萬國公報 에 나타난 청말 사회의 비판에 관한 고찰 *1)
- 科擧制度와 중국 전통 교육제도 비판의 내용을 중심으로 -
盧 在 軾 (成均館大)
Ⅰ. 머리말
Ⅱ. 중국인의 停滯性과 崇古主義에 대한 비판
Ⅲ. 科擧制度에 대한 비판
1. 八股文의 弊端
2. 科擧 시험과목의 비실용성
Ⅳ. 중국 전통 교육제도에 대한 비판
Ⅴ. 결 론
Ⅰ. 머리말
제2차 아편전쟁 이후 1860년 체결된 북경조약에는 선교사들의 중 국 내지 선교자유의 조항이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중국 내지 선교 자 유가 합법화되면서 서양 각국의 많은 선교회와 선교사들이 중국에 들 어오게 되었다. 동시에 이 시기는 청조가 근대화를 향한 몸부림을 치 는 시기였다. 당시 청조의 일부 선각자들은 중국이 발전을 하려면 반 드시 진부(陳腐)한 사상과 요소를 제거하고 새로운 사상과 사물을 받 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각성은 19세기 말 양무운동(洋務 運動), 변법운동(變法運動) 그리고 결국 혁명으로까지 이어지게 되었 다.
* 이 논문은 2008년도 성균관대학교 Post-Doc. 연수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한편 외래 종교인 기독교는 이 시기 중국 민중들의 큰 저항을 받았 다. 소위 반교(反敎)운동으로 불려지는 이러한 움직임은 1880년대 이후 점점 발전하다가 1900년 의화단에 이르러 최고조에 이르게 된다. 이러 한 반교운동이 고조되는 한편 다른 이면에서는 서양의 새로운 학문과 신사상을 받아들이려는 움직임도 활발하게 일어났다.
이러한 반교 현상과 동시에 새로운 서양 학문과 사상을 추구하는 19세기 말 중국사회의 현상은 서양 선교사들이 직면한 현실이었다. 이 러한 중국인들의 반응에 직면해서 19세기 말 중국에서 활동하던 서양 선교사들은 직접적 선교와 간접적 선교라는 서로 다른 선교방식을 채 택하게 되었다. 직접적 선교는 순수하게 기독교를 전파하는 방식이고 간접적 선교방식은 교육, 출판, 의료, 문화 등의 간잡적인 방법을 통해 서 기독교를 전파하는 방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 중 미국 선교사 존. 알렌 영(John. Allen. Young, 林樂知, 이하 알렌으로 약칭)은 신문, 출판, 번역, 교육 등 많은 분야에서 근대 중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친 간접적 선교방식을 취한 선교사중의 한 명이 다. 알렌은 萬國公報라는 신문을 편찬하였는데 이 신문은 19세기 말 근대 중국 사회에 큰 영향을 끼친 간행물이었다.
아편전쟁 이후 서양의 학술과 문화(소위 西學이라고 불리는)가 근대 중국 사회에 전파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문과 잡지는 중요 한 전달의 역할을 담당했다. 그 중 萬國公報는 근대 중국 사회에 서 학을 전파하고 소개하는 중요한 매개체중의 하나였다.
萬國公報는 1874년 알렌에 의해 상해에서 발행된 신문이다. 萬國 公報는 1868년 敎會新報라는 이름으로 처음 발간되어서 1874년 萬 國公報로 개명되었고 이후 1883년부터 1889년까지 6년간의 휴간(休 刊)기간을 제외하고서는 1907년까지 발간된 신문이다. 처음에는 기독 교를 소개하는 종교적 내용이 중심이었으나 萬國公報로 개명한 후에 는 서양 각국의 지리, 역사, 정치, 과학, 예술, 공업 및 외국 각국의 국 내소식 등을 광범하게 소개하는 종합적 시사 신문으로 바뀌었다. 1874 년부터 1883년 휴간 전까지 450卷이 발행되었고 1889년부터 1907년까
지 227冊이 발행되었을 만큼 발행 기간도 길고 발행 부수도 많았으며 근대중국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던 신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알렌이 발간한 萬國公報는 서양의 과학기술, 정치, 경제, 군사, 문화, 역사, 지리 등을 근대 중국 사회에 소개한 중요한 매개체 중의 하나였다.
알렌이 중국에서 萬國公報를 편찬한 목적은 서양 각국의 지리, 역 사, 정치, 종교, 과학의 발전과정에 관한 지식을 소개하기 위함이라고 그 서문(序文)에서 밝히고 있다. 19세기 말 중국의 지식인들과 관료층 등은 萬國公報의 이러한 내용들을 통해서 서양의 신지식과 신사상, 즉 서학을 받아들였고 자신들이 서양에 비해 낙후되어 있다는 사실을 점차 깨닫게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인 의의로 인해서 그동안 중국 학계에서 萬國公報 에 관한 연구는 萬國公報가 근대 중국 사회에 서학을 전파한 것과 중국 근대화에 끼친 영향에 관한 내용이 위주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 다. 중국 근대사 학계에서 萬國公報에 관한 연구 성과는 상당 부분 축척되어 왔다. 萬國公報의 편찬자 알렌에 대한 개별적 연구 이외에 도 萬國公報의 편찬 과정과 그 내용, 萬國公報가 근대 중국 사회 에 끼친 영향, 유신운동과 유신파에 끼친 영향, 萬國公報가 중서문화 교류에 미친 영향 등 다수의 연구논문과 연구서들이 발표되었다. 즉 萬國公報를 통해서 근대 중국인들이 서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하 였으며 근대 중국 사회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고찰하는 것이 기 존의 주요 연구 관심 분야였다. 1) 반면 국내의 중국근현대사 학계에서 1) 萬國公報에 관한 연구 상황을 살펴보면 앞에서 언급한 듯이 중국 학계에서 는 상당부분 진행되어 있다. 이미 1970년대 말에 홍콩 中文대학의 梁元生 교수 가 저술한 林樂知在華傳敎事業與 萬國公報 (香港: 中文大學出版社, 1978)는
萬國公報 연구의 지침서라 할 수 있는 연구서라 하겠다. 그리고 대만 국립대 학의 査時杰 교수의 査時杰, 林樂知的生平與志事 (林治平 編, 基督敎入華 170年紀念集, 臺灣宇宙光出版社, 1977)에서는 萬國公報의 편찬자인 알렌의 중국에서의 전반적인 선교사업과 萬國公報의 주요 내용 등을 소개하고 있다.
한편 중국 대륙 학계를 살펴보면 錢鐘書 主編, 李天綱 校, 萬國公報文選 (北 京: 三聯書店, 1998)에서는 萬國公報의 주요 문장 등을 묶어서 편찬하였다.
최근에 들어서 萬國公報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대표적인 것
萬國公報에 관한 전문적인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 다. 2)
본 연구는 萬國公報에 발표된 문장 중에서 19세기 말 중국 민족 의 停滯性과 崇古主義에 대한 비평의 문장을 바탕으로 科擧제도와 전 통 교육제도의 폐단에 관한 문장들을 선별하여서 그 내용을 분석하고 자 한다. 3)
이 楊代春, 萬國公報與晩淸中西文化交流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2002)와 王 林, 西學與變法-萬國公報硏究 (齊南: 齊魯書社, 2004)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외에도 萬國公報와 중서문화교류에 관한 내용, 萬國公報에 나타난 서학의 소개에 관한 내용, 萬國公報의 교육제도에 관한 내용, 萬國公報와 戊戌維 新과의 관계 등을 연구한 논문들이 다수 있다. 중국 학계의 萬國公報의 연구 상황은 楊代春, 앞의 책, pp.1-10에 소개되어 있다.
미국 학계에서는 Bennet. Adrian, Christianity in the Chinese Idiom (John.
K. Fairbank ed, The Missionary Enterprise in China and Americ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에서 알렌의 萬國公報 편찬을 포함한 출판 사업에 관한 내용을 논하고 있다, 또한 Bennet. Adrian가 萬國公 報의 인물과 사건별로 정리하여 편찬한 공구서인 Research Guide to the Wan-kuo kong-pao, 1874-1883 (San Francisco, Chinese Material Center, 1975)는 연구자들에게 큰 편리를 제공해 준다고 하겠다.
2) 송만오, 韓國의 近代化에 있어서 中人層의 활동에 관한 硏究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에서는 조선 후기 김경수가 편찬한 公報抄略이라 는 신문이 萬國公報의 영향을 받은 것을 주장하면서 萬國公報에 대한 개 략적인 소개를 하고 있다. 차태근, 19세기말 중국의 西學과 이데올로기 -‘廣 學會’와 萬國公報를 중심으로 (中國現代文學 33. 2005)에서는 萬國公報 의 종교적인 내용과 정치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3) 萬國公報에 나타난 중국 교육제도와 과거제도에 대한 비평과 개혁의 관한 연구로는 孫邦華, 萬國公報對西方近代敎育制度的植入 (北京師範大學學報 2002年 3期); 孫邦華, 晩淸來華傳敎士對中國科擧制度的批判 (學術月刊 2004年 6期); 楊齊福, 傳敎士與近代中國敎育改革 (福建論壇 2004年 11期);
楊齊福, 西方來華傳敎士與 近代中國科擧制度改革 (史學集刊 2006年 第2期) 등이 있다. 이 논문들에서는 萬國公報와 선교사들의 문헌을 통해 나타난 과 거제도와 중국 전통 교육제도에 대한 비판과 개혁의 문장 등의 내용을 분석하 고 있다. 이러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萬國公報에 나타난 선교사 들의 견해뿐만 아니라 중국인들의 의견도 같이 고찰을 하고 근대 중국 시기의 중국 지식인들과 관료층의 과거제도와 교육제도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 다.
Ⅱ. 중국인의 停滯性과 崇古主義에 대한 비판
萬國公報에서는 19세기 말 청조 사회에 대한 비평을 크게 ‘弱’,
‘貧’, ‘愚’ 세 글자로 표현하고 있다. “지금의 中華는 예전의 중화가 아 니다. 국력은 크게 약해졌고 백성들은 빈곤하고 어리석다. 사람이 비록 많지만 별로 소용이 없고 영토는 크기만 하고 국력은 약하여 항상 침 입만 당하고 있다”4)고 지적하고 있다.
萬國公報에서는 중국이 근대 이후 서구 자본주의 세력의 침입을 당하고 발전을 하지 못하는 원인 중의 하나는 守舊적이고 崇古적인 습 성 때문이라 지적하고 있다.
알렌은 중국과 서양의 가장 큰 다른 점은 “서양은 현재를 중시하고 중국은 과거를 중시한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서양은 성(盛)하고 쇠 (衰)함이 없지만 중국은 진전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은 묵수(墨守)하 여 변화의 道를 알지 못하고 있으니 이것이 약하고 빈곤함의 유래인 것이다”5) 라고 비판하고 있다. 또한 그는 비유를 들어 설명하기를
“만약에 중국인들과 유럽인들을 각각 지역을 바꾸어 살게 하면 중국인 은 발전하고 유럽인은 쇠약해지겠는가? 중국인들이 유럽에 살아도 중 국의 제도로 다스린다면 유럽은 쇠약해질 것이다”6) 라고 말하였다. 즉 당시 중국이 낙후되고 서양이 강성해진 것은 지리적 조건이 아니라 나 라를 다스리는 제도와 治國의 문제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중국에서의 일을 처리하는 원칙은 先王의 도를 위배하지 않는 崇古적이라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사농공상(士農工商)을 막론하고 모 두가 고법(古法)만을 따르고 신법(新法)의 효율성을 알지 못하고 있다.
선비(士)들은 팔고문에 얽매여서 실용적인 지식을 모르고 격물(格物)의 4) 狄考文, 擬請東師創設總學堂議 (萬國公報 27冊, 1891年 4月, 臺北: 華文書
局影印本, 1968), p.16858.
5) 林樂知, 中西關係論略 (萬國公報 3冊, 1889年 4月), p.1528.
6) 林樂知, 强國利民論略 (萬國公報 392卷, 1896年 6月), p.2541.
이치를 깨닫지 못하고 있다. 농부(農)들은 농작물의 사용법만 알지 나 무를 심어 홍수와 재난을 방지하는 것 등에 대해서는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농경기구의 사용법을 모르고 있다. 공인(工)들은 이전 사람 들의 만든 작품만 따를 뿐이지 새로운 것을 개발하고 창조하려고 하지 않는다. 상인(商)들은 국내에서만 왕래를 하려하고 외국과 통상을 하는 것을 꺼려하고 있다.”7) 사회 전체에 만연한 이러한 숭고의 분위기는 국가발전을 크게 저해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민족 성격에 대해서 알렌은 중국과 미국을 비교하여 설명하기를 미 국인은 主動的이고 중국인은 被動的이라고 표현하고 있다. “미국인들 은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자주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은 자가 없는 데 중국인들은 단지 朝廷의 명령만 따를 뿐이고 자주의 권리를 찾아볼 수 없다”8)고 지적하고 있다.
동시에 알렌은 지적하기를 이러한 민족 성격의 차이는 사회 발전에 도 큰 영향을 끼쳤다고 말하고 있다. “미국은 시대의 변화를 알고 주 동적으로 외국과 통상을 하여 타국의 압박을 받을 필요가 없다. 반면 중국은 쇄국정책을 하면서 변혁을 할 줄 모르다가 서구의 침입을 받아 피동적으로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다”9)고 지적하면서 중국의 피동적이 고 수구적인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한편 중국인들은 교만한 병폐를 가지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는데
“당송(唐宋)시대에는 중국의 영향이 온 사방에 퍼졌다. 하지만 지금의 세계상황은 과거와 크게 달라졌다. 그러나 중국은 여전히 태연하게 있 으면서 진전된 것이 없다. 지금 중국보다 발달한 서양 국가들이 중국 과 왕래를 원하지만 중국은 여전히 그들을 야만인 취급을 하고 있 다”10) 라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인들이 이러한 교만한 태도를 부리는 이유의 하나는 당시 세계
7) 林樂知, 泥古變令論 (萬國公報 13冊, 1890年 2月), p.8111.
8) 林樂知, 中美關係續論 (萬國公報 23冊, 1890年 12月), p.14400.
9) 林樂知, 接錄中美關係續論 (萬國公報 23冊, 1890年 12月), p.14442.
10) 林樂知, 格物致知論序 (萬國公報 23冊, 1890年 12月), pp.14095-14096.
형세에 대해 무지한 까닭이고 또 하나는 자신들의 허약한 본질을 엄폐 하려는 것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11)
그렇다면 근대 중국인들이 ‘숭고(崇古)’와 ‘교만’하게 된 이유는 무엇 인가? 萬國公報에서는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과거 중국이 주변 국가 들보다 문명이 발달하여서 이로 인해 중국 민족으로 하여금 자부심과 자만심을 가지게 하였고 또 하나는 중국이 서양 국가들과 왕래를 하 지 않아서 세계형세의 발전을 이해하지 못한 것에서 원인을 찾고 있 다.12)
당시 중국이 정체되고 쇠퇴한 주요 원인은 전제(專制)제도에 기인한 다고 볼 수 있다. 아편전쟁 이후 피동적으로 문호가 개방되고 국제사 회에 편입된 청 왕조와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과는 사회제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萬國公報에서는 중국과 서양의 사회제도 비 교를 통해서 당시 중국 사회를 인식하였고 이러한 관점에서 중국의 과 거제도와 교육제도의 문제점에 대해서 비판을 가하였다.
Ⅲ. 과거제도에 대한 비판
과거제도는 隨 왕조부터 시작되어 唐宋 발전기를 거쳐서 明淸 시대 까지 이어진 중국역대 왕조 시기의 중요한 관리 선발 방식이었다. 과 거제도 실행의 근본 목적은 가문과 지위에 상관없이 우수한 인재를 널 리 등용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합격의 유일한 기준은 시험 성적이었고 즉 유학적 지식과 소양이 있으면 관직의 길로 나아갈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과거제도의 시행으로 중국 고대 교육기관인 관학 (官學), 사학(私學), 서원(書院) 등의 발전을 가져왔고 과거시험의 주요 과목인 유학의 학문적 발전과 연구를 촉진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과거 11) 林樂知, 格物致知論序 (萬國公報 24冊, 1891年 1月), p.14990.
12) 偉廉臣, 治國要論 (萬國公報 9冊, 1889年 10月), p.5670.
제도의 긍정적 작용 이외에도 시간이 지날수록 과거제도의 여러 가지 폐단과 모순점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특히 명청 시대에는 팔고문(八 股文)이 과거시험의 주요 형식이 되었는데 과거시험의 답안은 반드시 고정된 對句 형식에 맞추어서 작성을 해야 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중국의 일부 지식인들과 개명인사(開明人士)들은 과거제도를 개혁해야 한다는 요구를 하게 되었다. 19세기 말 중국의 서양인들과 선교사들의 주요 언론매체였던 萬國公報에서도 과거제도에 대한 비판과 개혁의 문장들이 많이 발표되었다. 萬國公報에 나타난 과거제도에 대한 비 판은 크게 팔고문의 폐단과 비실용적인 시험 과목에 관한 내용으로 나 누어진다.
1. 팔고문(八股文)의 弊端
명청시대 과거시험의 문체는 팔고문의 형식을 취하였다. 과거시험의 답안은 정해진 형식에 맞추어서 작성을 해야 했다. 이러한 팔고문의 틀 안에서 중국 문인들은 자신들의 사상을 자유롭게 발휘할 수 없었고 그들의 사상은 경직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이미 청초의 저 명한 사상가 顧炎武는 “팔고의 해로움은 분서갱유(焚書坑儒)보다 더 심하다”13) 라고 표현하고 있다.
독일 선교사 페버(Faber, 花之安)는 당시 중국의 인구는 많지만 인 재가 부족한 근본원인은 과거제도가 제대로 효과를 얻지 못하기 때문 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즉 문인들이 오직 “팔고문에만 매달려서 기타 학문을 돌 볼 겨를이 없다”고 말하면서 동시에 “시험 과목의 부담은 크지만 실용성은 적다. 천하의 인재들이 팔고문에만 얽매여서 뜻을 제 대로 펴지 못하고 있으니 이 어찌 병폐가 아니겠는가?”14) 라며 팔고문
13) (淸)顧炎武, 日知錄 (冊二) 卷16 擬題 (臺北: 臺灣中華書局影印本, 1984), p.16.
14) 花之安, 養賢能論 (萬國公報 554卷, 1879年 9月), pp.6630-6631.
의 폐단을 지적하였다.
알렌은 과거제도의 폐해를 지적하면서 팔고문이 가장 큰 문제점이 라고 지적하고 있다. 그는 “과거제도는 선비들로 하여금 진부(陳腐)한 유학과 공담(空談)한 팔고문에만 평생을 소비하게 한다. 그러나 최종적 으로 합격하는 자들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나머지 대부분의 이들은 생 계를 이어나갈 수도 없게 된다. 이러한 이들은 공명(功名)의 길에 나아 갈 수도 없고 집안의 생계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상황에 이르게 된 다고 말하고 있다. 또한 그는 과거제도를 통해 선발된 관리들은 대다 수가 대외(對外) 교섭의 사무에 능통하지 못하여서 외국과의 교섭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할 뿐 아니라 중국을 더 쇠약한 국가로 만들고 있 다고 지적하고 있다. 덧붙여 말하기를 알렌은 이러한 과거제도로 선발 된 관리는 국가를 제대로 경영할 수도 없고 사직(社稷)을 이롭게 하거 나 민심을 안정시킬 수 없다고 지적하면서 중국의 과거제도로는 진정 한 인재를 선발할 수 없다고 비판하고 있다. 알렌은 결론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 과거시험을 준비만 하는 것은 득(得)보다 실(失)이 크다”15) 라고 말하고 있다.
미국 선교사 윌슨 머티어(Willson Mateer, 狄考文)는 팔고문을 통해 중국 지식인들은 성현(聖賢)의 사상을 대변하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 려 자신들의 사상도 속박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그리고 단지 팔 고문의 문장 서술 능력으로 우열을 정하는 것은 우연성이 많이 따르고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16)
영국 선교사 윌리암스(Williams, 衛廉臣)는 중국의 지식인들은 “한 방면의 지식만 알고 있고 천문, 지리, 산학, 화학 등의 지식은 무지하 다. 이것은 모두 과거제도가 낳은 결과이다” 라고 비판하고 있다. 그는 과거제도는 중국의 인재들을 無用하고 비실용적인 팔고문에 매장시켜 버렸다고 하면서 팔고문으로 선비들을 취하는 것은 중국 과학기술의 15) 林樂知, 中國專尙擧論 (萬國公報 704卷, 1882年 9月), pp.9261-9262.
16) 狄考文, 振興學校論 (萬國公報 654卷, 1881年 9月), pp.8379-8381.
발전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고 논하였다. 즉 중국 사대부들이 유학의 경전에만 얽매여서 사회 발전에 필요한 과학 지식에 대해서는 조금도 이해함이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17) 또한 페버는 과거에 낙방한 자들은 절망적인 상황에서 유민(游民)이 되곤 하는데 이는 사회 불안을 야기 시킬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그는 “중국의 유민들이 많은 원인은 교육 이 제대로 효과를 거두지 못하기 때문이다. 팔고문 외에는 다른 학문 을 배우지 못했고 다른 학문으로는 관리의 길로 나아갈 수 없어서 편 향적으로 치우치게 된다”18)고 비판하였다. 중국이 근대 이후 끊임없이 서구 열강의 침입을 받고 대외전쟁에서 실패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여 전히 팔고문을 중심으로 하는 과거제도로 인재들을 선발하려고 하였 다. 페버는 이렇게 팔고문으로 관리들을 선발하는 것은 시대에 부합되 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 원인은 空談을 일삼는 팔고문은 서양 열강의 침입을 막는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다.19) 그는 “현재 중국과 중국인의 병폐는 팔고문보다 더 심한 것은 없다”20) 라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2. 科擧 시험과목의 비실용성
萬國公報에 나타난 과거제도의 또 하나의 폐단은 실용적인 지식 을 배우지 못하게 하는 데에 있다는 것이다.
과거시험은 주로 儒家의 사서오경을 위주로 시험 보는 것이었다. 이 러한 풍토에서 유가 경전 이외의 기타 文史 지식은 별다른 중시를 받 지 못했고 서양의 과학지식은 더더욱 중시를 받지 못했다. 이러한 과 거제도를 통해 선발된 문인과 관리들은 일반지식에 결핍되어 있었고 사상적으로 경직되어 있었다.
17) 衛廉臣, 治國要務 (萬國公報 654卷, 1889年 9月), pp.8361-8362.
18) 花之安 , 養賢能論 (萬國公報 555卷, 1879年 9月), p.6648.
19) 花之安 , 續養賢能論 (萬國公報 556卷, 1879年 9月), p.6665.
20) 花之安 , 養賢能論 (萬國公報 555卷, 1879年 9月), p.6647.
페버는 “사농공상(士農工商)의 학문은 각각의 유용성이 있는데 과거 제도는 선비들로 하여금 팔고문이 아니면 과거시험을 볼 수 없게 하고 과거에 합격하지 않으면 관직을 가질 수 없게 하고 있다”고 지적하였 다. 즉 모든 학문은 각각의 특징과 이로움을 가지고 있어서 어느 한 쪽에 치우쳐서는 안 되는 것인데 과거제도는 오직 유학만을 중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지식인들은 모두 팔고문에만 익숙하고 다른 학문에는 관심을 갖지 않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팔고문은 단 지 공명(功名)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천하를 통치하는 데에는 부족하 다”고 지적하면서 과거제도는 중국문인들로 하여금 “배운 것은 실제로 행하지 못하고 실상 행하는 것은 배운 것이 아닌 상황으로 만들어 버 렸다”고 하면서 과거제도의 비실용성을 비판하고 있다.21)
알렌은 과거제도의 문제점은 과거제도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시 험의 내용과 형식에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1875년 中西關係略論 이라는 문장에서 당시 중국인들에게는 진정한 실학(實學)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하면서 과거제도의 본래 의도는 극히 좋은 것이지만 유학지식만을 중시하는 내용과 팔고문, 策論을 중심으로 하는 형식이 큰 잘못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렇게 단지 틀에 얽매인 문장으로서 인 재를 선발하는 제도는 “지식인들의 수족을 얽매이게 하고 생각을 자유 롭게 못하게 하고 있다”22)고 말하고 있다.
한편 머티어는 과거제도는 장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장점은 후진을 양성하는데 있고 단점은 사인(士人)들의 학문적 眞假를 파악하지 못하 고 지식인들의 시야를 제한시키는 것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지식 인들이 단지 유학만을 중시하고 중국 전통의 史書나 諸子百家의 사상 도 잘 이해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시험의 내용이 단일 하고 협소한 현상은 학교 교육 내용의 편향성과 협소성을 야기시켰다 고 지적하였다. 또한 “오직 옛 지식만을 배우려고 하고 새로운 지식은 21) 花之安, 養賢能論 (萬國公報 554卷, 1879年 9月), p.6630.
22) 林樂知, 中西關係論略 (萬國公報 358卷, 1875年 10月), p.1583.
배척하는”23) 현상이 생겨나게 했다는 것이다.
萬國公報에는 서양인들의 문장뿐만 아니라 중국인들의 문장도 발 표되었다. 과거제도 개혁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중국의 문인들도 萬 國公報에 과거제도의 폐단을 지적하는 내용의 문장들을 발표하였다.
왕도(王韜)는 과거제도는 단지 중국 전통 학문만 중시하고 서양 학문 은 경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시대에 부합되지 않는다고 말하고 있 다.24) 廣東 지역의 왕병요(王炳耀)는 시요론(時要論) 이라는 글에서
“팔고문으로는 백성을 윤택하게 할 수 없고 국가와 백성을 보위하는 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고 말하고 있다.25) 그리고 익명(匿名)의 한 작 자는 時文論 이라는 문장에서 중국에서 과학기술은 自古로 존중을 받 지 못했고 과학기술을 중시하면 聖賢의 가르침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여기고 있는 당시 학풍을 비판하고 있다.26) 또한 山東의 정립서(丁立 瑞)는 중국 과거제도는 사람들로 하여금 “실학”을 버리고 “虛”와 “僞”
의 학문을 숭상하게 만들었다고 지적하고 있다.27)
한편 萬國公報에서 일방적으로 모두 과거제도를 부정한 것은 아 니었다. 선교사들은 과거제도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과거제도의 문제점 은 과거제도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고 과거제의 형식과 내용상에 있다 고 여기었다. 알렌은 “과거제도로 선비를 취하는 의도는 좋지만 문장 의 격식에 얽매여서 선비들의 사상을 자유롭게 하지 못하게 한다”28)고 지적하고 있다.
머티어는 과거제도의 장점은 후학들이 성현의 도를 많이 배우는데 있다고 지적하였다.29) 페버는 “서양 각국을 보면 시험제도가 없는 나 라는 없다. 하지만 중국처럼 단지 문장으로 시험을 보는 나라 또한 없
23) 狄考文, 振興學校論 (萬國公報 563卷, 1879年 11月), pp.8380-8381.
24) 王韜, 救時芻議 (上) (萬國公報 43冊, 1892年 8月), p.12999.
25) 王炳耀, 時要論 (萬國公報 369卷, 1876年 1月), p.1643.
26) 時文論 (萬國公報 369卷, 1876年 1月), p.1644.
27) 丁立瑞, 中國考試利弊 (萬國公報 560卷, 1879年 10月), p.8174.
28) 林樂知, 中西關係論略 (萬國公報 358卷, 1875年 10月), p.1583.
29) 狄考文, 振興學校論 (萬國公報 563卷, 1879年 11月), p.8380.
다. 과거제도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잘못 운영하는 데에 문 제가 있는 것이다”30) 라고 지적하고 있다.
동시에 萬國公報에서는 과거시험에 실용적인 학문을 추가할 것을 주장하였다. 알렌은 “과거제도의 과목에 실용적인 학문을 추가한다면 중국은 곧 세계상에서 다른 국가가 따라오기 어려운 강국이 될 것이 라”31)고 논하였고 페버도 “만약 과거제도 중에 지리, 물리, 화학, 기술 과목 등을 시험 본다면 천하의 유능한 사인(士人)들이 더욱 뜻을 펼 수 있을 것이고 그들의 재주를 단지 무용한 문장에 쏟지 않을 것이다.
그러하면 중국의 인재는 날로 증가하고 문명은 계속 발전할 것이다”32) 라고 말하고 있다.
이상은 萬國公報에서 청말의 과거제도를 비판한 내용들이다. 과거 제도는 중국 역사상 주요한 관리 선발 방식이었다. 역대 통치자들은 과거제도를 통하여 관리들을 선발하였다. 그런 상황에서 과거제도는 차츰 전제 왕권 통치를 옹호하는 도구가 되었고 유용한 인재를 창출하 는 기능을 점차로 상실하게 되었다. 이것은 중국 사회가 장기적으로 정체된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Ⅳ. 중국 전통 교육제도에 대한 비판
萬國公報에 나타난 중국 전통 교육제도에 대한 비판은 수 구(守舊)적인 학풍과 교육내용의 공허함의 두 가지 방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청말 중국의 보수적 사대부들은 孔孟의 도를 숭상하면서 서양 의 학문을 강렬히 반대하였다. 萬國公報에서는 수구적 태도에 대한 비판을 하면서 이러한 태도의 근원은 바로 과거제도에 있다고 지적하 30) 花之安, 養賢能論 (萬國公報 555卷, 1879年 9月), p.6647.
31) 林樂知, 中西關係論略 (萬國公報 358卷, 1875年 10月), p.1584.
32) 花之安, 續養賢能論 (萬國公報 555卷, 1879年 9月), p.6648.
고 있다. 페버는 중국 사대부들이 과거시험을 보기 위한 과목에만 익 숙하고 다른 기타 학문은 접해 볼 기회가 없어서 다른 분야에는 거의 무지하다고 비판하고 있다.33) 즉 과거제도는 단지 유학만을 중시하여 서 사인(士人)들이 민생(民生)에 유익한 학문-농학, 공학, 상학- 등에 대해서는 전혀 아는 것이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윌리암스도 과거제도로 대표되는 중국 전통의 교육은 중국 문인들 로 하여금 견문과 사상을 편협하고 수구적으로 만들었고 천문, 지리, 산학(算學), 화학 등에 대해서는 전혀 이해함이 없게 만들었다고 말하 고 있다.
알렌은 당시 중국 사대부들이 서학을 배척하고 이단학설로 취급하 는 것에 대해 비평의 글을 발표하였다. 즉 과거제도의 단일되고 편협 한 사상은 중국 사대부들의 화이 관념을 더욱 강화시켰고 이러한 관념 은 서학에 대한 태도에서도 나타난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천문, 산 학, 격치(格致) 등은 공학(公學)이지 서학이 아니다. 또한 이러한 과학 은 현재 필요한 학문이지 이단 학설이 아니다. 학문에는 국경이 없다.
유용하다면 모두 배울 수 있는 것이다”34) 라고 강조하고 있다.
둘째, 萬國公報에서는 중국의 전통 교육의 본질은 과거시험을 보 기 위한 유학 중심의 교육이라고 보고 있다. 중국 전통 교육제도의 목 표는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관리의 길을 가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교육 방법에 있어서도 단순히 유교 경전을 읽고 암송하는 것에 불과하 고 옛 것을 숭상하고 현재의 것을 경시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말하고 있다.
머티어는 “중국의 교육은 과거 지향적이다. 교육의 최고 이상은 과 거를 재건하는 데에 있다”35)고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중국의 전통 교육제도는 옛 것을 중시하고 현재의 것을 경시하면서 전진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하여 “옛 선인들의 잘못을 고치 33) 花之安, 續養賢能論 (萬國公報 554卷, 1879年 9月), p.6630.
34) 林樂知, 格物探源 (萬國公報 325卷, 1875年 2月), pp.689-690.
35) 狄考文, 振興學校論 (萬國公報 563卷, 1879年 11月), p.8364.
고 부족한 점을 보충하고 선인들이 알지 못했던 바를 새롭게 알려는 창조적인 정신이 결핍되어 있다”36)고 비판하고 있다. 알렌은 옛날과 지금의 시세는 다름을 지적하고 ‘先王의 道’를 고수하는 사대부들은 옛 것에 얽매이고 현실에 적응을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37) 1894년 갑오전쟁에서 청조의 패배에 대해서 알렌은 중국이 가만히 앉아서 변 화하지 않은 것이 패배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하였다. 그는 “천지는 불변하고 공자의 道 또한 변하지 않는다” 라는 중국의 철학관을 비판 하면서 당시 중국인들이 지나치게 공자를 비롯한 옛 성현들의 도를 숭 상하는 사상이 중국의 정체(停滯)의 원인이라고 말하고 있다.
과거제도와 중국 전통 교육제도에 대한 비판의 의견은 중국의 관료 층과 사상가들에 의해서도 진행되었다. 양무파 관료들은 과거제도의 폐단을 인식하였지만 과거제도의 부분적인 개혁을 주장하였고 변법운 동 시기 유신파들은 과거제도의 폐지까지 요구하게 되었다. 양무운동 의 대표적 인물인 이홍장은 과거시험의 내용은 양무를 시행하기에는 너무 거리가 멀고 급변하는 세계 변화의 형세에 대응하지 못한다고 지 적하고 있다. 그러면서 과거제의 부분적인 변통을 하여서 양무 인재를 배양하자고 주장하였다.38) 설복성(薛福成)은 과거제도의 구습에 얽매 인 인재가 아니라 시대의 변화를 분별할 수 있는 새로운 인재를 양성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39) 변법운동 시기 변법을 주장한 주요 인물 중의 한명인 엄복(嚴復)은 중국의 전통 교육제도로는 인재를 양성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낙후되고 보수적인 사상으로 빠뜨리고 있 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백성들의 지식을 깨우치는 것이 부강의 근원 이다” 라고 하면서 백성들의 지식을 깨우치는 방법은 “서학을 배우지 않으면 안 되고 실학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팔고, 책론 36) 林樂知, 中西關係論略 (萬國公報 358卷, 1875年 10月), p.1583.
37) 林樂知, 險吾對 (萬國公報 82冊, 1895年 11月), p.15624.
38) 李鴻章, 籌議海防摺 (中國史學會 編, 中國近代史資料總刊 -洋務運動 第5 冊,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0), p.53.
39) 薛福成, 强鄰環伺謹陳愚計蔬 (中國史學會 編, 中國近代史資料總刊 -洋務運 動 第1冊), p.259.
등을 중심으로 하는 과거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0) 이처럼 萬國公報의 언론과 중국 관료들의 중국 과거제도와 교육 제도에 대한 인식은 유사한 면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萬國公 報에 나타난 과거제도와 교육제도의 비판의 정도가 더욱 심도가 있었 다고 할 수 있겠다. 중국의 관료들은 어쨌든 과거제도의 수혜자(受惠 者)였기 때문에 과거제도에 대해서 강한 비판의 의견을 제시하는 데에 는 약간의 한계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萬國公報의 작자들은 중국의 과거제도와는 별다른 이해(利害) 관계를 가지고 있지 않은 제3 자의 입장이어서 과거제도와 교육제도에 대해서 체계적인 비판을 가할 수 있었던 것이다. 萬國公報를 통해 발표된 과거제도와 중국 교육제 도에 대한 비판의 언론은 중국 사회에 과거제도의 폐단을 더 한층 폭 로시켰고 과거제도 개혁의 필요성과 긴박성을 증가시켰다고 볼 수 있 다. 萬國公報의 나타난 청말 사회에 대한 비판과 과거제도의 대한 비평은 변법운동 시기 강유위와 양계초 등의 유신파들을 자극하였고 변법사상을 전파하고 변법운동을 鼓吹하는 역할을 하였다고 할 수 있 다.41)
Ⅴ. 결 론
萬國公報는 원래 기독교를 선전하기 위한 종교적인 목적에서 출발 하였다가 점차로 서학을 전파하고 소개하고 중국의 시정(時政)을 비판 하는 종합성 신문으로 성격이 전환되어 갔다.
40) 陳學恂, 中國近代敎育文選 (北京: 人民敎育出版社, 1983), p.178.
41) 萬國公報의 내용과 청말 서양 선교사들이 강유위와 양계초 등의 維新派들 에게 끼친 영향에 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살펴보지 못하였다. 이 내용은 추 후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해 나가야 할 부분이다. 萬國公報의 변법사상의 전파, 萬國公報의 유신파에 미친 영향 등에 관해서는 王立新, 美國傳敎士與 晩淸中國現代化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2008), pp.226-259; 王林, 萬國公報的 變法主張述評 (學術硏究 2004年 4期), pp.110-115 참조.
실제로 萬國公報에서 근대 중국의 정체성과 수구적인 태도 및 과 거제도와 교육제도에 관한 내용의 비중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 것은 아 니었다. 그렇지만 萬國公報의 작자들은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서 깊 은 관심을 가졌고 비판의 문장들을 게재하였다.
萬國公報에서 지적한 중국이 근대 이후 정체되고 숭고와 교만한 의식을 가지게 된 원인을 어느 정도 잘 지적하였다고 할 수 있다. 과 거 중국 민족은 주변 다른 민족들보다 문명과 문화가 발달하고 선진적 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은 중국 민족을 자만하게 만들었고 더 이 상의 발전을 꺼려하고 진취적인 정신을 사라지게 하였다는 것이다. 즉 天朝大國이라는 자만 의식 속에서 아편전쟁 이전까지 중국은 서양 국 가들과 왕래를 거의 하지 않았고 중국이 낙후되어 있다는 사실을 깨닫 지 못했다는 것이었다.
당시 중국이 정체되고 쇠락한 주요 원인은 봉건 전제(專制) 제도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아편전쟁 이후 피동적으로 문호가 개방되고 국제사회에 편입된 전제 왕조인 청조와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과는 사 회제도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萬國公報에서 지적한 중 국인들의 守舊, 崇古, 교만한 의식 등은 중국의 전제 왕조체제하에서 생겨난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萬國公報의 작자들은 중국과 서양의 사회제도 비교를 통해서 당시 중국 사회를 인식하였고 중국의 과거제 도와 교육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의 문장들을 발표하였다.
이처럼 萬國公報의 작자들이 중국 과거제도와 교육제도에 대한 폐단을 지적한 것은 어느 정도 체계적이고 당시 시대 상황에 부합되었 다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그들의 언론은 다소 과장되고 주관적인 부 분도 존재하였다. 비록 당시 중국의 과거제도와 팔고문의 형식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었지만 “과거제도는 중국 지식인 들의 도덕성을 타락시키고 인격의 상실을 야기시켰다”42) 라는 지적이 라든가 “당시 중국 사인(士人)들의 목표는 이익과 권세뿐이고 이것은 42) 花之安, 續養賢能論 (萬國公報 555卷, 1879年 9月), p.6649.
과거제도가 조성한 것이며 과거제도는 중국 사인들의 인성을 비뚤어지 게 만들었다”43) 등의 비판은 과거제도의 가치를 지나치게 부정하고 貶 下한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는 萬國公報는 선교사들에 의해 창간되고 운영된 신 문이었다. 萬國公報상에 발표된 과거제도와 중국 전통 교육제도의 비판에 관한 문장들도 대부분 서양 선교사들의 의해서 쓰여졌다. 萬 國公報 편찬자인 알렌은 “비록 萬國公報가 지식의 소개 등 비(非) 종교성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내용들은 여전히 기 독교의 정신과 일치한다. 이러한 지식 소개의 목적은 중국인들의 사상 을 깨우치는데 있다”44)고 말하고 있다. 즉 “서양의 정치제도와 정치사 상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서 서양의 종교를 이해하는 것이 萬國公報 의 가장 큰 주지(主旨)”45)라는 것처럼 萬國公報는 기독교를 선전하 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겠다. 萬國公報에 발표된 과거 제도와 중국 교육제도에 대한 문장들에서 비록 기독교를 직접 언급하 지는 않았지만 간접적으로 기독교를 선전하는 종교적인 의도를 완전히 탈피하기 어려웠다고 볼 수 있다.
정리하자면 선교사들이 萬國公報를 통한 중국 과거제도의 형식인 팔고문과 수구적이고 편협한 학문 태도에 대해 가한 비판은 과거제도 의 폐단을 더욱 인식시키고 과거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증가시켰다. 중 국 근대 교육사의 변천 과정에서 이러한 萬國公報의 언론은 큰 작용 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萬國公報의 작자들은 과거제도를 비롯한 중국 교육제도를 개혁하는 주도자가 될 수는 없었고 서양 문화 우월주의에 입각하여 중국의 과거제도와 교육제도를 지나치게 부정하 였으며 종교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한 한계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할
43) 林樂知, 中國孤立之關係 (萬國公報 185冊, 1904年 4月), p.22647.
44) Bennett Adrian, “Christianity in the Chinese Idiom” (John. K. Fairbank ed, The Missionary Enterprise in China and Americ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p.64.
45) 萬國公報第200冊祝辭 (萬國公報 200冊, 1905年 9月), p.23613.
수 있다.
(中文摘要)
万国公报 对清末社会批判的研究
-以科举制度和教育制度的批判文章为中心-
盧 在 軾
万国公报是美国传教士林乐知创办的期刊. 万国公报是在近代中国 社会上传播西学的主要媒体,在近代中国报刊史上占重要位置. 研究西方 教育制度在中国传播史以及西学东渐与中国近代教育变迁时,不应该忽视 万国公报的地位和作用.
本文万国公报对中国人的停滞性和以科举制度为中心的传统教育制度 的批判文章进行论述,以就教于学界.
万国公报认为中西传统的最大不同在于西方‘遵今’,中国‘尚古’. 中国 的行事原则是“率由旧章”、“不违背先王之道.”
从民族性格方面来看,万国公报认为西方人‘主动’,中国人‘被动’. 从 民族心理方面来看,中国有虚骄自大的通病. 中国所表现出的这种虚骄态 度,一方面是因为世界形势无知,另一方面是因为要 虚弱的本质.
科举制度是君主专制统治适应的官员选拔制度,曾在中国历史上产生过 重大影响. 随着封建王朝末世的到来,科举制度弊病丛生,人们要求变革 科举的呼声也强烈.
清代科举考试,在内容上主要是考儒家的四书五经,连中国传统学问中 的文史知识都不受重视. 由此造成文人和官吏知识贫乏,思想僵化. 因此,
自19世纪70年代起,科举考试内容成为万国公报批判的重点. 其批判的 主要内容是有两个方面,第一方面是对八股文的批判. 万国公报指责八 股文束缚士人的思想,蔽人之耳目, 其害无穷.
另外的是对非实用的学科的批判. 万国公报支出科举制度最大的弊端 是导致士人无实无用.
晚清时期中国传统士大夫死守"孔孟之道、程朱理学,强烈排斥西学,泥 古不化. 万国公报上对其进行批判,并把守旧的根源归结为科举制度. 林 乐知用进化的历史观指出古今时势不同,批评墨守“先王之道”的传统士大 夫是食古不化.
万国公报的一些文章肯定科举制度还存在有一定价值的. 其弊病不在 制度本身而在考试的内容与形式上.
总之,万国公报尽管并不是一份教育专业期刊,但对近代中国的教育 制度颇有关注.
万国公报对晚清科举制度弊病和教育制度的批判的文章,在一定程度 上有客观的. 这些内容对近代中国教育制度的改革和科举制度的废止产生 了一定的作用. 尽管中国的学者、思想家、官吏早就对科举制度进行过批 判. 但是,作为来自异地的西方传教士,他们批判的深度、系统性以及言 辞的强烈程度,不仅远远超过中国的开明学者和官吏. 西方传教士之所以 在万国公报上发表的文章能提出系统、深刻的意见,是因为他们来自異 地的傍觀者,与科举制度的没有利害关系.
不过,万国公报的一些文章极端地否定科举制度的作用,这也是不符 合实际情况. 同时,万国公报本身是宗教目的开始的. 因此,万国公报 对晚清科举制度弊病和教育制度的批判的文章也难免其宗教性的目的.
주제어: 만국공보, 과거제도, 교육제도, 복고주의, 팔고문.
关键詞: 萬國公報, 科擧制度, 敎育制度, 崇古주의, 八股文.
Keywords: Wanguogongbao, gwageo system, educational system, revivalism, baguwen.
(2009년 12월 17일 원고 접수, 2010년 2월 9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2월 19일 수정원고 및 소명서 접수, 2월 25일 게재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