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 계절별 해빈 부피 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 계절별 해빈 부피 변화"

Copied!
8
0
0

Teks penuh

(1)

태안해안국립공원 학암포 지역의 계절별 해빈 부피 변화

박정원*·장성건 국립공원연구원 유류오염연구센터

Seasonal Changes in Beach Topography and Beach Volume in Hakampo

Jung Won Park * and Jang Sung Geon

Oil Pollution Research Center, National Park Research Instisute

요 약 :태안해안국립공원은파랑에너지가큰해안과조차가큰 해안이공존하고 있어, 갯벌, 모래해빈, 해안사구, 해식 등의해안지형이잘나타나고 해안생태계의다양성이매우높다. 그러나최근들어 연안습지에해안침식현상 이 나타나고 있어이러한원인을파악하고 관리방안을수립하기 위해서현재의지형현황에대한 정확한이해가선 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형현황에 대한해안변화를 정확히계측하기 위해서 2012년 2월부터 VRS/RTK GPS를 이 용하여태안해안국립공원내학암포해변을대상으로측량을통한수치표고모델을제작하여해빈부피변화를모니터링 하고 있다. 총부피변화를 살펴보면측량을실시한기간 동안부피 감소와증가가번갈아일어난것을알 수 있다. 2012년 2월(겨울)에서봄 사이에 0.55%가 증가하였으나오차범위 내의변화이고 2012년 4월(봄)에서 6월(여름)사이 에 1.71% 증가하였고 2012년 6월(여름)에서 9월(가을)사이에 8.22%의 비율로급격하게 낮아져침식에대한 우려를 보였으나 12년 9월(가을)에서 13년 2월(겨울)에 다시 복원되는 것으로분석되었다. 또한 지형유형별부피량 분석에 서는 인공호안과해빈 내에 파식대가있는 C지역(해변우측)은 경향이달랐다. 주로 A, B 지역은총 부피변화와 비 슷한 경향으로 2012년 6월에서 9월 사이에 큰폭으로 침식되었다가 2013년 2월에 퇴적이되어 복원 되었고 14년 2 월까지 침식과 퇴적을 반복하여 변이계수가 A지역 0.97, B지역 1.18, 총 부피변화 1.26을 나타냈지만 C지역은 비

교적적은 0.60으로분석되어다른지역에비해현저히낮아절대변화량의변화폭이적다고분석할수있다.

주요어 : 태안해안국립공원, VRS/RTK GPS, 해안침식, 인공호안

Abstract : Taean National Park is a coastal landform having tidal flat, beach, sanddune, sea cliff, and very high diversity of coastal ecosystems due to coexistence with the big wave energy and a large tidal range. However, since the erosion of the Coastal wetland has been occurred recently, the present status of geography should be understood exactly (in order) to establish the management plan and to determine the cause of recent coastal erosion. Thus, Hakampo beaches in Taean National Park have been monitored about the changes of the coast lines, the volume of the beach from February of 2012 through the digital elevation model(DEM) by seasonal periodic measurement to obtain the exact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coastal changes.In the case of Hakampo beach, the data showed that the beach volume was increased by 1.71% from April to June 2012 and while the it was decreased 8.22% from June to September 2012. but Analysis was to be restored again between September 2012 and February 2013. The sea levels at the overall lattice numbers were not changed, but tn the regions at the section C being with the artificial reventment the biggest erosions were shown to need to investigate in detail.

Key words : Taeanhaean National Park, VRS/RTK GPS, Coastal erosion, Artificial revetment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202 국립공원연구지 제 5 권 제 4 호 (2014)

서 론

우리나라 서해안은 각종 해안지형이 다채롭게 발달되어 있으며 특히 충청남도 태안군은 배후산지의 해발 고도가 낮 고 유역 분지를 흐르는 하천들이 유량을 비롯한 규모가 작 아서 퇴적물의 유입량이 많지 않고 파랑의 작용과 풍성이 비교적 활발하여 해안에는 해빈이 양호하게 형성되었으며 곳에 따라서는 해빈에 비해 규모가 상당히 큰 해안사구가 발달되어 있다(강 2003).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 등과 관련한 각종 연안의 자연환경 변화와 국내 경제규모 발전에 따른 해안 매립과 구조물 건 설과 같은 인위적 환경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해안 지대의 대규모 침식이 유발됨으로써 다수의 연안 생태계가 파괴되고 경제적손실이커지고 있다.

해안침식을정의하면파와 흐름에의해해저의모래가운 반되는 현상, 또는 모래 그 자체를 표사라 하며, 이 모래의 공급원을 표사원이라고 한다. 표사가 공간적으로 연속하고 있다면 다시 말해서 공급되는 표사와 유출되는 표사의 양이 같다면 모래양의 수지는 0이 되어 서로 균형을 유지하며 장 기적으로는해저의지형은변화하지않는다. 반면, 표사공급 또는 유출어느 쪽이든 증가하게 되면, 해안 또는 인근해 역에 모래가 퇴적되거나 또는 침식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표사이동 수지의 불균형에 의해서 광범위한 침식이 발생되면 그 해역의 수심은 깊어지고, 해안선이 육지 측으 로 후퇴하게 된다. 이러한 해안침식 문제는 환경적 문제에 서 사회적 문제로 까지 확산되어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로 인식되고있어해안지역의관리가절실히요구된다(한국환 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해안침식 발생 후 재해복구차원의 대책을 시행할 경우에 는 최적의 도출을 위한 수리·퇴적환경 조사가 불충분 할 가능성이 많고, 기존의 경성공법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2 차 침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침식예방을 위해 1차적으 로 필요한 사항은 대상 해안의 표사 수지 파악이며, 이를 위해서는대상지가속한 표사계범위와그 변화추이를주기 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점검하여야 한다(해양수산부 2003).

조금 구체적으로 그간 표사이동의 원인과 침식방지대책의 효용성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는 현지관측, 조파수조를 이용 한 이동상실 실험 및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시뮬레이션 등에 의하여수행되어져왔으며, 이 3가지방법을동시에 이용한 다면 가장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Munyikwa, K. et al. 2004). 그러나 이동상실 실험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축척효과의 한계성 문제 등으로 인해 손쉽게 실험에 착수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 제점들을 피하기 위해 최근에는 수치모델에 의한 시뮬레이 션기법이 자주이용되고 있지만, 이 방법에있어서도 계산 자가 주어주는기본파라메타에 강한의존성을지니고있다 는 점과 해빈 현장 관측, 즉 표사이동의 측량의 범위와 데 이터량이 많이 부족하여 표사이동에 대한 정밀한 결과 도출 이 어려운 점이 있다. 이러한 부족한 현장관측에 효율성을

위한 비교적빠르고다루기쉬운 측량장비를이용하여해빈 표사량에 대한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김규한·유 형석 2004).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 내 해안 침식에 대한 문제점과 원인분석을 하기 위하여 현저히 부족한 현장측량에 대한 효 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2012년부터 2년간의 계절별 해빈의 부피 변화량을 정밀 GPS를 이용하여 침식/퇴적에 대한정 도를파악하고자한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지역 현황

본 연구 조사 지역 일대는 충청남도 태안군 방갈리에 위 치하고있다(그림 1). 면적은 169,584.97m2(약 17ha, 51만평)

이며, 사구길이는 926m 최소폭은 약 96m 최대폭은 362m

평균 폭은 202m이다(조사시기 평균). 해빈과 전사구가 발달 해 있으며 해변 양끝은 파식대가 형성되어 있다. 전사구와

2차사구에는 해안사구식물이 분포하고 있지만 탐방로와 계

절 캠핑장 개장으로 훼손 압박을 받고 있으며 사구 배후지 는 대부분 관광숙박시설로 이용되고 있다. 학암포 해변은 소분점도 육계사주를중심으로 크게좌측해변(남측)-육계사 주(중간)-우측해변(북측)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변 좌측으로 는 2차사구와 배후산지로 평행하게 이루어져 있어 탐방객의 진입이 어렵고 갯그령 군락 등 비교적 양호한 사구식생대가 분포하고 있다. 중간은 소분점도와 육계사주가 형성되어 있 고 육계섬인 소분점도는 최저조시 도보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해빈의 사구경계부에서 전사구 높이는 약 2m 정도로 사구에서 해빈으로 바로 진입하기 쉽지않으며 큰 높이차 이에 의해 탐방객의 안전에도 문제가 있다. 해변 우측은

120m 길이의 인공호안이 시설되어 있으며 분점도의 파식대

가 북쪽 해변에 일부 형성되어 있고 육계사주에 의해 독립 된 해변으로 판단할 수 있다(그림 1).

2. 연구지역 정밀 측량

본 연구 지역에 대한 가장 상세한 지도 자료는 항공사진 측량법에 의해 제작된 1:5000 수치지형도이다. 1:5000 수치 지형도의 경우 등고선 간격이 5m 이므로 5m 이하 기복은 극소수의 지점만 표고점으로 표시될 뿐 지형도에 반영되지 않는다. 해빈과해안사구의전면부는파랑의 에너지 상태에 따라끊임없이 변화하지만대체로 지형도에 표현될 정도의 규모 내에서 일어나는 경우가 많고, 지형도의 발간 주기 내 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파악할 수 없다(강과 서 2012). 따라 서 현장 측량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루어 지는데 측량기를 이용한 기본적인 계측 지형 측량은 과거 광파측거기를 이용 한 측량을실시하였지만 많은인력과시간이필요함으로현

재는 정밀 GPS 등이 유용하게 사용되어 지며, VRS RTK

GPS를 이용한 측량은 기존 광파측거기에 비해 측량시간이 빠르고 비교적 간편하게 할수 있어 해변의 침식 및 퇴적 변 화 연구에 적합하다고 할수 있다. 본 연구의 측량 장비는

(3)

Leica사의 GS15+GNSS set 제품으로 GS15 수신기를 CS15

controller와 휴대폰 블루투스(Bluetooth)로 네트워크 연결하

여 측량을 실시하였으며 데이터 취득 및 좌표설정 등은 CS15 controller를 이용하였다(그림 2).

GS15의 정확도는 정지 측량시 수평: 5 mm+0.5 ppm, 수직:

10 mm+0.5 ppm이며 실시간 이동 측량시 수평 10 mm+1 ppm, 수직: 20 mm+1 ppm으로 정확도가 높으며 채널수는 120채 널 3주파이며 초기화시간은 8초, 업데이트 주기는 20 Hz이

다. 그리고 안테나는 GLONASS L1/L2, 통신포트는 무선연

결이 가능한 블루투스 시스템이다(박정원, 2012). 본 장비를

Figure 1. Satellite image of survey area (left) and survey area classification by topographic type (right).

Figure 2. Surveying Equipment (GS15 controller and CS15 receiver).

Table 1. measurement date and number of point.

차 수 측량일시 계절 측점수(점)

1 12년 02월 09일 겨울 9,215

2 12년 04월 29일 봄 8,163

3 12년 06월 17일 여름 9,479

4 12년 09월 19일 가을 9,241

5 13년 02월 06일 겨울 8,197

6 13년 05월 14일 봄 8,321

7 13년 08월 01일 여름 8,653

8 13년 10월 11일 가을 9,729

9 14년 01월 31일 겨울 8,861

(4)

204 국립공원연구지 제 5 권 제 4 호 (2014)

이용한측량일시와 측점수는표 1과 같다. 3. 자료 분석

GPS에서 얻은 XYZ 측량 자료는 ArcGIS 9.3을 이용하여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만들어 지형 변화를 분석 하였다. 측량은 조사일 기준 최저조면에서 해빈과 전사구경 계부를 2012년 2월부터 2014년 2월까지 9차례 측량하였다. 지형변화를분석하기 위하여그리드 파일은 선형베리오그 램을 이용한 크리깅(kriging)을 ArcGIS 분석 소프트웨어을 통해 생성하였다. 측량을 통한 해안지형의 부피를 계산할 경우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의 그리드 크기를 1~2m로 잡는 것이 적당하다는 문헌에 따라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그리드 파일의 격자 간격을 1m로 정하고 (Woolard and Colby 2002), 가장자리는주변효과(edge effect) 를 고려하여 측량점군에서 1~2m를 더 넓혀 분계선을 설정 하였다. 부피를 계산하기 위한 높이 기준점은 GPS 기준 해 발고도 0m(우리나라 평균 평균수면)로 정하였고(윤순옥 외

2013) 본 연구지역에서 측량점군의 가장 저고도인 −2.32m

인 것을 고려하여 z(고도) =−3m를 밑면으로 간주하였다(유

근배 2007). 저고도는 푸른계열의 색으로 고고도는 붉은색

으로 표현하였고 DEM 자료를 바탕으로 해빈의 부피 변화 를 비교 분석하였다(그림 3).

결 과 1. 해빈 총부피변화

학암포 2011년 6월의 해빈지형면을 기준 지형면으로두

고연구지역에서 발생한부피변화를계산하면(표 2, 그림 4) 과 같다. 고도 오차가 0.03m 이하가 되도록 자료를 관리하 였음으로 최소 오차범위는 169,584.97 m2(조사지역면적) × 0.03m(고도오차) = 5,087.54(0.86%/총부피)m3라고 볼 수 있 다. 따라서 절대변화량이 5087.54 m3 이하인 경우는 변화가 거의없는 것으로판단했다. 이런기준에 의해서제외된기 간은 2012년 2월에서 4월 사이, 2013년 10월에서 2014년 2 월 사이에 일어난 변화량이 해당된다.

총 부피변화를 살펴보면 측량을 실시한 기간 동안 부피 감소와증가가 번갈아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표 2, 그림

4). 2012년 2월(겨울)에서 5월(봄) 사이에 0.55%가 증가하였

으나 오차범위 내의 변화이고 2012년 4월(봄)에서 6월(여름) 사이에 1.71% 증가하였고 2012년 6월(여름)에서 9월(가을) 사이에 8.22%의 비율로 급격하게 낮아져 침식에 대한 우려 를 보였으나 12년 9월(가을)에서 13년 2월(겨울) 조사시기 에 다시복원되는것으로분석되었는데 이는학암포해빈지 역이 역동적인 변화 패턴을 보임을 증명하고 있으며 안정된 해안에서 표사의 감소와 증가가 일어나도 다시 복원이 되는 해안에서의 자연적인 퇴적물 이동과정(환경부 2001)이라 판 단된다.

2013년 2월(겨울) 이후 측량 소폭으로 증가와 감소가 반

복되지만 큰 폭의변화는 없었다. 2012년 2월(겨울) 조사에

서의 해변 총 부피와 현재(2014년 2월)의 부피를 비교하면

19,671.85 m3 증가하였지만 2012년 6월(여름)에서 9월(가을) 사이에 일어난 급격한 감소와 같이 짧은 기간에 침식과 퇴 적이 반복이 되는 결과를 빗대어 현재 학암포 해변이 퇴적 되고 있는 해안이라고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해안의 침식/퇴적 변화연구는 장기적으로 진행해야하는 당위성을 보여주는결과이기도한다.

2. 지형유형별 해빈 부피 변화

학암포해변의 해빈 총부피 변화는 조사 기간 중 퇴적과 침식을 반복하였지만 2012년에 2월(겨울)에 비해서는 퇴적 이 되고있는해안이라고판단할수 있다. 그러나학암포해 변은 인공호안설치와파식대와육계사주등지형적인다양 성이 있기 때문에 전체 보다는 지형 유형별로 변화분석이 필요하다.

학암포 해빈의 지형유형으로는 파식대와 평행하며 사구식 생이 잘 보존되어 있는 왼쪽(A)과 소분점도와 육계사주로 연결되어 있는 중간(B), 인공호안이 시설되어 있는 오른쪽 (C)으로구분지였다.

A지역, B지역은 비슷한 패턴으로 침식/퇴적 양상이었고 총부피 변화 양상과 비슷하였다. 주로 2012년 2월(겨울)에서

Table 2. Variation of beach volume.

구분 측량시기 총부피 변화량 절대변화량 누적변화량 변이계수(CV)

겨울 2012년 2월 588799.02-ⓛ

절대변화량의 변이 계수(CV)

= 1.26

봄 2012년 4월 592021.13-② 3222.11-③ 3222.11 3222.11

여름 2012년 6월 602196.23 10175.09 10175.09 13397.21

가을 2012년 9월 552677.42 −49518.81 49518.81 −36121.59

겨울 2013년 2월 621189.75 68512.32 68512.32 32390.73

봄 2013년 5월 607792.54 −13397.21 13397.21 18993.51

여름 2013년 8월 615084.69 7292.15 7292.15 26285.67

가을 2013년 10월 609318.80 −5765.88 5765.88 205159.78

겨울 2014년 2월 608470.88 −847.92 847.92 19671.85

※부피변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변화량(③) = 현재 부피(②) − 이전 부피(ⓛ)

※변이계수의 수식은 아래와 같다.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 = (변화량의 표준편차)/(변화량의 평균)

(5)

Figure 3. Seasonal change of Digital Elenvation Model (DEM).

(6)

206 국립공원연구지 제 5 권 제 4 호 (2014)

2012년 6월(여름)까지작은범위로퇴적 되다가 2012년 9월 (가을)에 큰폭으로침식되었고 2013년 2월 대부분복원되었 다(표 3, 그림 5). 또한 2013년 여름이후 소폭으로 침식과 퇴적을 반복하는 패턴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공호안과 해빈 내에 파식대가 있는 C지역(해변 우측)은 경향이 달랐다. 2012년 2월에서 2012년 4월 사이에 529.96 m3가 퇴적되어 2012년 2월 부피 기준보다 0.93%가 늘어났고, 2012년 6월 635.95 m3가 침식되어 기준월보다

1.11%가줄어들었다. A, B지역은이기간 중에퇴적이되는

양상이었으나 C해변은 퇴적과 침식을 반복하였다. 2012년 6 월에서 9월 사이는 C지역을 뺀 다른 지역은 평균적으로

7.9% 크게 줄어들었고 9월과 2월 사이에 다시 평균 12.29%

가 퇴적되어 자연적 과(過)복원이 되는 양상을 나타냈고 2013년 2월과 5월 사이에평균 −2.21% 침식이되어평형을 상태를유지하는것으로나타나났다. 반면 C지역은 6월에서 9월 사이에 −2.61%가 침식되었고 9월에서 2013년 2월 사이

에 0.21%가 퇴적되었지만 침식된 정도를 복원시키기엔 부

족한 수치이다. 또한 2013년 2월에서 5월 사이에 6.65%가

퇴적이 되어 A, B지역 그리고 총부피량 변화 경향과 다르

게 나타났다. 이러한 침식과 퇴적의 변화폭을 비교 하도록 변이계수를 비교 하였는데 C지역의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1))는 0.60으로 전체 변화 1.26, A지역 0.97, B 지역 1.18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것은 그만큼 절대변화량의 변화폭이적다고분석할 수있다. 해안에수직인구조물은 주로 파랑에 의하여 생성된 해빈류를 차단하게 되면 이를 통하여 해빈류에 의하여 해안방향으로서의 토사 이동을 차 단하게 된다(그림 6). 해안 퇴적물의 차단은 수직구조물을 Figure 4. Seasonal change of Beach volume.

Table 3. Accumulated changes by topographic type (단위 : m3)

측량시기 A해변 B해변 C해변

변화량 누적변화량 변화량 누적변화량 변화량 누적변화량

2012년2월(기준) (360599.84) (164039.37) (56675.90)

2012년 4월 3754.01 3754.01 542.27 542.27 529.96 529.96

2012년 6월 7400.77 11154.78 948.98 1491.26 −635.95 −105.99

2012년 9월 −35073.21 −23918.43 −10303.29 −8812.03 −1483.90 −1589.89

2013년 2월 50947.33 27028.90 14505.96 5693.93 121.13 −1468.76

2013년 5월 −15981.37 11047.52 −632.65 5061.26 3482.62 2013.86

2013년 8월 2252.40 13299.93 4654.56 9715.83 211.98 2225.85

2013년 10월 10403.98 23703.91 −2530.63 7185.19 1408.19 3634.04

2014년 2월 −13728.96 9974.95 1129.74 8314.94 −2150.14 1483.90

1)표준편차를평균으로나눈수치를의미하는것으로, 상대적인일탈 도를알아보기위해사용된다. 계수가작을수록평균치가까이에

분포하고 있다. 다른 이름으로 K-Pearson 변화계수라고 한다.

연구에서는 해변의 절대변화량의 폭을 비교하기 위해 인용하 였다.

(7)

기준으로 상류에는 퇴적현상을 하류쪽에는 침식을 유발한 다. 그러나 침식이 계속되어 해안선이 안정되면 퇴적물의 이동이 줄어들어 침식과 퇴적 수지 변화가 줄어들게 된다 (김규한·유형석 2003). 그러므로 C지역의 변이계수가 낮게 분석된 것은 호안이 설치된 후 침식이 진행되었고 현재는 해빈 퇴적물 수지의 변화의 폭이 적어지면서 퇴적물 수지가 안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퇴적물수지가안정되었다고해서 해안침식문제에 벗어났다고할 수없다. 자연적인해안은 침식과퇴적이반 복됨으로 퇴적물의 양의 값과 음의 값의 조화가 필요하고 해빈의 퇴적물이 겨울철 비사에 의해 해안사구를 형성하고 해안사구는 이 퇴적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해안은 끊 임없이 퇴적물 수지가 변하지만 이렇게 인공호안이 설치된 곳은퇴적물의 수지가 거의 없거나그럼 5 처럼 호안주변 이침식이되거나호안 붕괴 등을초래할수 있으므로공원 관리에 있어해변의 다른지역에 비해보다 면밀하게 관찰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고 찰

본연구에서는태안해안국립공원학암포해변을대상으로 VRS RTK GPS를 이용하여 2012년 2월부터 2014년 1월까 지 9회에 걸쳐 측량을 한 후 계절에 따른 해빈의 지형변화

에 따른해빈부피변화를분석하였다.

총 부피변화를 살펴보면 측량을 실시한 기간 동안 부피 감소와 증가가 번갈아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2012년 2월 (겨울)에서 봄 사이에 0.55%가 증가하였으나 오차범위 내의 변화이고 2012년 4월(봄)에서 6월(여름)사이에 1.71% 증가 하였고 2012년 6월(여름)에서 9월(가을)사이에 8.22%의 비 율로 급격하게 낮아져침식에대한 우려를보였으나 12년 9 월(가을)에서 13년 2월(겨울)에 다시 복원되는 것으로 분석 되었는데 이는 학암포 해빈지역이 역동적인 변화 패턴을 보 임을 증명하고 있으며 안정된 해안에서 표사의 감소와 증가 가 일어나도 다시 복원이 되는 해안에서의 자연적인 퇴적물 이동과정(환경부 2001)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지형유형별 부피량 분석에서는 인공호안과 해빈 내에 파식대가 있는 C지역(해변우측)은 경향이 달랐다. 주

로 A, B 지역은 총 부피변화와 비슷한 경향으로 2012년 6

월에서 9월 사이에 큰폭으로 침식되었다가 2013년 2월에 퇴 적이 되어 복원 되었고 14년 2월까지 침식과 퇴적을 반복하 여 변이계수가 A지역 0.97, B지역 1.18, 총 부피변화 1.26을 나타냈지만 C지역은 비교적 적은 0.60으로 분석되어 다른 지역에 비해 현저히 낮아 절대변화량의 변화 폭이 적다고 분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연적인 해안은 표사의 이동 수지가 침식과 퇴적을 반복하면서 해안을 지탱하고 있지만 인공구조물이 있는 지역은 현 모습은 유지하고 있지만 큰 파랑이나 태풍 등 기상이벤트가 발생 했을 시 더 이상 해안 밖으로 내어 줄 표사가 없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사 사

본 연구는 2013년 “연안침식/퇴적 변화 모니터링”으로 수 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강대균. 2003. 충청남도해안에발달한해빈과해안사구. 한국지구

과학회지 26(6): 568-577.

강동균, 서종철. 2012. 주기적지형측량을통한해빈과해안사구

의지형변화: 충남보령시소황사구를사례로. 한국지형학회 지 19(2): 71.

김규한, 유형석. 2003. 해안침식에대한종합방재계획수립. 방재 연구 6(3): 11-24.

박정원, 오선관, 서승직, 서종철. 2012. VRS/RTK GPS 측량을통한 태안해안국립공원해빈과해안사구의지형변화: 학암포와안 면해안을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 19(2): 162.

유근배, 류호상. 2008. 한국서해안의해안사구: 지형학적관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출판부. Pp 59-112.

윤순옥, 전청균, 황상일. 2013. 지상라이다의고행상도 DEM을이 용한울진진복리사빈변화분석. 대한지리학회지 48(3): 321- 33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해안개발사업에따른해안침식 영향저감방안연구. pp 1-3.

Figure 5. Cumulative and CV change of topographic types.

Figure 6. Erosion diagram by coastal sediment interruption.

(2006. KIPE) reconstitute.

(8)

208 국립공원연구지 제 5 권 제 4 호 (2014)

해양수산부. 2003. 연안침식방지기술개발 연구용역 제2차년도 보고서.

Munyikwa K, Choi KH, Choi JH, Park K, Kim JW. 2005. The sedimentology and luminescence chronology of a coastal dune sequence at Unyo beach, Taean-Gun. Journal of the Geo- 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12(1): 167-178.

Woolard JW, Colby JD. 2002. spatial characterization, resolution, and volumetric change of Costal dunes using airborne LiDAR:

Cape Hatteras, North Carolina. Geomorphology 48: 269-287.

(2014년 9월 7일접수; 2014년 10월 30일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한려해상국립공원 내 지표성 딱정벌레류 딱정벌레목 : 딱정벌레과 군집의 다양성과 계절적 변화 홍의정1⋅강승호2⋅정종국3* 1국립생태원, 2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3강원대학교 Diversity and seasonal change of Carabid Beetle Assemblages in Hallyeohaes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