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2, No. 1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십각류 종목록
정지범1
⋅
황희승2⋅
이다민1⋅
김희수3⋅
정진협4⋅
정종우5*1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2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연구소, 3극지연구소 생명과학연구본부,
4순천향의생명연구원 의료IT 기반 RNA 융합연구센터, 5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Decapoda species list in the intertidal zone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Jibom Jung
1, Hee-seung Hwang
2, Damin Lee
1, Heesoo Kim
3, Jin-Hyeop Jeong
4and Jongwoo Jung
5*1Division of Eco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Korea 2Research Institute of EcoScienc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Korea 3Division of Life Sciences, Korea Polar Research Institute, Incheon 21990, Korea
4Medical IT based RNA Research Center, Soonchunhyang Institute of Medi-Bio Science, Asan 31538, Korea 5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03760, Korea
요약: 본 논문은 국내 해양 생물다양성의 보고인 한려해상국립공원의 2019~2020년 절지동물(십각류) 동물상 조사 결과에 대한 종 목록 및 특이사항을 제시하였다. 통영, 거제, 사천, 남해, 여수의 20곳에서 총 24과 39속 57종의 십각류를 발견하였다. 해당 종들의 조사지역별 서식 여부는 기질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2과 3속 8종 35개체의 십각류 기생성 만각류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 였고 이 중 2종은 신종 후보종, 6종은 미기록종으로 간주되며 한려해상국립공원 지역의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해당 분류군의 국내 다양성 현황 을 확인해야 한다.
주요어: 한려해상국립공원, 십각류, 종목록, 기생성 만각류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species list and remarks on the results of the 2019-2020 decapod fauna survey conduct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 report of Korean marine biodiversity. A total of 57 species, 39 genera, and 24 families of decapods were found in 20 locations of Tongyeong, Geoje, Sacheon, Namhae, and Yeosu. The species composition in each survey area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strate. On the other hand, through this study, the presence of 35 rhizocephalans (decapod parasitic barnacles) of 8 species, 3 genera, and 2 families in Korea was found. Among them, 2 species are considered new species candidates, and 6 species are considered unreported species. The biodiversity of rhizocephalans in Korea should be con- firmed through additional investigations of these areas.
Key words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Decapoda, Species list, Parasitic barnacle
서론
국립공원은
“우리나라를 대표할 만한 자연생태계와
자연, 문화 경관의 보전을 전제로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고자 환경부장관이 지정, 국가가 직접 관리하는 보호지역”으로 국내 생물종의45%
및 멸종 위기종 65%가 서식하는 생물다양성의 보고로서 현재
22곳이 지정
및 관리 중이다(The national park of Korea, 2021). 이중
3개의 해상,
해안형 국립공원에 속한 한려해상국립공원은 전라남도 여수시 오동도부터 경상남도 사천시, 남 해군, 통영군 및 거제시 해금강 지구까지 지정되어 있고 전체면적은
535.676 km
2로 76%가 해상 면적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The national park of Korea, 2021) 환경 보 존 정도가 우수하여 최근 남해군 지역에서 멸종위기종2급으로 지정된
십각류인 갯게와 흰발농게의 공동 서식처가 발견된 바 있다(Bae, 2017).
Received 6 April 2021; Revised 25 May 2021; Accepted 7 June 2021
*Corresponding to 정종우(Jongwoo Jung)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 © 2021.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2, No. 1, June 2021, 121-126
ISSN 2093-0674 / https://doi.org/10.54406/jnpr.2021.12.1.121
JNPR
십각류는 성체시기에 가슴다리를 10개 가진 진화적으 로 고등한 갑각류로 해양의 우점 무척추동물 중 하나이 고
1만2천여 종이 보고되어 있다(Appeltans et al., 2012).
해당 분류군은 여과섭식, 육식, 초식 등 다양한 섭식형태 를 가지고 다수의 부유성 유생을 통해 해양 생물다양성 에 큰 영향을 미치며(Brusca and Brusca, 1990) 고급 식 자재 및 의약품 등으로 생물자원으로의 활용 가치 또한 높다. 한편, 국내에 보고된 970여 종의 십각류는 대부분 이 기수와 해수에 서식하고(NIBR, 2019) 쏙, 칠게와 같이 갯벌에 구멍을 파고 자생하는 종은 갯벌의 산소 순환을 도와 생태계에서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해양 생물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십각류의 정확한 종목 록을 확보하는 일이 필요하다.
국립공원공단에서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 을 파악하고자 십각류를 포함한 생물상 조사를 주기적 으로 수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차후 해당지역의 생물 다양성 파악에 도움이 되고자
2019년과 2020년에 걸쳐
수행한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의 정확한 십각류 종목 록을 제시할 것이고 해당 과정 중 발견된 특이사항에 관 해 간략히 언급할 것이다.재료 및 방법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십각류 서식현황을 확인하기 위 해 2019년 7~10월과
2020년 5~9월에
걸쳐 총 20정점의 조사를 실시하였다(Fig. 1, Table 1). 경성 기질 조사는 표면 근처의 개체를 핀셋으로 잡거나 잘피를 뜰채로 걸 러서 잡았고 연성 기질 조사는 삽으로 십각류의 서식처 를30
㎖ 파서 근처에 있는 십각류를 확보하였다. 각 정 점별로 상부, 중부, 하부 조간대3곳 총 9곳에서
십각류 를 정량조사하였고 정성조사를 추가 수행하여 정량조사 로 확인되지 않은 종들의 존재를 확인하려 하였다. 확보 한 십각류는 50~250 ㎖ 플라스틱 관병에 넣어 현장에서95%
알코올로 고정하고 장소가 기입된 라벨을 동봉하 여 실험실로 운반하였다.실험실로 운반된 표본들은 형태적으로 분류하고 해부 현미경(Leica, Wetzlar, Germany)으로 갑각과 부속지의 주요 형질을 면밀히 관찰하여 동정하였다. 십각류(deca-
pods)
동정에는 새우류(macrurans)는 Kim (1977)를, 집게 류(anomurans)와 게류(brachyurans)는 Kim (1973)를 주 로 참고하였다. 동정한 표본들은 각 분류군별 동정 문헌 에 따라 상위 계통을 분류하였으며, 각 종의 한국명과 분류체계는 주로NIBR (2019)의 종
목록집을 따랐다.Fig. 1. Map of investigation sites in this study. Red letters: investigation sites in 2019, purple letters: investigation sites in 2020.
123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십각류 종목록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2, No. 1
결과 및 고찰
20개 조사지역에서 총 24과 39속 57종의
십각류를발견하였다. 확인된 종들 가운데 참게과(Varunidae)가
10종으로 가장
많은 출현종수를 나타냈고, 딱총새우과(Alpheidae)가 8종,
집게과(Paguridea), 부채게과(Xanthidae), 콩게과(Dotillidae)가4종으로
많은 출현종수를 보였다.해당 종들의 조사지역별 서식여부는 조사지의 기질 종류, 즉 연성 혹은 경성인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졌다. HYT-1,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Order Decapoda Latreille, 1803 십각목
Family Penaeidae Rafinesque, 1815 보리새우과 1. Penaeidae sp. 1
Family Palaemonidae Rafinesque, 1815 징거미새우과 2. Palaemon orientis Holthuis, 1950 흰새우 3. Palaemon serrifer (Stimpson, 1860) 줄새우아재비 4. Palaemonidae sp. 1
Family Alpheidae Rafinesque, 1815 딱총새우과 5. Alpheus brevicristatus De Haan, 1844 딱총새우 6. Alpheus bisincisus De Haan, 1849 홈발딱총새우 7. Alpheus japonicus Miers, 1879 긴발딱총새우 8. Alpheus lobidens De Haan, 1849 갯가딱총새우 9. Alpheus sp. 1
10. Alpheus sp. 2
11. Betaeus granulimanus Yokoya, 1927 옴발딱총새우 12. Stenalpheops anacanthus Miya, 1997 예쁜이딱총새우 Family Thoridae Kingsley, 1879 토르꼬마새우과
13. Eualus sinensis (Yu, 1931) 갯가꼬마새우 Family Crangonidae Haworth, 1825 자주새우과 14. Crangon affinis De Haan, 1849 자주새우 Family Laomediidae Borradaile, 1903 가재붙이과
15. Laomedia astacina De Haan, 1841 가재붙이 Family Upogebiidae Borradaile, 1903 쏙과
16. Upogebia major (De Haan, 1841) 쏙 Family Callianassidae Dana, 1852 쏙붙이과
17. Neotrypaea japonica (Ortmann, 1891) 쏙붙이 Family Porcellanidae Haworth, 1825 게붙이과
18. Pachycheles stevensii Stimpson, 1858 게붙이 19. Petrolisthes japonicus (De Haan, 1849) 갯가게붙이 Family Hapalogastridae Brandt, 1850 어리게과
20. Hapalogaster dentata (De Haan, 184) 가시투성어리게 21. Oedignathus inermis (Stimpson, 1860) 두드러기어리게 Family Diogenidae Ortmann, 1892 넓적왼손집게과
22. Paguristes ortmanni Miyake, 1978 털보긴눈집게 Family Paguridae Latreille, 1802 집게과
23. Pagurus filholi (De Man, 1887) 참집게
24. Pagurus lanuginosus De Haan, 1849 털다리참집게 25. Pagurus minutus Hess, 1865 긴발가락참집게 26. Pagurus nigrofascia Komai, 1996 검은참집게 Family Hymenosomatidae MacLeay, 1838 말랑게과
27. Trigonoplax sp. 1
Family Leucosiidae Samouelle, 1819 밤게과 28. Pyrhila pisum (De Haan, 1841) 밤게 Family Epialtidae MacLeay, 1838 뿔물맞이게과
29. Pugettia intermedia Sakai, 1938 중간뿔물맞이게 Family Portunidae Rafinesque, 1815 꽃게과
30. Charybdis bimaculata (Miers, 1886) 두점박이민꽃게 31. Charybdis sp. 1
Table 1. Species list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in this study
Family Pilumnidae Samouelle, 1819 애기털보부채게과
32. Pilumnopeus makianus (Rathbun, 1931) 두드러기네톱니부채게 33. Pilumnus minutus De Haan, 1835 애기털보부채게 Family Xanthidae MacLeay, 1838 부채게과
34. Leptodius affinis (De Haan, 1835) 부채게
35. Macromedaeus distinguendus (De Haan, 1835) 꽃부채게 36. Medaeops granulosus (Haswell, 1882) 두드러기부채게 37. Microcassiope orientalis Takeda & Miyake, 1969 작은꽃부채게 Family Grapsidae MacLeay, 1838 바위게과
38. Pachygrapsus crassipes Randall, 1840 바위게 Family Sesarmidae Dana, 1851 사각게과
39. Parasesarma pictum (De Haan, 1835) 사각게 Family Varunidae H. Milne-Edwards, 1853 참게과
40. Acmaeopleura parvula Stimpson, 1858 애기비단게 41. Eriocheir japonica (De Man, 1835) 동남참게 42. Gaetice depressus (De Haan, 1833) 납작게
43. Helicana japonica (Sakai & Yatsuzuka, 1980) 수동방게 44. Helice tientsinensis Rathbun, 1931 갈게
45. Hemigrapsus penicillatus (De Haan, 1835) 풀게 46. Hemigrapsus sanguineus (De Haan, 1835) 무늬발게 47. Hemigrapsus takanoi Asakura & Watanabe, 2005 털다발풀게 48. Hemigrapsus sinensis Rathbun, 1931 털보꼬마풀게 49. Sestrostoma balssi (Shen, 1932) 큰애기비단게 Family Camptandriidae Stimpson, 1858 여섯니세스랑게과
50. Camptandrium sexdentatum Stimpson, 1858 여섯니세스랑게 51. Deiratonotus cristatum (De Man, 1895) 무당게
Family Dotillidae Stimpson, 1858 콩게과 52. Ilyoplax dentimerosa Shen, 1932 털콩게 53. Ilyoplax pingi Shen, 1932 펄털콩게 54. Ilyoplax pusilla (De Haan, 1835) 넓적콩게 55. Scopimera globosa (De Haan, 1835) 엽낭게 Family Macrophthalmidae Dana, 1851 칠게과
56. Macrophthalmus (Macrophthalmus) abbreviatus Manning &
Holthuis, 1981 길게
57. Macrophthalmus (Mareotis) japonicus (De Haan, 1835) 칠게 Table 1. Continued
종명 조사정점(HY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1. Penaeidae sp. 1 O
2. Palaemon orientis Holthuis, 1950 흰새우 O
3. Palaemon serrifer (Stimpson, 1860) 줄새우아재비 O O
4. Palaemonidae sp. 1 O
5. Alpheus brevicristatus De Haan, 1844 딱총새우 O O O
6. Alpheus bisincisus De Haan, 1849 홈발딱총새우 O O O
7. Alpheus japonicus Miers, 1879 긴발딱총새우 O O
8. Alpheus lobidens De Haan, 1849 갯가딱총새우 O
9. Alpheus sp. 1 O
10. Alpheus sp. 2 O
11. Betaeus granulimanus Yokoya, 1927 옴발딱총새우 O
12. Stenalpheops anacanthus Miya, 1997 예쁜이딱총새우 O O O O
13. Eualus sinensis (Yu, 1931) 갯가꼬마새우 O O O
14. Crangon affinis De Haan, 1849자주새우 O
15. Laomedia astacina De Haan, 1841가재붙이 O O O O O
16. Upogebia major (De Haan, 1841) 쏙 O O O O O O O O
17. Neotrypaea japonica (Ortmann, 1891) 쏙붙이 O O O O
18. Pachycheles stevensii Stimpson, 1858 게붙이 O
19. Petrolisthes japonicus (De Haan, 1849) 갯가게붙이 O O
20. Hapalogaster dentata (De H aan, 184) 가시투성어리게 O
21. Oedignathus inermis (Stimpson, 1860) 두드러기어리게 O
22. Paguristes ortmanni Miyake, 1978 털보긴눈집게 O O O
23. Pagurus filholi (De Man, 1887) 참집게 O
24. Pagurus lanuginosus De Haan, 1849 털다리참집게 O O O O O O O
25. Pagurus minutus H ess, 1865 긴발가락참집게 O O O O O O O O O O O O O
26. Pagurus nigrofascia Komai, 1996 검은참집게 O O O
27. Trigonoplax sp. 1 O
28. Pyrhila pisum (De Haan, 1841) 밤게 O O
29. Pugettia intermedia Sakai, 1938 중간뿔물맞이게 O
30. Charybdis bimaculata (Miers, 1886) 두점박이민꽃게 O
31. Charybdis sp. 1 O
32. Pilumnopeus makianus (Rathbun, 1931) 두드러기네톱니부채게 O
33. Pilumnus minutus De Haan, 1835 애기털보부채게 O
34. Leptodius affinis (De Haan, 1835) 부채게 O O O O O O
35. Macromedaeus distinguendus (De H aan, 1835) 꽃부채게 O O
36. Medaeops granulosus (Haswell, 1882) 두드러기부채게 O O
37. Microcassiope orientalis Takeda & Miyake, 1969 작은꽃부채게 O O
38. Pachygrapsus crassipes Randall, 1840 바위게 O
39. Parasesarma pictum (De H aan, 1835) 사각게 O O O O O O
40. Acmaeopleura parvula Stimpson, 1858 애기비단게 O
41. Eriocheir japonica (De Man, 1835) 동남참게 O
42. Gaetice depressus (De Haan, 1833) 납작게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43. Helicana japonica (Sakai & Yatsuzuka, 1980) 수동방게 O O
44. Helice tientsinensis Rathbun, 1931 갈게 O
45. Hemigrapsus penicillatus (De Haan, 1835) 풀게 O O O O O O O O O
46. Hemigrapsus sanguineus (De H aan, 1835) 무늬발게 O O O O O O O O O O O O O
47. Hemigrapsus takanoi Asakura & Watanabe, 2005 털다발풀게 O O O O O O O O O O O
48. Hemigrapsus sinensis Rathbun, 1931 털보꼬마풀게 O O
Table 2. The existence of decapod species in each investigation site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125 한려해상국립공원 조간대 십각류 종목록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2, No. 1
2, 4, 13~16은 연성에서 주로 보이는
딱총새우류, 가재붙이, 쏙붙이, 쏙, 콩게류와 칠게류가 나타났다. 한편, 경성 에서 특이적으로 빈번히 나타난 종은 없었으나 연성에 비해 비교적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
한편, 본 조사에서 2과 3속 8종
35개체의 막질 주머니
모양의 십각류 기생성 만각류(infraclass Rhizocephala)를 발견하였고 이 중 2종은 신종후보종, 6종은 미기록종으로 여겨진다(Fig. 2, Table 3). 그 동안 기생성 만각류의 기생 Fig. 2. Externae of Parasacculina sp. 6 on the abdomen of Upogebia major. Blue arrow: mantle종명 조사정점(HY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1. Parasacculina sp. 1 (new species candidate) O O O
2. Parasacculina sp. 2 (new species candidate) O
3. Parasacculina sp. 3 O
4. Parasacculina sp. 4 O
5. Parasacculina sp. 5 O O
6. Parasacculina sp. 6 O O
7. Polyascus sp. O O O O O
8. Sacculina sp. O O O O O O O
Table 3. The existence of rhizocephalan species in each investigation site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종명 조사정점(HY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49. Sestrostoma balssi (Shen, 1932) 큰애기비단게 O O O O
50. Camptandrium sexdentatum Stimpson, 1858 여섯니세스랑게 O O
51. Deiratonotus cristatum (De Man, 1895) 무당게 O
52. Ilyoplax dentimerosa Shen, 1932 털콩게 O
53. Ilyoplax pingi Shen, 1932 펄털콩게 O O
54. Ilyoplax pusilla (De H aan, 1835) 넓적콩게 O O O O
55. Scopimera globosa (De H aan, 1835) 엽낭게 O
56. Macrophthalmus (Macrophthalmus) abbreviatus Manning &
Holthuis, 1981 길게 O
57. Macrophthalmus (Mareotis) japonicus (De Haan, 1835) 칠게 O O O O
Table 2. Continued
이 보고되지 않던 꽃부채게(Macromedaeus distinguendus) 에는 신종후보종
2종이 기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
에도 중간뿔물맞이게(Pugettia intermedia)와 털다발풀 게(Hemigrapsus takanoi)도 새로운 숙주로 확인되었으며 쏙(Upogebia major), 바위게(Pachygrapsus crassipes), 납 작게(Gaetice depressus), 무늬발게(Hemigrapsus sangui-neus)에서도
각기 14개체 이하의 기생성 만각류가 발견되었다. 한국의 십각류 기생성 만각류는 Sacculina pinnother-
ae가 북한 원산에서 최초로 발표된 이후(Shiino, 1943)
집 게 기생성 만각류(family Peltogastridae and Peltogasterellidae, Høeg et al., 2019; Jung et al., 2019)
외에는 서식이 학술 적으로 보고된 적이 드물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더 많 은 십각류 표본들을 통해 해당 분류군의 국내 다양성 현 황에 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참고문헌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9. II.
Vertebrates⋅Invertebrates⋅Protozoans.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Pp. 1-909. Ministry of Environ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Seoul.
Kim HS. 1973. Vol. 14. Anomura, Brachyura. Illustrated en- 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Korean). Pp.
1-694.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Seoul.
Kim HS. 1977. Vol. 19. Macrura.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Korean). Pp. 1-414. Ministry of Educ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Seoul.
Bae Gun-deuk. 2017. Endangered crab Chasmagnathus convexus prepares a new home in the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n). Aju Business Daily. https://www.ajunew s.com/view/20171119094629649
The national park of Korea. 2021. http://www.knps.or.kr/porta l/main/contents.do?menuNo=8000342
Appeltans W, ST Ahyong, G Anderson, MV Angel, T Artois, N Bailly, R Bamber, A Barber, I Bartsch, A Berta, M Błazewicz-Paszkowycz, P Bock, G Boxshall, CB Boyko, SN Branda˜o, RA Bray, NL Bruce, SD Cairns, TY Chan, L Cheng, AG Collins, T Cribb, M Curini-Galletti, F Dahdouh-Guebas, PJF Davie, MN Dawson, O De Clerck, W Decock, S De Grave, NJ de Voogd, DP Domning, CC Emig, C Erse´us, W Eschmeyer, K Fauchald, DG Fautin, SW Feist, CHJM Fransen, H Furuya, O Garcia-Alvarez, S Gerken, D Gibson, A Gittenberger, S Gofas, L Go´ mez-Daglio, DP Gordon, MD Guiry, F Hernandez, BW Hoeksema, RR Hopcroft, D Jaume, P Kirk, N Koedam, S Koenemann, JB Kolb, RM Kristensen, A Kroh, G Lambert, DB Lazarus, R Lemaitre, M Longshaw, J Lowry, E Macpherson, LP Madin, C Mah, G Mapstone, PA McLaughlin, J Mees, K Meland, CG Messing, CE Mills, TN Molodtsova, R Mooi, B Neuhaus, PKL Ng, C Nielsen, J Norenburg, DM Opresko, M Osawa, G Paulay, W Perrin, JF Pilger, GCB Poore, P Pugh, GB Read, JD Reimer, M Rius, RM Rocha, JI Saiz-Salinas, V Scarabino, B Schierwater, A Schmidt-Rhaesa, KE Schnabel, M Schotte, P Schuchert, E Schwabe, H Segers, C Self-Sullivan, N Shenkar, V Siegel, W Sterrer , S Sto¨hr S, B Swalla, ML Tasker, EV Thu esen, T Timm, MA Todaro, X Tu ron, S Tyler, P Uetz, J van der Land, B Vanhoorne, LP van Ofwegen, RWM van Soest, J Vanaverbeke, G Walker-Smith, TC Walter, A Warren, GC Williams, SP Wilson, MJ Costello.
2012. The magnitude of global marine species diversity.
Current biology. 22(23): 2189-2202.
Brusca RC, GJ Brusca. 1990. Invertebrates (2nd edition). Pp.
1-936. Sinauer, New England.
Høeg JT, C Noever, DA Rees, KA Crandall, H Glenner. 2019.
A new molecular phylogeny-based taxonomy of parasitic barnacles (Crustacea: Cirripedia: Rhizocephala).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90(2): 632-653.
Jung J, R Yoshida, W Kim. 2019. Diversity of parasitic pelto- gastrid barnacles (Crustacea: Cirripedia: Rhizocephala) on hermit crabs in Korea. Zoological Studies. 58: 33.
Shiino SM. 1943. Rhizocephala of Japan. The Journal of the Sigenkagaku Kenkyusyo. 1: 1-36.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2, No. 1
사천지역 해조군집의 변동
이재일1
⋅
안중관2*1㈜ 생태기술연구소, 2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Changes in macro-algal communities around Sacheon area, Korea
Jae Il Lee
1and Jung Kwan Ahn
2*1Eco-Technology Institute Co., LTD. Seoul 07299, Korea
2Marine Research Center,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Yeosu 59723, Korea
요약: 한려해상국립공원 사천지구 해조군집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서 4개 도서를 대상으로 2013년, 2014년, 2020년에 조사를 실시하였 다. 조사결과 총 164종(녹조류 18종, 갈조류 33종, 홍조류 113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고, 정점 별로는 신수도에서 122종, 신도 95종, 늑도 80종 그리고 솔섬에서 66종으로 최소였다. 우점종은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구멍갈파래(Ulva australis), 애기우뭇가사리 (Gelidiophycus freshwateri) 등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과거와 비교하여 조사 시기에 따라 출현종수의 차이는 나타나지만, 해조군집 구조는 유사하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한려해상국립공원, 사천, 해조군집, 우점종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clarify the structure and changes of benthic macro-algal community in Sacheon at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The number of species and dominant species of marine algae were investigated from 2013, 2014 and 2020.
As a result, 164 species (18 green, 33 brown and 113 red algae) of benthic macro algae were found. The number of species maximal at Sinsudo (122) followed by Sindo (95), Neukdo (80) and Solsum (66). Dominant species were Sargassum thunbergii, Ulva australis and Gelidiophycus freshwateri. The algal community structure was similar with previous studies.
Key words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acheon, algal community, dominant species
서론
생태계 모니터링은 생태계 구성 인자의 변화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서 반복적인 데이터 수집이 필요하며, 이 상적인 모니터링은 생태계의 현재 상태, 시간적 및 공간 적 추세 등을 확인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생태계 프로 세스를 기반으로 한 통합 모니터링이 필요하다(Chapman,
2012; Kupschus et al., 2016).
현재 생태계 모니터링은 극지방의 생태계부터 수산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까지 다양한 목적을 가진 모니터링이 수행되고 있다(Reid etal., 2005; 2007).
고착성 해조류는 해양생태계의 중요한 일차생산자이
며, 해양생물의 서식지 제공 등 생태학적 역할을 수행한 다(Lindstrom, 2009). 따라서 해조류는 연안생태계 먹이 사슬의 상위 분류군에 속하는 해양생물의 종다양성과 풍부도 뿐만 아니라 어장형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Wan
et al., 2009; Janiak and Whitlatch, 2012; Satheesh and
Wesley, 2012).
다른 한편으로는 연안의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해양에 유입되는 유기 및 무기 오염물을 제거 하는 생물여과(biofilter)의 역할을 수행하며, 고착성의 특징으로 연안 환경변화를 추적할 수 있는 생물지표
(biological indicator)로도 사용되고 있다(Worm et al., 2000; Wells et al., 2007; Scherner et al., 2013).
해조류는 환경요인에 따라 밀접하게 변화하는데, 안
Received 30 March 2021; Revised 21 May 2021; Accepted 7 June 2021
*Corresponding to 안중관(Jung Kwan Ahn)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 © 2021.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All rights reserved.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2, No. 1, June 2021, 127-132
ISSN 2093-0674 / https://doi.org/10.54406/jnpr.2021.12.1.127
JNPR
정된 해역에서 교란(disturbance)과 퇴적(sedimentation) 그리고 하수 유입 등과 같은 환경스트레스가 증가되면 해조군집의 종다양성과 군집구조의 구성양식(홍조류/갈 조류의 출현종수 비율, 생물량과 피도 및 비율, 기회종인 녹조류의 증가) 변화가 발생한다(Arévalo et al., 2007;
Pinedo et al., 2007; Wells et al., 2007).
특정 해역에서 생 장이 느린 다년생 해조류인 다육질형(thick leathery form), 유절산호말형(jointed calcareous form)과 각상형(crustoseform)
해조류의 피도 또는 생물량이 많으면 부영양화, 교란과 같은 인간의 간섭이 적은 지역으로 판단하며, 빠른 생장을 보이는 엽상형(sheet form), 사상형(filamentous
form)
해조류가 많으면 오염도가 높은 지역, 성긴분기형(coarsely branched form)이 많으면 환경 스트레스가 중
간 정도인 것으로 판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Yoo et al.,2007; Wells et al., 2007; Kim et al., 2010).
한려해상국립공원은 한국의 대표적인 해양보호구역
(Marine protected areas, MPAs)으로 한려수도의 자연과
문화 자원을 보호하기 위해서1968년 12월 31일 국내
최초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동쪽의 거제도에 서 서쪽의 여수 오동도에 이르는 지역으로 그 중심에 사 천지역이 위치하고 있다(KNPS, 2021).조사 목적은 법정 조사인 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KNPS,
2015; 2020)와 자체 조사연구 사업인 유무인도서 및 특
정도서 정밀조사의 일환으로 실시하였다.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사천지구의 해조군집 변 화를 추적하여 사천지역 연안생태계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한려해상국립공원 사천지구에 위치하고 있는 신수도, 신도, 솔섬, 늑도에서 해조군집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 다(Fig. 1). 조사시기와 횟수는 정점에 따라 다소 상이한 데, 2013년 신수도에서는 신수도항 북서쪽 방파제 넘어 자연암반 조간대와 조하대에서 겨울부터 가을까지 계절
별로
4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신도는3월과 5월에 2회
조사하였으며, 솔섬은 봄부터 가을까지 3 계절 3회 조사
를 실시하였다. 2014년 늑도에서는 서쪽 자연암반 조간 대에서 계절별로
4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2020년에는 조간대에서만 조사를 수행하였는데, 신수도에서는2013
년과 동일한 정점에서 봄과 여름에 조사를 실시하였고, 신도는 신도 북동쪽의 매우 완만한 암반 조간대, 늑도에 서는 늑도 동쪽 매우 완만한 조간대에서 봄과 여름에 조 사를 수행하였다.해조군집의 조사는 조간대 최상부부터 하부까지 정점
별로
2~3개의 조사지선을 설치하고 조위별로 50
㎝×
50
㎝ 방형구를 이용하여 정성⋅정량 조사를3~5회 반
복하였다. 조하대 조사는 사천지역 해수의 탁도가 다소 높은 관계로 정성 조사만 실시하였다.Fig. 1. Map showing the study sites of benthic macroalgae and survey year (A : Sindo at 2013; a : Sindo at 2020; B : Neukdo at 2014; b : Neukdo at 2020; C : Solsum at 2013; D : Sinsudo at 2014 and 2020).
129 사천지역 해조군집의 변동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2, No. 1
결과 및 고찰
한려해상국립공원 사천지구의 신수도, 신도, 솔섬, 늑
도에서
2013년, 2014년, 2020년도에 연구조사를 통해
분포가 확인된 해조류는 총
164종(녹조류 18종,
갈조류33종,
홍조류113종)이었다.
조사정점별로는 다수의 조사를 수행하였던 신수도에서 총
122종(녹조류 14종,
갈 조류 26종, 홍조류 82종)이 출현하여 가장 많았고, 신도 에서 총 95종(녹조류 11종, 갈조류15종,
홍조류 69종), 늑도에서 총 80종(녹조류 10종, 갈조류 15종, 홍조류 55 종) 그리고 솔섬에서66종(녹조류 10종,
갈조류 16종, 홍 조류40종)이
출현하여 적었다(Table 1).연도별로는
2013년에 총 122종(녹조류 13종,
갈조류25종,
홍조류 82종)이 출현하였으며, 신수도에서90종으
로 많았고, 솔섬 66종, 신도
61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 다. 2014년에 늑도에서는 총46종의 해조류 출현을 확인
하였으며, 2020년에는 총110종(녹조류 14종,
갈조류 18 종, 홍조류 78종)이 출현하였는데, 신수도에서 79종, 신 도68종,
늑도64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였다(Fig. 2).사천지역 해조군집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은편으로,
Choi (2008)는 한려해상국립공원 해조상을 보고하면서
2005년 사천지역
솔섬에서12종(녹조류 2종,
갈조류 4종, 홍조류 6종), 학섬 13종(녹조류 2종, 갈조류 4종, 홍
조류
7종)의 해조류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결과 솔섬에서 66종의 해조류가 출현하여 상대적으로 많았는데, 이 는 과거의 연구가 3월부터 10월 사이에 1~2회 특히 인근 의 섬들을 대상으로 단기간에 조사가 이루어져 해조류 출현종이 빈약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Fig. 2. The number of algal species collected in Sacheon district at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Site Sinsudo Sindo Solsum Neukdo
Taxa / Year 2013 2020 Total 2013 2020 Total 2013 2014 2020 Total
Chlorophyta 10 9 14 6 10 11 10 5 10 10
Ochrophyta 23 13 26 12 8 15 16 10 11 15
Rhodophyta 57 57 82 43 50 69 40 31 43 55
Sum 90 79 122 61 68 95 66 46 64 80
Table 1. The number of algal species collected in Sacheon district at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사천지역의 다른 연구로는
Kim et al. (1986)이 1982
년 4월부터 10월까지 삼천포 주변 해조식생을 조사하였 는데, 이 연구에서는 신수도 남쪽 암반에서 84종(녹조류8종,
갈조류 19종, 홍조류 57종)의 해조류를 보고하였고,Sohn (1987)도 동일한 장소에서 1984년 4
계절 조사를통해
135종(녹조류 16종,
갈조류37종,
홍조류82종)을
보고하였다. 각각의 연구에서 해조류 출현종수의 차이 가 나타나는데, 이는 조사 시기 특히 해조류가 번무하는 겨울 계절의 조사 유무와 조사 횟수에 따라서 나타난 결 과로 판단된다.조사시기와 정점에 따른 해조군집의 우점종은 유사한 게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녹조류 구멍갈파래(Ulva aus-
tralis),
갈조류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그리고 홍 조류 애기우뭇가사리(Gelidiophycus freshwateri)가 우점 하였으며, 과거에도 구멍갈파래와 지충이의 우점은 유 사한 반면, 홍조류 개서실(Chondria crassicaulis)과 작은 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pera)의 우점종 구성이 본 연 구와 상이한 부분이었다(Table 2).남해연안 조간대 해조군집의 우점종은 불등풀가사리
(Gloiopeltis furcata),
애기우뭇가사리, 구멍갈파래, 개서 실, 지충이, 산호말류(Corallina spp.), 모자반류(Sargassumspp.),
미역(Undaria pinnatifida) 등이 보고되었고(Song,1986; Lee et al., 1975; Kim et al., 1996),
수직분포는 상부에 불등풀가사리와 애기우뭇가사리, 중부에 지충이, 구멍갈파래, 톳(S. fusiforme) 그리고 하부에 작은구슬산 호말, 개서실, 참보라색우무(Symphyocladia latiuscula), 모자반류 등이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oi, 1992).본 연구결과 규명된 우점종과 해조군집의 수직분포는 선행된 연구들과 유사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려 해상국립공원 사천지구 조간대 해조군집은 국내 남해연 안 조간대 해조군집의 분포 및 군집 특성과 유사하며, 시간적 변동 특성도 큰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연안 개발이 계속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동이 예고되는 만큼, 사천지 구 해양생태계의 지속적인 조사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Year Site Taxa
Reference
Chlorophyta Ochrophyta Rhodophyta
1982 Sinsudo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Chondria crassicaulis
Corallina spp. Kim et al. (1986)
1984 Sinsudo Sargassum thunbergii Corallina pilulifera
Chondria crassicaulis Sohn (1987)
2005
Solsum Urospora penicilliformis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Gelidiophycus freshwateri Hildenbrandia rubra
Choi (2008)
Haksum Sargassum thunbergii Gelidiophycus freshwateri
Hildenbrandia rubra
2013
Sinsudo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Ishige okamurae S. horneri
Gelidiophycus freshwateri Corallina pilulifera, Melobesioidean algae
This study Sindo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Gelidiophycus freshwateri
Solsum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S. fusiforme Gelidium elegans
2014 Neukdo Ulva australis S. horneri Gelidiophycus freshwateri
2020
Sinsudo Ulva australis,
U. linza Sargassum thunbergii Melobesioidean algae
Sindo Ulva australis Gelidiophycus freshwateri
Melobesioidean algae Neukdo Ulva australis Sargassum thunbergii Gelidiophycus freshwateri
Chondracanthus tenellus Table 2. Dominant macroalgal species in Sacheon district at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Korea
131 사천지역 해조군집의 변동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12, No. 1
사사
본 연구는 「2019년 한려해상국립공원 공원자원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또한, 부족한 논문을 심사 해주신 심사위원에게 감사 드립니다.
참고문헌
Arévalo R, S Pinedo, E Ballesteros. 2007. Changes in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Mediterranean rocky-shore communities following a gradient of nutrient enrichment:
Descriptive study and test of proposed methods to assess water quality regarding macroalgae. Mar Poll Bull. 55:
104-113. http://doi:10.1016/j.marpolbul.2006.08.023 Chapman PM. 2012. Adaptive monitoring based on ecosys-
tem servic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15:
56-60.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1.03.036 Choi CG. 2008. Algal flora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41: 371-380.
Choi DS. 1992. On the state of marine algal resources in the west-southern coast of Korea. Bull. Inst. Litt. Environ.
9: 81-103.
Janiak DS, RB Whitlatck. 2012. Epifaunal and algal assemb- lages associated with the native Chondrus crispus (Stack house) and the non-native Grateloupia turuturu (Yamada) in eastern Long Islands Sound. J Exp Mar Biol Ecol.
413: 38-44. http://doi:10.1016/j/jembe.2011.11.016 Kim BY, WS Kim, HG Choi. 2010. Seasonal variability of
seaweed biomass along the vertical shore gradients of Nachido and Odo islands, the Yellow Sea, Korea. Fish Auea Sci. 13: 324-331.
Kim EA, HB Lee, IK Lee. 1986. Marine algal vegetation of Samchonpo, south coast of Korea. Korean J. Bot. 29:
175-183.
Kim KY, SH Huh, GH Kim. 1996. Diversity and abundance of sublittoral macroalgae around Deado island, the south coast of Korea. Algae. 11: 171-177.
KNP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5. National resource survey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3rd). p. 528.
Korea National Park Institute. Wonju, Korea.
KNPS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20. National resource survey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4th). p. 1130.
Korea National Park Institute. Wonju, Korea.
KNPS (Korean National Parks). 2021. Introduction to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http://www.knps.or.kr/front/portal/visit/vi
sitCourseMain.do?parkId=120300&menuNo=7020103 on May 22, 2021.
Kupschus S, M Schratzberger, D Righton. 2016. Practical im- plementation of ecosystem monitoring for the ecosystem approach to management. Journal of Applied Ecology.
53(4): 1236-1247. https://doi.org/10.1111/1365-2664.12648 Lee IK, YH Kim, JH Lee, SW Hong. 1975. A study on the
marine algae in the Kwang Yang Bay. 1. The seasonal variation of algal community. Korean J. Botany. 18: 109-121.
Lindstrom SC. 2009. The biofeography of seaweeds in south east Alaska. J Biogeogr. 36: 401-409.
Pinedo S, M Garcia, MP Satta, M Torres, E Ballesteros. 2007.
Rocky shore communities as indicators of water quality;
a case study in the north-western Mediterranean. Mar Poll Bull. 55: 126-135. doi:10.1016/j.marpolbul.2006.08.044 Reid K, JP Croxall, EJ Murphy. 2007. The power of ecosystem
monitoring. Aquatic Conservatio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s. 17(S1): S79-S92. https://doi.org/10.1002/aq c.909
Reid K, JP Croxall, DR Briggs, EJ Murphy. 2005. Antarctic ecosystem monitoring: quantifying the response of eco- system indicators to variability in Antarctic krill. ICES Journal of Marine Science. 62(3): 366-373. https://doi.org/
10.1016/j.icesjms.2004.11.003
Satheesh S, SG Wesley. 2012.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seaweeds in the Kudankulam coastal waters, south-east- ern coast of India. Biodiversity Journal. 3: 79-84.
Scherner H, PA Horta, EC Oliveira, JC Simonassi, JM Hall-Spencer, F Chow, JMC Nu nes, SMB Pereira. 2013.
Coastal urbanization leads to remarkable seaweed spe- cies loss and community shifts along the SW Atlantic.
Mar Pollut Bull. 76: 106-115. doi:10.1016/j.marpolbul.2 013.09.019
Sohn CH. 1987. Phytogeographical characterizaion and quan- titative analysis of algal communities in Korea.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Korea.
Song CB. 1986. An ecological study of the intertidal macro- algae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Korean J. Phy col. 1: 203-223.
Wan XO, HH Park, HI Yoo, HG Choi. 2009. Temporal varia- tions in seaweed biomass and coverage in Korean coasts:
Ongdo, Chungnam. Fish Aqua Sci. 12: 130-137.
Wells E, M Wilkinson, P Wood, C Scanlan. 2007. The use of macroalgal species richness and composition on intertidal rocky seashores in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quality un- der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 Pollut Bull. 55: 151-161. doi:10.1016/j.marpolbul.2006.08.031 Wells E, M Wilkinson, P Wood, C Scanlan. 2007. The use
of macroalgal species richness and composition on inter- tidal rocky seashores in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quality
under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 Pollut Bull. 55: 151-161. doi:10.1016/j.marpolbul.2006.08.031 Worm B, HK Lotze, U Sommer. 2000. Coastal food web
structure, carbon storage, and nitrogen retention regu- lated by consumer pressure and nutrient loading. Limnol
Oceanogr. 45: 339-349.
Yoo HI, JH Lee, KH Lee, SH Baek, YB Heo, HS Noh, HG Choi. 2007. Summer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s in Taean Peninsula, Korea. J Kor Fish Soc.
40: 21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