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련(국제관계연구소 선임연구위원). 본 보고서의 내용은 저자 개인의 의견이며, 당사 연구소의 공식 견해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한미 정상회담의 배경 및 목적
따라서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 순방은 동맹국들의 신뢰를 회복하고 동맹국들과의 전략적 유대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아시아 복귀 정책은 '경제'와 '안보'라는 두 축을 연결하는 정책이다. 경제적 관점에서는 아시아·태평양 국가들과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체결하는 것이 목적이고, 안보적 관점에서는 한미동맹, 한미동맹 강화가 목적이다. 미국과 일본, 한미일 3국 안보동맹과 연대. 본 보고서는 최근 한미 정상회담을 중심으로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진행된 한미 정상회담의 결과를 요약하고, 한국의 향후 외교정책과 대북정책에 대한 정책적 우려를 제시하고 있다. , 북한의 대응 분석과 함께 ..
한미 정상회담의 주요내용
한미 양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미·3국 간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포괄적·공동 대응하고 있다. 미국과 한국은 이란 핵 프로그램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에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은 주요경제포럼(MEF)과 기후청정대기연합(CCAC)에서도 협력하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의 의의 및 성과
북한 핵미사일 위협과 동북아 지역 안보환경 변화를 고려해 2015년 12월로 예정됐던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시기를 재검토하기로 했다. 2015년 한반도 평화 유지. 향후 - 전시작전권 이양 시기에 대해 올해 10월 한미 안전보장이사회가 개최된다. 아울러 한미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를 개발하기로 합의해 한미 MD의 효율적인 상호운용성이 확대됐다. 오바마 대통령은 용산 한미연합사를 방문해 “동맹과 생활 방식을 보호하기 위해 군사력 사용을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강력한 대북 억지력이 기대된다.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 정상회담 분석
이명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핵...미사일 개발 협력을 재확인하고, 6차 회담 진전을 토대로 국제사회에서 협력 의지를 재확인했다. - 북핵 문제에 대한 당 회담과 한미 간 긴밀한 협력. 한미 간 신뢰를 바탕으로 긴밀한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은 북핵 문제 해결의 진전에 매우 중요하며, 남북 관계의 정상적인 발전에도 기여합니다.
정책적 고려사항
한국에 대한 미국의 안보 공약은 변함이 없습니다. ISR) 및 무기체계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은 이란 핵 프로그램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에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공동행동계획 이행에 대한 한국의 지원에 대해 사의를 표명합니다. 한국과 미국은 인도적 지원과 재난 구호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은 전 세계적인 불법 복제 방지 노력에 협력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녹색기후기금(GCF)을 유치했으며, 한미는 주요경제포럼(MEF), 기후청정대기연합(CCAC)에서도 협력하고 있다. 한국과 미국은 기후변화 과학과 청정에너지 연구 분야에서도 긴밀히 협력하고 있습니다. 한미 양국은 셰일가스 관련 정보 공유 활성화 방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한미 양국 국민의 건강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양국 국민 사이에는 광범위하고 깊은 유대관계가 있습니다. 동시에, 한국에서 유학하는 미국인의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Joint Fact Sheet : The United States-Republic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ROK) continue to build a comprehensive strategic alliance with bilateral, regional, and global reach, based on common values and mutual trust.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are close partners in international efforts to address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concerns about Iran's nuclear program. The United States appreciates the assistance of the Republic of Korea in implementing the Joint Plan of Actio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continue to condemn the Syrian regime's indiscriminate and ongoing use of violence against civilians.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cooperate closely on humanitarian aid and disaster relief. The United States welcomed the Republic of Korea's co-hosting of the 3rd ASEAN Regional Forum Disaster Relief Exercise with Thailand in May 2013.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are partners in the global anti-piracy effort. The United States and Republic of Korea continue to discuss possibilities for enhancing the sharing of information regarding shale gas. On March 15, 2014, the United States and Republic of Korea celebrated the second anniversary of the entry into force of the US-Korea Free Trade Agreement (KORUS FTA).
In 2012 and 2013, the United States had a $4.4 billion foreign direct investment surplus with the Republic of Korea.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enjoy a long history of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refl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nations. In 2013,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continued their efforts to improve cyber security through increased cooperation between our computer security.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 정상회담 주요내용
통일연구원은 국민공동체 실현을 위한 국민역량을 축적하고, 통일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통일문제와 관련된 모든 사안에 대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연구 결과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더 많은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연간 회원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간 회원은 다음과 같은 간행물을 받습니다. 게시물을 게재하고 각종 학술대회에 참가할 권리를 갖습니다.
가) 연구자가 주최하는 국제 및 국내 학술대회 등 각종 연구행사에 초청받는다. 나) 가 통일정책연구, 국제한국통일연구, 단행본 시리즈 연구 시리즈, 학술회의 시리즈, 협력 연구 시리즈, 정치 상황 분석 보고서 등 연구소에서 발행하는 저널을 우편으로 발송합니다. 구독기간 중 주소가 변경된 경우 반드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나는 통일연구원의 연간회원이 되기를 신청합니다. 편집자: 통일연구원 국제관계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