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산반도국립공원 고사포·하섬 연안습지의 탐방객이 조류에 미치는 영향
소민석1·이재원1·김민규1·이지희1·권영수2*
1국립공원관리공단 변산반도국립공원사무소, 2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이름
Effects of Visitors on Distribution of Birds in Gosapo, Haseom Coastal Wetlands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Min-Seok Soh
1, Jae-Won Lee
1, Min-Kyu Kim
1, Ji-Hee Lee
1and Young-Soo Kwon
2*
1Byeonsanbando National Park Office, KNPS, Buan 579-852, Korea
2Migratory Birds Center,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KNPS, Shinan-gun 535-917, Korea
요 약 :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새만금방조제 축조에 따른 고사포·하섬 연안습지의 조류의 분포와 탐방객수의 유연관계를 파악하여 연안습지의 보호·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하섬에서 확인 된 조류는 총 17종 2,903개체로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가 1,684개체(58.0%)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재갈 매기 650개체(22.4%), 검은머리물떼새 213개체(7.3%), 한국재갈매기 80개체(2.8%) 및 줄무늬노랑발갈매기 69개체
(2.4%) 순이었다. 고사포에서 확인된 조류는 총 15종 1,336개체로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가 889개체(66.5%)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재갈매기 213개체(16.0%), 줄무늬노랑발갈매기 82개체(6.1%), 한국재갈매기 53개체(4.0%) 및 검은머리물떼새 42개체(3.1%) 순이었다. 하섬과 고사포에서 확인된 멸종위기종은 검은머리물떼새와 노랑부리백로 였으며 노랑부리백로는 고사포에서만 확인되었다. 검은머리물떼새는 하섬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번식기간인 4월에 서 6월까지는 개체수가 감소하다 번식기 이후에는 개체수가 증가하였다. 탐방객이 150명 전후가 되면 조류의 서식 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서식지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변산반도국립공원, 고사포·하섬, 연안습지, 새만금방조제, 탐방객, 조류분포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protection and management plans for coastal wetland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birds and the number of visitors in Gosapo, Haseom coastal wetlands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geum breakwater from January 2012 to June 2013. Birds confirmed in Haseom totaled 17 species comprised of 2,903 individuals.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onfirmed to be Black-tailed Gulls, which totaled 1,684 individuals (58.01%); and this was followed by Vega Gulls (Larus vegae) composed of 650 individuals (22.39%) and then in the order of Oystercatchers composed of 213 individuals (7.34%), Korean Vega Gulls (Larus cachinnans) composed of 80 individuals (2.76%), and Heuglin°Øs Gulls (Larus heuglini) composed of 69 individuals (2.38%). Birds confirmed in Gosapo totaled 15 species comprised of 1,336 individuals, and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confirmed to be Black-tailed Gulls composed of 889 individuals (66.54%). This was followed by Vega Gulls composed of 213 individuals (15.94%), Heuglin's Gulls composed of 82 individuals (6.14%), and Korean Vega Gulls composed of 53 individuals (3.97%), and Eurasian Oystercatchers (Haematopus ostralegus) composed of 42 individuals (3.14%). Endangered species which were confirmed in Haseom and Gosapo were observed to be Oystercatchers and Chinese egrets (Egretta europhotes), and Chinese egrets were confirmed only in Gosapo. Oystercatchers were mainly observed in Haseom,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decreased during the breeding season from April to June, it increased again after the breeding season. In case the number of visitors is around 150, it may affect the inhabitation of birds,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prepare the management plans for their habitat.
Key words :Byeonsanbando National Park, Gosapo·Haseom, Costal Wetlands, Saemangeum Dike, Visitors, Bird distribution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서 론
변산반도국립공원은 행정구역상 전북 부안군 5개 면을 포 함하고 있다. 공원구역의 면적은 총 153.934 km2이며, 그 중 에서 육지가 136.707 km2이고, 해역이 17.227 km2로 공원전 체면적의 11.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고사포 하섬연안습지
는약 1,450,000 m2면적으로육계사주 및사주의형태를띠
며, 약 펄이 80%, 모래가 20%로 거의 혼합되지는 않고분
리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변산반도국립공원의 유일한 유인 도서인 하섬이 위치하고 있다.
고사포하섬 연안습지 인근에 대규모 간척지인 새만금방조 제가 축조되었다. 새만금방조제 축조는 이동철새의 중간 기 착지 역할과 먹이공급처인 서해 갯벌이 대단위로 사라짐으 로써인근에위치한 고사포·하섬연안습지 내조류의 증가 와 많은변화가 예상된다. 또한, 새만금방조제 완공과 함께
2010년 4월 27일 방조제 도로가 개통되면서 많은 탐방객이
변산반도국립공원 방문과 지역주민들의 갯벌 생물에 대한 채취가 인근 갯벌로 이동하면서 고사포·하섬 연안습지에서 의 갯벌생물 채취가 증가하고 있어, 본 연구는 이 지역에 대한조류상과 탐방객과의유연관계를정리한것이다.
지금까지변산반도국립공원일대에서수행된연구는국립 공원관리공단의 국립공원자연생태계보전종합계획(1995)에서
47종의 조류가 관찰되었으며, 채(1995)는 변산반도국립공원
1차 자연자원조사에서 88종을, 권(2009)은 변산반도국립공 원 2차 자연자원조사 103종을 확인하였다. 또한, 2010년부 터 매년 실시하는 변산반도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에서 김 (2010, 2011, 2012)은 2010년 72종, 2011년 74종, 2012년 78 종을 기록하였다. 이와 같이 변산반도국립공원 일대에서는 순수하게 조류상에 대한 조사는 이뤄졌지만 탐방객과의 유 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는 실시되지 않았다.
탐방객과 조류의 유연관계에 대한 연구사례를 보면 김
(2011)은 북한산국립공원둘레길의 조류서식과딱따구리류
의 탐방객에 대한 민감도는 종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 았다. 또한, 박 등(2010)은 광릉숲의 경우 관람객에게 개방 하지 않는 지역의 경우 개방지역 보다 더 많은 종과 개체가 관찰되었고 번식률 역시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본 조사 는 고사포하섬 연안습지 내에서식하는 조류와 탐방객과의 유연관계를 파악하여 고사포·하섬연안습지와그 일대에 대한 보호·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에 위치한 고사포·하섬 연 안습지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조사면적은 약 1,200,000
m2, 해안선 길이는 2 km로 하섬앞쪽과 고사포해변 앞쪽을
대상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하섬 앞쪽은 펄, 바 위, 암석이 주 구성성분이며, 고사포해변 앞쪽은 펄, 모래가 주 구성성분이다(Fig. 1).
조사는 2012년 1월 현지 사전조사를 시작으로 2012년 2 월~2013년 6월(1년 5개월간/11월 12월제외)중최저물때 시 간에매월 1회 600 mm 망원카메라와필드스코프(Swarovski- ATM80 25 × 50X)를 이용하여 선조사(Line Census)와 정점 조사법(Ponint Census)을 병행하여 조류 조사를 실시하였으 며, 탐방객(생물채취 인원)수 또한 조사지역 내 모든 탐방객 을 조류의 조사방법과 같이 조사 기록하였다. 조류동정은 소리, 목견및 도감(원 1981, 1993)을바탕으로 수행되었다.
결 과 가. 지역별 우점도 현황
Figure 1. Sites of study.
1) 하섬
하섬에서확인된조류의전체종수및 개체수는 총 17종
2,903개체였다(Table 1). 이중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가 1,684개체(58.01%)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재갈매(L. vegae) 650개체(22.39%), 검은머리물떼 새(Haematopus ostralegus) 213개체(7.34%), 한국재갈매기(L.
cachinnans) 80개체(2.76%) 및줄무늬노랑발갈매기(L. heuglini)
69개체(2.38%) 순이었다.
2) 고사포
고사포에서 확인된 전체 종수 및 개체 수는 총 15종 1,336개체였다(Table 2). 이중 최우점종은 괭이갈매기가 889 개체(66.54%)로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다음으로 재갈매기 213개체(15.94%), 줄무늬노랑발갈매기 82개체(6.14%), 한국 Table 1. The bird list observed at Haseom Islet.
Scientific Name Korean Name 2012 2013
Sum Dom.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Jan. Feb. Mar. Apr. May. Jun. (%)
Anas platyrhynchos 청둥오리 52 52 1.79
A.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1 12 27 40 1.38
Mergus serrator 바다비오리 2 2 0.07
Ardea cinerea 왜가리 1 1 0.03
Egretta garzetta 쇠백로 10 1 5 16 0.55
Haematopus
ostralegus 검은머리물떼새 30 22 4 1 2 22 41 10 21 21 23 6 9 1 213 7.34
Numenius phaeopus중부리도요 13 2 15 0.52
Heteroscelus brevipes노랑발도요 10 8 18 0.62
Arenaria interpres 꼬까도요 2 28 30 1.03
Calidris alpina 민물도요 20 20 0.69
Larus crassirostris 괭이갈매기 18 30 32 3 16 300 755 266 120 25 28 30 40 9 12 1,684 58.01
L. vegae 재갈매기 26 135 9 70 50 33 20 213 94 650 22.39
L. cachinnans 한국재갈매기 18 31 9 22 80 2.76
L. heuglini 줄무늬노랑발갈매기 10 41 6 5 7 69 2.38
Sterna albifrons 쇠제비갈매기 9 9 0.31
Hirundorustica 제비 2 2 0.07
Monticola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2 2 0.07
No. of birds 102 259 45 38 19 325 808 346 191 70 84 395 152 56 13 2,903
No. of species 5 5 3 6 3 4 4 3 3 3 5 10 5 5 2 17
Table 2. The bird list observed at Gosapo.
Scientific Name Korean Name 2012 2013
Sum Dom.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Jan. Feb. Mar. Apr. May. Jun. (%)
Ardea cinerea 왜가리 1 1 0.07
A. alba modesta 중대백로 2 2 0.15
Egretta garzetta 쇠백로 4 4 0.30
E. eulophotes 노랑부리백로 1 1 0.07
Haematopus ostralegus검은머리물떼새 4 2 2 2 1 7 2 8 3 5 1 2 3 42 3.14
Charadrius
alexandrinus 흰물떼새 2 1 3 0.22
Numenius phaeopus 중부리도요 5 5 0.37
Tringa nebularia 청다리도요 1 1 0.07
Heteroscelus brevipes 노랑발도요 1 1 2 0.15
Calidris alpina 민물도요 12 12 0.90
Larus crassirostris 괭이갈매기 11 30 16 4 42 89 450 115 71 8 13 16 14 1 9 889 66.54
L. vegae 재갈매기 30 56 10 4 38 21 8 46 213 15.94
L. cachinnans 한국재갈매기 15 35 3 53 3.97
L. heuglini 줄무늬노랑발갈매기 20 42 3 2 15 82 6.14
Sterna albifrons 쇠제비갈매기 10 7 9 26 1.95
No. of birds 81 165 28 22 44 91 459 128 117 32 44 64 30 10 21 1,336
No. of species 6 5 3 5 2 3 4 6 3 3 6 3 3 3 3 15
재갈매기 53개체(3.97%) 및 검은머리물떼새 42개체(3.14%) 순이었다.
나. 지역별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 현황
하섬과 고사포에서 확인된 멸종위기종은 검은머리물떼새 와 노랑부리백로였으며 노랑부리백로는 고사포에서만 확인 되었다. 검은머리물떼새는 하섬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번 식기간인 4월에서 6월에는개체수가 감소하다 번식기 이후 에는 개체수가 증가하였다(Table 3).
1) 하섬
하섬에서 확인된 멸종위기종은 검은머리물떼새로서 8월에 최대 41개체, 5월에최소 1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전 시기에 걸쳐일정하게 확인되었다.
2) 고사포
고사포에서 확인된 멸종위기종은 검은머리물떼새와 노랑 부리백로였다. 검은머리물떼새는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지만 노랑부리백로는 9월에 1개체만이 확인되었다.
다. 하섬 일대의 조류분포와 탐방객수의 관계
하섬 일대에 서식하는 조류의 개체 수는 탐방객의 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2). 비교의 정확도 를 높이기 위해 2012년과 2013년 같은 달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4월을 제외하고는 탐방객이 증가하면 조류의 개체 수는 감소하는것을알 수있었다. 특히, 탐방객수의 변화가 클경우조류의개체수변화도크게나타나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탐방객수의 일정수준은 조류 개체 수 변 화에 영향이 미비하지만 일정수준이 넘어서면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월의 경우도 겨울철새인 재갈
매기와 줄무늬노랑발갈매기의 이동시기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는데, 겨울철새를제외하다면조류의 개체수변화는크 지 않은데 이는탐방객의 정적수준을 산출하는데 고려되어 야할 요인으로 현재까지의 조사결과를 본다면, 탐방객이
150명이 넘어서면 조류의 개체 수 즉, 먹이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라. 고사포 일대의 조류분포와 탐방객수의 관계
고사포 일대에 서식하는 조류의 개체 수와 탐방객 수는
유의한 관련이없어 보였다(Fig. 3). 이는하섬보다 고사포
지역의 경우 서식범위에 비해 조류의 개체수와 탐방객수가 작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탐방객수가 150명을 넘어 갑자기 증가하는 6월의 경우 탐방객수가 조류의 개체 수에영향을미쳤다는것을알 수있었다.
고 찰
탐방객의 수가 조류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는 많은 요인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조류 종별 탐방객에 대한 민감도, 서식에 필요한 최소 면적 및 동일지역에서 탐방객을 완전히 통제했을 때와 안했을 때, 갯벌이 들어나는면적등 여러 가지요인을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기적인 조사와 이에 대한 결과를 정확히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보호지역 내에서 탐방 객에 의한 조류분포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일부가 진행되었 다(황 등 2011; 박 등 2010).
본 연구결과 조류의 분포에 영향을 줄 수 있는탐방객수 의 임계점은각 지역별 150명전후로판단되었다. 탐방객수 가 150명미만이면조류의 개체수에변화가거의없었으며,
150명 이상이었을 때 조류의 개체수가 변화함을 확인할 수
Table 3. Monthly fluctuation of Eurasian Oystercatcher at Haseom and Gosapo.
Site 2012 2013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Jan. Feb. Mar. Apr. May. Jun.
Haseom 30 22 4 1 2 22 41 10 21 0 21 23 6 9 1
Gosapo 4 2 2 2 0 1 7 2 8 3 5 0 1 2 3
Fig. 2. Monthly fluctuation of birds and visitors at Haseom.
Fig. 3. Monthly fluctuation of birds and visitors at Gosapo.
있었다. 또한, 탐방객수가많을수록먹이활동을못하고탐방 객을 피해주위를배회하거나먹이량이부족한갯벌의상류 에서 휴식을 취하면서 탐방객의 동태를 살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지역에서 관찰된 조류의 경우 대부분 민감도 가 낮은 조류로 탐방객이 취식공간을 차지함으로서 활동공 간이 줄어들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일부 민감도가 높은 도요류의 경우는 이 지역을 집단으로 찾지 않고소수만취식활동을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이 지역을 찾는 조류는 탐방객에 의해 방해를 받 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갈매기과의 조류 중 괭이갈매기 는 주로 4월~7월 동안 인근 무인도서에서 번식을 한다. 이 후 번식을 마치고 8월부터 개체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10 월에 가장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다. 번식을 마치고 1년생 유조와함께본 지역에서서식하므로이들에대한 지속적인 관리가진행되어야할 것으로판단된다.
조사지역의 조류상에 대해서 선행연구와도 비교하였으며, 단순비교에 무리가 있어 조사방법과 조사지역에 차이점이 있음을 감안하여 비교하였다. 선행연구는 1999년, 2009년 변산반도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와, 최근 2010~2011년 변산반 도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을참고하였다. 또한, 모니터링주목 적이새만금방조제 축조에 따른 탐방객과 조류의 변화상임 을 감안하여 분석하였다.
쇠제비갈매기의 경우 서식지로 해안가나 호수가의 넓은 모래밭이나 자갈밭을 주로 이용하는데 새만금방조제 축조로 방조제 내부에 넓은 모래밭이 생겨났으며, 이러한 환경이 쇠제비갈매기의 서식을유도하고 그 인근지역인고사포·하 섬까지 먹이활동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새만금방 조제 축조와연관성이높은 쇠제비갈매기의 변화를보면새 만금방조제가 계통된(2010년 4월 26일) 2010년과 그 다음해 인 2011년 변산반도국립공원자원모니터링 보고서에 김(2010,
2011)은 새만금방조제 지역에서 5개체가 처음으로 관찰되었
고, 2011년 20개체가 관찰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조사지
역에서는 2012년 처음으로 19개체가 조사되었으며, 2013년
16개체가 관찰되었다. 또한본 조사를 통해 2012년 노랑부 리백로가 변산반도국립공원에서 처음으로 관찰되었으며, 이 또한 새만금방조제가 축조됨에 따른 대체 기착지로 이용 하 는 것으로 사료되나, 명확한 원인분석을 위해선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 지역을 찾는 조류는 대부분 하섬과 고사포 일대에서 새만금까지를취식지로 이용하고있는것으로판단된다. 하 지만 탐방객의 생물 채취 활동 등으로 취식지를 출입하게 되면서 조류는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불필요한 에너지 를 소모하고, 이동을 하지 않는 개체 또한 많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있는것으로판단된다. 특히, 멸종위기II급인검은 머리물떼새가 번식기간인 4월~6월을제외하고는본 지역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번식기에는 인근 무 인도에서 집단번식을 하고 다시 돌아와 취식할 수 있는 공 간으로 하섬과 고사포 일대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지역이 이들에게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검은머리물떼새를비롯하여이곳을 이용하는조류 의 안정된 서식지 확보를위해서는 일정기간탐방객 출입 수를 적절히 제한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경우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기에는 부족한 연구 기간 이였으며, 앞으로도 탐방객과 조류가 함께 공생할 수 있는 관리방안 마련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사 사
본 연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사무소 핵심사업과 국립공원 연구원의 공동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된 결과입니다. 본 연 구 수행에 도움을 주신 변산반도국립공원사무소 및 국립공 원연구원 직원 여러분께 감사를 표합니다.
참고문헌
권영수. 2009. 변산반도국리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남원. Pp. 139-165.
김미란. 2010. 변산반도국리공원자원모니터링. 변산반도국립공원 사무소. 부안. Pp. 63-73, 255-260.
김미란. 2011. 변산반도국리공원자원모니터링. 변산반도국립공원 사무소. 부안. Pp. 27-37, 217-222.
김미란. 2011. 북한산국립공원 둘레길의 조류 서식과 딱따구리류 의 탐방객에 대한 민감도. 국립공원연구지. 2(2): 75-79.
김미란. 2012. 변산반도국리공원자원모니터링. 변산반도국립공원 사무소. 부안. Pp. 25-40.
박성근. 황근연. 권영수. 2010. 광릉숲일대 관람객이 조류분포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조류학회지. 17(3): 217-226.
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 생태). 문교부.
1126p.
원병오. 1993. 한국의 조류. 교학사. 서울. 447p.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한국의 새. LG상록재단. 서울. 320p.
채희영. 1999. 변산반도국리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Pp. 165-189.
황지희. 이윤숙. 권영수. 2011. 월출산국립공원의 조류 분포 및 관 리방안. 한국조류학회지. 18: 227-240.
(2013년 8월 17일 접수; 2013년 9월 9일 채택)
Appendix 1. St-1 The Status of birds and visitors at Haseom.
Scientific Name Korean Name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Jan. Feb. Mar. Apr. May. Jun. Sum Dom.
(%)
Anas platyrhynchos 청둥오리 52 52 1.79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1 12 27 40 1.38
Mergus serrator 바다비오리 2 2 0.07
Ardea cinerea 왜가리 1 1 0.03
Egretta garzetta 쇠백로 10 1 5 16 0.55
Haematopus ostralegus검은머리물떼새 30 22 4 1 2 22 41 10 21 21 23 6 9 1 213 7.34
Numenius phaeopus 중부리도요 13 2 15 0.52
Heteroscelus brevipes 노랑발도요 10 8 18 0.62
Arenaria interpres 꼬까도요 2 28 30 1.03
Calidris alpina 민물도요 20 20 0.69
Larus crassirostris 괭이갈매기 18 30 32 3 16 300 755 266 120 25 28 30 40 9 12 1684 58.01
Larus vegae 재갈매기 26 135 9 70 50 33 20 213 94 650 22.39
Larus cachinnans 한국재갈매기 18 31 9 22 80 2.76
Larus heuglini 줄무늬노랑발갈매기 10 41 6 5 7 69 2.38
Sterna albifrons 쇠제비갈매기 9 9 0.31
Hirundo rustica 제비 2 2 0.07
Monticola solitarius 바다직박구리 2 2 0.07
No. of individuals 102 259 45 38 19 325 808 346 191 70 84 395 152 56 13 2903
No. of species 5 5 3 6 3 4 4 3 3 3 5 10 5 5 2 17
No. of local residents 4 350 15 10 0 0 15 10 29 10 8 11 8 7 477
No. of adults 2 30 35 10 30 8 51 55 20 17 18 31 73 2 114 496
No. of children 0 15 22 2 0 52 5 10 17 0 0 25 0 31 179
No. of total visitors 6 395 72 10 42 8 103 75 40 63 28 39 109 10 152 1152 Lower water level 202 -2 215 127 150 142 119 29 33 -8 91 56 142 118 126 1540
Appendix 1. St-2 The Status of birds and visitors at Gosapo.
Scientific Name Korean Name Feb. Mar. Apr. May. Jun. Jul. Aug. Sep. Oct. Jan. Feb. Mar. Apr. May. Jun. Sum Dom.
(%)
Ardea cinerea 왜가리 1 1 0.07
Ardea alba modesta 중대백로 2 2 0.15
Egretta garzetta 쇠백로 4 4 0.30
Egretta eulophotes 노랑부리백로 1 1 0.07
Haematopus ostralegus검은머리물떼새 4 2 2 2 1 7 2 8 3 5 1 2 3 42 3.14
Charadrius alexandrinus흰물떼새 2 1 3 0.22
Numenius phaeopus 중부리도요 5 5 0.37
Tringa nebularia 청다리도요 1 1 0.07
Heteroscelus brevipes 노랑발도요 1 1 2 0.15
Calidris alpina 민물도요 12 12 0.90
Larus crassirostris 괭이갈매기 11 30 16 4 42 89 450 115 71 8 13 16 14 1 9 889 66.54
Larus vegae 재갈매기 30 56 10 4 38 21 8 46 213 15.94
Larus cachinnans 한국재갈매기 15 35 3 53 3.97
Larus heuglini 줄무늬노랑발갈매기 20 42 3 2 15 82 6.14
Sterna albifrons 쇠제비갈매기 10 7 9 26 1.95
No. of individuals 81 165 28 22 44 91 459 128 117 32 44 64 30 10 21 1336
No. of species 6 5 3 5 2 3 4 6 3 3 6 3 3 3 3 15
No. of local residents 4 10 6 5 7 6 5 10 53
No. of adults 59 26 16 8 55 45 16 3 103 11 291 633
No. of children 34 58 3 2 29 1 193 320
No. of total visitors 4 10 99 31 16 8 113 48 18 10 0 0 138 17 494 1006 Lower water level 202 -2 215 127 150 142 119 29 33 -8 91 56 142 118 126 1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