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Ⅱ. 鄭觀應 교육개혁론의 형성 1. 양무학당 비판
2. 서양 교육제도 소개
Ⅲ. 鄭觀應 교육개혁론의 내용
1. 과거제 개혁과 신식학당의 설립
2. 상공업교육의 실시 3. 여성교육의 강조
Ⅳ. 결 론
鄭觀應(1842-1922)과 淸末의 敎育改革論 * ** 1)
金 慶 惠 (弘益大)
Ⅰ. 서 론
청말 교육개혁이 서구 열강의 침략이라는 국가적 위기를 타개하고 부강을 이루는데 필요한 신식인재의 양성이라는 목표를 위해 과거를 폐지하고 신식교육제도를 설립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음을 볼 때 “상 인 계급에 대하여 이념적 합리화를 부여한 상인 개혁론자”, “세계와 중국과의 관계를 경제적인 측면에서 바라 본 최초의 지식인”, “중국 근대 최초로 체계적인 변법사상을 제시한 사상가”, “근대적 학제를 제 안한 교육가” 등으로 평가받는 鄭觀應의 교육개혁론은 주목할 만하다.
1)
* 이 글은 홍익대학교 2008년 학술진흥연구비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음.
** 이 글은 중국사학회 제11회 국제학술발표회(2010년 9월)에서 초고의 형식으로 발표하였던 글을 수정 보완한 것임. 논평을 통해 도움을 주신 김유리 선생님께 깊이 감사드린다.
鄭觀應은 1842년 廣東省 香山縣 雍陌鄕의 鄕紳 집안에서 9남 8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부친인 鄭文瑞는 과거에 실패하고 서당을 차려 후 학을 지도하는 전통적인 지방 신사로, 鄭觀應은 16세까지 아버지에게 서 유학경전을 배웠다. 그는 1858년 17세에 동자시에 응시하여 낙방하 자 학업을 포기하고 上海로 가서 상인의 길을 걷게 된다. 1880년 사회 개혁에 대한 자신의 사상을 정리한
易言
을 발표하여 양무운동의 핵 심인사인 李鴻章의 관심을 끌게 되었고, 1881년에는 上海器機蟙布局의 會辦, 上海電報分局의 총판을 맡게 되었다. 그로부터 20여 년 간 외국 회사의 買辦으로서, 또 양무기업인으로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지금까지 鄭觀應에 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은 성과가 축적되어 있다.
2002년 7월 澳門에서는‘鄭觀應誕辰160周年學術硏討會’가 개최되어 관련 연구 성과를 정리하고, 鄭觀應 사상을 재조명하는 기회를 가졌다. 2005 년부터 奧門박물관은 ‘鄭觀應硏究小組’를 결성하여 鄭觀應 관련 자료를 수집, 정리하기 시작하였다. 2008년 박물관 개관 10주년을 맞이하여 개 최한 <盛世危言-鄭觀應文物展>에서는 鄭觀應의 대표작인
盛世危言
을 포함하여 시집, 각종 저작의 판본, 당시 교류하였던 인물들에 대한 자료, 양무운동 관련 자료와 서신 등 관련 자료를 총망라하여 발표, 전 시한 바 있다.2) 방대한 자료에도 불구하고 현재 鄭觀應 관련 연구 성 과는 주로 서구 의원제 도입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개혁, 또는 商戰으 로 대표되는 경제개혁사상에 집중되어 있으며 교육개혁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3) 그러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鄭觀應 1) 鄭觀應에 대한 평가는 김월회, 淸末民初의 신흥계층과 그 사유방식: 買辦 鄭 觀應의 경우 (대동문화연구 48, 2004), pp.179, 188-189; 夏東元, 鄭觀應 (廣東人民出版社, 1995), p.1; 翼海銀, 鄭觀應敎育思想硏究 (河北大學碩士學 位論文), p.1.2) 鄭觀應 관련 연구성과를 정리한 논문으로는 王杰, 鄭觀應硏究的里程碑 -“鄭 觀應誕生160周年學術硏討會”綜述 (岭南文史, 2002.9); 俊明, 鄭觀應硏究綜述 (文史哲, 2003.1). 중국 최대 논문검색 싸이트의 하나인www.cnki.net에서는 석·박사 학위논문을 포함하여 9700여건 이상의 鄭觀應 관련 논문을 검색할 수 있다.
3) 鄭觀應에 대한 대표적 연구 성과로는 夏東元, 鄭觀應集(上·下冊) (上海人民
은 학당에서 인재를 육성하고, 議院을 통해 정치개혁을 이루는 것이 국가의 근본이라고 여길 만큼 교육을 중시하였다. 그는 과거제 중심의 전통 교육과 양무운동시기 설립된 각종 양무학당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신식교육의 설립을 주장하였다. 그의 과거제의 개혁, 西學을 교육하는 전국적 체계의 학교교육의 제안, 전문·실업교육의 주장과 여성교육의 강조 등은 戊戌시기 변법파의 교육개혁론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4) 따 라서 鄭觀應의 교육개혁론을 검토하는 것은 그의 사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淸末의 교육개혁론을 체계적 으로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의 문제들을 중심으로 鄭觀應의 교육개혁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鄭觀應의 교육개혁론은 어떤 배경 하에서 형성 되었는지? 둘째, 외국기업과 양무기업에서 장기간 일하였던 상인출신 으로서 鄭觀應 교육개혁론이 가지는 특징은 무엇인지? 셋째, 청말 교 육개혁론의 흐름 속에서 鄭觀應 교육개혁론은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 지?
Ⅱ. 鄭觀應 교육개혁론의 형성
1. 양무교육 비판
出版社, 1982); 夏東元, 鄭觀應傳 (華東師範大學出版社, 1985); 夏東元, 鄭觀 應 (廣東人民出版社, 1995); 易惠莉, 鄭觀應評傳 (南京大學出版社, 1998) 등 이 있다. 국내의 연구로는 유경선, 정관응의 개혁사상연구 -상전사상을 중심 으로 (이대사원, 1983); 림승표, 兪吉濬과 鄭觀應의 政治的 比較 (홍익사 학, 1986); 이화승, 19세기 상해의 경제개혁사상, 商戰 -鄭觀應 思想의 배경 과 전개 (현대중국연구 4-2); 김월회 앞의 글 등이 대표적이다.
4) 鄭觀應의 교육개혁론이 중국 근대 교육사상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하여는 장의 식, 淸末의 敎育改革에 대한 一考察-國民敎育論의 政策化 과정을 중심으로- (史叢 30), pp.282-286.
鄭觀應은 1842년 廣東省 香山縣 雍陌鄕의 鄕紳 집안에서 9남 8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부친인 鄭文瑞는 과거에 실패하고 서당을 차려 후 학을 지도하는 전통적인 지방 신사로, 鄭觀應은 16세까지 아버지에게 서 유학경전을 배웠다. 그는 1858년 17세에 과거에 응시하여 낙방하자 학업을 포기하고 上海로 가서 상인의 길을 걷게 된다. 그는 후에 자신 이 상인의 길을 걷게 된 것은 가난한 집안 형편 때문이었노라고 회고 하였다. 9명의 아들과 8명의 딸이 있는 집안의 경제적 부담은 상당히 큰 상태였으므로 그가 학업을 계속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5) 과 거를 포기한 그가 새로운 길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은 그의 고 향 향산현이 ‘매판의 고향’이라 불리울 정도로 다수의 매판을 배출해 낸 곳이었다는 점이다. 향산현은 일찍부터 서양인과의 교류가 빈번하 였던 광주, 홍콩과 근거리로 “外商에 고용된 매판은 모두 향산현 출신 이므로 이들이 소개한 고용원도 자연히 동향출신”이라는 혈연·지연의 유대관계에 근거한 인적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었다.6) 정관응의 가 족, 친지 중에도 매판이 적지 않았다는 점은 과거를 포기한 그가 새롭 게 선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7) 그는 주변인의 소개로 상해의 미국 회사인 덴트사(寶順洋行)에서 일을 시작 하게 되었다. 밤이면 英華書館에서 서양 선교사 John Fryer에게 영어 를 배우며 서양 선교사들과 교류하고, 서양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 다. 그는 “오늘날에는 영어에 능통하고 한 가지 전문적인 기술을 가지 고 있지 않다면 더 많은 수입을 올릴 수 없다”8)고 할 만큼 영어를 중 5) 夏東元, 鄭觀應 (廣東人民出版社, 1995), pp.2-5.
6) 위의 책, pp.2-4.
7) 鄭觀應은 자신이 빈곤하여 영어를 계속 배울 수 없는 것에 낙담하고 있을 정 도로 전통 유생의 출신이 매판으로 일하는 것에 대한 주저나 좌절감을 찾아보 기 어렵다. 그러나 상인계층을 천시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여전히 지배적이어서 鄭觀應 역시 이를 극복하려 노력하였다. 활발한 저술활동을 통해 王韜와 같은 저명한 지식인과 교류하였으며, 사회구제단체를 조직하여 재해민 구제에 앞장 서거나 捐納을 통해 양무인사들과 접촉하면서 사회적 명성을 얻고자 하였다.
김월회, 앞의 글, pp.182-183.
8) 鄭觀應集 下, p.1483.
시하여 수업료를 아끼지 않았다. 후에 자신의 동생에게는 영어를 배우 고 전문기술을 습득하도록 권유하였으며, 장남인 潤林이 실업전문학당 에 입학하여 공부하지 않는 것에는 크게 실망하면서 영어를 배우고 학 당에서 전문기술을 배워서 생계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할 것을 가족과 친지에게 편지로 남기기도 하였다.9)
1860년 양무운동이 추진되면서 1862년 京師同文館이 설립된 후 福州 船政學堂․上海廣方言館․天津電報學堂 등 외국어와 과학기술의 습득 을 교육목표로 내건 양무학당이 설립되었다. 시대에 적응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과 국가의 부강이 직접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은 당시 중국 지식인들의 공통적인 경향이었지만, 鄭觀應은 양무기업에서 일하였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새로운 인재의 양성이 급선무임을 주장하였다.
그는 1880년 사회개혁에 대한 자신의 사상을 정리한
易言
을 발표하 여 당시 양무운동을 이끌던 李鴻章의 관심을 끌게 되었고, 1881년에는 上海器機蟙布局의 會辦, 上海電報分局의 총판을 맡게 되었다. 이때부터 鄭觀應은 직원채용, 생산과정까지 직접 참여하는 등 양무기업인으로서 의 경험을 쌓게 되고,10) 이는 그의 교육개혁론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 인이 된다.鄭觀應은 “중국이 외국과 통상을 시작한 지 이미 수십 년이 지났고, 이와 관련된 사고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를 해결할 인재는 크게 부족한 형국”11)이라고 지적하였다. 각 부문에서 전문인재의 부족은 필 연적으로 서양인을 고용하게 하고, 이로써 서양에 예속된다는 차원에 서 그는 양무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양무교육을 실시할 당시 교 사의 수요가 많지 않아 양무파는 외국인 교사를 초빙하는 것으로 부족 한 교사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일례로 京師同文館의 경우 算學을 제외
9) 위의 책 pp.1486-1487.
10) 양무기업인으로서 鄭觀應의 주요활동은 최향순, 왕타오·정관잉의 교육개혁 사상연구 (중앙교육사학회논문집 12, 1997), p.95.
11) 鄭觀應 지음, 이화승 옮김, 성세위언 -난세를 향한 고언 (책세상, 2003), p.22.
한 전공과정 교습을 거의 모두 서양인이 담당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외국인 교사 중 많은 이들이 자격을 갖추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혹은 자격이 있는 교사라 하여도 봉급이 중국인 교사의 수배에 달하였기 때 문에 학당을 운영하는데 재정적인 부담이 되곤 하였다.12)
鄭觀應은 廣方言館․ 同文館은 비록 인재들을 모아 서학을 가르친 다고 하지만 주로 언어 교육을 할 뿐이며, 천문․지리․산학․화학에 대한 교육은 주마간산 격일 수밖에 없다고 비판하였다. 또 수사무비학 당 등은 개항장에만 설립되어 있는데 수적으로 많지 않고, 충실하게 가르치지도 않는다고 하면서 위에서 군대를 중시하지 않기 때문에 군 대가 가난한 사람이나 범죄자를 모아 겨우 수를 채우고 있다고 개탄하 였다.13) 양무학당은 주로 외교와 군사상의 문제에 부응하기 위해 실시 된 소규모의 교육기관이었으므로 개별적인 전문교육을 중시하였고, 보 통교육과 기초교육을 소홀히 하였기 때문에 대·중·소의 학교체계를 갖 추지 못하였다. 학당에는 학제연한, 교과과정, 교학의 표준 등이 마련 되지 못한 상태여서 수준별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실효 를 거두기 어려웠다.
과거만이 출세의 유일한 통로로 여겨지는 사회적 분위기에서 학생 모집이 쉽지 않았던 점도 양무학당의 문제였다. 鄭觀應이 '항상 가난 하거나 賤役에 종사하는 신분이 낮은 집안의 자제들로 학생을 충당' 한다고 지적하였던 양무학당은 학생모집도 어려웠지만 학당에 입학한 후에는 과거 준비를 이유로 중도에 포기하는 학생이 많았다. 일례로 1867년 여름 상해 광방언관 학생들은 장차 남경에서 거행될 향시를 준 비하는데 전력을 기울이고 있었기 때문에 영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을 찾아볼 수 없었다. 또 경사동문관의 경우, 광서 4년부터 12년까지 4차 례의 시험에서 1/2~1/3의 학생들이 서학과목에 응시하지 않았고, 그 나 머지 학생들도 겨우 한 두 과목만 응시하였다.14) 양무학당의 학생들이 12) 김경혜, 淸末 初期 變法派의 敎育改革論 (中國史硏究 60, 2009), p.169.
13) 鄭觀應, 盛世危言·西學 (鄭觀應集(上)), p.280.
14) 桑兵, 晩淸學堂 -學生與社會變遷- (學林出版社, 1995), p.51.
여전히 과거에 몰두하였던 것은 졸업생이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었고,15) 전통 사대부들의 눈에 학생들은 학당에 서 지급하는 膏火에 대한 탐욕 때문에 학당에 남아있는 것으로 생각하 였으므로 여전히 치욕의 상징으로 비춰졌다.
이처럼 양무교육이 핵심은 버리고 껍데기만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 에 양무학당을 통해 배출된 인재가 서양인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를 수 없다는 인식은 鄭觀應 교육개혁론의 출발점이었다. 鄭觀應은 일본은 1870년대 각 부문에서 전문교육을 받은 일본 유학생들이 귀국 후 대·중·소학의 체계적인 교육체제를 마련하면서부터 중국과는 비교 할 수 없을 만큼 국민의 교육수준이 향상되었다고 평가하면서 통상항 이나 해안지역에 한정되어 실시되던 단편적이고 소극적인 양무교육을 대신하여 전국적으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신식교육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6)
鄭觀應의 교육개혁론은 1894년 출판된
盛世危言
에서 구체적이고 풍부하게 표현되었다.17) 책에는 정치․경제 개혁은 물론 신문, 吏治, 公法, 通使, 아편 금지, 선교, 교섭, 조약 등등 사회전반에 걸친 구체적 인 개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1884년 겨울부터 집필을 시작 하여 1894년 봄 출판되었는데, 그 판본은 20여 종으로 중국 근대 출판15) 大淸會典 제5권에는 官紳을 9등급으로 나누면서 양무학당 출신을 進士, 擧 人, 貢生, 蔭生, 監生, 生員 다음의 제7등급으로 구분하였다. 張亞群, 科擧革廢 與近代中國高等敎育的轉型 (華中師範大學出版社, 2005), p.73.
16) 최향순, 앞의 글, p.99.
17) 이화승은 서구 제국주의의 침탈이 가속화되면서 중국 지식인이 느끼는 위기 감이 한층 고조되는 가운데 鄭觀應이 양무관료들로부터 받은 부당한 처사로 부터 사회전반에 대한 제도적 개혁을 중심으로 易言에서 부족했던 점을 합 하여 盛世危言을 집필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정관응은 1894년 7월 청일전쟁 패배 후盛世危言증보판을 펴냈는데 장지동은 "시무를 논한 책들 중에서 가 장 거시적이고 상세한 책"이라 극찬하였고, 광서황제 역시 이 책을 읽고 감명 을 받아 총리아문에 명해 2천부를 인쇄, 대신들에게 읽을 것을 명하였다. 1900 년8월 의화단 사건 이후 다시 수정판을 냈을 때 10만 여 권이 팔리는 등 열풍 이 일기도 하였다( 19세기 상해의 경제개혁사상, 商戰 -鄭觀應 思想의 배경과 전개 , p.179).
사상 가장 많다. 이 판본들은 주로 1895년 유신운동이 최고조에 달하 였을 때 출판된 것으로 당시 변법을 주장하던 중국 지식인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쳤음을 짐작할 수 있다.18)
鄭觀應은 이미 1861년
救時揭要
를, 1871년
易言
을 출판하여 구 국의 방안과 관련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한 바 있었지만
盛世危言
은 1860-1890년대 양무사업의 일선에서 직접 경험한 서양 각국의 사정과 문화, 중국이 당면한 문제점 및 대응방안을 체계적으로 논술한 글들을 모아 출판한 것이다. 책을 통해 鄭觀應이 주장하고자 한 바의 핵심은 '학당에서 인재를 육성하고 議院에서 정치를 논하는 것'이었다. 이처럼 교육을 가장 중요한 당면과제로 여긴 鄭觀應은 양무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신식학교 의 설립을 주장하였다.2. 서양 교육제도 소개
鄭觀應은 시대가 요구하는 실용적․전문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제도의 모델을 서양의 것에서 찾았다. 당시 중국 지식인들은 중국의 개혁에 관심을 가진 서양 선교사들의 역저를 통해 서양의 교육제도를 이해하면서 이를 중국 교육개혁의 모델로 삼고자 하였다. 따라서 서양 교육제도에 대한 소개와 그에 대한 이해는 청말 교육개혁론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서양 선교사들에게 교육은 포교 상의 어려움을 타개할 수 있는 간 접 선교의 일환이었다. 당시 중국에 있던 선교사들 사이에서 교육이 과연 선교의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이견이 있었지 만, 대다수 선교사들은 이미 중국에서 서양 과학을 숭상하는 풍조가 확산되고 있다는 점을 간파하였다. 그들은 중국 교육의 문제점으로 오 직 관리가 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교육, 인재선발제도로서 과거제의 18) 이화승, 앞 글, p.179.
한계, 여성교육의 부재, 계몽서적의 부족 등을 지적하면서 중국 교육개 혁의 모델을 서양 교육제도에서 찾도록 하였다.19)
서양 교육제도에 대한 인식은 馮桂芬에서 시작되어 光緖末까지 지 식인들 사이에서 유행하였다. 馮桂芬은 “(서양이)小書院을 설립한 것은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고, 小書院에 들어가지 않으면 官은 반드 시 억지로 들어가게 한다. 서원에 들어가지 않을 때의 형벌이 있고, 父 兄이 子弟를 서원에 넣지 않을 때의 형벌이 있다. 이리하여 글자를 모 르는 백성이 없다”고 서양의 의무교육을 소개하였다.20)
鄭觀應은
易言
에서 프러시아의 학교제도를 가장 잘 정비된 것으 로 이해하면서 “國中의 남녀는 귀천을 물론하고 7,8세에 모두 학교에 들어가 15세가 되면 小成하게 된다”고 하였으며,
盛世危言
에서는“귀천남녀는 물론하고 5세에 모두 입학하게 하고 입학하지 않는 자는 부모를 벌준다”고 독일의 교육제도를 소개하였다. 이러한 소개는 모두 서양 의무교육제도에 대한 감탄과 찬사를 내포하고 있다.21)
서구 선교사들의 저작은 중국 지식인들이 서양 교육제도를 이해하 는 중요한 통로였다. 특히 독일인 선교사 파버가 역저한
德國學校論 略
는 독일 각급 학교의 규모․교과과정․ 장정 등이 자세하게 기술되 어 서양의 교육제도를 중국에 소개하는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하였다. 이 글에 序를 쓴 李善蘭은 독일 교육제도의 특징을 '無地無 學, 無事非學, 無人不學'으로 설명하였는데, 鄭觀應도 이 글의 영향을 직접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는
盛世危言
學校 편에 德國學校規 制 , 英․法․俄․美․日本學校規劃 , 英․德․法․俄․美․日六國學 19) 장의식은 서양 선교사들이 자신들의 교육제도를 포함한 문화 전반에 걸쳐 중 국보다 우월하다는 자부심을 전제로 선진문명을 중국에 이식함으로써 중국의 개혁에 일조를 하고 있다는 점과 이것이 기독교적 문명화의 사명이라는 의식 하에서 중국의 교육개혁에 앞장서게 되었다고 설명하였다. 張義植, 淸末 敎 育·科擧制 改革 硏究 -改革論 展開過程을 中心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2), pp.39-40.20) 장의식, 淸末의 敎育改革에 대한 一考察 -國民敎育論의 政策化 과정을 중심 으로- , p.277.
21) 앞의 글, p.283.
校數目 등을 실어 서양 각국의 교과과정, 교학방식, 시험방법 등 학교 제도를 소개하였는데, 이는 서양 선교사들의 역저를 거의 그대로 옮긴 것으로 鄭觀應이 이들의 소개에 얼마나 주목하였는가를 알 수 있다.22)
鄭觀應은 독일의 제도가 가장 잘 정비된 것이라고 소개하면서 그 특징을 다음의 네 가지로 설명하였다. 첫째, “鄕에는 鄕塾이 있고, 郡 에는 郡學이 있어 국경 내 학교가 없는 곳이 없다”고 소개하였는데 이 는 전국적이며 체계적인 학교제의 수립을 말한다. 둘째, “文에는 仕學 院, 武에는 武學院, 農에는 農政院, 工에는 技藝院, 商에는 通商院이 있 다. 四民의 業이 배우지 않는 것이 없다. ···무릇 모든 일은 반드시 전문적인 가르침이 있다.” 이는 직업별로 필요한 기본적 자질을 습득 하게 하여 생계에 도움을 준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남자 도 배우고 여자도 배우며, 평민도 배우고, 장애인도 배우지 않는 이가 없다. 부모가 없는 고아나 범죄 행위를 한 아동이라 해도 모두 학교에 서 맡아 가르친다. 나라의 公令은 8세 이상으로 입학하지 않으면 부모 에게 죄를 묻는다.” 이는 남녀․빈부귀천․장애인의 차별 없는 의무교 육의 실행을 말한다. 중국 전통교육에서는 소외되었던 여성과 빈민, 장 애인을 포함하는 전 국민이 교육의 대상으로 포함된다는 점은 서양 교 육제도의 가장 큰 특징으로 인식되었다. 넷째, “일마다 배우지 않는 것 이 없어서 오늘 배운 것은 다른 날 쓸 수 있으니 배운 것은 반드시 쓰 임이 있다.” 이는 중국에는 오직 과거만을 위한 교육이 있을 뿐이며, 교육내용도 현실과는 유리된 것인데 반해서 서양의 교육은 배운 데로 쓰이는 실용적인 것임을 소개하고 있다. 이와 같은 鄭觀應의 이해는 곧 자신의 교육개혁론의 단초가 되었다.
세계 속의 한 국가가 흥성하게 되고 또한 쇠퇴하게 되는 데에는 반드 시 그렇게 될 만한 이유가 있다. 학교는 인재가 배출되는 곳이며, 인재는 국세가 강성해지는 근원이 된다. 따라서 서양의 강성은 학교교육의 강성 에 있는 것이지 결코 사람에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그들과 경쟁하 여 이기고자 한다면 총과 대포, 전함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그들의 학 22) 장의식, 淸末 敎育·科擧制 改革 硏究 -改革論 展開過程을 中心으로-, p.82.
교교육을 배워 중국의 학교교육을 강성하게 해야 하는 것이다.23)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鄭觀應은 양무교육의 한계를 분명히 인식하고, 서양교육제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교육개혁론을 형성하였다. 물론 과거제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교육제도에 대한 비판 역시 그의 교육개혁론을 형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 내 용에 대하여는 다음 장에서 자세히 다루고자 한다.
Ⅲ. 鄭觀應 교육개혁론의 내용
1. 과거제 개혁과 학교의 설립
전통시대 중국은 과거제와 결부된 교육제도를 갖추고 있었기 때문 에 근대 교육의 정착과 발전에 있어서 과거제를 폐지하고 전통 교육제 도를 근대적으로 전환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였다.24) 따라서 과거제의 개혁은 청말 교육개혁론의 핵심이었다.
隋代 과거제가 실시된 이래 과거제는 수많은 비판을 받아 왔고, 심 지어는 그 존재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기도 할 만큼 과거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끊임없이 논의되어 왔다. 특히 明淸대의 八股文은 일정 한 격식에 따른 문장, 제한된 글자수 등 경직되고 고정적인 기준으로 인재를 선발하는 방식때문에 비판의 소리가 높았다. 그러나 응시자격 에 까다로운 제한이 없었기 때문에 과거 응시생의 수가 날로 늘어나면 서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다. 한 통계에 의하면, 淸末 고시 자격시험을 통과하여 鄕試에 응시한 사람들의 경쟁률은 약70대 1, 약 7, 8천여 명 이 응시하는 會試의 경쟁률은 약 30대 1이었다. 근대 저명한 지식인들 23) 최향순, 앞의 글, p.98에서 재인용.
24) 김유리, 청말 서원의 학당개편과 근대학제의 성립과정 (동양사학연구 75, 2001), p.89.
도 과거 실패의 상처를 안고 있었다. 馮桂芬은 18세에 秀才가, 23세에 擧人이 되었지만 31세에 네 차례의 회시를 치른 후에야 進士가 될 수 있었다. 郭嵩濤는 5차례나 회시를 치른 후에야 進士가 되었다. 王韜는 18세에 秀才가 된 후 수차례 향시에 낙방하여 擧人이 되지 못하였고, 鄭觀應 역시 17세에 향시에 낙방한 후 과거의 꿈을 버리고 상인의 길 을 걷게 되었다.25) 과거의 치열한 경쟁에서 낙오한 쓰라린 경험은 이 들로 하여금 과거제의 문제점을 예리하게 지적하도록 하였다.
鄭觀應은 많은 중국인들이 “현실과 동떨어진 채, 실속 없이 팔고문 을 배우거나 경전을 써내려가는 무료한 작업을 반복하면서 능력과 시 간을 쓸데없이 낭비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팔고문을 폐지하지 않고 서는 진정한 인재를 양성할 수 없고, 실용학문을 발전시킬 수 없으며, 서학을 중시하지 않으면 인재는 배출되지 않을 것”이라 단언하였다.26) 수년 동안 책을 읽어도 ‘콩과 보리를 구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이들 이 중국의 독서인들로 이들은 성인의 책을 읽고 성인의 도를 배운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어리석기 그지없고, 학문의 성과가 전혀 없으니 우습 고도 슬픈 일이라고 개탄하였다.27)
淸末의 과거개혁은 전통 取士의 범위 내에서 科場이나 급제자 명수 를 조절하는 방식과 신식 학교제 성립과 연결된 과거시험 내용 및 시 험제도의 개혁이라는 두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科場의 분위기나 급제자의 명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는 左宗棠이 陝甘총독으로 부임한 후 감숙과 섬서지역을 분리하여 향시를 거행한 것과, 張之洞이 四川學 政 재임기간에 과거시험장의 풍기를 정돈한 예가 있다.28) 그러나 청말 과거제 개혁의 주된 흐름은 학교교육과 과거시험을 연결하여 인재를 선발해야 한다는 방향이었다.
鄭觀應은 먼저 서원을 학교로 개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25) 김경혜, 淸末 初期 變法派의 敎育改革論 , 앞의 책, p.174.
26) 鄭觀應, 盛世危言·西學 , 앞의 책, p.275.
27) 鄭觀應, 盛世危言·學校下 , 앞의 책, pp.269-270.
28) 張亞群, 앞의 책, p.60.
다른 중국 지식인들과 비교해 볼 때 시기적으로 가장 빠른 것이었 다.29) 그는 당시 書院이 관리소홀로 인해 학생들이 골목을 배회하거나 학업에 열중할 수 없는 분위기임을 지적하였고, 교학내용도 국가의 利 病, 정치문제나 천문과 산학 등 실용적인 부분을 전혀 다루지 않아 실 용적이지 못하다고 지적하면서 書院이 실용학문을 교육하고 교과과정 을 엄격히 하여 철저하게 학생들을 관리해야만 명실상부한 인재양성기 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30)
鄭觀應은 1884년 考試 上․下 篇을 지어 과거제 개혁방안을 제시하 였고, 1892년에는 學校 篇을 지어 서양의 학교제도를 구체적으로 소 개하면서 과거제 개혁과 신식 학교교육체계의 설립을 연결시켰다. 그 의 과거개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첫째, 신식학교제와 과거의 통합. 신식학교의 설립은 청말 교육개혁의 최종 목표였지만 과거를 중 시하는 당시 사회적 분위기로 인해 시행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음의 방안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둘째, 서학을 포함한 과거 과목의 증설, 셋째, 전문· 실업학교의 설립이다.
먼저 考試 上․下 篇에 나타난 과거개혁 방안을 보면, 실용성을 강 조하는 서구 교육을 본받아 과거에 서학과를 별도로 실시할 것을 주장 하였다. 서학과의 준비기관으로서 각 省에 西學書院을 설립하고, 天 文․地理․農政․船政․算化․格致․醫學과 각국의 輿圖․言語文字․
政事․ 律例 등에 정통한 이들, 또는 유학 후 귀국한 이들을 敎習으로 하여 선발된 15세~20세 학생을 성향에 따라 한 과목을 전문적으로 3년 간 교육하도록 한다. 만일 서학과를 正科처럼 중시하지 않아 효율적이 지 못할 경우를 위해 州․縣․省․京師 각지의 學宮과 書院을 變通하 여 州․縣에는 小學을, 省에는 中學을, 京師에는 大學을 설립하여 文武 를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書院 개혁은 청일전쟁 이후 과거개혁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여러 지식 29) 張義植, 淸末 科擧制 廢止過程 硏究 -新學校制와 科擧의 統合化를 中心으로
- (歷史學報 103), p.179.
30) 鄭觀應, 盛世危言·學校上 , 앞의 책, p.265.
인들에 의해 주장되었다. 1986년 李端棻은 경비 부족의 상황에서 각 省縣의 書院을 學堂으로 개정할 것을 주장한 바 있으며, 山西巡撫 胡 聘之는 令德書院에 算學 등 서학과정을 증설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처 럼 전통교육기관인 書院을 신식학당으로 개정하거나 그것이 여의치 않 을 경우 書院에서 서학을 교육하는 방식은 청말 교육개혁의 주된 흐름 이었고, 그런 면에서 鄭觀應의 개혁안은 선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상은 실천으로 이어졌다. 1901년, 청정부가 서원 을 학당으로 개조하도록 하는 上諭를 반포한 후 1903년 鄭觀應은 南寧 에서 左江書院을 中學堂으로, 嶎南書院은 小學堂으로 개정하는 방안을 구상하여 중소학당의 연령 제한, 교습의 초빙, 교과과정, 자금 조달, 장 비와 도서의 매입 등에 대한 규정을 정하였다. 또 자신이 소장하고 있 던 도서를 학당에 기증하기도 하는 등 서원의 학당으로의 개정에 적극 적으로 참여하였다. 31)
교육과목으로는 詩文과 詞賦 등 전통적인 내용을 교육하는 文學科 와 政事科․言語科․格致科․藝學科․雜學科의 6科를 두도록 하였다.
각 급 학교는 3년 과정인데, 각 과정에서 성적이 우수하면 상급학교로 진학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교 졸업생에게는 秀才, 擧人, 進士와 같은 과거 합격의 자격을 주도록 하여 여전히 과거 출신자를 우대하는 사회 적 분위기를 고려하면서도 학교를 통한 인재의 양성을 중시하였다. 개 혁된 과거제도와 학교제도가 연결된다면 진정한 실력을 지닌 인재를 선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면서 鄭觀應은 다음과 같은 점이 서양 에서 본받을 수 있는 점이라고 말하였다.
모든 일의 종사자는 그 직무에 대해 반드시 분명히 알아야 한다. 문관 은 반드시 관리양성학교를 졸업한 자여야 하며, 무관은 반드시 군사학교 를 마친 자여야 한다. 인사에 있어 승진은 있되, 업무변동은 없게 한다.
각각 자신의 장점을 충분히 발휘하게 하고, 명실상부하게 한다.32)
31) 翼海銀, 鄭觀應敎育思想硏究 (河北大學碩士學位論文), pp.35-36.
32) 鄭觀應, 盛世危言·盛世危言自序 , 앞의 책, p.234.
한편 鄕擧里選의 회복을 주장하였다. 鄭觀應은 “널리 학교를 건립하 고 인재를 기르는 것은 鄕擧里選을 다시 시행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 야 할 것”33)이라 하면서 천문, 지리, 산학, 격치, 제조 등 각 방면에 능 한 인재가 있어도 이 방면에 무지한 조정 대신들이 잘 알지 못하여 이 들을 발탁할 수 없으므로 전국각지의 숨은 인재들을 불러 모을 수 있 는 방법으로는 鄕擧里選制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처럼 鄭觀應은 다양한 방법으로 과거제의 개혁을 시도하고자 하 였다. 그 방법으로는 첫째, 서학을 포함하는 다양한 과목의 증설, 둘 째, 전통적인 鄕擧里選을 부활하여 시험을 통하지 않고 인재를 선발하 는 방법, 셋째, 유명무실한 서원을 개조하여 신식학교를 설립하고 이곳 에서 과거를 준비하는 인재를 교육시킬 것이며 학교 졸업생에게는 과 거시험 자격을 부여하도록 할 것 등 이었다. 이와 같은 개혁의 방안은 가능한 거의 모든 형태의 개혁방안을 제시하여 산만한 듯하지만, 이후 실제적 개혁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평 가받는다.34)
2. 상공업부문 교육의 강조
양무운동이 전개되면서 중국의 전통적 지식인들은 구 관료나 문인 의 진영에서 이탈하여 자본가계급, 자본가계급과 소자산계급 지식인의 과도적 존재로 넘어가게 된다. 盛宣懷, 鄭觀應, 經元善 등은 상인 기질 이 두드러지고 경영관리에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 경영관리자 그룹으로 서 이들은 관직과 상업 두 분야에서 모두 일하였지만 대체로 그들의 상인기질이 관료 기질보다 더 우세하였고, 이들의 조직 경영 능력은 전국 각지에 분포한 양무기업과 사업을 추진하는데 절대적이었다.35)
33) 鄭觀應, 盛世危言·選擧 , 앞의 책, pp.329-330.
34) 장의식, 淸末의 敎育改革에 대한 一考察 -國民敎育論의 政策化 과정을 중 심으로- , p.284.
35) 章開沅, 인물과 근대 중국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8), p.171.
또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모두 교육의 역할을 매우 중시하였다는 점 이다.
鄭觀應은 모든 중국인이 각자 고유한 재능을 배우고 그에 따라 직 업을 가짐으로써 생활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문-기술교육을 받도록 할 것을 강조하였다. 먼저 그는 자신이 양무기업에서 경험한 바에 따 라 상인 교육과 상인계층의 지위제고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그는 兵戰, 商戰, 宣敎의 세 방식으로 진행되는 서구 열강의 침략 중 군사적 침략 인 兵戰보다 경제적 침탈인 商戰의 위협이 더욱 크다고 주장하였다.
富한 후에야 强해질 수 있고, 强한 후에야 富해질 수 있다. 富를 이루 지 못하면 强해질 수 없고, 强하지 못하면 富를 보존할 수 없으니 富와 强은 서로 이어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런데 富는 商으로부터 생겨나고, 商은 士農工 삼자의 힘으로부터 나온다. 따라서 서양 각국은 商으로써 부 국을 이루고, 兵으로 商을 보호하여 오로지 兵으로만 전쟁을 하는 것이 아니라 商으로도 전쟁을 한다. 비교해보면 兵戰은 시간도 짧고 그 禍가 분명하게 드러난다. 商戰은 시간도 길고 그 禍도 지극히 심대하다. 오직 중국만이 商務를 중히 여기지 않고 사농공상이 제각기 자기만을 위해 일 하니 비록 수차례 서양인에게 모욕을 당해도 아직 부강의 방법을 알지 못한다.36)
세계 각국과의 무역경쟁이 치열해지는 국제 정세 하에서 상업은 종 전보다 더 큰 중요성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상인계층에 대한 인식도 변화해야 한다고 여긴 鄭觀應은 서양 각국에서는 재력이 풍부한 상인 을 우대하고 이들을 정부 관리로 등용하는 것이 흔한 일이라고 소개하 면서 중국도 상인을 천시하는 경향을 버려야 한다고 하였다.37)
중국은 전통적으로 모든 학교에서 과거만을 위한 지식을 교육하고 상·농·공업 등은 가르치지 않았기 때문에 서양인들처럼 수학, 화학, 광 학, 제조학 등의 한 분야에만 힘써도 개인적인 영예를 얻는 것은 물론 국가의 부강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고 지적하였다.38) 반
36) 鄭觀應, 盛世危言·商戰上 , 앞의 책, p.595.
37) 정관응 지음, 이화승 옮김, 앞의 책, pp.87-88.
38) 앞의 책, p.95.
면 서양은 상인들이 상업 부문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할 것을 고려하 여 상업학교를 세워 교육하도록 하였고, 통상법규 등을 가르쳐 타국과 의 무역에 유리하도록 하였다. 영국, 프랑스, 독일은 학교를 세워 무역 을 가르치고 박람회를 개최하자 많은 인재들이 배출되고 상무가 크게 발전하였다고 소개하였다. 각 국가 간의 무역경쟁이 치열해지는 국제 정세 하에서 서구 열강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업의 설립, 운영관리 및 생산 등 상업 전 부문에서 전문교육을 받은 인재가 필요 하다는 것이 鄭觀應의 주장이었다.
그는 당시 양무기업의 성과가 미미한 것도 상무에 대해 무지한 관 료가 인사권과 관리감독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면서 이들 이 상무를 진흥시킨다는 것은 한마디로 ‘空言’이라고 비판하였다. 관이 감독하고 商이 경영한다는 양무기업의 관독상판제도는 사실 많은 문제 점을 안고 있었다. 정부에서 파견된 總辦, 會辦, 幇辦이 기업의 운영권 을 쥐고 있었지만 이들은 다시 양무파 대관료에게 속해 있었기 때문에 기업은 점차 양무파 대관료의 私益을 위한 것으로 변질되어 갔다. 鄭 觀應은 양무기업에서 일했던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 기업의 문 제점을 정확하게 지적하였다. 그는 지금까지 중국 기업에서는 부패한 관리가 당국으로부터 경비를 받아 내거나 공적자금으로 개인의 이익을 취하는 등 자금의 관리 문제가 불투명하였고, 자본은 있지만 아무런 전문 기술이 없어서 실패하는 등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였다고 하였다.
기업의 책임자가 능력에 관계없이 고위관리가 임명하였기 때문에 관 리들은 자신의 지위를 믿고 독단으로 전횡을 일삼았고, 기업의 이익이 관리에게 돌아가는 일도 빈번하였다.3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 鄭觀應은 기업의 관리, 경영, 제조 등 각 부문에서 전문적인 인재를 등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한편 鄭觀應은 상업 발전은 제조업의 발전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깨 닫고 제조업 각 부문에서 기술인재의 양성을 주장하였다. 기술의 낙후 39) 앞의 책, pp.100-101.
는 서양 상품과의 경쟁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음을 강조하면서 기술인 재의 양성을 위해 工藝科를 만들고, 工藝學堂을 설립하며, 서양 각국에 유학생을 파견할 것과 박람회를 개최하여 장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중국은 제조국을 설립한 이래로 대포, 선박, 군수물자 등을 생산했지만 원료는 수입하고 방법은 서양의 것을 모방하였기 때문에 실질적인 효 과를 내지 못하였다. 서양인들은 중국인이 스스로 기계를 제조하지 못 하는 약점을 이용하여 쓰던 기계를 중국에 공급하기도 하였다. 중국인 들은 그저 기계를 사용만 할 줄 알았기 때문에 고장이 나면 서양 기술 자를 부르지 않을 수 없었다. 이처럼 기계를 스스로 제조할 수 없다는 것이 외국과의 경쟁에서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지적하면 서 鄭觀應은 제조업을 중시하였다.40)
또한 각 省에 電報, 鑛務, 輪船海運 등을 교육하는 전문학당을 세움 으로써 각 부문에 정통한 인재를 길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1881년 5월 상해 電報分局의 總辦으로 일하면서 정관응은 천진과 상해 를 연결하는 津滬電線을 설치하고, 양쯔강과 연해를 잇는 작업을 착수 하였다. 막대한 비용이 투자되고, 서양의 기술자를 초빙하여야 하는 작 업환경도 문제였지만 완성된 후 비싼 전보 사용료로 인해 이용률이 높 지 않았다는 점은 더욱 큰 문제였다. 따라서 鄭觀應은 중국인 기술자 양성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함을 느꼈고 이를 위해 통신전문학교를 세운 후 전보국의 학생들을 모아 훈련시킬 것을 주장하였다.41)
鄭觀應은 국가가 필요로 하는 인재의 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전문적 인 기술교육을 강조하였지만 이러한 교육이 국가의 미래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개인의 생활에도 도움이 된다는 측면도 간과하지 않았다.
중국인 개개인이 모두 한 가지 분야에서 전문교육을 받는다면 생계문 제가 해결될 것이고, 부모가 자녀에게 재정적 지원을 해 주지 않아도 되는 서양과 같은 안정적인 사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가족 40) 앞의 책, pp.126-127.
41) 앞의 책, pp.178-179.
과 친지에게 전문-기술교육의 습득을 강조하였고, 스스로는 영어를 열 심히 배웠던 鄭觀應 스스로의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교육개혁 부문에 나타난 鄭觀應의 상인 기질은 같은 상인 출신인 經元善에게서도 보인다. 그는 1898년 자신의 고향에 農工學堂을 세우 면서 “농업을 개량하고, 공예를 진흥함으로써 (외국에 빼앗긴)이권을 회복하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았다. 공예 교육에는 刺繡, 綢緞, 紗綢 등 중국 전통적 부문과 일본의 양산, 손목시계 등 소형생산기구의 제 조 교육이 포함되었다. 이외에도 ‘農業講學演說所’를 설립하여 농민에 게 농업 관련 과학기술을 교육하고 품종개량 등 실질적인 농업기술을 가르치도록 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구상은 가난한 농민을 구 제하여 생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국가 부강의 원천으로 삼고자 하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42)
3. 여성교육의 강조
戊戌變法시기까지 여성문제에 대한 중국 지식인들의 관심은 전족 폐지와 여성교육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이는 중국 지식인들의 시국인 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들은 부국강병을 이루어 근대화를 추진하는 한 과정으로서 여성 교육을 이해하였다. 강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서는 강한 중국인을 길러야 하고, 강한 중국인을 기르기 위해서는 강한 여 성을 길러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족이 반드시 폐지되어야 하며,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여성이 남성에게 신체적․정신적․경제적으로 예 속되지 않고 독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43)
鄭觀應 역시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고 서양의 침탈에 대응하기 위해 서는 여성 교육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여성교육을 국가 부강의 일환이라고 생각한 鄭觀應의 여성교육론은 의무교육과 어머니 교육(母 42) 陳科美 主編, 上海近代敎育史 1843-1949 (上海敎育出版社, 2003), pp.121
-122.
43) 김경혜, 앞의 글, p.180.
敎)의 강조라는 특징을 지니게 된다.
그는 서구 열강에 의해 침탈당하고 유린당하는 것이 중국인의 무지 때문인데, 그 중에서도 중국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이 교육받을 기회조차 갖지 못한 것은 전체 중국인을 우매하게 만든 중요한 원인이 라고 지적하였다. 그는 “조야 상하 간에 여성은 재주가 없는 것이 덕 이라는 잘못된 관념에 빠져 여자를 교육하지 않았다"44)고 비판하면서 여성 역할에 대한 전통적 관념은 중국 여성을 무지하고 무능하게 만들 었다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중국인의 무지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양 과 같이 성별의 차별 없이 일정한 연령에 이르면 동등하게 교육받는 의무교육을 실행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鄭觀應은 인구의 절대 다수가 독서하는 독일, 미국은 매우 빠르게 부강을 이룰 수 있었지만 독서하지 않는 동양은 각국이 분열되었다고 비교하면서 남녀의 차별 없이 일정한 연령에 도달하면 모두 교육받는 의무교육이 서양을 부강으로 이끌었다고 설명하였다. 이와 유사한 인 식은 戊戌變法시기 梁啓超에게서도 볼 수 있다. 1897년
時務報
에 실 은 論女學 중에서 여성교육의 중요성을 다음과 같이 역설하였다.천하를 다스리는 근본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人心을 바로 잡 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人才를 양성하는 것이다. 이 두 가지의 근본은 반드시 아동교육에서부터 시작되고, 아동교육의 근본은 반드시 어머니 교 육으로부터 시작된다. 어머니 교육의 근본은 또한 반드시 부녀교육으로부 터 시작되니, 부녀의 교육은 실로 천하의 존망과 강약을 결정하는 근원인 것이다.45)
鄭觀應은 세상 사람들은 남자가 공부하지 않으면 낭패를 본다고 생 각하지만 사실 여자의 경우가 더 심각하다고 지적하였다. 무엇보다도 자녀의 교육은 어머니의 품에서 이미 시작된다. 어머니가 교육을 받아 지혜롭고, 교양이 있다면 자녀도 자연스럽게 좋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
자녀를 제대로 돌보지 않는 것은 어머니가 무지하기 때문이다. 어머니 44) 鄭觀應, 盛世危言·女敎 , 앞의 책, p.287.
45) 梁啓超, 創設女學堂啓 (왕미수, 앞의 글, p.156에서 재인용).
가 제대로 교육받지 못했다면 어리석은 백성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결국 중국이 부국강병을 이루어 서양과 경쟁할 수 있으려면 인재를 키 워야 하고, 인재를 키우기 위해서는 어머니 즉, 여성을 교육시켜야 한 다고 주장하였다.46)
1860년 제 2차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天津條約․北京條約을 통해 內 地布敎勸 등의 특권을 획득한 서양 선교사들은 적극적으로 중국 내 포 교활동을 전개하였고, 이와 더불어 교회 여학교도 빠르게 발전하였다.
중국 남성이 여전히 과거를 중시하여 교회남학교의 성과가 적었던 반 면 “교회가 가는 곳에는 女塾이 뒤 따른다”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교 회 여학교는 크게 증가하였다.47) 중국 지식인들은 서양 선교사들이 교 회여학교를 설립하고 여성을 교육하는 것에 고무되었다. 국가의 부강 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서, 또 서양 선교사들의 교육 사업에 주목한 결과로서 중국 지식인들은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게 된 것이다.
鄭觀應은 서양을 본 따 女學을 설립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女 學의 목표는 미래의 賢女․賢婦․賢母를 양성하는 것으로서 중국의 經․列傳․여성을 훈계하는 책 등은 부문별로 나누어 재능에 따라 가 르치고, 女紅․紡織․書數 등을 함께 가르쳐 할 것을 제안하였다. 鄭 觀應은 書文에 능하고, 도리에 밝으며 규칙을 지키고 사물의 이치를 알 수 있는 정도의 교양을 지니는 것을 여성 교육의 목표로 삼고, 이 를 위해서는 書數․繪畫․紡織․요리 등과 女工과 中饋를 익히면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48)
鄭觀應이 제안한 여성 교육과목에도 잘 나타나 있듯이 淸末의 현모
46) 鄭觀應, 盛世危言候編․學務․復蔡毅若觀察書 , 앞의 책(下), pp.201-202; 김 경혜, 앞의 글, p.184에서 재인용).
47) 진정원은 중국 여성사의 핵심주제인 여학교의 설립, 신문을 통한 계몽활동, 전족폐지운동 등을 적극적으로 선전하고 추진한 것이 모두 선교사의 공적이라 고 설명하면서 중국 여성사에 있어서의 근대는 서구 선교사들의 활동에서 그 기원을 찾아야 한다고 하였다. 陳姃湲, 타이완에서 近代中國 및 타이완 女性 史硏究의 槪況 (中國史硏究 17, 2002), pp.329-370; 왕미수, 앞의 글, p.154.
48) 鄭觀應, 盛世危言․女敎 , 앞의 책(上), p.288.
양처론은 강유위, 양계초 등 변법인사들에게 의해서 광범위하게 유포 되었다. 이들은 여성의 경제력 보유는 남녀평등의 조건이며, 어느 국가 이든 그 나라의 강약이 가정에서의 어머니에게 달려 있고, 가정에서 아동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어머니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따 라서 이들이 제창한 여성 교육은 여성 자신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국 가를 위한 것49)이라는 한계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주장은 실천 으로 옮겨지게 된다.
1897년 하반기부터 鄭觀應은 經元善․梁啓超 등과 함께 중국 최초 의 여성교육기관 건립을 준비한다. 提調 1명, 중문․외문교사 각각 1 명씩을 두고 8~15세의 여학생 20명으로 1898년 5월 上海經正女學이 문 을 열었다. 설립자 經元善은 “우리 중국이 자강하려면, 널리 학교를 세 워야 하고, 학교 교육의 근본은 곧 여학교를 창립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학당의 설립 취지를 “지혜를 계발하고 덕성을 기르며 신체 를 건강하게 하여 장래 현모양처가 되는 기초를 닦을 것”50)이라고 하 여 자녀교육과 남편내조에 힘쓰는 현모양처의 양성을 교육목표로 삼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교과과정에도 충분히 반영되어 中文과정에서는 女孝經․女四書․女紅․圖畵와 같은 전통적 내용을 교육하였고, 西 文․체조․琴學 등을 함께 교육하였다. 1898년 10월에는 분교를 설립 하고 교사 각 1명씩을 보충하였으며, 이듬해에는 학생이 70명으로 증 가하였다. 학당은 교육내용과 관리방법 면에서 전통적 성격이 농후하 였지만 중국인 스스로가 세운 최초의 여학당으로서 여성교육을 위한 기초를 다졌다는 의의를 지닌다.
여학당 설립 과정에서 나타난 鄭觀應의 태도는 그의 저술을 통해 나타난 개혁의 입장과는 다르게 훨씬 소극적이었다. 1897년 1월 27일 盛宣懷, 經元善 등이 上海廣福里 鄭觀應의 집에서 여학당 건립시의 자
49) 조경란, 국민국가 형성과 여성정체성의 문제 -청말 민국초 여성담론을 중심 으로- (여성과 철학), p.127.
50) 經元善, 中國女學會書塾章程 (經元善集, 華中師範大學出版社, 1988), p.230.
금조달 문제에 대하여 논의하였을 때 經元善은 鄭觀應의 경제력을 고 려하여 ‘아무리 적어도 창립 시에는 이백원, 평상시에는 이십원’ 정도 의 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였지만, 鄭觀應의 대답은 “窮得很(몹 시 가난하다)”이라는 세 글자였다. 鄭觀應의 소극적 태도는 학당 창설 초기부터 보수인사들의 거센 반대가 있어서 여학당 창설을 찬성했던 일부 사람들도 “조정 인사들이 찬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듣자마자 앞을 다투어 조정의 뜻을 받들고 겨울 누에처럼 입을 다문 채 교활한 쥐처 럼 피해다녔다”는 經元善의 말을 볼 때 여학당을 격렬하게 반대하던 당시 청정 내의 여론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51) 鄭觀應은 기금 기부 를 거부함으로써 무술정변 이후 청 정부가 여학당에 관한 일을 조사할 때 화를 면할 수 있었다.52) 經元善은 현모양처의 양성이라는 설립목적 을 내세워 보수파의 공격을 약화시키고자 하였지만 이 학당은 결국 무 술정변 이후 보수 세력의 공격과 그로 인한 경비부족, 심지어 지방의 건달들이 여학생을 희롱하고 교내에 벽돌과 돌 등을 던지는 등 많은 문제로 인해 1899년 8월 25일 휴교를 선언하였고, 분교만이 1900년까 지 유지되었다.
비록 鄭觀應의 실천은 소극적이었지만 여성을 교육의 대상에 포함 시키고자 노력하였다는 점은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Ⅳ. 결 론
이상으로 淸末의 교육개혁론이라는 흐름 속에서 鄭觀應의 교육개혁 론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을 통해 살펴 본 鄭觀應의 교육개혁론은 다 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서양 세력의 진출과 그로 인한 변화를 ‘수천 년 동안 없었던 51) 왕미수, 앞의 글, p.157.
52) 夏東元, 鄭觀應傳 (華東師範大學出版社, 1981), p.163.
변국’으로 인식하였던 鄭觀應은 직접 양무운동에 참여함으로써 전통적 교육은 물론, 양무교육의 문제점까지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었으므로 구체적이고 풍부한 교육개혁론을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鄭觀應은 서양의 교육제도를 교육개혁의 모델로 삼아 소개하 였으며, 과거 과목의 증설․시험과목으로서 서학의 중시․서원을 학당 으로 개조하는 방법· 과거 준비 교육기관으로서 학교의 설립 등을 통 하여 과거제를 개혁하고 동시에 학교교육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鄭觀應은 서양식 의무교육과 어머니 교육의 측면에서 여성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그는 서양 열강에 의해 침탈당하는 것은 중국인의 무지 때문이며, 특히 인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이 교육받지 못한 것이 중국인을 우매하게 만든 중요한 원인이라고 생각하였다. 이처럼 전통적으로 교육에서 소외되었던 여성을 교육의 대상으로 확대시킨 점 은 고무적이라 할 것이다.
(中文提要)
鄭觀應(1842-1922)與淸末敎育改革論
金 慶 惠
鄭观应是中国近代早期维新思想家, 也是最早提出近代学制的教育思想 家. 他面临'数千年来未有之变局'的情况下, 寻找救国富强的道理, 而发现 中国之所以在军事
、
经济、
政治上落后, 是因为缺乏这些方面的专门人才.他认为中国之所以缺乏人才, 是因为没有系统的洋务教育, 也是因为以科举 制度为核心的传统教育制度. 他认为, 为了培养适应时代的实用的
、
专门的 人才, 必须得改革科举制度的弊端, 废除八股时文, 加考西学的内容, 设立 小、
中、
大学的系统的新式学堂. 他提出了一套系统的教育改革方案.从普及义务教育和'母教'的角度, 他主张中国妇女教育. 他把教育的普及 程度, 即把国民素质水平为国家兴衰存亡的关键因素. 他十分欣赏西方国家 的义务教育, 多次主张模仿西方的教育制度. 但是, 他的实践还没到他的思 想主张的程度. 1898年, 创立中国最初的女学堂时, 但他没有积极的参与.
总之, 鄭观应是为中国近代学制的诞生做出了一定的贡献.
주제어: 정관응, 교육개혁론, 서양교육제도, 과거제도와 신식학교의 연결, 여성 교육의 강조
關鍵詞: 鄭觀應、敎育改革論、西方教育制度、科举制度与新式学校的结合、强 调妇女教育
Keywords: Zhengguanying, the educational reformism, Western educational system, evolution of modern school based on traditional Keju system, highlight of women's education
(원고접수: 2010년 11월 15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12월 11일, 수정원고 접수: 12월 21일, 게재 확정: 12월 2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