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저작자표시-비영리 2.0 - S-Spac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저작자표시-비영리 2.0 - S-Space"

Copied!
196
0
0

Teks penuh

(1)

저작자표시-비영리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2)

교육학박사학위논문

마음챙김 학습을 통한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에 관한 연구

- 지리 텍스트 활용을 중심으로-

2 0 1 4 년 2 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 지리전공

이 동 민

(3)

마음챙김 학습을 통한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에 관한 연구

- 지리 텍스트 활용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류 재 명

이 논문을 교육학박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 0 1 3 년 1 0 월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교육과 지리전공

이 동 민

이동민의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2 0 1 3 년 1 2 월

위 원 장 ( 인 )

부 위 원 장 ( 인 )

위 원 ( 인 )

위 원 ( 인 )

위 원 ( 인 )

(4)

국문초록

지역에 대한 왜곡된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불식하고 사실에 입각한 균 형잡힌 태도를 함양하는 것은,지리교육을 통해서 길러주어야 할 중요한 목표에 해당한다.더욱이 세계화가 현실화된 오늘날의 사회적 맥락,그리 고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의 맥락을 고려해 보면,세계 시민성의 토대이기도 한 이와 같은 태도는 교육적으로는 물 론 사회적으로도 한층 절실하게 요구된다.

따라서 지리교육을 통해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를 효과적으로 함 양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의 모색은,교육적‧사회적으로 중요하게 요 청되는 과제에 해당한다.특히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이라는 지리교육적 과제가 실질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교실 등 실제 교수- 학습의 현장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본 연구에서는 먼저 어떠한 대상을 다양 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인식하며 새로운 관점에서 재해석‧재범주화할 수 있는 정신적 상태를 의미하는 심리학 개념인 ‘마음챙김(mindfulness)’에 주목해 보았다.선행연구에 따르면 마음챙김은 다각적‧개방적이면서도 유연한 사고력을 자극하여 학습활동을 촉진시킴은 물론,대상이 가진 고 유의 특성이나 다양성을 우열이 아닌 차이로 받아들이게 함으로써 그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존중과 포용의 태도를 함양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의 효과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마음챙김의 지리교육적으로 적용,즉 마음챙 김 학습이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리매 김할 가능성에 주목하였다.이에 따라 마음챙김 학습은 지역에 대한 균 형잡힌 태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연구가설 1),그리고 마음챙김 학습은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과 관련하여 텍스트 자 체가 갖는 제한점의 극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설(연구가설 2)

(5)

을 연구가설(총 2개)로 정하고,연구가설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통하여 마음챙김 학습의 이같은 교육적 가능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역에 대한 태도’라는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이론적 접 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이러한 태도의 구체적인 항목을 조작적으로 정의내려 보았다.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참조하여,‘지역에 대한 호 기심’,‘상대주의적 태도’,‘우호의 태도’라는 세 가지 항목 정도는 지리교 육을 통하여 함양할 필요성이 있는 태도라고 규정하였다.

연구가설 분석을 위한 조사연구는 다음과 같이 설계‧실시하였다.먼저 연구가설 1을 분석하기 위하여,텍스트 자체는 동일하게 두되 한 집단에 는 텍스트를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사실,한국 지리와의 공통성 또는 차 이점 등 마음챙김 질문을,다른 한 집단에는 마음챙김과 무관한 텍스트 의 내용회상 질문을 첨부하였다.텍스트를 읽고 지역에 대한 태도에 관 한 설문에 답하게 한 다음,집단별 설문 결과를 독립변인 t검정으로 비 교‧분석하였다.이와 같은 연구설계에 토대하되 연구결과가 특정 지역이 나 내용에 관계없이 반복가능한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중동의 인문지리 를 내용으로 하는 텍스트,중동의 자연지리를 내용으로 하는 텍스트,중 동이 아닌 남미의 지리적 내용을 담은 텍스트를 각각 소재로 하는 3회의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분석결과 3회 공히 마음챙김 질문이 첨부된 텍 스트를 읽은 집단의 문항 평균치가 내용 회상 질문이 첨부된 텍스트를 읽은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다고 확인되었다.즉,텍스트 내용 자체는 동일하더라도 이를 마음챙김 학습에 입각하여 활용하는 편 이 그렇지 않은 편에 비해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에 더욱 효과 적임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이러한 점에서,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가설 1은 충족했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어서 연구가설 2를 분석하기 위한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연구가설 2는 총 2회의 조사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각 조사연구는 전반적인 내 용은 같더라도 텍스트의 구성 및 서술 방식에 따라 지역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선행연구에 토대를 둔다.이에 따라서 먼저 동일한 중

(6)

동의 인문지리 관련 내용을 담되 지리적 특성에 대한 설명 및 묘사의 구 체성이 높은 텍스트와 낮은 텍스트라는 두 종류의 텍스트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텍스트별로 각각 마음챙김 질문과 내용 회상 질문을 첨부하여, 총 4종류의 읽기자료를 구성하였다.그런 다음 지역에 대한 태도 관련 설문 문항의 집단별 평균치를 이원배치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마음 챙김 학습의 적용 여부 및 텍스트 유형 두 변수 공히 지역에 대한 태도 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이 두 변수 간에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확인되었다.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구체 성이 낮은 텍스트에 내용 회상 질문을 첨부할 경우에는 구체성이 높은 텍스트를 읽은 집단에 비해 평균치가 현저히 낮았지만,마음챙김 질문을 첨부할 경우에는 평균치가 텍스트의 구체성이 높은 경우에 못지않은 수 준으로까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어서 구조는 동일하되 텍스트 를 ‘스토리-설명문’구도로 설정한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분석결과 스 토리텔링 텍스트를 읽은 집단의 평균치가 설명문을 읽은 집단에 비해 평 균치가 다소 높기는 했지만,예상과 달리 통계적 유의도는 세 항목 가운 데 1개 항목에서만 확인되었다.더불어 마음챙김 학습과 텍스트 유형 간 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도 확인되지 않았다.하지만 마음챙김 학습 변수는 여전히 지역에 대한 태도 형성에 의미있는 영향력을 행사했 으며,균형잡힌 태도 함양에 효과적이라고 확인되었다.종합하면 마음챙 김 학습은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에 효과적인 방법일 뿐만 아 니라,지리 텍스트가 이와 관련된 교육적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에 이를 보완할 가능성도 가진다고 판단된된다.따라서 연구가설 2도 충족했다는 판단을 내렸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논의를 도출할 수 있다.첫째,세계 여러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를 보다 효 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도록,마음챙김 학습을 지리교육에 적극적‧체계적 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둘째,마음챙김 학습은 텍스트 등 학습자료의 제한점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는만큼,이에 토대한 보다 체

(7)

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수-학습자료 활용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제기된 다.셋째,본 연구에서 마음챙김 학습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활용한 질문 제시는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에 ‘작지만 의미있는’효과가 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따라서 이처럼 실제 교실 현장에서 용이하게 적 용할 수 있는 ‘작지만 의미있는’교수-학습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도 제 기할 수 있다.마지막으로 ‘마음챙김’의 관점에 입각하여,지리교육에서 다루는 지역 개념을 다각적이고 개방적이면서도 유연한 관점에서 접근하 고 규정할 필요가 있다.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지역에 대한 편견과 왜곡 된 고정관념을 최소화하고,세계화 시대에 요청되는 세계 시민성의 토양 이기도 한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를 함양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고 판단된다.

주요어 :마음챙김 학습,세계시민성,지역에 대한 태도,지역에 대한 호기심,상대주의적 태도,우호의 태도

학 번 :2010-30396

(8)

목 차

제1장 서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1.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2.주요 연구가설 ···4

3.연구 방법 및 자료 ···5

4.논문의 구조 ···6

제2장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1.지역에 대한 태도 ···8

1)지역의 지리학적 의미 ···8

2)지역에 대한 태도의 중요성 ···10

3)‘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의 구체적 유형 ···16

2.텍스트의 지리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32

1)교수-학습 자료로서의 텍스트 ···32

2)지역에 대한 태도 함양과 지리 텍스트의 구성 및 활용 ···42

3.마음챙김 학습과 지역에 대한 태도 함양 ···47

1)마음챙김의 의미 ···47

2)마음챙김 학습:마음챙김의 지리교육적 적용 ···50

3)마음챙김 학습을 통한 지리교육과 지역에 대한 태도 ···52

4.지역에 대한 태도의 측정 도구 개발 ···55

1)예비조사 결과분석 및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 ···55

2)지역에 대한 태도 측정을 위한 설문 문항 개발 ···61

제 3장 마음챙김 학습과 지역에 대한 태도 · · · · · · · · · · · · · · · · · · · · · ·75

1.중동 인문지리 텍스트에 대한 마음챙김 학습의 적용 ···75

1)연구참여자 ···75

(9)

2)자료 및 방법 ···76

3)분석 결과 ···76

4)해석 및 논의 ···78

2.중동 자연지리 텍스트에 대한 마음챙김 학습의 적용 ···80

1)연구참여자 ···80

2)자료 및 방법 ···81

3)분석 결과 ···83

4)해석 및 논의 ···84

3.남미 지역을 다룬 텍스트에 대한 마음챙김 학습의 적용 ···85

1)연구참여자 ···86

2)자료 및 방법 ···86

3)분석 결과 ···89

4)해석 및 논의 ···91

제 4장 마음챙김 학습을 통한 대안적 지리 텍스트 활용: 지역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3

1.텍스트의 구체성과 마음챙김 학습 및 지역에 대한 태도 ···94

1)연구참여자 ···94

2)자료 및 방법 ···94

3)분석 결과 ···98

4)해석 및 논의 ···105

2.스토리텔링 텍스트와 마음챙김 학습 및 지역에 대한 태도 ···107

1)연구참여자 ···107

2)자료 및 방법 ···107

3)분석결과 ···111

4)해석 및 논의 ···118

(10)

제 5장 논의 및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1

1.연구결과 요약 ···121

2.연구의 의의 ···124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8

(11)

표 목차

<표 2-1> 세계 시민성 교육의 핵심 요소 ···14

<표 2-2> 질문 유형에 따라 촉진될 수 있는 사고력 ···38

<표 2-3> 질문 유형과 텍스트 ···58

<표 2-4> 설문 문항 ···59

<표 2-5> 예비조사 결과 ···61

<표 2-6> 지역에 대한 태도의 항목별 예비 문항 ···62

<표 2-7> 예비문항의 요인적재량 ···68

<표 2-8> 문항 수정 ···70

<표 2-9> 수정된 문항의 요인 성분 값 ···71

<표 2-10> 요인별 적재량 분석 결과 ···72

<표 2-11> 측정도구:지역에 대한 호기심 항목 ···73

<표 2-12> 측정도구:상대주의적 태도 항목 ···73

<표 2-13> 측정도구:우호의 태도 항목 ···74

<표 3-1> 마음챙김 학습과 지역에 대한 태도―중동 인문지리 텍스트 ···77

<표 3-2> 유형별 질문:중동 자연지리 ···82

<표 3-3> 마음챙김 학습과 지역에 대한 태도―중동 자연지리 텍스트 ···84

<표 3-4> 유형별 질문:남미 ···88

<표 3-5> 설문 문항:남미/페루 ···88

<표 3-6> 마음챙김 학습과 지역에 대한 태도―남미 인문지리 텍스트 ···90

<표 4-1> 텍스트의 구체성/마음챙김 관련 4가지 유형의 읽기 자료 ·98 <표 4-2> 텍스트의 구체성 정도와 마음챙김 학습의 적용 여부에 따른 지역에 대한 태도의 항목별 기술통계량 ···100

<표 4-3> 텍스트의 구체성 정도와 마음챙김 학습의 적용 여부에 따른 지역에 대한 태도의 항목별 이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101

<표 4-4> 스토리텔링/마음챙김 관련 4가지 유형의 읽기 자료 ···111

(12)

<표 4-5>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 및 마음챙김 학습의 적용 여부에 따른 지역에 대한 태도의 항목별 기술통계량 ···113

<표 4-6> 스토리텔링 기법 및 마음챙김 학습의 적용 여부에 따른 지역 에 대한 태도의 항목별 이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114

그림 목차

<그림 2-1> 항공교통 패턴에 따른 아프리카 지역 구분 사례 ···9

<그림 2-2> 마음챙김 학습을 통한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형성 과 정 ···54

<그림 4-1> 텍스트의 구체성 및 마음챙김 학습과 지역에 대한 태도:지 역에 대한 호기심 ···102

<그림 4-2> 텍스트의 구체성 및 마음챙김 학습과 지역에 대한 태도:상 대주의적 태도 ···103

<그림 4-3> 텍스트의 구체성 및 마음챙김 학습과 지역에 대한 태도:우 호의 태도 ···104

<그림 4-4> 스토리텔링 및 마음챙김 학습과 지역에 대한 태도:지역에 대한 호기심 ···115

<그림 4-5> 스토리텔링 및 마음챙김 학습과 지역에 대한 태도:상대주 의적 태도 ···116

<그림 4-6> 스토리텔링 및 마음챙김 학습과 지역에 대한 태도:우호의 태도 ···117

(13)

1장 서론

1.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지역,장소,공간적 패턴,입지조건,지형,기후와 같은 지리적 개념과 요인들은 지리교육의 핵심적인 내용을 이룬다.따라서 세계 여러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다양성,상호관련성 등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지리교육에 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과제에 해당한다.지역에 대한 이해는 가치중 립적인 사실이나 정보의 축적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문화적·환경적으로 상이한 세계 여러 지역의 지리적 특성에 대한 호기심 및 해당 지역의 고 유한 맥락과 특성을 이해·존중하고 우호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태도 의 함양은,지식이나 기능의 함양에 못지않게 중요한 지리교육의 목표이 다(吉田,2013;LambertandBalderstone,2010;Rawling,2007;Bednarz, 2004).세계화의 진전으로 세계 여러 지역 간의 상호관련성 및 의존성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현대 사회의 특성,그리고 다문화 사회로서의 특 성이 가속화되면서도 이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가 아직 미숙하여 여러 가 지 사회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한국사회의 맥락을 고려해 보면,이러한 태도의 함양은 교육적으로는 물론 사회적으로도 매우 절실하게 요청된다 (조동기,2010;최병두 외,2011;교육과학기술부,2009;Johnson and Coleman,2012;Larsen and Johnson,2012;Oberleand Palacios,2012). 따라서 지리교육을 통하여 세계 여러 지역,특히 왕래나 교류 또는 이해 가 부족하거나 또는 문화적·사회적·종교적·인종적으로 부정적이거나 왜 곡된 이미지가 강한 지역에 대한 편견이나 왜곡된 인식을 불식하고,사 실을 바탕으로 한 이해와 존중,우호(affinity)의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 록 지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LeeandRyu,2013).

지리교육에서 다루는 세계 여러 지역은,학생들이 살아가고 있는 지역

(14)

과는 사회적·문화적·자연적 환경과 맥락이 상이한 경우가 많다.그러다 보니 학생들이 자신이 속해 있는 지역의 사회적,문화적 기준을 토대로 타 지역의 고유한 풍습이나 생활 모습을 바라보고 판단하는 과정에서 편 견이나 몰이해가 일어날 소지가 있다.더욱이 세계 여러 지역에 대한 이 해는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서보다는 교과서라든지 서적,TV나 인터넷과 같은 대중매체 등 각종 매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 은만큼,매체화되는 과정 및 매체를 접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도 왜곡이 나 편향이 일어날 소지가 있다.따라서 지역에 대한 왜곡이나 편견을 최 소화하고 균형잡힌 인식과 태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틀에 갇히지 않은’

다양하고 개방적인 관점에서 지역을 바라볼 필요성이 제기된다(Banks, 2006;Monk,2000;Parker,2004).

한편 교육의 의미나 방향에 대한 이론적·담론적 논의가 실질적인 교수 -학습으로 이어지고 실천되려면,이를 교실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 인 방법에 대한 모색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교실에서 실제로 이루어 지는 교수-학습 활동은 학생들의 발달수준 및 학습능력,교실환경이나 수업시수 등과 같은 시공간적 제약 등을 고려하여 교실에서 용이하게 실 천가능한 형태로 접근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Feiman-Nemser,2001;

LeeandRyu,2013).따라서 학생들이 지리 수업을 통해 세계 여러 지역 에 대한 고정관념,편견 등의 ‘틀’에서 벗어나,균형잡힌 인식과 태도를 갖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논의가 요청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지리교육과 관련된 여러 교수-학습자료들 중에서 도,가장 기본적이면서도 널리 사용되는 자료인 텍스트에 초점을 맞추어 보았다.텍스트는 교과를 막론하고 가장 기초적이면서도 폭넓게 활용되 는 교수-학습자료로,텍스트 내용을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용이하게 구성 하는가의 여부,그리고 동일한 텍스트라 하더라도 이를 학습자들이 한층 효과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교수-학습효과가 달라지며 지역에 대한 태도 역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Carter,1993;

Leeand Ryu,2013;Mladenic,1999;Stark and Lattuca,1997).그런데

(15)

실제 수업에서는 교사가 스스로 작성한 텍스트를 활용할 수도 있지만 교 과서 등 이미 만들어져 있는 텍스트를 활용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이 러한 자료들이 반드시 완벽한 최적 수준의 교재라고 단정짓기는 어렵다 (Becketal.,1996;HealeyandIlbery.1993).더욱이 한국의 초중등교육 제도를 살펴보면 일선 학교에서의 이행이 법적으로 명문화될 정도로 엄 격한 국가수준 교육과정이 존재하는만큼,교과서 등 교수-학습자료 선정 에 제약이 적지않다(박창언, 2003; 박창언·정영근, 2009; 유영의 외, 2013).다시 말해서,한국의 학교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따라 검인 정 교과서 등 주어진 텍스트를 활용해야만 하는 경우가 많다.이러한 한 국의 교육 현실은,주어진 텍스트 자료가 최대한의 교육적 효과를 발휘 하도록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특히 절실함을 의미한다.

주어진 지리 텍스트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은,앞서 언급 한 ‘틀에 갇히지 않은 다양하고 개방적인 관점’과도 연결지어 살펴볼 수 있다.즉,동일한 텍스트를 활용하더라도 텍스트 내용 자체에만 몰두하기 보다는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고 사고할 수 있게끔 지도함으로써,텍스 트에 언급된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함양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된다.따라서 지리 텍스트를 다양하고 개방적인 관점에 서 바라보고 이해하도록 지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 도 제기된다.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마음챙김 (mindfulness)’개념에 주목해 보았다.마음챙김이란 대상에 대한 개방적 태도와 다양한 관점 및 이에 토대한 새로운 범주 만들기를 핵심적인 내 용으로 하는 심리학적 개념이다(이양원 역,2006;Langer,2000).선행연 구에 따르면 마음챙김을 통해 대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게 함으로 써 사고력을 향상할 수 있음은 물론,이를 통해 대상이 가진 특성을 우 열이 아닌 차이의 개념으로 이해함으로써 차별이나 편견을 감소할 수 있 는 효과도 가진다고 확인되었다(Langer,1993;Langeretal.,1985).더 욱이 마음챙김은 간단한 질문 제시와 같은 간단히 실천할 수 있으면서도 유연하고 개방적인 시각과 사고를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의 활용에 초점을

(16)

맞춘다(LangerandMoldoveanu,2000;Langeretal.,1985).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마음챙김의 지리교육적 적용,즉 ‘마음챙김 학습’

을 통하여 지역에 대한 한층 균형잡힌 태도를 길러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이를 위하여 텍스트에 마음챙김 질문,즉 텍 스트 내용 자체가 아닌 이와 관련된 다양하고 개방적인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질문을 첨부함으로써 지역에 대해서 보다 균형잡힌 태도를 형성 할 수 있는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그리고 여기서 논의를 한층 심화하 여,마음챙김 기법이 텍스트 유형(스토리텔링,설명문 등)자체가 갖는 제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활용가능한가의 여부에 대해서도 초 점을 맞추고자 한다.이를 통하여,지리교육의 현장에서 세계 여러 지역 에 대한 한층 균형잡힌 태도를 길러줄 수 있는 구체적이면서도 실천적인 교수-학습 방안의 사례를 이론적으로 검토·제시하고자 한다.

2.주요 연구가설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 학습에 입각한 지리 텍스트 활용이 지역에 대 한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세워 보았다.

연구가설 1)마음챙김 학습은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2)마음챙김 학습은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과 관련 하여 텍스트 자체가 갖는 제한점의 극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가설 1>의 분석을 통하여,마음챙김 학습이 지역에 대한 태도 형성과 관련된 교수-학습 방법으로서의 가치를 가지는가의 여부를 확인

(17)

하고자 한다.그리고 <연구가설 2>의 분석을 통하여,마음챙김 학습이 교수-학습자료가 갖는 현실적 제한점을 보완하고 실제 교육 현장에 더 한층 기여할 수 있는가의 여부에 보다 심층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텍 스트에 간단한 질문을 첨부하는 일견 ‘사소해 보일 수도 있는’교수-학 습방법에 관한 연구이지만,이를 통해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를 함 양할 수 있는 ‘작지만 의미있는’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함은 교실 현장에 직접적인 의미를 가져다줄 수 있는 논의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 육적 의미가 적지 않으리라고 판단된다.

3.연구 방법 및 자료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 학습에 입각한 지리 텍스트 활용이 지역에 대 한 태도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가의 여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지역에 대한 태도’는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인만큼,먼저 지리교육 에서는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해야 할지에 대한 논 의를 진행하였다.이에 따라 선행연구(김다원‧허신혜,2012;Kalsetal., 1999;LambertandBalderstone,2010;LarsenandJohnson,2012;Lich, 1992;Morgan,1997;Tilley,2000)를 참조하여,‘지역에 대한 호기심’,‘상 대주의적 태도’,‘우호의 태도’의 3가지 요인을 지리교육에서 중시해야 할 지역에 대한 태도의 구체적인 항목으로 선정하였다.이를 토대로,지역에 대한 태도의 구체적인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한 문항을 개발하였다.항목 별로 4개의 문항을 선정하여 총 12개 문항으로 구성되고 7점 리커트 척 도를 적용한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다.요약 통계(summarystatistics)기 법에 따라 항목별 평균을 비교·분석하도록 하였다.

마음챙김이 지역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진행을 위 해서,동일한 텍스트를 제시하더라도 이를 마음챙김 학습에 입각하여 활 용할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즉 텍스트 내용 자체에만 주목하여 활

(18)

용하는 경우에 비해 지역에 대해 균형잡힌 태도 함양에 더 효과적인가의 여부를 t검정 및 이원배치 분산분석(two-way ANOVA)기법으로 분석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먼저 동일한 텍스트를 제시하더라도 텍스 트에 대한 마음챙김 질문,즉 텍스트 내용에 대한 다각적,개방적 사고를 요구하는 질문을 첨부하는 경우가 텍스트 내용의 단순 회상을 요구하는 질문을 첨부할 경우에 비해 지역에 대한 태도가 한층 균형잡힌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는가의 여부를 t검정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이어서 마음챙김 학습이 텍스트 자체가 갖는 제한점을 보완하는데 기 여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하였다.이를 위해 주제와 전반적인 내용은 동일하되 텍스트 유형을 스토리텔링 대 단순 설 명문,그리고 지역적 특성에 대한 묘사의 구체성이 높은 테스트 대 낮은 텍스트라는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해 보았다.그리고 유형별 지역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이원배치 분산분석 기법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선행연 구에 따르면 스토리텔링 및 묘사의 구체성이 높은 텍스트가 스토리 구조 가 아닌 단순 설명문 및 구체성이 낮은 텍스트에 비해 학습효과가 높다 고 알려져 있는데,마음챙김 학습을 통해 설명문,구체성이 낮은 텍스트 등의 제한점을 보완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는 텍스트 자료의 현실적인 제한점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 는 논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텍스트 유형 및 마음챙김 학습이라는 두 가지 변수를 분석하는만큼 이원배치 분산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4.논문의 구조

1장에서는 마음챙김 학습이 지역에 대한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의 문제를,텍스트 자료의 활용이라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활동과 관련지어 제기해 보았다.그리고 이와 관련된 연구가설 및 연구방법과

(19)

자료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고찰하였다.여기서는 먼저 지역에 대한 태도의 지리교육적 의미와 중요성,그리고 교실 수업에서 널리 활 용되는 텍스트 자료의 지역에 대한 태도 형성과 관련된 교육적 기능 및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지역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 개 발도 시도했다.그런 다음,마음챙김 학습에 입각한 지리 텍스트의 활용 이 지역에 대한 태도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는가에 대해 서 이론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3장과 4장은 연구결과를 다루는 장이다.3장에서는 마음챙김 학습이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 는가의 여부에 대해서,4장에서는 마음챙김 학습이 지역에 대한 태도 형 성과 관련하여 텍스트 자료 자체의 제한점을 보완할 가능성을 가지는가 의 여부에 대해서 분석하였다.이를 통하여 교실에서 용이하게 실천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의미있는 텍스트 활용 기법을 통한 지역에 대한 보다 균형잡힌 태도의 함양 방안을,마음챙김 이론에 입각하여 구체적·

심층적으로 살펴 보았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연구의 의의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20)

2장 이론적 배경

1.지역에 대한 태도

1)지역의 지리학적 의미

지역이란 다양한 논리와 기준에 의해 타 지역과는 차별화되는 특성을 가진 지리적 공간으로,지리학적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인 동시에 근본적인 주제이기도 하다(Jordan,1992;Natoli,1994).타 지역과 차별화 되는 고유한 특성인 지역성(regionality)은 지역이라는 개념의 핵심을 이 루며,이러한 점에서 지역은 장소나 공간 등의 지리적 단위들과는 구분 된다(Jordan,1992;Painter,2008).즉,지역이란 단순히 일정한 범위로 구획된 지표상의 공간 또는 특정 위치에 자리잡은 장소라는 의미를 넘어 서,해당 지역 고유의 지리적·사회적·문화적·정치적 특성을 가지며 다른 지역과는 구분되는 일정 범위의 지리적 단위라는 성격을 가진다.

지역은 어떠한 장소,그리고 그 장소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간의 상호 작용과 관련성에 의해서 형성된다는 또다른 특성을 가진다(Ferris,1992;

Paasi,1996;Paasi,2002).즉,지역이란 절대적인 기준에 의해 규정된 영 구적이고 불변하는 단위라기보다는,인간과 장소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 양한 양상으로 규정되고 재규정되는 개념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예 컨대 Goodetal.(2011)은 아프리카 대륙의 지역 구분을 기존의 국가나 국경선 중심의 구분 기준 대신 지역간에 이루어지는 실질적인 사회적 상 호작용을 기준으로 시도할 필요성을 제기하면서,아프리카 지역의 주요 허브 공항 및 이들 공항을 중심으로 한 항공노선 및 항공편 이용 패턴 등 항공 교통 양상을 기준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지역 구분 가능성을 제 안한 바 있다.

(21)

그림 2-1.항공교통 패턴에 따른 아프리카 지역 구분 사례

<출처:Goodetal.,2011:186>

지역이 장소와 사람들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및 관련성에 의해서 규정되고 형성된다는 논의는,지역이 인문사회적 속성을 강하게 가짐을 시사한다.즉,지역은 일정 범위 내의 물리적 공간과 관련된 일련의 역사 적 사건이라든지 정치적·사회적·경제적 관계,지역간의 접촉과 교류,자 본이나 자원의 공간적 분포 또는 흐름에 관련된 이해관계 형성 등 정치 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요인과 과정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Allenet

(22)

al.,1998;Goodetal.,2011).

Paasi(1996)는 지역이 사회적으로 규정되고 형성되는 과정을,앞서 언 급한 특정 공간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정치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요인과 과정들이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생산·재생산되어 이루어지는 ‘제도 화(institutionalization)’라고 설명하였다.그리고 Jordan(1992)은 지역이란 물리적 또는 행정구역상으로 구획된 공간으로서의 지역을 의미하는 형식 적 지역(formalregion)및 사람들이 해당 지역과 관련하여 형성해 놓은 심상지도상에 존재하는 지역인 토착적 지역(vernacularregion)이라는 두 유형으로 구분된다고 설명하였다.이러한 논의는,지역이란 사회적·심리 적 요인의 작용에 중요한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주관적·심리적 속성을 가진 개념임을 시사한다.이와 관련하여 LeeandRyu(2013:144)는 지역 의 개념을 다음과 같이 정의내린 바 있다.

……(1) 지역은 고유한 정체성을 내포한, 타 지역과 구분되는 일정 범위의 장소를 의미한다. (2) 지역의 사회적 양상과 요소는, 지역 정체성 형성에 중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3) 정체성은 지역 인식 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인이다…….

즉,지역이란 어떠한 절대적이고 불변하는 기준에 의해 구획된 항구적

‧보편적인 개념이라기보다는,인간과 장소의 상호작용에 따른 사회문화 적 맥락 및 이와 관련된 주관적·심리적 측면에 영향을 받아 규정되고 재 규정되는 유동적·맥락적인 지리적 단위로 간주하고 바라볼 필요가 있다.

2)지역에 대한 태도의 중요성

(1)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상술한 것처럼,지역에 대한 태도의 지리학적 중요성은 대단히 높다.

그렇다면 지역에 대한 태도가 구체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하

(23)

는가의 문제가 제기된다.지역에 대한 계량적 정보나 가치중립적인 사실 을 알고 있는 수준을 넘어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할 때에야,지역에 대 한 이해와 개념 규정도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올바른 태도’에 대해서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된다.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여기서는 먼저 지역에 대한 태도 형성이 추구해야 할 방향성에 대해서 논의해 보기로 한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사람들은 세계 여러 지역,특히 본인이 살아가고 있는 지역과는 문화적‧정치적‧환경적으로 상이한 지역에 대해서는 왜곡 된 인식이나 부정적인 고정관념 등을 가질 소지가 적지 않다.이러한 지 역에 대한 이해는 직접적인 경험보다는 각종 매체 등을 통해서 이루어지 는 경우가 많은만큼,외국 등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고 직접적인 경 험에 제한이 따르는 지역에 대한 왜곡되고 편향된 인식이나 태도를 개선 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더욱이 지역이 가진 고유한 환경과 맥락 은 지역간 차이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는데,이러한 특성과 맥락 을 고려하지 않은채 겉으로 나타나는 모습만을 자신의 기준만으로 판단 할 경우에는 지역에 대한 왜곡되고 편향된 태도가 야기되고,나아가 인 종주의 등 사회적으로 대단히 부정적인 결과가 유발될 소지도 있다.구 체적인 사례를 들자면 기후와 환경에 대한 적응의 산물인 피부색이 인종 차별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사례,지역 고유의 음식 문화를 야만 적이라고 매도하는 사례 등을 지적할 수 있다(ColinandPreciphs,1991;

Cortis,2003).

내전,기아,전염병,자연재해 등 지역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및 이 를 부각한 매체나 정보는 왜곡된 태도와 부정적인 편견을 강화하는 요인 으로 작용하며,반대로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미화 등은 지역에 대한 현 실적이지 못한 환상이나 사대주의적 태도 등을 조장할 우려가 있다(Lee and Ryu,2013;Myers,2001).이 중에서도 부정적인 편견이나 왜곡은 지역간의 존중이나 우호를 저해함은 물론 적개심이나 지역 간의 불화, 분쟁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Banton,1996;Gullestad,2006)는 점에서

(24)

특히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본 연구에서는 지역에 대한 태도의 방향 성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자 한다.첫째,지역에 대한 태도는 왜곡되거 나 과장되지 않은 사실에 입각해야 한다.둘째,해당 지역의 고유한 특성 과 맥락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고려의 토대 위에서 태도가 형성되어야 한다.셋째,지역에 대한 태도는 기본적으로 우호와 협력,상호 존중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물론 이러한 가치를 위해서 지역의 여러 특성 가운 데 우호적이거나 긍정적인 측면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것 또한 또다른 의미에서의 왜곡되고 편향된 태도를 야기할 소지가 있지만,지역에 대한 이해 및 이에 토대한 지역간의 관계와 의사소통은 기본적으로 협력과 우 호 및 상호 존중에 입각한 평화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원 칙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Lambertand Baldrestone,2010;Larsen and Johnson,2012;LeeandRyu,2013).

이상과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본 연구에서는 지역에 대한 태도는 ‘균 형잡힌’방향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본 연구에서는 ‘지 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의 구체적 의미를,사실에 입각하되 지역의 다 양성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상호 존중과 우호‧협력을 지 향하는 태도라고 규정하고자 한다(Larsen and Johnson,2012;Lee and Ryu,2013;Myers,2001).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하기로 한다.

(2)지리적·사회적 중요성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어떤 지역이 어떠한 정체성을 갖는가의 문제, 그리고 사람들이 그 지역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갖고 어떠한 양상의 심 상지도를 형성하는가의 문제는,해당 지역을 규정하는 사회문화적·심리 적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Goodetal.,2011;Jordan,1992;Paasi, 1996).인간이 어떠한 지역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심상지도 및

(25)

지역의 고유한 측면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Jordan, 1992)에서,지리학에서 지역에 대한 태도는 지역에 관한 계량적·수치적·

공식적 정보의 이해에 못지않은 중요성을 가진다.따라서 지역을 어떻게 바라보는가의 문제는,지역을 규정하고 이해함에 있어 불가결한 요인이 라고 판단할 수 있다.

지역에 대한 태도는 심리적 요인,정체성 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점에서,지역에 대한 존중이라든가 우호 및 협력 등에 있어서도 결정적 인 역할을 수행한다(池,2013;Leeand Ryu,2013).지역에 대한 왜곡되 거나 편향된 태도는 부정적이거나 왜곡된 인식과 감정을 야기하며,이는 지역간의 존중이나 우호를 저해함은 물론 적개심이나 지역 간의 불화, 분쟁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한다(Banton,1996;Gullestad,2006).반면 사 실을 기초로 하면서도 개방적인 관점과 문화적·지리적 다양성의 존중의 토대 위에서 형성된 태도는,지역간 우호와 협력이 이루어지기 위한 중 요한 조건이기도 하다(Hicks,2003;LeeandRyu,2013).

이러한 점에서,지역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 지역이 규정되고 형성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요인이며,특히 우호,협력,상호 이 해와 존중과 같은 태도는 오늘날 세계화 시대에서의 지역간의 협력과 평 화가 이루어지는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덕목이기도 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의 함양은 지리학적으로는 물론,세계 화 시대라는 오늘날 사회의 특성에 비추어 보았을 때에도 그 중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3)교육적 중요성

지역은 지리교육의 핵심적인 주제이자 개념이며,지역의 다양성 존중 및 우호와 협력의 태도 함양은 지리교육의 핵심적인 목표 가운데 하나이 기도 하다(Johnstonetal.,2000;Lambertand Balderstone,2010;Lee and Ryu,2013).즉,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함양은 지리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주제에 해당한다.더욱이 지역간의 활발하고 역

(26)

지식/이해 기능 가치/태도 사회 정의와 평등 비판적 사고 정체성 및 자기존중감 다양성 효과적인 토론 능력 공감능력

세계화와

(지역간)상호의존성

부당함과 불평등에 대 하여 문제 제기하기

사회 정의 및 평등의 실 천을 위해 노력하기

지속가능한 개발 사람과 사물 존중하기

환경에 관심을 가지고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천 을 위해 노력하기

평화와 분쟁 협력과 분쟁 해결 사람들의 다양성 존중 표 2-1.세계 시민성 교육의 핵심 요소

동적인 상호관련성과 의존성,교류를 특징으로 하는 세계화의 도래로 인 해, 그 중요성과 당위성은 한층 커지고 있다(Lee and Ryu, 2013;

Merryfield,1998).요컨대 지리적·문화적 다양성 존중에 입각한 ‘다원주 의적·개방적·수용적’태도의 함양은,세계화 및 다양한 문화의 공존이 중 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오늘날 사회에서 지리교육이 추구해야 할 중 요한 목표이자 가치이기도 하다(Lee and Ryu,2013; Choido,1993;

Gerber,2003;Merryfield,1998).

이와 같은 지역에 균형잡힌 태도 함양은,세계화 시대에 요청되는 세 계시민성과도 밀접하게 관련된다.세계화 사회에서의 사회적 실천과 책 임을 핵심으로 하는 세계 시민성 함양은 교육,특히 사회과교육에서 중 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세계 시민성은 세계 여러 지역 간의 관계라는 지리적 속성과 긴밀하게 관련된다는 점에서 지리교육을 통한 세계 시민 성 교육은 지리 교육의 핵심적인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Lambertand Balderstone,2010;Rawling,2007).세계 시민성 교육의 핵심 요소는

<표 2-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출처:Oxfam,2003:5>

(27)

<표 2-1>에 정리된 바와 같이,세계 시민성 교육은 세계 여러 지역의 다양성과 상호관련성,사회 정의와 평등,협력과 평화를 핵심적인 주제로 다룬다.그리고 정체성 및 자기존중감,공감능력,사회 정의와 평등 및 지속가능한 개발,다양성 존중 등은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해 요구되는 핵심적인 가치 및 태도에 해당한다.이는 세계화 시대에 요청되는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해서,지리교육을 통해 세계 여러 지역에 대한 균형잡 힌 정체성,다양성 존중,우호와 협력,공감 등의 태도를 길러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학습자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과는 문화적·

사회적·정치적으로 상이한 지역에 대해서 자칫 왜곡되거나 부정적인 태 도를 형성할 소지가 있으며,실제로 그러한 경우도 적지않게 찾아볼 수 있다.아프리카는 미개하고 후진적인데다 전염병과 기아가 창궐하고 내 전이 횡행하다는 식의 왜곡되고 부정적인 인식과 관점,태도가 대표적인 사례인데,이는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인식부족,부정적인 측면을 과도하 게 부각시키는 대중매체,심지어 아프리카 지역을 부정적 특성 위주로 서술한 교과서나 학습자료 등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Firchow,2000;Myers,2001;Okigbo,1995).선행연구에 따르면 한국인 들의 중동에 대한 태도 역시 부정적으로 왜곡되고 편향된 측면이 적지않 다.한국인들은 중동 지역을 친숙하지 않은 ‘이방’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 한데다 해당 지역의 문화에 대한 이해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측면이 많으며(하병주,2010;황병하,2008),심지어 한국내 이슬람교 종 교시설 및 인근의 공간을 거북하고 두렵게 여기는 등 중동 지역에 대한 부정적·적대적 태도를 갖고 있는 경우도 적지않다고 보고되었다(박윤경, 2007).이처럼 지역에 대한 ‘부정적으로 왜곡된 태도’는 한국과는 상이한 측면이 많은 중동의 문화나 관습,전통 등에 대한 이해 부족과 더불어,

‘코란과 칼’등의 문구로 표현되는 서구 중심적·오리엔털리즘적 사고방식 과 관점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받은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송도영, 2006;황병하,2008;Little,2008).이처럼 지역에 대한 편견,왜곡된 고정

(28)

관념,적대감 등 왜곡되고 부정적인 태도는 세계 시민이 갖추어야 할 태 도나 자질과는 배치되며,세계화 시대에 요청되는 타 문화나 지역에 대 한 공감능력이나 존중,협력과 같은 가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이어진다 (Abilock,2006;Banks,2006).

종합하면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는 오늘날 세계화 시대에 요청되 는 지리교육의 중요한 과제이자 목표라고 할 수 있다.이러한 태도의 함 양을 통하여,오늘날 사회적·교육적으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다양성 존중 및 지역 간의 유기적 협력과 같은 가치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대 로 이해하고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세계 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는 지리교 육이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고 판단된다(Danzer,1991;Merryfield,1998;

Schmidt,2011).

3)‘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의 구체적 유형

앞 절에서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의 의미와 지리적·사회적 및 교 육적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그렇다면 지리교육을 통하여 길러주 어야 할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란 구체적으로 어떤 유형의 태도를 의미하는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지역에 대한 태도,그리고 ‘균형잡힌 태도’라는 용어는 다양한 방향으 로 정의될 수 있는 추상적 개념으로,연구 설계 및 수행을 위해서는 이 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통해서 구체적인 항목으로 정리하고 분류할 필요 가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지리교육을 통 해서 길러주어야 할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 들인가의 문제에 대해서 접근해 보았다.

선행연구 분석결과 세계화라는 오늘날의 사회적 추세,그리고 다문화 사회로의 진전이라는 한국 사회의 특성을 고려할 때,세계 여러 지역의 다양성 및 고유성 존중,그리고 이에 토대한 우호와 협력의 태도는 지역 간 우호와 협력 및 이에 기반한 평화의 실현,그리고 다문화 사회의 원 만한 유지‧발전이 이루어지기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판단된다(김다원‧허

(29)

신혜,2012;송도영,2006;박윤경,2007;조동기,2010;최병두 외,2011;

Featherstone,2013;Larsen and Johnson,2012).그리고 세계화 사회에 서 이와 같은 지역의 다양성 및 고유성 존중,그리고 우호와 협력을 실 천할 수 있는 자질,즉 지리 및 지역과 관련된 세계시민성의 함양은 지 리교육이 추구해야 할 중요한 목표이자 과제이기도 하다(Gerber,2003;

Hicks,2003; Lambert and Balderstone,2010; Lee and Ryu,2013;

Oxfam,2003;Schmidt,2011).나아가 세계 여러 지역에 대한 호기심은 지역에 대한 인식과 이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직접적인 계기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이를 토대로 지역에 대한 태도 형성의 근간을 이루는 필수 적인 요소로 작용한다는 사실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吉田,2013;Casey, 2001;Heartshorne,1939).

살펴본 논의를 통하여,본 연구에서는 지리교육을 통해서 세계 여러 지역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지역의 맥락과 특성을 해당 지역의 입장이 되 어 상대주의적‧공감적으로 이해하는 태도,그리고 세계 여러 지역과의 평화와 협력,상생과 공존이 이루어지기 위해 요청되는 우호의 태도를 길러줄 필요성이 크다는 논의를 도출하였다.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지역 의 다양하면서도 고유한 특성과 맥락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형성될 수 있는만큼,그 기초가 되는 요소인 지역에 대한 호기심 또한 지리교육적 으로 중요하게 요청되는 태도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지역에 대한 호기심’,‘상대주의적 태도’,‘우호의 태도’라는 3가지 요인을 지리교육을 통하여 길러주어야 할 지역에 대한 태도의 구체적인 항목으로 선정해 보았다.

한편 지역에 대한 태도와 관련된 지리교육 분야의 선행연구와 논의를 살펴보면,대체로 특정 지역에 대한 편견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어 왔다.예컨대 아프리카나 중동 지역에 대한 인종주의적 편견이나 고정관 념은 서구 중심 사회에서 폭넓게 존재하며,이는 심지어 지리 교과서 등 지리교육 자료 또는 활동에서조차 예외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비판한 연구들이 이에 해당한다(박선미·우선영,2009;Griswold,1975;Myers,

(30)

2001;Pred,2000;Winter,1997).그리고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토대로, 인종주의나 편견 등 지역과 관련된 왜곡된 인식 등을 최소화하는데 논의 의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져 왔다(Dwyer,1999;Henry and Sears,2009;Monk,2000).이같은 논의는 세계 여러 지역에 대한 부정 적이고 왜곡된 인식을 불식하고 지역간 다양성 존중과 평등 및 평화,우 호와 협력이 이루어지는데 요청되는 인식과 태도의 함양을 추구하는데 목적이 있다(Lambert and Balderstone,2010;Morgan,2002;Oxfam, 2003).즉,지리교육에서 지역에 대한 편견이나 인종주의적 고정관념 등 을 연구하는 까닭은 그 자체가 목적이라기보다는,이를 통해 다양성 존 중과 공감,우호와 협력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고 보아 야 한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편견이나 고정관념 등 부정적인 태도에 대한 비판보다는,균형잡힌 태도의 형성이라는 측면에 연구의 초점을 맞 추었다.이러한 문제의식의 토대 위에,앞서 언급한 세 가지 항목을 선정 하였다.

물론 이 세 항목만으로 지역에 대한 태도를 완전히 설명하기는 어렵 다.하지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오늘날 세계화 사회에서 요구하는 세 계 시민의 자질 및 이와 관련된 지리교육의 목표와 역할을 고려해 보면, 세계 여러 지역을 상대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하는 태도 및 우호 적인 관계를 형성·유지하려는 태도,그리고 지역에 대한 이해의 기초가 되는 태도인 호기심의 함양은 지리교육적으로 중요성이 높다고 판단된 다.다시 말해서,이 세 가지 항목만으로 지리교육을 통해 길러주어야 할 세계 시민성을 함양하는데 요청되는 지역에 대한 태도를 모두 설명하기 는 어렵지만,적어도 이 세 가지 항목 정도는 필수적으로 길러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따라,본 연구에서는 이 3가지 항목을 ‘지역에 대한 태 도’의 구체적인 요소로 선정하였다.각 항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31)

(1)지역에 대한 호기심

① 호기심의 의미와 교육적 의의

호기심은 어떠한 사실,현상,지식 등을 알아보고자 하는 인지적,정신 적 상태 또는 성향을 의미하며,인간이 무엇인가를 알아가고 탐구하려는 기본적인 성향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학습을 촉진하는 내적 동기의 하 나로 중요시되고 있다(Berlyne,1978;Demberetal.,1957;Vallerandet al.,1992).즉,호기심은 어떠한 대상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해하는 행위 의 출발점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점에서,호기심은 새로운 사실에 대한 발견 및 지식의 확충이 일어나게 만드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작용한다(Kangetal.,2009).새롭 거나 기존의 인지구조로 이해하기 어려운 사실에 대한 호기심은 탐색, 조사,탐구 등을 자극하는 동기로 작용하여 효과적인 학습을 유도하고, 이는 기존에 갖고 있던 지식체계의 전환·확장으로 이어진다.

호기심과 학습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그 중에서도 불 확실성 감소에 관한 이론은 호기심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적 관점으 로 알려져 있다.이에 따르면 호기심이란 인간이 기존에 가진 지식이나 인지구조로는 이해할 수 없는 새로운 정보를 접하면서 유발되는 불확실 성에 의해 야기되며,불확실성 감소를 위한 인지적 욕구가 학습으로 이 어지면서 지식 및 인지구조의 전환·확장이 일어난다고 설명한다(Johnson andJohnson,1979;Litman,2005).이는 인지부조화 이론과도 관련된다.

인지부조화란 인간이 갖고 있는 지식 또는 인지체계로는 설명할 수 없는 문제에 직면할 때 일어나는 당혹스럽고 부조리한 느낌을 의미한다.인지 부조화로 유발된 인지적 불확실성을 제거하려는 정신적 활동은 이를 초 래한 현상 또는 문제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으로 이어지며,따라서 인지 부조화는 지적 호기심을 유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된다(송언근, 2010;Johnson and Johnson,1979;Stone and Cooper,2001).요약하면 불확실성 감소 이론에 따르면 불확실성은 인간에게 일종의 인지적 불쾌

(32)

감으로 작용하며,따라서 불확실성의 제거를 일종의 보상으로 받아들인 다고 간주한다(Litman,2005).즉,이러한 관점에서는 새로 접하는 정보 또는 이로 인한 인지부조화에 의해 유발되는 인지적 불확실성의 감소 또 는 제거를 중심으로 호기심을 설명한다.

인지적 각성(arousal)을 중심으로 호기심을 설명하는 관점도 존재한다.

이는 불확실성 감소 이론의 대안적인 성격을 가지며,기존에 알고 있는 정보에 대한 권태감을 극복하고 새로운 사실이나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인지적·정신적 각성을 유발·유지하고자 하는 정신적 성향인 호기심에 의 해 지식의 축적과 학습이 촉진된다는 관점을 취한다(Litman,2005).이 관점은 인지적 불확실성이라는 부정적인 요소의 제거가 아닌,정신적 쾌 감 및 이와 관련된 인지적 각성을 유도한다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특징을 가진다.따라서 이 관점은 최적 각성수준 이론(optima arousal theory)와도 관련된다.최적 각성수준 이론이란 인간에게는 적절한 수준 의 흥분과 긴장감,즉 최적 수준의 각성을 유지하려는 성향이 있음을 설 명하는 심리학 이론이다(Berlyne,1967;Carryerand Greenberg,2010;

Litman,2005;Mitchelletal.,1984).이 이론에서는 인간은 과도한 각성 을 유발하는 지나치게 강한 자극 또는 각성 유발이 어려운 단순하고 지 루함을 유발하는 반복적인 일 등에 대해서는 인지적·행동적 동기를 갖기 어렵다고 설명한다.예컨대 Carryerand Greenberg(2010)에 따르면,우 울증 상담치료시 내담자의 각성 수준이 과도하게 높거나 낮을 경우 상담 활동에 대한 동기나 집중력 등이 떨어져 치료 효과 또한 저하된다.즉, 인지적 각성 중심 관점에서는 인간은 적절한 수준의 각성을 유발하는 자 극 또는 대상으로부터 흥미와 쾌감을 얻으며,이를 찾고자 하는 정신적 활동인 호기심이 동기로 이어진다고 설명한다(Litman,2005).

한편 호기심을 인간의 정신적 작용과 관련하여 살펴보면,지각적 호기 심(perceptualcuriosity)과 인지적 호기심(epistemic curiosity)으로도 구 분해 볼 수 있다(강봉균,2008;Berlyne,1954;Berlyne,1965;Litman, 2005).양자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33)

인간의 지적 활동과 관련되는 호기심과 하등 동물에게서 관찰되는 호기심은 구분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쥐의 사례를 살펴보면, 새로 운 자극으로 인해 활성화되며 이러한 자극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로 인해 감소되는 충동이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동의 감 소는 자극을 유발하는 대상에 대한 접근이나 확인 등 과 같은 탐색 적 활동을 강화하며, 이는 해당 자극과 관련된 동물의 수용 기관이 받는 자극을 고무시킨다. 하지만 인간 성인 수준의 기억력과 학습능 력을 갖춘 주체의 경우에는, 이러한 탐색적 활동은 상징적 표상의 형태를 가진 영속적인 기록의 집합체로 일어난다. 이것이 바로 ‘지 식’의 발현이다. 자극에 대한 지각의 증대로 이어지는 호기심과 지 식의 획득이 핵심인 호기심은 대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유형의 호기심에 대해서 상이하게 규정할 필요가 있는만 큼, 이를 두 가지의 상이한 용어로 정의내리고자 한다. 따라서 전자 를 ‘지각적 호기심’으로, 후자를 ‘인지적 호기심’으로 규정하고 자 한다(Berlyne, 1954: 180).

즉,호기심은 단순히 새로운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호기심 및 체 계적인 지식 축적 및 학습과 관련되는 호기심의 두 가지 유형으로도 구 분할 수 있다.물론 학습을 촉진하는 동기로 작용하는 것은,어떠한 정보 나 자극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과 관련되는 인지적 호 기심이다(Berlyne,1954;Berlyne,1965;Kangetal.,2009;Loewenstein, 1994).따라서 호기심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서 접근할 때에는 지식 및 학습과 직결되는 인지적 호기심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즉,자극에 대한 ‘민감’하거나 ‘신기하게 여기는’반응이 아니라,대상에 대한 사고와 학습 과정의 하나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호기심의 발생과정 및 요인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 지만,공통되는 요인들 또한 찾아볼 수 있다.첫째,호기심은 불확실성의 감소에 따른 불만의 해소 또는 적절한 수준의 각성과 같은 심리적 보상

(34)

의 획득과 관련된다(Litman,2005;Petri,1996;Reeve,2001).둘째,호기 심은 새롭거나 익숙하지 않은 정보에 대한 탐구나 학습 과정과 직결된 다.예컨대 Ellen J.Langer는 새로운 정보에 대한 개방성 및 대상을 기 존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관점으로 범주화하는 행위는 대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게 함으로써 호기심을 고양할 수 있다고 논의한 바 있다 (이양원 역,2006;Langerand Moldoveanu,2000).그리고 Litman and Jimerson(2004)은 호기심을 ‘결핍감으로서의 호기심(curiosity as a feeling-of-deprivation,CFD)’과 ‘흥미감으로서의 호기심(curiosity as a feeling-of-interest,CFI)’이라는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이에 따 르면 CFD는 필요한 정보의 결핍을 느꼈을 때,CFI는 새로운 정보의 획 득이나 학습이 주는 즐거움이나 이점을 느꼈을 때 활성화된다.즉,호기 심은 새롭게 접하는 정보나 지식에 대한 흥미 또는 불확실한 정보에 대 한 이해나 해명을 위해 이루어지는 정신적 성향이나 태도라고 볼 수 있 다.셋째,호기심은 중요한 학습동기로 작용한다.충분한 지식을 갖지 못 한 분야라든가 새롭게 접하는 사실 등에 대한 이해와 지식 획득을 위한 열망으로 설명되는 개념인 호기심은,학습을 촉진하는 동기로 작용하면 서 지식의 확장으로 이어진다(Berlyne, 1967; Kang et al., 2009;

Loewenstein,1994).이와 더불어 Kangetal.(2009)에 따르면 호기심은 전두엽,회백질(caudateregions)등 학습과 관련된 두뇌 영역을 활성화 시키며,이로 인해 호기심의 활성화는 기억,회상 등 학습능력 자체를 증 진시키는 효과 또한 가진다고 분석되었다.즉,호기심은 학습욕구는 물론 학습능력 자체를 제고하는 효과도 가진다.

종합하면 호기심은 새롭게 접하는 정보 또는 불확실한 정보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해하고자 하는 인지적·정신적 성향으로,이는 지식 습득이나 탐구,학습을 촉진하는 중요한 동기일 뿐만 아니라 학습능력을 향상시키 는 효과도 가진다.따라서 호기심은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한 중요한 요인이기도 하다.

(35)

② 지역에 대한 호기심의 지리교육적 의의

호기심은 지리적인 측면에서도 접근할 필요가 있다.호기심이 지역,장 소,공간 등 지리적인 요인과 어떻게 관련되는가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지역에 대한 호기심이라는 태도가 지리교육 및 지리교육을 통한 세계 시 민성 함양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의 여부에 대한 한층 심층적인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호기심을 지리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성은,지형,지물,공간,장소, 지역 등의 지리적 요소들이 인간이 살아가는 공간적·장소적 배경과 환경 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1차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그리고 지역은 인간의 의식과는 무관하게 존재하는 가치중립적인 3차원의 절대공간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적 활동에 의해 인식되고 규정되는 대상이라는 점에서,지역 에 대한 호기심은 단순히 어떠한 지역이 가지는 새롭거나 신기한 특성에 대한 반응의 수준을 넘어 지역에 대한 태도 형성,나아가 지역에 대한 개념 규정에도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판단된다.지리학에서 장소와 지역은 역사,문화,사회 및 개인의 주관적인 삶과 관련된 인간의 경험 및 이를 통해 형성된 정체성에 의해 의미를 부여받고 규정되는 대 상이다(Casey,2001;Paasi,2002;Paasi,2003;Paasi,2004).따라서 지역 이란 인간의 의식적,정신적 측면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지리학적 개 념으로 이해될 필요가 있다.이는 ‘지리적 자아(geogrpahicalself)’라는 개념과도 연관된다.지리적 자아란 인간이 특정 장소나 지역,영역 등에 위치하면서 이러한 대상들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일종 의 자아 또는 정체성을 의미한다(강봉균,2008;Casey,2001).인간이 가 진 이러한 지리적 자아 및 장소와 관련된 경험은,특정한 장소에 대한 자기동일시에 토대한 인식,애착,관심,신념 등을 의미하는 개념인 장소 감(sense ofplace)으로 이어진다(구동회·심승희 옮김,2007;Jorgensen and Stedman,2001).따라서 장소에 대한 지식,애착심,장소와 관련된 직·간접 경험,장소에 대해서 알아보고 경험을 얻고자 하는 호기심 등은 장소감을 형성하는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강봉균,2008;김덕현 외

(36)

역,2008;Johnstonetal.,2000).즉,어떠한 장소가 가지는 특징과 의미, 새롭게 알게된 점,자기 자신 또는 자신이 속해있는 세계와의 관계 등에 대한 호기심은 장소에 대한 이해는 물론,판에 박은 관습에 의해 획일화 되거나 사회적 유행 등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왜곡되지 않은 ‘장소에 대 한 참된 태도’(김덕현 외 역,2008:148)가 형성되는데도 핵심적인 요인 으로 작용한다.따라서 호기심은 장소를 이해하고 장소감을 형성하는데 있어서도 높은 중요성을 가진다.호기심을 통해 어떠한 장소에 대해서 알아보고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를 고취함으로써,장소에 대한 한층 심층 적인 이해는 물론 위에서 언급한 ‘참된 장소감’의 형성에도 기여할 수 있 기 때문이다.

이러한 논의가 가지는 의의는 ‘장소’에만 국한되지 않으며,‘지역’과 관 련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지역은 타 지역과의 차별성 및 고유성 을 핵심적인 특성으로 갖는 지리적 개념이라는 점에서,어떠한 지역이 갖는 고유한 특성에 대한 호기심은 지역의 특징을 이해하고 지역의 다양 성을 인정하고 공감하는 태도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는 ‘지리 학의 발달은 세계 여러 지역의 상이성에 대한 인간의 호기심을 충족하려 는데서 출발한다’라는 Hartshorne(1939:15)의 논의에 잘 드러나 있다.

吉田(2013)또한 인간은 자신이 잘 알지 못하는 새로운 세계나 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있으며,따라서 지리교육에서는 통해 학생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여 세계 여러 지역에 대한 이미지 형성이라는 측면에도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이는 세계 여러 지역과 장 소에 대한 흥미 유발과 관심 증대라는 지리교육의 목표(Rawling,2007;

LambertandBalderstone,2010)와도 관계가 깊다.즉,세계 여러 지역에 대한 호기심의 활성화로 지역의 특성과 다양성을 한층 심층적으로 이해 함으로써 지역을 편견이나 고정관념이 아닌,한층 균형잡힌 태도로 바라 볼 수 있으리라고 기대할 수 있다.지역에 대한 정보의 습득과 이해는 지역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형성되는 토양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Jordan,1992;池,2013;吉田,2013).실제로 선행연구에 따르면 호기심

(37)

을 통해 지역에 대한 사실적·심층적 이해는 물론 지역을 자기중심적 관 점이 아닌 그 지역의 입장에서 바라보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으며,이는 지리교육을 통한 세계시민성 함양에서 길러주어야 할 핵심적인 태도에 해당하는 다양성 존중과 우호,협력의 태도 형성에 필 수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池, 2013; Lambert and Balderstone,2010;Lange,2003;Rawling,2007).따라서 세계 여러 지역 에 대한 호기심은 지리 학습의 중요한 동기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지리 교육 및 오늘날 세계화 사회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하고 있는 세계 여러 지역이 가진 다양성 존중과 공감 및 이에 토대한 이해와 협력이 이루어 지는데 요구되는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어서도 높은 중요성을 가진다.

요약하면 세계 여러 지역에 대한 호기심은 지리 학습의 중요한 동기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지역에 대한 태도가 형성되는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요인이기도 하다.이러한 점에서,호기심은 지리교육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2)상대주의적 태도

① 상대주의의 의미와 교육적 의의

상대주의란 인식론의 한 종류로,어떠한 절대적인 가치체계나 판단기 준을 부정하고 대상이나 세계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인 기준이나 맥락에 의해 이루어지고 규정된다는 관점에 기본적인 논리의 근거를 두고 있다 (Krausz,1999;Rockmore,1999).즉,어떠한 대상을 인식함에 있어서는 절대적인 기준이나 모범 해답이 존재하지 않으며,인간의 인식 행위는 어떠한 주체가 어떠한 맥락에서 어떻게 인식하느냐에 따라 상이한 방향 을 갖는다는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상대주의는 철학적으로 보면 인식론에 해당하는만큼 과학적 지식에 대 한 상대주의적 관점,사회 현상에 대한 상대주의적 접근 등 학문 분야나 적용 대상에 따라 다양한 측면으로 접근할 수 있는데(Bloor, 2011;

(38)

Collins,1983;Gieryn,1982),지리교육과 관련해서는 특히 문화 상대주의 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문화 상대주의란 문화는 지역,환 경,역사적 맥락 등에 따라 다양하면서도 고유한 형태로 나타나며 따라 서 문화에 대한 이해나 평가도 해당 문화의 맥락과 특성에 따라 이루어 져야 한다는 관점을 의미한다(유명기,1993;Tilley,2000).

이러한 상대주의적 관점은 세계 여러 지역의 다양한 특성과 상황을 이 해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제시한다.개개인은 지리적 상이성 및 이에 따 른 사회적,문화적 차이 및 이에 관한 지식을 자기 스스로의 경험에 토 대하여 이해하기 때문이다.

……(사회 정의와 사회적 필요성이라는 개념을 포함한)모든 지식은 다양하고 상이한 세계에 ‘상황으로 놓여(situated)’있다.‘상황성 (situateness)’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 ‘대략적’

인 개념을 살펴보면, 개개인의 생애사(biography)와의 관련성에 사 실상 전적으로 연결되다시피 하다. 나는 나의 고유한 생애사를 가지 고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세상을 보고, 해석하고, 재 현하고, 이해한다. 언어 게임(language ga

Gambar

그림 목차
그림 2-1.항공교통 패턴에 따른 아프리카 지역 구분 사례
표 2-2.질문 유형에 따라 촉진될 수 있는 사고력
그림 2-2.마음챙김 학습을 통한 지역에 대한 균형잡힌 태도 형성 과정
+7

Referensi

Garis besar

Dokumen terkait

물리적 요소 – 공간 성수동 준공업지역의 유휴 산업시설 재생 사례들은 재생의 과정에서 기존 산업시설의 공간을 활용하고 새로운 용도를 수용하기 위해 공간을 증축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각각의 항목에 따라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고 이는 다음과

즉, 굴뚝에서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규제에서 과학적 측정에 의한 대기오염 관리로 전환된 것이다.22 이렇게 대기오염의 오랜 역사들 속에서 한국의 대기오염 문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이유는 리드스콕Rolf Lidskog 등이 “오염된 공기의 통치가 사회와 과학 그리고 자연 사이에 계속된 협상의 과정을 수반한다”라고 지적한

Aguinis & Glavas2012는 CSR 선행요인을 위의 3가지 수준에 서 살펴보면 기업의 이해관계자나 제도적 압력, 그리고 각종 규범과 기준 등으로 인해 CSR 활동을 하는 것을 제도적 수준 으로 분류했고 기업의 경쟁력, 책임감, 의무 등과 같이 기업의 motive나 기업의 임무와 가치를 위해 CSR 활동을 하는 것을

그리고 태국과 함께 SEATO에 참여한 필리핀의 경우에는 직접적인 대외적 안보위협은 없었지만 미국과의 관계강 화와 경제적 지원을 획득하기 위해서 SEATO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분 석한다.14모델스키 역시 태국의 가입동기를 분석하면서 중국과 베트남의 위협이 점증하는 가운데 미국의 군사, 경제적 지원의 증가가 태국의 가입을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시설 간호사의 죽음과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 두 변수 간의 상 관관계, 그리고 죽음과 임종간호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 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의 윤리적 측면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 보호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연구 대상자 보호 심사위원회

치아 미 백은 환자가 직접 치과에 방문하여 치과의사로부터 치료를 받는 전문가 치아 미백술In-office bleaching, 전문가의 지도 후 환자 본인의 집에서 시행하는 자가 미백술Home bleaching, 그리고 치과의사의 지도 없이 시 중에서 판매하는 제품을 구매하여 스스로 진행하는 의약외품 미백술

내성적이 기로 유명한 작가가 대중이 그의 삶에 접근하는 길로 이런 토막난 정보 만을 허락하는 것일 수도 있다고 본 것이다.36 이와 같이 카와라는 스스 로 자기 자신이나 작품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았기에 그의 작품 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의 해석이 있지만, 1960년대부터 제작되었던 그의 작품을 개념미술로 보는 관점에

우선, 공유리더십과 팀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후에 직급별 리더십 즉 팀장리더십, 차장리더십과 직원리더십이 각각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팀장리더십이 차장리더십과 직원리더십에 그리고 차장리더십이 직원리더 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직급별 리더십이 팀성과로 이어지는 경로를 탐색하도록 모형을 설정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조직의 성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