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Ⅱ. 서양 선교사들의 소개 1. 파버(E. Faber)의 德國學校
規制
2. 티모시 리차드(Timothy Richard)의新學八章
3. 알렌(Young John Allen)의
文學興國策
Ⅲ. 중국 지식인들의 소개 1. 서구 교육제도의 소개 2. 일본 교육제도의 소개
Ⅳ. 결 론
近代 中國의 西洋 敎育制度 紹介
1)
金 慶 惠 (弘益大)
Ⅰ. 서 론
淸末 교육개혁은 서구 열강의 침략이라는 국가적 위기상황을 타개 하기 위한 방책의 일환으로서 진행되었다. 양무운동 시기 군사적, 기술 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신식 교육기관이 설립되면서 외국어 및 군사 기술 등과 관련된 이른 바 ‘서학’의 수용이 교육개혁의 새로운 화두가 되었다. 국가의 부강이 교육과 밀접하게 연결된다는 의식이 생겨나면 서 중국 전통 교육의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과거제도로 대표되는 전통 교육의 폐단을 개혁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서양 교육 제도에 대한 소개와 탐색이 이루어졌다. 서양 교육제도에 대한 소개는 크게 두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그 하나는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서였고, 다른 하나는 서양을 직접 경험한 중국 지식인들에 의해서였다. 서양
* 이 글은 2011년 홍익대학교 학술진흥연구비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선교사들은 간접 선교의 일환으로서 중국사회의 계몽과 문화수준의 향 상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서양 교육제도를 소개하였다. 이들의 소개는 기독교를 바탕으로 한 서양 문명이 우월한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교육 사업을 통해 중국의 문화적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리는 것이야말로 자신들의 임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당시 중국 지식인 들이 중국 교육의 폐단을 깨닫고 서양식 교육을 모델로 교육 개혁을 추진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한편 서양을 직접 경험한 중국인들 은 청 정부를 대표하는 외교 사절로서 또는 중국의 운명을 심각하게 걱정하는 책임감 있는 지식인으로서 서양의 교육제도를 세밀하게 관찰 하여 소개하였고, 이를 토대로 신식교육기관을 설립, 운영하기도 하였 다.
본 논문은 淸末 교육개혁에 모델이 되었던 서양의 교육제도가 어떻 게 소개되고, 이해되었는지를 밝힘으로써 淸末 교육개혁의 방향과 내 용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 淸末 교육개혁에 관 한 연구는 과거제도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교육에 대한 비판과 개혁논 의, 양무학당 이후 설립된 신식교육기관, 학제 개편 등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그러나 필자는 淸末 교육개혁이 지향하였던 서양 교 육제도에 대한 소개와 이해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전문적으로 다룬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서양 선교사들과 서양을 직 접 경험한 중국 지식인들이 어떻게 서양 교육제도를 소개하고 이해하 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청말 지식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컸던 파버(E. Faber)의 德國學校規制, 티모시 리차드 (Timothy Richard)의 新學八章과 알렌(Young John Allen)의 文學 興國策을 중심으로 소개된 서양 교육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지금 까지 서양 선교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들의 선교방식 및 중국 전통 에 대한 이해, 중국인들의 계몽 및 전통 문화의 개혁, 또는 변법운동 등 중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그들이 담당하였던 역할 등을 주로 다루어 왔다. 따라서 이들이 중국의 교육 개혁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았는지 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다음으로는 淸末 지식인
으로서는 최초로 서양을 경험한 王韜와 외교관원이었던 薛福成이 소개 한 서양의 교육제도를 살펴보았고, 청일전쟁 이후 청말 지식인들이 주 목한 일본의 교육제도를 黃遵憲의 소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들에 대 한 연구 역시 초기 변법파 인물들로 구분되어 군민공주의 정치개혁론 이나 상공업 위주의 경제정책 등이 중점적으로 연구 대상이 되어 왔으 며 이들이 소개한 서양의 교육제도에 대한 연구 역시 부족한 편이다.1)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서양 선교사와 중국 지식인들이 소개한 서양 교 육제도의 내용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 이것이 淸末의 교육개혁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Ⅱ. 서양 선교사들의 소개
1860년 제 2차 아편전쟁 이후 체결된 天津條約․北京條約을 통해 서 양 선교사들은 내지포교권과 토지를 매입하여 교회와 학교를 세울 수
1) 청말 교육개혁에 관한 주요 연구성과로는 張亞群, 科擧革廢與近代中國高等敎 育的轉型 (武漢: 華中師範大學出版社, 2005); 김유리, 청말 서원의 학당개편 과 근대학제의 성립과정 (동양사학연구 75, 2001); 노재식, 萬國公報에 나 타난 청말 사회에 대한 비판에 관한 고찰 -科擧制度와 중국 전통 교육제도 비 판의 내용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64, 2010); 張義植, 淸末 敎育·科擧制 改革 硏究 -改革論 展開過程을 中心으로- (계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2);
張義植, 청말의 교육개혁에 대한 일고찰 -국민교육론의 정책화 과정을 중심 으로- (사총 30); 張義植, 淸末 科擧制 廢止過程 硏究 -新學校制와 科擧의 統合化를 中心으로- (歷史學報 103); 何曉夏, 日、美近代学制对中国近代学 制的影响及中日、中美近代学制的比较 (아시아문화연구, 1997) 등이 있다.
중국 근대 서양 선교사들에 대한 연구로는 顧長聲, 傳敎士與近代中國 (上 海: 上海人民出版社, 1991); 王立新, 美國傳敎士與晩淸中國現代化 (天津: 天津 人民出版社, 1997); 孫邦華, 論晩淸來華新敎傳敎士的敎育興國思想 (歷史敎學 問題, 2008); 王嗣岳, 淸末英國宣敎師 티모시 리차드(Timothy Richard)의 中 國改革論 -敎育革論과 制度改革論을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노재식, 중국 근대 기독교사 연구 동향 -중국 대륙, 대만, 홍콩, 미국 학계를 중심으로- (中國近現代史硏究 28, 2005); 노재식, 淸末 서양 改新敎 선교사들의 중국 祭祀 儀式에 대한 태도 (中國史硏究 52, 2008) 등이 있다.
있는 특권을 보장받으면서 교세를 확장시켜 나갔다. 그러나 교육을 통 해 교세를 확장시키려던 노력은 철옹성 같은 과거제도의 틀 안에 갇혀 있던 중국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서양 선교사들 은 중국 전통교육제도에 대한 고려와 함께 서양 교육제도의 소개, 서 양 서적의 번역 및 교과서의 편찬, 교회학교의 설립, 과학기술의 도입, 여성교육의 강조 등 더욱 체계적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중국에서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자 하였다.2)
본래 서양 선교사들에게 교육은 포교 상의 어려움을 타개할 수 있 는 간접 선교의 일환이었다. 1877년 상해에서 개최된 제1차 선교사대 회에서는 <기독교 교회와 교육의 관계>라는 발표를 통해 중국 선교에 서 교육 사업이 중요한 이유들이 다음과 같이 설명되었다. 능력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중국인 목회자를 양성할 수 있다는 점, 기독교계 학교 에서 배출된 교사를 통해 서양의 우수한 교육을 소개할 수 있다는 점, 중국 관신 계급과의 접근이 용이하다는 점, 현지 교회의 자립을 꾀하 고 미신이나 회의주의에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점.3)
기독교와 서양의 과학적 진보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믿었던 서
2) 何虎生은 근대 중국에 있어서 서양 선교사의 활동은 교육 영역에서 가장 영향 이 지대하였다고 평가하면서 1840∼1911까지의 중국에서의 서양 선교사들의 교육 활동을 다음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첫째, 1840∼1877년까지는 주로 통 상항과 홍콩에 교회 부설 소학교를 창립하였다. 둘째, 1877∼1906년까지의 시 기로 1877년 개최된 제1차 선교사대회에서 교육선교를 극력 주장하면서 정규 학교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 시기에는 선교사 출신 전문직 교육자라는 신분 이 출현하고, 교회학교도 크게 발전하여 1877년 6,000명이었던 교회학교의 학 생이 1893년에는 16,836명으로 증가하였다. 셋째, 1906∼1911년까지의 시기에는 선교사들의 활동이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시기 는 두 번째에 해당하는 시기로서 양무운동이 진행되면서 서구문화의 수용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청일전쟁에서의 패배로 국가적 위기상황이 심화되면서 교육개혁이 중국 지식인들의 주요 화두로 떠오르게 된다는 시대적 상황과 맞 물려 있다[何虎生, 論西方傳敎士在近代中國開埠初期的文化活動 (中國史硏究
, 2007), pp.99-100 ; 李長莉, 近代中國社會文化變遷錄(제1권) (杭州, 浙江人 民出版社, 1998), p.466].
3) 張義植, 淸末 敎育·科擧制 改革 硏究 -改革論 展開過程을 中心으로- (계명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2), pp.25-26.
양 선교사들은 중국에서 서구화가 이루어지면 자연스럽게 중국인들이 기독교에 귀의할 것이라고 확신하였다. “기독교의 소개는 신중하게 그 리고 서서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만 기독교가 거부감 없이 수용되 고 그 진가도 어느 정도 인정받을 수 있다. 반면에 처음부터 그것을 (기독교의 포교) 전면에 크게 내세우면, 중국인은 선교회가 학교를 세 운 의도를 완전히 오해하게 될 것”4)이라는 프라이어(John Fryer)의 말 처럼 당시 중국에 있던 서양 선교사들에게 있어서 서양 교육제도의 제 창은 중국을 기독교를 신봉하는 서양적 문명국으로 만들려는 시도였 다.
교육이 과연 선교의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의심 을 품는 선교사들도 물론 있었지만, 당시 중국에 있던 대다수 선교사 들은 이미 중국에서 서양 과학을 숭상하는 풍조가 확산되고 있다는 점 을 간파하였다. 사실 1, 2차 아편전쟁과 태평천국의 진압 과정을 통해 중국인들의 서양에 대한 인식은 크게 변화하였다. 태평천국운동이 일 어났을 때 馮桂芬은 “수학 역학 광학 화학 등의 학문에 관한 서양서적 들은 자연과학의 우수한 원리들을 포함하고 있다. 지리학 책에는 100 개국의 산천과 전략적 요충지, 풍토와 특산물 등이 빼곡이 열거되어 있다. 대부분의 정보는 우리 중국인이 접하지 못한 것들”이라고 소개 하면서 다수의 서양인 교사를 고용하여 특별히 선발된 우수한 중국 학 생들을 가르치도록 하되5) “서양의 모든 지식은 수학에 기초를 두고 있다. 열 살 이상의 서양 사람들 가운데 계산을 못하는 사람이 없다.
지금 서양 학문을 수용하려고 한다면 당연히 산학을 배우지 않으면 안 된다”6)고 주장한 바 있었다. 풍계분과 같은 입장에서 서양의 船堅砲利 는 모두 천문과 산학에서 비롯되었으므로 동문관 내에 산학관을 증설 하자던 양무파의 건의는 비록 보수 세력의 격렬한 비판으로 지체되었
4) 조너선 스펜스 지음, 김우영 옮김, 근대중국의 서양인 고문들 (이산, 2009), p.186.
5) 조너선 스펜스 지음, 김우영 옮김, 앞 책, pp.176-177.
6) 문정진 외, 중국 근대의 풍경 (그린비, 2008), p.284.
지만 양무파의 서양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입증하는 것이었다.
중국 내 이러한 분위기에 대해 1877년 선교사 마틸(C. W. Mateer) 은 서양의 과학지식은 이미 중국에서 큰 명성을 얻고 있으며 특히 많 은 중국의 고위 관리들이 서양의 과학이 어떤 것인가를 알기 위해 선 교사들과의 교제를 희망한다고 당시 중국 官紳의 서구과학에 대한 열 망을 정리하였으며7) 1880년 프라이어는 “서양 학문 가운데 중국에 도 움이 되는 모든 학문에 대해 중국은 반드시 얻으려 하니 중국인들은 이미 사상적 갈증을 풀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표현하면서 서 구 학문을 원하는 중국인들이 증가하는 분위기를 설명하였다.8) 이처럼 중국인들이 적극적으로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려 하는 것을 보면서 서 양 선교사들은 기독교를 바탕으로 한 서양 문명이 우월한 것이며, 자 신들의 교육 사업을 통해 중국의 문화적 수준을 한 단계 끌어 올리는 것이야말로 선교사로서의 임무임을 주장하게 되었다. 1890년대에 들어 서면 교육은 선교의 보조수단이 아니라 중국 사회를 개혁하는 핵심적 인 부분으로 인식되었다.
서양 선교사들은 중국의 고위 관료나 지식인층을 움직이는 것이 가 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 또한 잘 알고 있었다. 일례로 1880년 천진 에서 李鴻章을 만난 리차드(Timothy Richard)는 교회가 제공하는 이 익 때문에 가난한 중국인들만 교회에 갈 뿐, 지식 있고 체통 있는 중 국인들은 기독교에 입교하지 않는다는 이홍장의 말에 자극을 받아 향 신과 독서인을 대상으로 하는 과학강연과 실험을 월 1회 진행하면서 지식인층과의 접촉을 시도한다.9) 그는 중국의 문제가 폐쇄적이고 교만 한 중국 관리와 사대부들이 서양을 이해하지 못하는데서 비롯한다고 지적하면서 서양 교육을 통한 중국 지도층의 계몽이 시급함을 주장하 7) 장의식, 앞 글, p.30.
8) 장개원 지음, 손승회 옮김, 인물과 근대 중국 -위기 이탈 회귀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8), pp.142-143.
9) 王嗣岳, 淸末英國宣敎師 티모시 리차드(Timothy Richard)의 中國改革論 -敎 育改革論과 制度改革論을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pp.15, 25.
였다. 이를 위해 서양 선교사들은 중국의 관리와 지식인층에게 전통 교육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서양 교육제도를 소개하였다. 그 중 에서 중국 사회에 영향력이 컸던 소개들로는 독일인 선교사 파버(E.
Faber)의 德國學校規制, 영국 선교사 티모시 리차드(Timothy Richard)의 新學八章과 미국 선교사 알렌(Young John Allen)이 1896년 펴낸 文學興國策 등이 있다. 梁啓超는 “서양 학교의 差等, 名 號, 章程, 功課에 대한 소개로는 德國學校, 新學八章, 文學興國策 등을 말할 수 있다”10)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이제 서양 선교사들이 중 국인들에게 소개한 서양의 교육제도는 어떠한 내용이었는지, 소개의 목적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1. 파버(E. Faber)의 德國學校規制
일찍이 “교육의 철저한 개혁은 중국이 다른 무엇보다도 필요로 하는 것”11)이라 하였던 독일인 선교사 파버(E. Faber)는 德國學校規制을 번역하면서 그는 중국의 지식인들로 하여금 器藝가 서양의 장기가 아 니라 학문임을 밝히기 위해 이 글을 번역하였다고 밝혔다. 동문관 산 학관의 교습이었던 李善蘭은 이 글에 序 를 썼고, 鄭觀應은 盛世危 言 學校 편에 德國學校規制를 옮겨 실어 독일의 교과과정, 교학방 식, 시험방법 등 학교제도를 소개하였으며 이후 변법파 인사들도 참고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소개는 청말에 서양 학교 제도 중에서도 독일의 것이 가장 잘 정비된 것이라는 인식이 형성되는데 결정적인 역 할을 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책에 소개된 독일 교육제도의 특징을 중국 지식인들은 “無地無學, 無事非學, 無人不學”으로 이해하였다. ‘無地無學’에 대하여 “鄕에는 鄕 塾이 있고, 郡에는 郡學이 있어 국경 내 학교가 없는 곳이 없다”고 소 10) 肖朗, 文學興國策與近代中,日,美文化敎育交流 (杭州, 浙江大學學報
32-1, 2002), p.21에서 재인용.
11) 장의식, 앞 글, p.40.
개하면서 전국적이고 체계적인 학교제의 수립을 설명하였다. 둘째, ‘無 事非學’이란 “文에는 仕學院, 武에는 武學院, 農에는 農政院, 工에는 技 藝院, 商에는 通商院이 있다. 四民의 業이 배우지 않는 것이 없다. … 무릇 모든 일은 반드시 전문적인 가르침이 있다.” 고 소개하면서 직업 별로 필요한 기본적 자질을 습득하게 하여 교육과 생계유지가 직접 연 결된다고 설명하였다. 셋째, ‘無人不學’에 대하여는 “남자도 배우고 여 자도 배우며, 평민도 배우고, 장애인도 배우지 않는 이가 없다. 부모가 없는 고아나 범죄 행위를 한 아동이라 해도 모두 학교에서 맡아 가르 친다. 나라의 公令은 8세 이상으로 입학하지 않으면 부모에게 죄를 묻 는다”고 소개하면서 이는 남녀․빈부귀천․장애인의 차별 없는 의무교 육의 실행을 설명하였다. 이로써 중국에서는 남성은 물론 여성과 빈민, 장애인을 포함하는 전 국민이 교육의 대상에 포함된다는 점이 서양 교 육제도의 가장 큰 특징으로 인식되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소개는 당시 서양 교육제도의 실제에 부합하는 것이었을까?
서양은 근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사회적 신분이나 경제적 지위를 가 진 소수 특권계층만이 누리던 교육의 혜택을 일정연령에 도달한 국민 에게로 확대한다. 국가가 차별 없이 교육 받을 국민의 권리를 인정하 여 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무상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특히 근대국가의 발달이 국민교육의 강화와 긴밀하게 연결된다는 인식이 확 대되면서 유럽 각국은 앞 다투어 의무교육을 추진하였다. 중국 지식인 들이 유럽 국가 중에서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하였던 것은 독일의 교 육제도였다. 독일은 1717년 의무 취학령을, 1736년에는 일반 학교령을 반포하여 아동의 의무교육, 교사 급료의 국가 지급, 가난한 자제에 대 한 수업료 면제 등을 규정하였다. 이는 유럽 최초의 초등학교 시행령 이었지만 실질적으로 의무교육을 실시하지는 못하였고, 영국은 1833년 에, 미국은 1852년 의무교육을 실시하였다. 독일은 공교육제도의 확립 에 있어서는 선구적 위치에 있었지만 그 내용에 있어서는 국가이익에 충실한 교육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평등한 교육권의 실 현이라는 현대 공교육의 이념과는 거리가 있었다. 당시 중국의 지식인
들이 독일 교육제도의 이러한 한계를 알고 있었는지의 여부는 분명치 않지만.12)
2. 티모시 리차드(Timothy Richard)의 新學八章
다음으로 중국 지식인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쳤던 소개로는 영국 선 교사 티모시 리차드(Timothy Richard)의 新學八章이 있다. 1845년 영국 웨일즈에서 태어난 리처드는 중국선교를 꿈꾸면서 20세 때 신학 대학에 입학하였고, 1869년 침례교 선교회(Baptist Missionary Society) 의 일원으로 산동에 파송되면서 중국과의 인연을 시작하였다. 중국어 에 능통했던 리처드는 1877년 선교사들이 조직한 益智書會를 모체로 하여 설립된 기독교 포교단체인 廣學會의 총무로서 이홍장, 좌종당, 증 국번 등 중국의 고위관료는 물론 강유위, 양계초, 담사동 등 변법파 인 사들과도 활발하게 교류하였다. 그는 이홍장과 당시 보수인사들의 ‘夜 郎自大’의 오만한 태도를 비판하면서 황실 귀족들로 구성된 서양 사찰 단의 파견을 건의하였다. 또한 강유위는 자신의 개혁사상이 리처드의 저작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밝힌 바 있으며 그를 광서 황제의 고문 으로 천거할 만큼 우호적이었다.13) 리처드 역시 강유위의 변법구상이 이전에 자신이 제안했던 다양한 주장과 건의들이 개괄, 응집된 것이라 고 평가한 바 있었다. 그는 중국의 유일한 희망이 교육이라고 생각할 정도로 중국의 교육개혁에도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중국 최초 의 교회대학인 산서대학을 설립하기도 하였다.
리차드는 1885년 영국 귀국 시 영국·프랑스·독일 등에서 수집한 자 료를 정리하고, 영국·프랑스·독일·미국·러시아·일본·인도 7개국의 교육
12) 김운삼, 유럽의 교육제도: 영국, 프랑스, 독일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5-1, 2008), p.80.
13) 리처드와 중국 관료 및 지식인들과의 교류관계에 대하여는 왕사악, 淸末英 國宣敎師 티모시 리차드(Timothy Richard)의 中國改革論 -敎育改革論과 制度 改革論을 中心으로-, pp.73-82.
을 비교하여 중국 실정에 맞는 교육개혁을 건의한 新學八章을 발표 하였다. 이후 증보되어 七國新學備要라는 이름으로 발간된 이 글의 1장에서는 외국의 新學사업, 2장에서는 외국의 학생 수, 3장에서는 외 국의 학교 운영 비용, 4장과 5장에서는 외국의 신문사와 서적관을 소 개하였고, 6장과 7장에서는 6개의 기준으로 중국과 일본의 학생수, 운 영비용, 신문사와 서적관의 수를 제시하였고, 마지막으로 8장에서는 중 국 교육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그에 의하면 학교는 初學, 中學, 上學으로 구분되는데 초학은 7∼15 세까지의 학생들이 문학과 산학을 배우는 과정이다. 우수한 학생들은 외국어를 함께 배우기도 한다. 중학은 15∼21세까지의 학생들이 道書, 史書, 志書, 富國學, 交涉學, 山學, 格物學, 化學, 電學, 重學, 製造學과 動植物學, 地學, 金石學, 畵學, 音樂, 農學, 商學, 體操學, 外國語 등을 배운다. 상학은 21∼26세의 학생들이 중학에서 배운 것과 같은 과목을 더욱 심도 있게 배운다. 리차드는 이와 같은 체계적인 학교 시스템이 서양이 전문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원동력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이 글에서 리차드는 국가가 학교의 운영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것 임을 소개하고 있다. 국가와 지방, 학생이 공동으로 비용을 부담하는 영국, 학교에서 절반을 부담하는 프랑스, 학생이 학비를 전혀 부담하지 않는 독일 등 서양 각국이 교육비를 조달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면서 국가가 신식학당의 경비를 조달할 필요가 없다는 중국 내 의 여론에 반대하였다. 그는 국가가 교육에 투자하여 차세대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은 장래에 큰 이득을 볼 수 있는 일종의 투자라는 의미에 서 ‘母錢’이라고 표현하였다. 그는 이 ‘母錢’의 효과를 가장 크게 본 나 라는 독일과 일본이라고 소개하면서 청 정부가 각 학교의 설립 경비 및 운영비를 매년 출자할 것과 각 지역의 신사 부호들에게 권유하여 부족분을 채우도록 할 것을 제안하였다.14)
리차드는 자신이 제안하고 주장한 교육개혁을 직접 실천에 옮기려 14) 孫邦華, 論晩淸來華新敎傳敎士的敎育興國思想 (上海, 歷史敎學問題 2008
-1), p.62.
고 노력하였다. 1870년대 말부터 1880년 초까지 이홍장, 좌종당 등 양 무관료에게 근대 교육제도의 실시를 건의한 바 있었고, 1884년에는 산 서성 안찰사에게 교육개혁을 통한 부강을 건의하고 교육에 투자할 것 을 권유하기도 하였다.15)
3. 알렌(Young John Allen)의 文學興國策
다음으로 중국인들에게 영향을 크게 미쳤던 소개로는 미국 감리회 선교사 알렌(Young John Allen)이 1896년 펴낸 文學興國策이 있다.
알렌은 1867∼1883년까지 상해 광방언관에서 교사로 일한 바 있었으 며, 강남제조국에서 자연과학과 서양 각국의 역사와 관련된 책들을 번 역 출판하였다. 또 萬國公報16)의 주편으로서 중국 사회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혁안을 제시하여 변법운동을 추진한 중국 지식인들에게 지 대한 영향을 미쳤다.
앞서 살펴 본 서양 선교사들과 마찬가지로 알렌 역시 중국의 교육 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여러 선교사들과 함께 中国教 育会를 만들었고, 1881년에는 상해에 中西书院을 건립하였다. 그는 이 서원이 ‘中西并重’의 교육원칙에 따라 새로운 시대의 인재를 양성할 것 을 기대하였으며 중국의 지식인들이 虚名을 좇지 않고 실제를 우선하 는 태도를 가질 것을 희망하였다. 中西书院이 1912년 동오대학에 편입 될 때까지 학생 수가 많지는 않았지만 外交部门, 海关, 对外贸易, 近代 工厂, 新式学堂, 北洋海军 등의 부문에서 기초를 닦은 인재들을 배출해
15) 왕사악, 앞의 글, p.48.
16) 萬國公報는 1868년부터 발간된 교회신보의 개명판으로 왕공대신이든 명 문 규수이든 부유한 상인이든 가난한 농민이든 누구나 읽을 수 있는 유익한 신문을 만들겠다는 의도로 출판되었다. 이 신문은 청일전쟁 상황을 상세히 보 도하여 중국인의 관심을 더욱 끌었으며, 청일전쟁 패배 이후 판매량이 차츰 증 가하여 무술변법 시기에는 발행량이 38,000여부까지 증가하였다. 강유위, 양계 초 등 변법파 인사들은 이 신문을 정기구독하면서 자신들의 주장에 만국공보 를 인용하기도 하였다.
냈다.
文學興國策은 일본의 문부대신 모리 아리노리(森有禮)가 미국의 교육계와 정계 유명 인사들로부터 받은 서신을 모아 엮은 Education in Japan: A Series of Letters를 알렌이 번역하고, 중국인 任廷旭의 윤색과 교정 후 1896년 출판한 것이다. 일본의 초대 문부대신이었던 모리 아리노리는 주미 대리공사 시절 미국의 교육계 및 정계 인사들에 게 서신을 보내 미국의 교육제도에 대한 소개와 일본의 교육발전을 위 한 조언을 청하였다. 답신을 보내 온 13명 중 4명은 대학교장, 2명은 대학교수 출신이며 나머지 인사들도 정부관원, 실업가 등 교육과 밀접 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17)
알렌은 1867년부터 1883년까지 16년 동안 강남제조국 번역관에서 근 무하면서 중국 상류층 인사들과 접촉한 경험을 통해 보수적인 전통 지 식인층을 변화시키는 것이 우매한 중국인을 계몽하고 중국을 개혁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하였던, 이른바 교육과 계몽을 통한 간접선 교의 실천자였다. 특히 청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한 것은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진행한 성공적인 근대화 덕분이라고 생각하였다. 일본이 미국의 교육제도를 본받아 개혁에 성공한 것처럼 중국도 일본을 모델 로 삼아 서구 교육제도를 수용하고 교육개혁을 단행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알렌은 자신이 “문학의 舊法을 변하게 하여 우매한 인심 을 밝히고 富國의 국세를 이루기 위해” 이 책을 번역하였다고 밝히면 서18) 중국 교육개혁의 모델로서 미국의 교육시스템, 교육이념 등을 소 개하였다.
책에 소개된 미국의 전국적인 학제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17) 답신을 보내온 13명의 인사의 출신 및 경력 및 답신의 구체적 내용에 대하여 는 肖朗, 文學興國策與近代中,日,美文化敎育交流 (杭州, 浙江大學學報 32-1, 2002), p.16; 김소정, 미국 개신교 선교사의 중국화 번역 전략:
Education in Japan에서 문학흥국책으로의 전변 (중국연구 49, 2010), pp.4, 11.
18) 장의식, 앞 글, p.61.
高等敎育 普學院(大學本科) 大書院(大學豫科)
中等敎育 高等學堂, 中書院(高級中學) 文法學堂, 高等學堂(初級中學) 初等敎育 奇養學堂(高級小學)
啓蒙公學, 蒙館(初級小學)
<표1>19)
이 책은 미국의 의무교육제도를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책에 따르 면, 미국은 중앙정부 내에 전국 교육을 총괄하는 文學部가 있고, 문학 부는 전국적인 학제 시스템을 반포하고 학관을 선출하며 각급 학교건 설을 주관한다. 국가는 평등주의에 입각한 교육이념에 따라 의무교육 을 실시한다. 초등교육은 국가가 주관하는 의무교육으로서 남녀와 빈 부의 차별이 없이 실시한다. 각 府州縣城에서 鄕鎭까지 학교가 설립되 지 않은 곳이 없으며, 7세에서 14세까지의 아동이라면 누구나 다 입학 한다. 독서와 글쓰기를 통해 언어와 문자를 습득하며, 수셈을 배워 장 래의 격치와 통상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 역사와 지리를 배워 본국과 외국의 지리에 대해 익힌다.
또한 교육에 있어 남녀의 차별이 없음은 물론 여성교육을 강조하였 다. 집안의 편안함과 즐거움은 대부분 여성으로부터 시작되며, 특히 자 녀에게 있어서 어머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어머니는 자녀에게 최 초의 교사이므로 후대에 현명한 자손을 배출하려면 먼저 지금 여성을 교육시켜야 한다고 소개하였다. 미래의 賢母를 양성할 수 있고, 賢母에 게 교육받은 자녀들은 진정한 인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고려 하에 여성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이는 전통적으로 여성은 ‘재주가 없는 것이 덕’이라는 관념이 지배적인 중국 사회의 폐단을 지적한 것이었다. 사실 여전히 科擧 지향적이어서 전통교육기관을 선호하였지만 科擧와 무관 한 여성의 경우 교회학교가 빠르게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한 서 양 선교사들은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대중에게 홍보하여 19) 肖朗, 앞 글, p.18.
信徒를 확보한다는 선교사로의 목적 이외에 민지의 개발을 통한 사회 계몽이라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서양 선교사들은 여성 교육기관의 설 립에도 적극적으로 동참하였다. 1898년 經元善, 梁啓超 등이 세운 經正 女學도 학교 운영방침이나 교학 내용 등을 교회 학교에서 본 따기도 하였으며, 알렌의 딸은 이 학교의 西文 總敎習으로 초빙되기도 하였 다.
알렌의 文學興國策은 청일전쟁 패배 이후 망국·멸종의 심각한 위 기의식을 지닌 중국 지식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강유위는 일본을 스승으로 삼는 것을 꺼리지 말자는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하면서 일본 식 모델의 도입을 강력하게 주장하였고, 많은 중국의 지식인 사이에서 도 일본을 본받아 교육개혁을 추진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었다. 한 림원 편수 龔心銘는 이 책의 서문에서 중국이 서양의 교육제도를 통해 배워야 할 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무릇 중국의 교육은 백성 중에서 우수한 자를 선발하여 학교에 보내 며, 남학은 있지만 여학은 없다. 우수한 자는 배워야 하지만 우매한 자는 배우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했으며, 선비는 배울 수 있지만 百工은 배울 수 없었다. 아! 좁구나. 서양의 대서원, 보학원은 학문이 완비되어 있으며 과거 급제자가 그 안에서 나온다. 그 외 고등학당, 중등학당에는 남학도 있고 여학도 있다. 우수한 자도 배우고 우매한 자도 역시 배우며 백공도 배우지 않는 자가 없다. 규칙과 제도가 엄격하게 갖추어져 있고 정연하게 조리 있고 적용되는 것을 취하고 허문을 취하지 않으니, 중화인의 이 책 을 눈으로 보기만 하고 뜻은 잘 알지 못하면서 비난을 늘어놓는 것에 비 하면 훨씬 낫지 않는가?20)
이상을 정리해보면 서양 선교사들은 서양 각국은 국가가 강력한 의 지를 가지고 교육제도 마련에 노력하였음을 소개하고 있다. 의무교육 의 실시, 각 급 학교의 설립, 교육비의 국가 부담 등 교육에 있어서 국 가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하여 소개하고 있다. 이는 청 정부가 주도 하는 교육제도의 마련과 교육개혁이 절실함을 설명해주는 것이라 할 20) 김소정, 앞 글, p.10.
수 있다. 또한 차별 없는 평등한 교육기회의 제공을 통해 중국 국민을 계몽하고, 중국 사회와 문화를 변화시키기를 희망한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그 저변에는 서양 문화에 대한 우월감이 전제되어 있었고, 중국 의 기독교화 라는 본래의 목적이 숨겨져 있었지만 이들의 소개를 통해 중국에서 서양 교육제도에 대한 인식이 심화되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Ⅲ. 중국 지식인들의 소개
청조의 외교관원으로서, 혹은 견문을 넓히기 위한 개인 여행으로 서 양을 직접 경험한 근대 중국 지식인들은 일기나 견문록을 통해 서양과 일본의 교육제도를 소개하였다. 중국 지식인으로서 개인자격으로는 처 음으로 유럽에 도착한 王韜, 청 정부가 공식적으로 파견한 첫 번째 외 국 주재 공사였던 郭嵩燾, 서양 4개국 외교공사였던 薛福成, 초대 駐日 參贊官이였던 黃遵憲 등이 그러하였다. 이들은 의무교육의 실시, 전국 적인 교육체제와 과학을 중시하는 교육내용을 서양과 일본 교육제도의 특징으로 소개하였다.
1. 서양 교육제도 소개
王韜는 1848년부터 영국 런던회 선교사인 매드허스트(Walter Henry Medherst)가 上海에 세운 중국 대륙 최초의 번역기관인 墨海書館21)에 서 수학, 물리, 천문, 지리 등 서양 과학서적의 번역 작업에 참여한 바
21) 런던 선교회는 上海에 영국 조계가 만들어지자 조계지 내에 토지를 매입하여 교회 부지를 마련하고, 이 안에 교회와 부속시설, 병원과 출판사 등을 설립하 였다. 이 출판사는 중국 근대 최초로 인쇄기를 이용한 출판기관으로서 성경의 번역과 선교 자료의 간행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지만 수학, 물리, 천문, 지리 등 서양의 최신 과학과 서양을 역사를 중국어로 번역하여 소개하는 일도 하였다.
있었던 선교사 레그의 귀국길에 동행하면서 서양을 직접 경험하게 된 다. 홍콩, 싱가포르, 페낭, 스리랑카, 아덴, 홍해, 카이로, 수에즈 운하, 지중해, 마르세유, 파리를 거쳐 영국에 도착한 王韜는 중국 지식인으로 서 개인 신분으로는 처음으로 유럽 땅을 밟은 것으로 추측된다.22) 그 는 2년 여 동안 서양을 경험하면서 서양의 문화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 을 갖게 되었고, 이를 자신의 견문록에 소개하였다. 그는 영국의 교육 제도를 다음과 같이 소개하였다.
영국인은 글을 중시하여 어린 나이에 학교에 들어가 공부하고 어른이 되면 사방으로 나아가 사업을 경영한다. 그러므로 미천한 신분의 노동자 나 거친 일에 종사하는 인부라도 대부분 글을 알아 책을 읽는다. 여자도 남자와 같아 어려서부터 배워 익히니 서화, 산술, 천문, 지리학 등 모두 깊이 연구하여 그 정밀한 이치를 터득하게 된다.23)
남녀, 빈부의 차별 없이 모두에게 열려있는 평등한 교육의 기회가 영국 교육제도의 핵심임을 파악한 王韜는 또 서양이 “천문학, 지리학, 전기학, 열학, 기체학, 광학, 화학, 물리학 등을 실제적인 학문으로 여 기고 공허하며 기교적인 時文을 숭상하지 않는다”24)고 소개하면서 과 학을 중시하는 서양의 교육풍토를 높이 평가를 하였다. 영국의 학교에 서는 역산, 병법, 천문, 지리, 서화, 음악과 외국어 등 다양한 학문을 배우고 한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배운 것은 모두 바로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 실용적인 학문임을 동경하였다.
王韜는 일찍부터 서양 교육제도를 동경하였지만 그의 설명은 구체 적이거나 세밀하지 못하였고, 의무교육, 공교육의 실시, 교육내용의 측
22) 王韜는 漫遊隨錄·自序에서 “수십 개국을 거처 7만 리를 오고가는 동안 파 도는 그 장대한 뜻을 북돋우고, 바람과 비는 그 감흥을 일깨우는 것 같았는데 모두 만족스러웠다. 특히 즐거운 마음에 우쭐하게 만든 것은 내가 가장 먼 서 쪽에 도달했다는 사실이었다. 나는 처음으로 길을 개척한 사람이며 남들보다 앞섰다. 학자나 관리를 막론하고 그 누구도 이곳에 이르지 않았고, 문인들 역 시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고 밝혔다.
23) 王韜, 漫遊隨錄, p.482.
24) 王韜, 漫遊隨錄, p.116.
면에서는 과학교육의 중시, 실용성을 강조하는 부분 등을 서양 교육제 도의 특징으로 소개하였다. 그러나 王韜의 교육활동 중에서 주목할 것 은 그가 전국 각지의 서원을 학당으로 개조하여 서학 교육을 담당할 것을 주장하였고, 이 주장을 실천에 옮기고자 노력하였다는 점이다. 王 韜는 일찍부터 서양의 자연과학에 관심을 두어 格致新學提綱, 光學 圖說, 重學淺說 등 번역에 참여한 바 있었고, 유럽에 다녀 온 이후 로는 實學을 중시하는 서양 교육제도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1884년 上海 格致書院 山長職을 맡으면서 서원을 개혁하고자 하 였다. 上海 공공조계 北海路에 위치한 서구 자연과학을 전문적으로 교 육하는 신식 교육기관으로서 도서관, 박물관, 강연장 및 서구의 기계, 실험도구, 동식물 표본실 등을 갖춘 종합적 교육기관인 格致書院에서 王韜는 자연과학 지식의 학습과 국내외 실제문제를 연결한 것으로 이 른 바 ‘漢語論文競爭項目(Chinese Prize Essay Schame)’이라 부른 시 험제도를 만들었다. 서양 선교사와 양무 관료 등 서원 밖의 저명인사 들이 문제를 출제하고, 평가한 후 순위를 매겨 성적 우수자에게는 상 금을 주도록 하는 이 시험방식은 과학지식과 서학을 배우는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쳤다. 서학의 내용과 중국 전통의 작문시험 의 방식을 접목시킨 이 시험은 지식계의 큰 호응을 얻었고, 후에 薛福 成은 이 서원의 방식을 따른 유사한 서원을 寧波에 세웠으며, 康有爲 는 上海에서 强學會를 설립할 때 王韜를 방문하고 格致書院을 참관한 바 있었다.25)
청조의 첫 번째 외국 주재 공사였던 郭嵩燾는 1874년 ‘마가리 사건’
에 대하여 사과하기 위해 영국에 파견되었다. 외교 공사로서 그의 임 무는 출발부터 치욕적인 부분이 있었기 때문에 중국인들의 비난을 받 으면서 시작되었고, 자신의 부하인 劉錫鴻 등의 계속되는 비방과 공격 으로 인해 임기를 마치지 못한 채 귀국하였다. 그러나 실제 해외에서 의 경험은 郭嵩燾로 하여금 세계 속 중국의 위치에 대해 생각하는 기 25) 格致書院에서 王韜의 활동에 관하여는 김경혜, 上海에서의 王韜 (한중인
문학연구 28, 2010)를 참고하였다.
회를 제공하였다. 그는 영국, 프랑스에 도착한 이후 여러 곳을 방문하 고, 다양한 서적을 읽으면서 서양 문명에도 장구한 발전의 과정이 있 다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특히 “230∼40년 이전 유럽 각국은 날로 부 강해지고 本源을 추구하였는데 이 모두는 학문 탐구의 공”이라고 평가 할 만큼 서양 학문에 대해 높이 평가하였다.26)
다음은 薛福成이 소개한 서양 교육제도의 특징이다. 설복성은 1890 년 영국, 프랑스, 이태리, 벨기에 4국 외교사절로 해외 생활을 시작하 였다. 처음 그는 郭嵩燾의 서양의 국정과 국민들의 분위기 등에 대한 흠모와 칭찬이 지나친 과장이 아닌지 의심하였지만, 자신이 서양 4개 국에 외교 사절로 파견되어 직접 경험한 이후에 비로소 그 말이 과장 된 것이 아님을 인정하였다.
서양 각국의 백성을 교육하는 법이 지금처럼 흥성한 때가 없었다. 무 릇 남녀 8세 이상 입학하지 않는 자는 부모에게 죄를 묻는다. 남자는 물 론 여자도 교육받지 않는 이가 없고 장애인도 마찬가지이다. 가난하거나 어려서 부모를 읽은 고아들은 義塾에서 맡아 교육한다. 鄕에는 鄕塾이 있 고, 군․성에서 수도에 이르기까지 학당이 즐비하여 대학․중학․소학이 모두 있다.…文에는 仕學院이 있고, 武에는 武學院, 農에는 農政院, 工에 는 工藝院, 商에는 通商院이 있다. 비단 士만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兵․
工․農․商 모두 교육하지 않는 것이 없다.27)
학교에는 남녀 아이들이 삼백 명 쯤 있었다. 주방, 서고, 욕식, 식당, 독서당, 강연당, 공작실, 공연당, 세탁소, 남자·여자학생을 위한 침실이 있 는데 모두 질서정연하였다.…선생은 모두 여자인데 마치 자신의 아이처럼 아이들을 사랑하였다. 총명한 아이는 대부분 학업에서 성과를 나타낸다.
다음은 兵丁, 樂工, 畵師, 木匠, 裁衣,…가 된다. 오호! 터럭만큼의 아쉬움 도 없이 완벽하다.28)
그는 또 서양인들이 算學, 化學, 電學, 光學, 聲學, 天學, 地學과 일체 의 格致學을 배우는데, 각 분야는 또 수십, 수백여 부문으로 세분화하
26) 장개원 지음, 손승회 옮김, 앞의 책, pp.150-252.
27) 薛福成, 出使英法義比四國日記 (長沙: 岳麓書社, 1985), pp.290-291.
28) 鍾叔河, 앞 책, p.342.
여 전문가를 양성하고 그들의 전문성을 인정하여 서로의 영역을 침범 하지 않는다고 설명하였다.29)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王韜, 郭嵩燾, 薛福成 등은 비교적 이른 시기에 서양을 직접 체험하면서 서양의 교육제도야말로 시대가 요구하 는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제도이며, 의무교육을 통해 民智를 개발하는 것이 서양을 부강하게 만든 근본 원인임을 분명 하게 깨닫고 있었다.
교육을 통해 중국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는 청일전쟁 이후 더욱 강렬해졌다. 과분·망국의 위기에 직면하여 사회 전반에 걸친 제도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으며 국가의 운명이 인재의 양성에 달려 있다는 측면에서 교육개혁은 다른 어떤 부문에서 의 개혁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졌다. 이제까지 교육개혁의 모범이었던 서양과 함께 전쟁 상대국인 일본에 대한 관심도 더불어 증대되었다.
梁啓超와 康有爲 등 변법파는 중국과 일본은 지리적으로도 매우 가까 이 있을 뿐 아니라 풍속이 유사하고 문자가 서로 이해하기 쉽다는 장 점을 가지고 있으며 서양으로부터 받은 충격이나 압박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비슷하다고 지적하면서 일본을 배울 것을 주장하였다. 어제의 적인 일본으로부터 배우는 것을 수치스럽게 여기지 말자는 康有爲의 주장과 일본이 서양으로부터 배운 성과를 충분히 이용해야 한다는 梁 啓超의 주장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것이었다.30) 1901∼1903 년 사이에 일본의 각 급 학교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한 글들은 90 여 편에 달하였다.
2. 일본 교육제도 소개
일본의 메이지 정부는 집집마다 교육을 받지 않는 사람이 없도록 29) 薛福成, 薛福成選集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87), pp.422-433.
30) 王曉秋 지음, 신승하 옮김, 근대 중국과 일본-타산지석의 역사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pp.122-123.
할 것을 목표로 국민교육을 실시하면서 교육개혁을 단행하였다. 메이 지 정부는 1871년 문부성을 설치하고, 1872년 학제를 반포하였다. 그에 따르면, 전국을 8개 大學區로 나누고 하나의 大學區를 다시 32개의 中 學區로, 하나의 中學區를 다시 210개의 小學區로 나누고, 小學區마다 1 개의 소학교를 건설하도록 하여 전국에 53,760개의 소학교를 건립할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소학교 건설비 및 운영경비 조달의 문제로 인 해 1873년 설립된 소학교는 전국적으로 12, 558개에 그쳤고, 취학률도 매우 낮아 목표에 근접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자 정부는 1879년 학제를 폐지하고 교육령을 제정하였다. 이 교육령에 따라 초등 3년, 중등3년, 고등2년의 과정으로 바뀌었고, 초등과는 의무교육이었다.
처음에는 취학률이 매우 낮았지만 1900년 수업료 징수가 폐지된 후에 는 취학률이 상승하여 1907년에 이르러 취학률이 95퍼센트 이상으로 올라섰다. 1881년에는 중학교 교칙대강이 마련되어 “중학교는 고등의 보통학과를 가르치는 곳으로 中人이상의 업무를 담당하기 위해 혹은 고등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배워야 하는 필수과목을 가르치는 곳”으로 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31)
일본의 교육제도에 관한 중국에서의 최초의 소개는 萬國公報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1878년 4·5월호에 “일본 전국은 3부 62현인데 여기 에 7대학구를 분설하고 다시 매 대학구는 다시 5중학구로 나누었다.
매 중학구에는 소학이 있는데, 그 수가 아주 많고 벽촌까지 설립되어 있다. 무릇 자녀가 6세가 되면 남녀 빈부를 막론하고 모름지기 고르게 취학시킨다”는 소개의 글이 실렸다.32) 이후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사 회를 소개한 저작들이 나왔지만 영향력이 가장 컸던 소개는 黃遵憲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黃遵憲은 1877년 일본 초대 공사 何如璋을 따라 초대 駐日參贊官으 로 일본으로 가 5년 동안 체류하였다. 그는 메이지 정부가 추진한 정 31) 메이지 시대 학제개편에 관하여는 유모토 고이치 지음, 연구공간 수유+너머 동아시아 근대 세미나팀 옮김, 일본 근대의 풍경 (그린비, 2004), pp.390-419.
32) 장의식, 淸末 중국 전통교육의 근대적 전환 (대구사학 69), p.331.
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방면에 걸친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일본 의 개혁을 체계적으로 소개하면서 1879년부터 1887년까지 8년에 걸쳐
日本國志를 완성하였다. 이 책은 1895년 출판되었고, 1898년에는 수 정본이 출판되면서 중국에 최초로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체계적으로 소개한 저작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黃遵憲은 日本國志 중에서 일본도 원래 중국처럼 쇄국을 하였지 만 개항 이후 온 나라가 모두 발분하여 부강을 도모하고 서양을 학습 하는 유신을 단행함으로써 세계 강대국과 경쟁할 수 있게 되었다고 메 이지 유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일본을 본받아 중국도 개혁을 이 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는 일본의 교육제도에 대하여 특별 한 관심을 보였다. 日本國志를 통해 소개한 일본 교육제도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소학교에는 독서, 習字, 산술, 지리, 역사 등의 학과가 있다. 6세부터 14 세까지를 학령기로 규정하여 의무적으로 입학하도록 하며, 그렇지 않으면 부모를 벌한다. 중학교도 소학교와 같은 과목을 배우는데 심화된 내용을 배운다. 사범학교는 교원을 양성하여 그 이익을 크게 한다. 전문학교는 학술연구를 주로하며 전문가의 양성을 기대한다. (실업교육과는 별도로 대학교육이 있는데) 동경대학의 경우 법학, 이학, 문학의 3학부로 나뉜다.
성적 우수자는 국비 유학생으로 외국에 나갈 수 있다. 전과학교와 대학교 에는 동물원, 식물원, 금석실, 고생물실 등 부속기관이 있어서 실험을 할 수 있게 한다. 각 관과 省에서는 법률, 농업, 지리, 의학, 산학, 화학, 천 문, 육해군 등에 관련된 서양의 서적들을 경쟁적으로 번역하여 학생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돕는다.33)
이처럼 淸末의 외교사절과 서양 및 일본을 직접 경험한 지식인들은 서양과 일본의 의무교육, 소·중·대학으로 연결되는 전국적인 학제의 마 련, 실용적인 교육내용을 본받아야 할 이상적인 교육제도로 소개하였 다. 그들은 문맹의 차원을 넘어서 전문적 지식을 배움으로써 생계를 유지하고 더 나아가 일정한 문화 수준을 갖춘 국민의 양성을 중시하였 다. 民智의 개발이 국가적 위기를 타파하고 국가를 부강하게 만드는 33) 鄭海麟 著, 黃遵憲傳 (北京: 中華書局, 2006), p.248.
데 필수적이라는 인식도 형성되었다. 서양과 일본의 교육제도에 대한 소개를 통해 형성된 이러한 인식이 변법운동 이후 청말 교육개혁의 방 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었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무술변법운동 당시 康有爲는 각 省의 書院을 학당으로 개편할 것을 건의하면서 6세 이상의 民人子弟를 모두 소학에 입학시킬 것을 주장하 였다. 무술정변 이후 서태후의 개혁조치에 대한 취소와 경비부족, 교사 초빙의 어려움 등의 문제로 인해 학당개편 및 설립은 사실상 중단되었 지만 소-중-대학으로 연결되는 전국적 학제 마련을 위한 노력은 계속 되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청 정부는 1904년 癸卯學制를 반포하여 전국적으로 실행하고자 하였다. 癸卯學制는 중국에서 법령형식으로 공 포하고 전국에 보급된 최초의 학제로서 멀게는 독일의 것을, 가깝게는 일본의 것을 모방한 것으로 초등 소학당 5년, 고등 소학당 4년, 중학당 5년, 고등학당 또는 대학예과 3년, 본과 대학당 3-4년과 通儒院 5년의 9-5-3-3제로 구성되어 있다. 또 각 省에 대학당의 설립을 허가하며 총 리학무대신과 학무처를 설립하여 전문적인 교육행정기구를 마련하는 것도 癸卯學制의 주요 내용이었다. 또 신해혁명 이후 반포된 1922년의 壬戌學制는 미국 학제를 따라 6-3-3-4제를 채택하여 초등교육 6년(초 급 소학4년, 고급 소학2년), 중등교육 6년(초급 중학 4년, 고급 중학 2 년), 고등교육 3년∼6년(대학교4∼6년, 전문학교 3년 이상)로 구성되었 다. 이 학제들은 이전부터 축적되어 온 전통교육의 개혁방안 및 그 대 안으로 제시된 서양 교육제도에 대한 소개 및 이해를 바탕으로 형성된 것이었다.
Ⅳ. 결 론
본 논문은 청말 교육개혁에 모델이 되었던 서양의 교육제도가 어떻 게 중국 사회에 어떻게 소개되었는지를 밝힘으로써 청말 교육개혁의
방향과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양 교육제도에 대한 소개는 크게 두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그 하나는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서였고, 다른 하나는 서양을 직접 경험한 중국 지식인들에 의해서였다. 서양 선교사 들은 선교활동을 통한 중국의 기독교화 라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중국의 교육개혁을 제안하였고, 실제로 중국 교육개 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간접 선교의 일환으로서 교육의 역할을 중시하였고, 교육개혁을 통해 중국 사회의 계몽과 문화수준의 향상이라는 목표를 이루고자 하였다. 한편 서양을 직접 경험한 중국인 들은 청 정부를 대표하는 외교 사절로서 또는 중국의 운명을 심각하게 걱정하는 책임감 있는 지식인으로서 서양의 교육제도에 주목하였다.
이들이 서양의 교육제도를 중국에 소개한 목적은 달랐지만 강조하여 소개한 내용은 의무교육, 소·중·대학으로 연결되는 전국적인 학제의 마 련, 자연과학 지식의 중시 및 실용적인 교과내용 등으로 비슷하였다.
淸末의 지식인들은 서양 교육제도를 모델로 삼아 교육 개혁을 추진하 고자 하였다. 문맹의 차원을 넘어서서 일정한 교육수준을 지닌 국민의 양성이 서구 열강의 침략이라는 국가적 위기에서 탈피하고 국가를 부 강하게 만들기 위해서 필수적이라는 인식은 서양 교육제도의 소개를 바탕으로 형성되었으며 중국 근대 학제의 마련에도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ducational System in Late Qing Dynasty
Kim, Kyeong Hye
This research traces how the Western educational system, the model of Qing’s educational reformation, was introduced in late Qing and explores the path and content of the educational reformation in late Qing dynasty.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ducational system approaches from two different directions. One of those comes from Western missionary and the other comes from Chinese elites who have explored the western culture. The Western missionaries propose China’s educational reformation as a part of their mission and introduce the Western educational system, which later triggers the China’s educational reformation. They endeavor to enlighten Chinese society and improve cultural standards through educational reformation.
German missionary E. Faber propagates the idea of ‘無地無學, 無 事非學, 無人不學’, meaning there is no place without school, process of learning and people getting no education in a country, and asserts that Germany has the perfect educational system.
Timothy Richard advertises the educational system consis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by introducing European,
American and Japanese educational system. Moreover, he also presents that Country must support partial educational costs.
American missionary, Young John Allen, states that China should model after America or Japan and embrace the Western educational system like Japan did. Moreover, he also states that women, future mothers who cultivate next generations of talents, also must be educated.
Meanwhile, Chinese, who have experienced Western culture, pay close attention to western educational system as diplomatic delegations and as liable elites with serious concerns about problems in China. They present enforcement of compulsory education regardless of gender and class, nationwide school system connecting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college , the emphasis on natural sciences and many more.
The Western educational system introduced by these peop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objective and direction of modern Chinese educational reformation.
주제어: 서양 교육제도의 소개, 서양 선교사, 청 외교관원, 중국 지식인, 청말 關鍵詞: 介紹西洋敎育制度, 西洋傳敎士, 淸 外交官員, 中國近代知識人, 淸末敎育교육개혁 Keywords: Introduction of western educational system, western missionaries,改革
diplomatic delegation, Chinese elite, educational reformation
(원고접수: 2011년 10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12월 12일, 수정원고 접수: 12월 20일, 게재 확정: 12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