해 농업사회에서 공업사회로 전환하였다. 이는 자본주의 요소가 西 歐에서 생겨나고 초보적으로 발전한데서 시작되어 초기의 형태를 갖추 었다고 보았다. 자본주의는 식민확장에 따른 세계시장 개척과정에서 전 세계를 향해 확산하여 자본주의 현대화가 나타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한 계급갈등, 민족갈등으로 사회주의가 출현하면서 사회주의 현대 화도 형성되고 발전하였다고 보았다.

중국적 사회주의 현대화는 세계현대화 조류 중의 하나라는 인식이 다. 중국근대사를 아편전쟁에서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에 이르는 시기 로 정의하고, 중국근대사는 자본주의 열강의 중국침략으로 중국사회의 독립적 역사 진행이 중단된 상태에서도, 세계현대화 조류의 영향과 중 화민족의 우수전통과 중국공산당의 領導라는 내재적 요소에 의해 ‘구 망도존’을 위한 노력들이 전개되어 끝내 민족독립․인민해방을 관철하 고, 나아가 국가부강․인민부유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여 사회주의 현 대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역사라고 규정하였다.

이는 중국근대사가 세계현대화 조류의 영향을 받았고 자기의 내재요 소와 방향의 선택을 포괄한 사회주의 현대화시기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수정본에서는 세계근대사에 대해서도 재해석을 하였다. 초기의 세계 근대사에서 자본주의 현대화가 주류를 이룬 것은 서구 자본주의 국가 들이 자본주의적 생산․과학기술의 축적을 통해 공업화를 이끌었고, 이는 생산물의 급속 신장으로 이어졌으며, 식민확장을 통해 세계시장 을 장악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 결과로 세계는 고립․격절의 상태 에서 하나의 유기적 통일체로 형성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었고, 그 과 정에서 세계는 자본주의 현대화를 주도하여 세계시장을 장악한 서방이 先進, 그렇지 못한 동방의 後進 상황이 나타났다는 인식이다.

중국은 세계근대사 속에서 서양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힘의 원천은 바로 현대화의 기반을 동방보다 일찍 마련하게 한 과학발전과 공업화

(25)

그리고 세계시장의 확대에 있다고 강조하였다.

중국은 근대의 시작과 끝이 서양에 비해 시기적으로 훨씬 뒤졌지만 현재 중국이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국가위상 및 경제력이 서양주요국 에 오히려 앞설 수 있게 된 이유는 근대기 중국인민 모두가 합심하여 구망운동을 전개함과 함께 도존을 위한 自强․救富운동을 전개하여 현 대화의 기반을 마련한 상황에서 민족민주혁명을 통해 민족독립을 완수 하였기 때문이라는 인식을 나타낸다.

현재 중국공산당은 서방선진의 원천이었던 과학기술과 시장확대를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에 입각한 개혁․개방정책과 과학발전 추구를 통해 사회주의 현대화를 신속하게 성취해 가고 있다는 ‘신중체서용’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나아가 세계근대사의 결과물로 전 세계가 하나의 유기적 통일체를 형성한 이후의 세계현대사에서는 과거역사 속에서 민족 간 交往․交融 을 통한 공동번영의 역사를 진행해온26) 중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으며 해야 한다는 ‘신중화주의’적 입장에서의 ‘중국적 보편주 의 구상’이 수정본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에 담겨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참고문헌 목록>

全日制義務敎育歷史課程標準(實驗稿)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1.7)

義務敎育歷史課程標準(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12)

義務敎育課程標準實驗敎科書中國歷史, 八年 上冊 (人民敎育出版社(北京), 2006) 許紀霖, 普世文明, 還是中國價値? -近十年中國歷史主義思潮之批判 (開放時代,

2010年 第5期)

張海鵬, 爲什麽說阿片戰爭是中國近代史的開端 (“中國近代史綱要”課疑難問題解 (高等敎育出版社(北京), 2007.5),

윤경우, 중국 지식인 사회의 ‘중국모델’담론 (중국지식네트워크창간호, 국민 대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11.4)

송인재, 부상하는 중국, 지식인의 자리찾기 (중국지식네트워크, 제2호, 국민대 학교 중국인문사회연구소, 2012.6)

26) 반채영, 앞글, p.412 참조.

(26)

김유리, 역사교학대강에서 역사과정표준으로-최근 중국의 역사 교육과정 개혁 (역사교육제96집, 역사교육연구회, 2005)

권소연, 중국 역사교육과정의 변화와 추이 -‘사상중심 역사학’에서 ‘실용주의 역 사학’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제31집, 한국중국근현대사학회, 2006.9) 윤휘탁, 중국 중고교 역사교과서에 반영된 ‘中華意識’ (中國史硏究제45집, 중

국사학회, 2006.12)

김지훈, 중국의 신교육과정과 역사과정표준실험교과서 (동북아역사논총제17 호, 동북아역사재단, 2007)

金鍾健, 중국 역사교과서상의 한국관련 서술내용 변화에 대한 검토 -최근 초급 중학중학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中國史硏究제69집, 중국사학회, 2010.12) 김지훈 외,중국고등학교역사교과서의 현황과 특징(동북아역사재단, 2010.12) 김종박 외,중국역사교과서의 통일적다민족국가론(동북아역사재단, 2011.10) 禹成旼, 韓·中間 ‘相互理解와 歷史和解’의 認識提高를 위한 역사 교과서의 과제

-韓中 中高校 역사교과서의 서술사례를 중심으로 (中國史硏究제75집, 중국 사학회, 2011.12)

반채영, <의무교육 역사과정표준>의 수정을 통해 본 중국의 역사교육 (역사 와 담론제65집, 호서사학회, 2013.1)

김종건, 중국 역사교과서상의 중국근대사 내용과 변화 검토 -최근초급중학교과 서를 중심으로- (경북사학제27집, 경북사학회, 2004. 8)

김태승, 현대중국의 역사서술에 나타난 근대주의와 근대성 -중국근대사 인식을 중심으로 (중국학보제46집, 한국중국학회, 2002)

敎育部關于印發《敎育部2013年工作要點》的通知

http://www.moe.gov.cn/publicfiles/htmlfiles/moe/s7246/201301/147386.html 田海林, 《全日制義務敎育歷史課程標準(實驗稿)》(中国近代史部分)與教材編寫問題

略論 ,山東師大歷史系

http://www.pep.com.cn/peixun/xkpx/czls/kcyj/kcyj/201009/t20100928_917612.htm 錢承旦, 世界近現代史的主線是現代化

http://www.pep.con.cn/gzis/js/xsjl/sjsyj/201009/t20100926-914364..htm 楊寧一, 20世紀世界現代化進程簡論

http://www.pep.com.cn/czis/js/xsjl/sjsyj/201009/t20100926-914378.htm

(27)

(Abstract)

Change of Cognition on Modern History in China at the Revision of History Curriculum

of Compulsory Education Standard

Ban, Chae Young

The biggest change of cognition on modern history of China which is expressed the revision<history curriculum of compulsory education standard> is that it builds up Marxism and reformulate modern history. The main part of cognition change is the issue of 'universality and particular' that is the relation creation of general law of world history and Chineese history.

They define the modern history of China the period that is from the Opium War to the establishment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y prescribe that the modern history of China is the history of anti-colonism and anti-feudalism, as a result it accomplished the national independence, furthermore it formed foundation of modernization realization. This can be evaluated that they made their own cognition on modern history of China that is distinguished with general law of world history.

China knows that they became socialistic state and realize the modernization without experiencing capitalism. So they didn't relate the modern history of China with capitalism that is the typical western pattern and reformulate the new stage of settlement of the

(28)

sense of self. So the term ' modernization ' and description about capitalism are deleted in revised version <history curriculum of compulsory education standard> the modern history of China and

<curriculum standard>.

In addition, China explained modern world history again that the West has leaded. They think that the formation of capitalism is the phenomenon which comes out in the West and their colony, that modern world history has been leaded by the West because the West dominated the world market through capitalistic production, accumulat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extension of colony, as a result, the world went through the process that became an organic unification. And that is the role which the West has played on modern world history, they consider.

China emphasised that the sourse of power which the West has been played an important role on modern world history, the cause of the advanced West and the backward East, lay on not superiority of system but development of science and market extension.

So development of current China results from the effort that Chineese people try to be strong and wealthy, to protect imperialism, to complete a revolution of socialism. Based on this,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determines its attitude; new utilization western thing based on China(新中體西用) that achieve science devolpment and market extension which used to be the power of advanced West through science devolpment based on socialistic market economy system.

주제어: <의무교육역사과정표준>, 역사교육, 근대사 인식, 현대화

(29)

關鍵詞: <義務敎育歷史課程標準>, 歷史敎育, 近代史 認識, 現代化

Keywords: history curriculum of compulsory education standard, history education, cognition on modern history, modernization

(원고접수: 2013년 9월 15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2013년 10월 14일, 수정 원고 접수: 10월 21일, 게재 확정: 10월 25일)

Referensi

Dokumen terkait

著作授權:參賽者同意參賽作品依授權條款釋出影片,不限制重製、散布、改 作、或公開傳輸、公開播送及公開上映。 注意事項:參賽作品一律上傳 youtube,並提供連結給主辦單位。特殊情形者 可以繳交光碟片代替之 本比賽以國際行銷為主要目的,故上傳 Youtube 影片必須使用之關鍵字,並必 須包括”台灣、Taiwan, 縣市或鄉鎮、部落名稱,或主題如:大霸尖山、小烏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