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의 近代 國 動 驅 의 리더십* 瑾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의 近代 國 動 驅 의 리더십* 瑾"

Copied!
38
0
0

Teks penuh

(1)

의 리더십 * 秋瑾

( )

具 聖 姬 淑明女大

. 序 論

성장배경과 결혼생활 .

의 여성해방운동과 혁명활동 . 秋瑾

의 리더십 .秋瑾

Ⅳ .結

. 序 論

리더십은 인류역사에서 끊임없는 관심거리였다 리더십이 인간에게

.

큰 관심사가 되어온 이유는 무엇일까

?

그것은 인간이 조직생활을 하 기 때문이다

.

‘강한 장수 밑에 약한 졸개 없다 는 말이 있다 이 격언’

.

은 조직구성원이 리더의 행동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단적으 로 말해 준다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리더는 구성원의 특성을 잘 살

.

피고 이들을 통합하여 시너지효과를 이끌어내야 한다 이러한 리더의

.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은 수많은 역사적 사건에서 증명되고 있다 이순

.

신이 명량해전에서

12

척의 배를 이끌고 수적으로 우세했던 왜군을 무 찌름으로써 수세에 몰려 있던 전황을 완전히 뒤바꿔 놓은 것은 이순신 의 리더십1)을 알지 못하고서는 설명할 수 없는 사건이다

.

‘난세에 영

본 연구는 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해 연구되었음

* 2003

(KRF-2003-074-BS0030)

1) 이웅규 이영관, , 이순신의 리더십 분석을 통한 대학생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2)

웅이 나온다 는 말은 이순신의 경우처럼 조직 환경이 어려울 때 난국’ 을 전환시킬 수 있는 리더의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

한 리더십은 가정이나 조직 그리고 기업의 국면전환

,

선회전략 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가정이나

(turnaround strategy)

조직 그리고 기업의 변환과정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된 다 결국 리더십이란 어떤 특수한 상황에서 한 개인이 목표달성을 위

.

해 다른 개인이나 집단의 행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과정이다

.

2)

본고는 淸末 격동의 시대에 여성해방운동3)과 혁명활동에 강력한 리 더십을 발휘한 秋瑾

(1879- 1907)

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4)

근대 중국여성해방운동의 선구자5)로 불리 우는 추근은 어릴 때부터

개발방안 이순신연구논총 제 호3 (2004), pp.132-133.

2) 이강옥 노언필 송경용 , 21C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 무역경영사( , 2001), p.9.

3) 진정한 의미의 여성해방운동이란 여성이 주체적인 인간으로서 그들의 정신 속에 남녀 관계에서의 차별성이 아닌 상호성과 호혜성을 확립해 보려는 인식 과 의지에 바탕을 둔 노력이며 이것을 실현시켜 나가려는 것이 여성운동의 최 선의 방향이며 최종적인 목표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중국의 경우 전통적인. 가부장적 윤리 체계 속에서 생긴 규범과 질서의 유산인 축첩제 童養媳 早 독단적인 봉건 혼인 금지 전족 등이 폐지되지 않고서는 여성의 자 再嫁

주적 인간으로서의 인식은 불가능한 것이다.

4) 郭沫若은 秋瑾史迹에서 추근은 민족해방운동 뿐만 아니라 부녀해방운 동을 위해 선각자의 典型을 세웠다 고 평가하고 있다 .

5) 박인성, 秋瑾後期詩歌 內容考 中國語文論叢 15(1998.12), 중국의 전통사회에서는 여성의 권리는 출생과 동시에 제한받고 pp.449-450 :

비하되었다 한 세기 전에 이미 추근은 질곡의 삶을 살고 있던 여성들의 문제. 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의 시정과 타파를 제창하였다 추근은 남성에 대한. 여성의 불평등한 지위와 권리를 연설문 敬告中國二萬萬女同胞와 미완성 유 고인 彈詞 精衛石에서 자세히 언급하고 있는데 여아로 태어나면 축복은커, 녕 홀대와 멸시를 받던 상황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비판했다: 태어나 좋은 아버지를 만나면 그런대로 괜찮지만 성질이 거칠고 사리를 분별 못하는 아버, 지를 만나면 계속 재수 없게 또 쓸모없는 딸이군 하면서 아이를 들어 던져 죽이지 못해 씩씩거린다 늘 앞으로 다른 집 사람 될 텐데 라고 하며 냉대하. 고 백안시한다(敬告中國二萬萬女同胞).” “하녀가 주인에게 출산 소식 알리니 나으리 노기등등하게 딸 낳은 일이 알릴만한 일이냐 ?’ 이렇게 부산을 떨게, 낳으면 딸이니 어찌 조상의 이름 빛낼 때가 있겠는가 라고 말하네?” ( 精衛石 이렇듯 출생과 동시에 차별과 핍박을 받은 여성은 성장하면서 교육의 기 ).

(3)

무술과 詩作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

6) 부모의 명에 따라 혼인을 하 였지만 남편을 따라 북경으로 이주한 후 청조의 무능함 남편의 방종․ 한 생활 등에 자극을 받아 가정을 벗어나려는 최후의 결정을 하고

년 동경유학을 떠나게 되었다

1904 .

7) 동경유학 중에 추근은 天足運 발간 재건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

귀국 후에는 動․ 白話 ․共愛會

발간 여성교육의 제창 및 여군조직 무장봉기 등을 추진하

中國女報 ․ ․

여 救國의 염원과 중국여성의 해방을 호소하며 중국여성이 나아가야

,

할 길을 제시하였다

.

이와 같이 추근은 淸末에 활약한 혁명가였지만 생애의 전반기에는 전통적인 서정시를 주로 쓴 당시의 전형적인 규수였다

.

8) 하지만 격변 하는 국내외 정세는 그녀의 정신세계에 적지 않은 자극과 충격을 주어 추근은 이를 시로 옮겨냄으로써 지식인의 고뇌를 표현했다

.

9) 하지만

회 또한 박탈당했다. 여자는 재주가 없으면 덕이 있어야 하는데 여자가 무슨 공부람?” 이라는 대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교육의 기회는 말살되었다 여성들. 은 계속 봉건 예교에 의해 꼼짝할 수 없이 얽매이게 되는데 추근은 이를, 은 예로부터 관례로 굳었고, 은 이전부터 바꾸지 않았다네 여인들은 수

四德

절함에 한 남편만 섬겨야하고 남자들은 아내 많이 두어도 괜찮다네, ( 精衛石 라고 하여 여성들의 삼종사덕과 일부종사 그리고 남성들의 축첩을 풍자 비

)” ,

판했다 여성의 이러한 지위에 대해 추근은. 腐儒들이 말했던 무슨 男尊女卑’, 같은 터무니없는 말은 만약 우리들 여자가 기개가

女子無才便是德’ ‘夫爲婦綱

있다면 마땅히 동지들을 규합하여 그것에 반대해야 할 것이다 라고 주장하여. 불합리한 사회 관습에 반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6) 郭蓁 撰, 漫云女子不英雄 秋瑾詩詞注評 上海古籍出版社- ( , 2004.7), pp.1-8.

7) 沈倩,秋瑾: 從依附到獨立的人生選擇 南京社會科學 2001-2, p.65.

8) 추근의 초기 시에는 자신의 인 가을‘ ’ ‘ ’‘ ’과 운율을 맞춘 수많 은 시구를 통해 계절의 쓸쓸한 이미지를 즐겨 부각시켰는데 그것은 결혼을, 하고도 홀로 사는 젊은 여자의 암울한 처지를 적절히 대변하고 있는 것 같다. 그녀는 한때 강렬한 자의식을 가지면서 혁명적 투지의 정점으로 치달았다 그. 러나 그녀는 처형 직전 다시 초기의 주제로 돌아갔다 처형을 눈앞에 두고 쓴. 시구는 사람들의 뇌리에 강렬한 인상을 남길 분석적이거나 전투적인 삶의 역 정이 아니라 나약한 감상을 노래했다. 가을비 가을바람 애간장을 끊는구나, , .”

9) 추근의 憂國情緖는 이민족에게 주권을 뺏긴 조국이 서양세력의 침략 앞에 속 수무책 망해가는 모습을 지켜봐야하는 안타까움 이러한 절박한 조국의 모습, 과 계몽 이를 극복하기 위한 희망과 맹세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모습은, . 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기 전후부터 년 체포되어 처형되기까지 일

1904 1907

(4)

그녀의 감상적인 우국의 정서는 북경생활과 일본유학을 거치면서 변화 하게 된다 일본 유학 후 귀국하여 혁명 활동으로 인해 체포되기까지

.

추근은 청을 멸하고 한족의 나라를 부흥시켜야 한다 는 민족의식을 강‘ ’ 하게 부르짖었다 특히

.

寶刀와 寶劍이 상징하는 무력에 의한 청조 전 복 주장은 당시 단연 돋보이는 점이었다

.

중국의 역사학계에서는 추근을 구사회의 반역자“ ”, “여성해방운동의 선구자”10)로 평가하고 있다

. 1980

년대 중국에서는 추근 생존 당시의 친지나 친구 등이 보존하고 있던 자료를 수집하여 秋瑾史料 를 펴냈 다 이와 함께 추근의 시 논설 연설 등에 나타난 생애와 사상연구도

.

․ ․ 행해지고 있다 일본과 유럽 등에서는

.

中國女報 에 기재된 추근의 논 설과 일본 유학 때의 일기 생활기록 등을 토대로 연구가 행해지고 있․ 으며 대만에서는 그녀의 딸

,

秋璨芝의 秋瑾革命傳 과 추근의 부녀해 방사상 미완성 유고인 精衛石 11)등의 연구를 통해 추근을 婦女解放

의 선구자로 평가하고 있다

.

運動 12) 이러한 일련의 연구 성과는 침체

관되고 강렬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추근의 심정을 표현해 주는 그녀의 대표적. 인 작품으로感事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무너지려하는 둥지에 살고 있는: 제비 있으니 / 고국의 멸망을 보게 되면 슬퍼해야 하리 / 일본의 침략에 대한 근심이 아직도 다하지 않았는데 / 서쪽 서양세력의 침략 을 바라보니 계책이( ) 어떤게 있을까? / 지식인들은 붓을 내던지고 종군할 생각을 하고 / 여인들 또 한 창을 메고자 한다네 / 누가 이 시국을 구할 영웅이며 / 나와 함께 쏟아지 는 격류 쇠퇴하는( 國勢)를 막을까?: 感事 漫云女子不英雄- 秋瑾詩詞注評 , 이시는 대략 년에 쓰인 작품으로 추근은 이 시를 통해 강렬한 애

p.43: 1900

국정신과 구국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석미자 추근의 10) 謝獄, 女革命家秋瑾 中國婦女 1979-11, pp.26-29: ,

여성해방운동과 사상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2), p.4. 추근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추근을 여성해방운동의 선구자 로 지칭하고 있다 . 11) 陳象恭 편저, 秋瑾年譜及傳記資料 中華書局( , 1983), p.75: 精衛石

추근이 완성하지 못한 작품이지만 여성의 비참한 처지를 정확히 인식하고 사 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지금의 상황에서는 여성계를 구원. 하기 위해 한 방책으로 여영웅이나 특별한 인물이 나오기를 바란다고 하고 있 다 추근의 여성해방사상을 그녀의 글에서 분석하여 보았는데 가정에서의 남. 녀평등 여성의 교육제창 경제사상의 독립, , , 天足사상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 다.

12) 중국에서는 추근의 생전의 시 논설 연설 등을 모아, , 秋瑾集을 펴냈다 추.

(5)

된 추근 연구에 활기를 주었다

.

13) 하지만 국내의 추근에 대한 연구는 몇 편의 석사논문과 단편논문에 그치고 있어 연구가 그다지 활발하지 못한 편이라 할 수 있다

.

14)

본고는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들을 토대로 하여 청말 격동의 시대에 여성해방운동과 혁명활동에 선구적 역할을 수행했던 추근을 리더십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성장배경과 결혼생활 .

추근은

1879

11

8

일 청말의 부유한 관료집안에서 태어났다15)

근의 친지 친구 등의 회고록 절강성도서관이 보존한, , 辛亥革命浙江史料選輯 이 발표되어 주목을 끌고 있다 일본에서는. 小野和子中國女性史 에서 신 해혁명기의 대표적 부녀운동가로 연구한 것이 있다 대만의 경우는 추근의 딸. 인 秋璨芝가 중심이 되어 추근 생전의 문장 논문 등을 정리하는 한편, 鮑家

등이 중국부녀사연구의 한 축으로 추근을 연구하고 있다

, .

麟 張玉法

13) 진경희, 추근의 혁명사상과 행동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pp.4-6.

14) 진경희 추근의, 혁명사상과 행동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근의 여성해방운동에 대한 일고찰 숙명여대대학원 석사

1984): 尹美英, (

학위논문, 1992): 석미자, 추근의 여성해방운동과 사상 경북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2002): 석미자, 청말 추근의 여성해방운동, 중국근현대사연구 제

집 박인성 의

26 (2005.6): , 秋瑾 後期詩歌 內容考 中國語文論叢 15(1998) 등의 대표적인 논문이 있다.

15) 추근의 출생년도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이 있다 예를 들면. 1875 ,년 혹은 년 년 등이 있는데 현제 전반적으로 인정을 받는 것은 년 설

1877 , 1879 , 1879

이다. 邵雯, 秋瑾生年代初考 歷史硏究 1978-11, p.96에서 邵雯은 추근의 출생연대를 3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나 결론적으로는 1879년 설을 비교 적 믿을만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것은 추근의 이복 동생. 秋宗章이 쓴 六六

과 을 보면 추근의 할아버지 가

私乘 福建云霄文史資料第三輯 秋嘉酥 云霄廳

로 임지에 도착한 1878년 다음해에 손녀 추근이 태어났다고 적고 同知 署理

있는데 이로써 추근의 출생연대가 1879년이라고 보는 것이다 또한 추근이. 세에 결혼한 연대 년 로 이를 추산해 보면 추근의 출생 연대가

18 (1896 ) 1879

년이라는 것이다 이외에. 華書局의 秋瑾史蹟 에 실린 추근의 자백 내용

(6)

아버지 이 복건성 제독을 지냄 어려서부터 총명하였던 추근

(

秋壽南

).

은 오빠와 함께 고전적인 교육을 받았으며 경전을 읽고 詩 짓는 법을 배웠다

.

「여자는 재능 없는 것이 덕 이라고 여기던 시대에 추근의 개」 성과 재능을 풍부하게 길러준 사람은 어머니 單씨였다

.

16) 단씨는 詩 에 능하였으며 성격이 매우 활달하고 개방적이었다 단씨는 딸에게

.

당시의 여자로서는 엄두도 못 낼 승마와 검술 창술 등을 배울 수 있

,

도록 허락하였다

.

17) 그래서 추근은 어릴 때부터 무술을 익힐수 있었 고 활달하고 용감한 성격을 기르게 되었다

.

부모로부터 깊은 애정과 관심을 받으면서 성장한 추근은

6

세 때 형 제자매들과 함께 가정교사에게 서사를 배우기도 하였다 또 추근이 어

.

릴 때부터 무술에 깊은 관심을 갖자 그녀의 아버지는 특별히 무사를 초빙하여 무술을 익히게 하였으므로 어려서부터 문무를 겸비할 수 있 었다 추근의 양친은 모두 문학에 능하여서 추근은 문학을 비롯한 다

.

방면에 재질을 보였다 현재에도 추근의 작품이 많이 남아있는데

.

,

등 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그녀는 의 방면에서도 상당

, .

歌 書 多種 武

한 경지에 이르렀으며

,

刀와 劍 등의 병기를 좋아했다 때문에 그녀의

.

작품 다수에서는 도와 검 등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추근은 이러한 도와 검을 통해 자신의 愛國救國의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그

.

녀의 대표작이기도한 「寶劍歌」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중화민족의 혈통이 중간에 끊어짐을 슬퍼하노니 심대한 나라의 한을,

을 보면 추근의 나이 29세라고 쓰여 있으므로 邵雯은 이상의 여러 자료 를 근거로 해서 추근의 출생 연대는 1879년이고 사형을 받을 당시의 나 는 29세라고 주장하고 있다.

16) 朵,秋瑾家世資料的新發現 杭州大學學報 13 -2(1983), p.127.卷 17) 박석분, 역사를 만든 20 -인 세계의 여성들 도서출판 새날( , 2000), p.311:

어릴 때부터 여장부가 되고 싶었던 추근은 칼을 좋아해서 칼춤을 추기도 하 고 항상 호신용 칼을 지니고 다녔으며 무술을 익힌 추근의 성격은 활달하고, , 용감했다 혼자 있는 무료한 시간이면 방이나 뜰에서 혼자 창검술을 시험하곤. 하였다. 여자는 재능이 없는 것이 덕 이라고 여기는 당시로서 그러한 활동은 그야말로 파격적이었다.

(7)

언제 갚을 수 있을까? / 지금 세상에는 평등한 권력은 없이 오직 强權만 이 있으며 조국의 흥망에 대해 이야기하노라면 분노는 극에 달한다네, / 을 들여 을 사노니, 를 못 믿을 바에야 붉은 쇠 무력 에 의( )

千金 寶劍 公理

지 해야겠네 / 生死를 鴻毛처럼 가벼이 여기면 바야흐로, 英傑이라 정할 만한 것을 / 배고플 땐 적들의 머리를 먹고 싶고 목마를 땐 흉노의 피를 마시고 싶다네 / 의협심은 드높아 전 중국을 압도하며 너무 강하면 부, 러진다는 말 믿지 않네 / 혁명가들의 피는 이미 푸르게 변하였고 한의, 은 의 칼로 포악한 진을 멸했다네 / 지금은 가 을 어지럽

劉邦 三尺 五胡 晉

혀 남북이 분열되었던 때와 같으니 벼슬아치 지식인 어린이 할 것 없이, 구국의 책임을 면하기 어렵도다. /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劍의 기운이 빛을 발하며 북두성과 견우성을 관통하는 것을 가슴에는 옛 원한이 분! 명히 남아있네 / 칼끝이 드러나진 않았지만 이미 세상을 놀라게 했고 北 에 은거해 때를 기다 린지 몇 해던가 / 함에 깊이 감추어 칼끝이 보이 京

지 않고, 知己는 외롭게 만나기가 어렵구나! / 텅 빈 산에 밤 내내 칼 울리는 소리 비바람 놀래 킬 때 칼 소리 힘차게 울려 용이 되어 승천하, 려 하네/ 寶劍 빛나 사방 사람들 놀라게 하며 하늘의 태양이 어두워져, 빛을 잃는 도다 칼 잡고. 史書 보니 나라 망친, 奸賊이 수두룩하도다. / 중원 땅이 갑자기 오랑캐의 牧羊場으로 변하니 피비린내 중국 땅에 불, 어 한탄 하네 / 干將과 莫邪같은 칼을 버린다면 세상에 그 누가 암흑을, 제거하겠는가? / 妖魔를 모두 처단하니 뭇 귀신들이 숨는데 천하를 깨, 끗이 함은 본래 하늘이 준 임무라 / 앞으로 성공과 실패, 順利와 不順利 를 따지지 않고 오로지, 鐵血主義로 조국에 보답 하리. 「寶劍歌」.18)

에서는 망국의 치욕을 씻으려면 반드시 무력으로 만주족을

「寶劍歌」

쫒아내야 하며 이에 따라 희생을 두려워하지 말고 생사를 초월해서

,

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보검이 함에 깊이 보관되어 칼끝이 비

.

록 보이지는 않지만

,

때가 되면 세상을 깜짝 놀라게 빛을 발할 것이 라는 확신을 피력하면서 조국이 비록 분할되는 운명을 맞고 있지만

,

혁명가는 무력으로 조국의 치욕을 씻고 妖鬼같은 만주족을 쫓아내야 한다는 강한 신념을 펼쳤다 무력과 실력에 의한 청왕조 타도를 주장

.

한 이러한 추근의 모습은 당시 改良派나 청정부와 타협하려던 지식인 들의 모습과는 다른 면모였다

.

18) 郭蓁, 寶劍歌 漫云女子不英雄 秋瑾詩詞注評- , pp.61-63: 寶劍歌는 대 략 光緖29 (1903)-30年 年 사이 추근이 북경에 머무는 기간에 완성된 작품이 다.

(8)

년 추근은 아버지 직장을 따라

1896

으로 이사하였고 그 지방 부호의 아 湖南

들인 왕자방과 결혼하였다 추근과 왕자

.

방의 결혼은 당시의 결혼풍속에 따라 본 인들의 의사와는 상관 없이 부모의 뜻대 로 진행되었다 추근은 아들과 딸을 낳

.

아 기르면서 겉으로 보기엔 평화로운 가 정생활을 꾸려갔으나 자신의 결혼에 대 해 그녀는 매우 큰 불만을 가지고 있었 다

.

19) 추근은 결혼을 후회하면서 나중에 오빠에게 보낸 편지에서 다음과 같이 술 회하였다

.

그 남자는 차라리 동물만 못해요 나는.

여태껏 그렇게 철면피한 인간을 본 적이 없어요 내게서 패물마저 갈취. 해버렸는데 어떻게 그를 인격이 있는 사람이라 부를 수 있겠어요?... 나 에 대한 태도는 노예보다 못한 대우였어요 증오의 독이 제 가슴 깊이. 스며있어요!... 내가 꼭 어떤 사람의 아내여야만 된다는 법이 있나요?.

..20)

아 제가 만약 좋은 배우자를 만날 수 있었다면 서로 절차탁마하여! , 년 동안 학업에 힘쓸 수 있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처럼 면목

7, 8 .

이 없지도 않았을 것이고 다른 사람보다 훨씬 우수한 실력을 보여서 우, 리 부모형제의 자랑이 될 수 도 있었을 텐데.... 21)

19) 鄭雲山, 秋瑾評傳 河南敎育出版社( , 1986), p.23.

20) 上海古籍出版社編, 致秋譽章書 秋瑾集 上海古籍出版社( , 1991), p.36:

추근은 오빠에게 보낸 편지에서 자신의 남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 다: 其無信義 無情意 嫖賭, , , 虛言 損人利己, , 凌侮親戚 夜郞自大 銅臭紈, ,

”( , p.39).

之惡習丑態 致秋譽章書 21) 致秋譽章書 秋瑾集 , p.37.

(9)

년 추근의 남편 왕자방은 청정부의 라는 관직을 돈으

1903

戶部主事

로 매수하여 북경으로 전출 하게 되었고 추근도 남편을 따라 북경으

,

로 가게 되었다 재능을 갖춘 시인이면서 감수성이 예민했던 추근은

.

수도 북경으로 이주하면서 사회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추

.

근은 의화단운동 후 서구열강의 침입으로 국가가 나날이 황폐해 가는 모습을 직접 목도하면서 울분을 토했으며 연이은 가뭄과 흉작으로 유 랑하는 농민들과 거지들을 보면서 비탄에 잠겼다 그러한 일련의 사건

.

들을 통해 추근은 외세의 침략 앞에 무능하게 대처하고 있는 청나라 만주왕조의 노예적 외교와 시대착오적인 대국근성 동시에 중국인민들 의 무지와 자신의 무력함을 통절히 깨닫게 되었다

.

22) 추근은 杞人憂「

를 통해 당시 자신의 심정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

북경 지방의 전쟁이 언제나 끝날까?/ 중국과 서양간에 전쟁이 계속되 고 있다 하네 부질없이/ 魯나라 여인처럼 憂國恨을 품지만 두건을 투구 로 바꾸기는 쉽지 않도다.23)

또한 추근은 서구에서 홍수처럼 유입된 서적을 통해 근대적 이성과 개인을 발견하고 과학과 민주 남녀평등에 대해서도 눈뜨게 되었다

, , .

나아가 여성을 둘러싸고 있는 전통적 중국사회의 여러 가지 속박에 대 해서도 점차 눈을 뜨기 시작하였다 그녀는 남편을 통해 북경을 중심

.

으로 한 공직사회의 타락과 부패가 극에 달했음을 알게 되었고 남성들 의 가부장적인 권위주의와 허위의식에 대한 분노를 계속 키워가고 있 었다

.

24)

1904

년 추근은 드디어 자신의 보석들을 팔아 일본 유학비를 22) 夏曉虹, 秋瑾北京時期思想硏究 浙江社會科學 2000-4, pp.114-117.

23) 郭蓁 撰, 杞人憂 漫云女子不英雄 秋瑾詩詞注評 上海古籍出版社- ( , 2004.

는 년 년 에 완성된 작품으로 년 의

7), pp.41-42: 杞人憂 光緖26 (1900 ) 1900

화단운동으로 8개국 연합군의 침략을 받았을 때의 추근의 비통한 심정을 토로 한 이다 당시 추근은 비록. 湖南內地에 있었으나 국가의 안위와 운명에 대 해 통탄하지 않을 수 없었으며 국가와 조정에 위난이 닥쳤을 때 백성도 이를, 피하기 어렵다는 列女傳 중의 魯나라 여인의 고사를 인용함으로써 국가존망 의 위기에 추근 자신은 전장에 나서지는 못하나 憂國의 심정은 어쩔 수가 없 음을 토로했다: 杞人憂 秋瑾集, p.62.

(10)

마련하였으며 자신의 두 아이를 친정어 머니에게 맡겼다

.

자신의 몸에서 모든 장신구를 떼고 화장을 지워버린 추근은 급기야 남편의 반대를 무릅쓰고 가정으 로부터 탈출하여 새로운 세상과 진리를 찾아 일본으로 향하였다

.

25) 일본에 도착 하자마자 완성한 「有懷」라는 시에서 당 시 추근의 비장한 심정과 각오를 읽을 수 있다

.

해와 달 빛 한 점 없어 천지가 어두운 데 / 심연 속의 여성계 누가 있어 도와주 리 / 귀금속 다 팔아 망망대해 건너간다 / 혈육을 등지고 고국을 떠 나간다 / 전족을 풀어 헤쳐 천년의 독 씻어내고 / 뜨거운

가슴으로 뭇 여성의 혼 일깨우리 / 가련한 나의 이 손수건 / 피눈물로 아롱지네!26)

24) 許錚, 辛亥革命前的女革命家-秋瑾 歷史敎學 1980-4, p.51: 劉琳,

- 1997- 6, p.46.

女解放運動的先驅 秋瑾 廣東黨史

25) 석미자, 청말 추근의 여성해방운동 중국근현대사연구 (2005.6),pp.3-4:

가정에서부터 여성이 받는 고통과 속박은 결혼 후에 남편에게서도 여전하며 일생동안 그 도덕의 속박을 벗어날 수 없었다 당시 사회에서 여성을 보호할. 법적인 조치는 물론이고 가정에서의 경제적 인격적 지위도 없었다 . 여성이 사회에서 활동을 하려면 추근과 같이 이혼을 결심하든가 등의 극단적인 조치 가 아니면 어찌할 방법이 없었다 그리고 사회에서 여성이 설 자리도 없었다. . 여성의 할 일은 아들을 낳아 대를 이어주는 것과 가사 노동 등과 같은 일에 국한되었으며 생산적인 일에 참여한다든다, 政務에 참여한다든가 하는 일은 생각해 볼 수조차 없었다 청말에도 이러한 상황은 계속 지속되었기 때문에. 선각적인 지식 여성이 20세기 초에 비로소 형성되어 그 활동을 전개하였던 것 이며 추근이 혁명은 마땅히 가정에서 시작하여야 한다고 하며 남녀평권을 호, 소하였던 이유도 여기에 있는 것이다 또한 추근이 일본 유학길에 오른. 1904 년 당시의 중국에서는 부유한 계층에게만 유학이 허용되었다 이들은 유학을. 통해 서양의 정치사상이나 과학 문학 지식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얻었고, , 여성 문제를 자각하고 극복하는 운동의 선봉적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었다. 26) 郭蓁, 有懷 漫云女子不英雄 秋瑾詩詞注評- , p.78: 有懷는 1904년 일

(11)

위의 시에서 알 수 있듯이 당시의 추근은 救國과 여성 해방에 대한 희망과 비장함으로 일본유학을 선택했으며 일본유학을 통해 구국의

,

해결책을 찾고자 했다

.

27)

의 여성해방운동과 혁명활동

. 秋瑾

추근의 남녀 평등사상 1.

청조말기 의화단운동

(1899- 1901)

은 그 후 광범위한 농민저항세력 의 조직과 함께 여성해방운동의 새로운 기틀을 준비하기에 이르렀다

.

이런 시기에 무엇보다 여성의 사회적 자각 주체성 제고가 절실하였

,

다 추근은 중국여성의 양어깨로 천하의 반쪽 을 지탱해 나가야 한다

.

「 」 는 자기책무를 인식하고 혁명대열에 몸 바쳐 희생한 여러 여성 가운데 대표적인 여성리더이다 다음은 추근이 여성의 자각을 호소하는 글

.

의 일부이다

<

敬告姉妹們

> .

억의 남성은 문명세계에 들어섰는데 우리 억 여성동포는 아직도 여

2 2

전히 18층 지옥 암흑 속에 빠져 한층도 기어오르려고 생각지 않는다./

한평생 안다는 것은 다만 남자에게 의지해서 먹고 입는 일뿐이다./ 울안 에 가친 소나 말과 같은 처지이다.28)

위의 예문은 전통적 「 」家 라는 속박의 사슬을 스스로 끊고 일본으로

본유학을 처음 시작할 때 지은 시이다 이때가. 1904년 5월로 추근이 동경에 도착하여 중국유학생회관의 일본어강습소에서 일어를 배우면서 유학생활을 정 식으로 시작할 때이다.

27) 추근은 일본에 도착한 후 마치 물고기가 물을 만난 듯 광범위하게 혁명동지 들을 규합하고 각종 애국혁명조직에 가담해 반청애국의 투쟁에 투신했다 추. 근은 일본유학기간 반청혁명조직인 三合會”, 光復會와 손중산 선생이 조직한 중국동맹회에서 맹렬한 반청애국운동을 전개한다.

28) 敬告姉妹們 秋瑾集 (상해고적출판사, 1991), p.14.

(12)

건너가 당시 진보적 사상가들과 교류하면서 중국여성해방운동의 선구 적 리더십을 발휘한 추근의 사상을 역력히 보여주는 대목이다 세계

.

인구 중에 그 절반을 차지하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어떠한 상태에 놓여 있는 가에 따라 한 사회의 선 후진성이 측정 된다 여성의 해방․

.

은 여성자신에게 있어서만 광명일 뿐 아니라 인류사회 전체의 발전과 동일 고리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추근은 중국의 여성이 처하고 있는

.

사회적 지위가 노예와 마찬가지 상태라고 지적하면서 여성이 인격적

,

으로 남성과 대등하게 존경받기 위해서는 경제적 자립과 학문 및 기술 의 습득이 필요하다고 했다 추근을 추념하는

.

吳芝暎은

<

記秋女俠遺 에서 추근의 평소 지론이 여성의 에 있었음을 전해주고 있

>

事 「自立」

.

여자도 마땅히 배워서 자립하여야 한다 무슨 일이든 남자에게 의존해. 서는 안 된다 내가 말하는 혁명은 가정에서부터 시작할 것이며 그것이. 바로 남녀평권인 것이다.”29)

다시 말해서 남녀의 상호 대등한 권리를 쟁취하기 위하여 학문과 지식의 단결이 요청되었던 것이다 추근의 일본유학은 자신으로 하여

.

금 그 시집인 왕씨 집안의 속박과 남편의 권위주의 즉

,

「 」 「 」家 와 夫 라 고 하는 이중의 예속성을 떨쳐버리고 여성해방운동에 직접 뛰어들 수 있게 만들었던 것이다 그녀가 동경에서 발간한 잡지

.

白話

(1904

년 월 제 기 초간 는 중국 유학생의 정치의식을 높이고자 하는 활동의

9 1 )

하나였다 제 기에

. 2 <

삼가 중국

2

억 여동포에게 알립니다

(

敬告中國二 라는 추근의 글이 실려 있는데 여기서 그녀는 전족을 반

)>

萬萬女同胞

대하고 여성이 「求學藝」할 것과 「男女平權」을 제창하였다

.

또한 추근은 남자만 높이고 여자를 소홀히 하지 말라「

/

英雄만 있는 게 아니라 英雌도 있다 고 외쳤다 여성해방의 선구적 역할은 결코

.

.

남성인 영웅에게 맡길 것이 못된다 여성 자신의

.

「英雌」에게 기대할 29) 陳象恭 편저, 秋瑾年譜及傳記資料 中華書局( , 1983), p.71: 柯靈, 秋瑾烈

1979-11, p.24.

士百年祭 中國婦女

(13)

일이며

, 2

억의 중국여성 스스로가 자신들의 역량으로 노예의 굴레로부 터 벗어나 자유스런 활동무대를 넓혀나가야 할 것이라고 추근은 강력 히 부르짖고 있다

.

30) 이러한 시대적 분위기를 타고 여성해방운동 역 시 고개를 들기 시작했으며 그 중심에 추근이 있었다 한편 추근은 여

.

성해방운동과 반청혁명운동을 병행하였는데 그 이유는 여성해방이 없

,

는 정치혁명은 불가능하고 정치혁명이 없는 여성혁명 역시 그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

31) 또한 당시 만주족에 의해 전횡되던 청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는 수천 년간 지속되어온 유

, ,

교적 신분질서와 가부장적 지배체제의 말기적인 갖가지 폐단이 노골화 되었고 근대화된 서구의 힘 앞에 그 무력함을 그대로 드러낸 시기였 다 수천 년 이어온 왕조를 혁명하지 않고 그대로 둔 채 여성해방만

.

부르짖는 것은 공허한 것이라는 사실을 추근은 명백히 인식하고 있었 다

.

추근은 어린 시절부터 중국역사소설을 즐겨 읽으면서 중국역사상 여성이라는 굴레를 벗어나 조국을 위해 몸을 바치며 남녀평등을 행한 여걸들을 추앙하였다 때문에 추근은 중국부녀의 해방은 이들과 같은

.

여걸들의 출현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믿었다 또한 추근은 중국전통

.

30) 19세기 말 여성운동의 과정은 아편 전쟁 후의 확대된 무역으로 점점 증가되 는 선교사들의 활동 , 태평천국의 여성정책 변법파를 중심으로 한 진보적인, 남성 지식인들의 주장 등 주로 전족의 금지와 여학교의 설립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진정한 의미의 여성해방운동이 아니며 그 맹아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여성이 주체가 되는 진정한 의미의 여성해방운동은. 20세기 초, 즉 1900년대에 가서야 비로소 볼 수 있다 이때는 일본으로 유학을 가는 여. 성들도 점점 늘어나 반식민지 상태 하의 淸朝보다 더 자유로운 일본에서 신사 상과 신문물을 공부하는 가운데 중국의 위기와 일본을 비교인식 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당시의 중국 여성해방운동은 두 가지 역할이 요구되었다 첫째. . 는 여성의 가정에서의 지위는 향상시키고 한 인간으로서의 자유와 평등한 권 리를 보장받으며 사회적 역할을 다하려는 해방 운동과 둘째는 국가의 위기 상 황에서 구국운동에 나서는 反淸반제국주의 애국 운동이었다 이는 중국 인. 구의 반을 차지하는 여성에 대한 시대적 요청이었고 남녀평등을 주장하는 의 무의 평등으로서의 근거였다 이 여성해방운동의 두 가지 역할은 근대중국여. 성해방운동의 큰 특징이다.

31) 小野和子, 現代中國女性史 , pp.81-82.

(14)

사상 중 공자의 여자와 소인은 다루“ 기가 어렵다 는 말과 같이 여자를 불” 평등하게 구속하는 사상들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배격하였다 평소 남장을 즐

.

긴 추근은 남장이 남자다운 행동을 형 성하고 구사회의 속박에 대해 반발하 는 수단이라고 주장하였다

.

32)

당시에는 전족금지 여성교육을 제

,

창하는 소설도 많이 발표되었다 이중

.

청 말의 대표적인 부녀소설 경화연 은 측천무후의 치세기간

(

鏡花綠

)

동안 과거시험에 합격한

100

여명의 여성들을 등장시켜 당시 사회의 모순

,

남존여비 사상 전족 등을 비판한 소

,

설로 추근에게 영향을 준 대표적인 것 이었다

.

33) 추근은 이 소설을 접하면

32) 추근은 혁명에 뜻을 두고 난 후 호를, 競雄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남자와 싸 운다 는 뜻이다 그녀의 글 속에는 그녀가 얼마나 남성의 우월감과 억압을 증 . 오하였는지 잘 보여준다. 하늘이 사람을 낼 때는 남녀가 본래 구분이 없었다. 묻고 싶다 세상에 여자가 없었다면 사람들이 태어날 수 있겠는가고 왜 이다. . 지도 불공평하단 말인가?... 왜 여자들은 아프리카의 노예처럼 취급당해야 하 는가? 어찌하여 공평하지 못한 정도가 이 지경에까지 이르렀는가?(敬告中國 우리들은 자유를 사랑한다 자유를 위한 우리

, p.5.)” /

二萬萬女同胞 秋瑾集

의 노력에 건배!/ 남녀평등권은 하늘이 부여한 것 어찌 남자에게 뒤지리오/ / 옛날 풍속은 너무나 수치스럽다 여자들은 소나 말처럼 짝지워 졌었지

.../ /

노예의 뿌리를 뽑아버리고 새로운 지식을 배우고 연마하자

/.../ / ...( 勉女

, p.121.) 權歌 秋瑾集

33) 문혜정, 鏡花緣에 나타난 여권의식 연구 숙명여대대학원( 석사논문, 청말 에 의해 창작된 경화연 에서는 1993), pp.76-77: 李汝珍(1763-1830)

기존의 작품들과는 달리 작품 여기저기에서 여성지위의 상승을 위해 전족금 지 여성교육제창, , 取妾제도반대 등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경화연 이 당 측 천무후 치세 때 전족이 그다지 유행하지 않았던 시대를 배경으로 하면서도 전 족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경화연 의 작가가 살고 있던 청말의 사정을 소설 속

(15)

서 중국의 전통적 사고방식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갖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서구의 여러 저서를 통해 자유평등을 논하는 새로운 지식 과 사상에 접해 갔다

.

특히 영 알렌․

(Yong Allen),

티머시 리차드․ 가 간행한 에서 그녀는 여성교육과 여

(Timathy Richard)

「萬國公報」

성체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

34) 그녀는 구미 여성운동의 실적을 대 단히 높이 평가하고 女權思想에 대해 스스로 “歐風美雨”라고 하여 구 미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을 인정하면서 중국 여성도 서구 여성들이

,

획득한 권리를 향유해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추근은 중국여성의 의

.

식과 지위가 열악함을 지적하면서 중국 부녀도 자립을 해야 하고 그것 을 위한 수단으로 전문적 분야에 종사해야한다고 역설하였다 더불어

.

그녀는 경제적 인격적 독립을 얻기 위해서는 학문이 필요하다고 강조 하였다 그녀는 여성들에게 남편에 대한 의존심을 버리고 스스로 자각

.

하여 사회에 참가함으로써 행복한 생활을 하고 나라를 부강하게 만들 자고 호소했다

.

이같이 추근은 중국의 현실과 서구사상 등의 영향으로 남녀평등사 상과 여성해방운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동경유학기간으로부터 시

,

작하여 죽는 그날까지 체험적 실천운동을 전개하였다

.

35)

그러나 추근의 여성해방운동사상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었다

.

그것은 英雄史觀과 연결된 그녀의 혁명관이다 그녀는 역사변혁의 주

.

「 체는 소수 영웅이다 라는 사상적인 한계를 가지고 자신이」 女英雄이 되 고자 하였다

.

그래서 그녀는 롤랑부인

(Madame Roland)

과 소피아 같은 여성이 나오라고 애원하는 것이 입버릇처럼 되어 버렸

(Sophia)

다고 한다 여성이 궐기하여 자유를 쟁취하는 것이 아니라 여영웅이

. ,

나타나서 우선 여성을 그리고 중국을 해방시키기를 기대하고 있었던

에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다.

34) 鮑家麟, 秋瑾與淸末婦女運動 中國婦女史論集(稻鄕出版社, 1988), pp.358.

35) 尹美英, 추근의 여성해방운동에 대한 일고찰 숙명여대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92), pp.9-16.

(16)

것이다 이와 같은 한계로 인해 당시 혁명단체에는 광범위한 부녀층이

.

참여하지 못했으며 이것은 당시 부녀운동의 문제점일 뿐만 아니라 신

,

해혁명이 갖는 한계라고 볼 수 있겠다 비록 이상과 같은 한계성이 있

.

지만 추근의 부녀해방운동은 당시 뜻있는 지식 여성들에게 신선한 충

,

격을 던져 주었음은 물론이며 부녀해방운동을 더욱 가속화시키는데

,

큰 작용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또한 앞에서도 이미 언급한바 있지만 추근은 여성해방운동과 반청 혁명운동을 병행하였다 그 이유는 여성해방이 없는 정치혁명은 불가

.

능하고 정치혁명이 없는 여성혁명 역시 그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는 것 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

여성해방운동과 혁명활동 2.

년 초여름 추근은 상해에서 동경으로 이동한다 동경 도착 후

1904 .

중국유학생 회관에 부설되어 있던 일본어강습소에서

3

개월간 일본어 를 배운 후 ‘靑山實踐女學校’ 부속 ‘淸國女子師範工藝速成科’에 입학하 였다

.

36) 추근은 동경유학을 통하여 폐쇄적 전통사회인 청조치하에서 경험하지 못했던 사상의 자유와 신문화를 접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것

,

들은 강한 지적 호기심과 격렬한 성격을 가지고 있던 그녀를 더욱 급 진적 경향으로 향하게 하였다

.

37) 여기서 이때 추근은 손문을 만나게 되었다 그 당시 손문은 도쿄에서 중국혁명동지회 를 결성하여 청나라

.

'

타도를 지향하는 모든 혁명단체를 통합하려 하였다

.

38) 여기에 다수의 유학생이 가담하였고 추근 또한 적극적인 혁명 활동에 참여하게 된 다

.

39)

36) 竹內好橋川文三 編 , 近代日本 中國 東京と ( : 朝日新聞社, 1974), p.220.

37) 謝獄,女革命家秋瑾 中國婦女 1979-11, p.27.

38) 沈祖安, 秋瑾硏究中的幾個問題 江淮論壇 1982- 6, pp.69-70.

39) 沈雨梧, 秋瑾與孫中山 歷史敎學 2001-10, pp.50-52: 아라이도시야키, 반역자 푸른숲( , 2003), p.123.

(17)

본문은 추근의 일본유학시절과 귀국 후의 여성해방운동 및 혁명 활 동을 간략히 소개하면서 그러한 활동 속에 발휘된 그녀의 리더십을 살 펴보고자 한다

.

운동 天足

태평천국을 전후해서 표출된 남녀평등의식을 바탕으로 무술변법기 간에 강유위 양계초 등이 중심이 되어 전족

, (

纏足

)

폐지운동 여성교육

,

진흥 등을 제창하자 중국여성운동은 새로운 단계에 들어갔다 청말에

.

전족40)을 반대하고 정상적인 발을 숭상하는 천족운동“ ”41)은 한 무리 의 개혁가들이 주도했는데

,

일찍이 서기

1883

(

광서

9 )

년 에 康有

는 고향인 광동 남해에서 일부 개화된 향신들과 연합하여 “

爲 不纏足會

전족 안하기 모임 를 창립했다

( )” .

42) 또한 서기

1896 (

년 광서

22 )

년 에 강유위와 康廣仁은 광주에서 광동 천족운동을 설립하고 여인들이 전족 을 하지 말 것을 제창했는데 성립 초기의 회원 수만 해도 만명 이상

,

이었다 이에 호응하여 광주 부근의 순덕에서

.

賴弼彤과 陳 庵黙 도 천족 운동을 창립했다 강유위와 함께 유명했던 또 한 명의 개혁파 지도자

.

인 梁啓超도 적극적으로 전족반대운동에 참여했다 그는 서기

. 1896

40) 중국여성연구회 편, 중국여성해방의 선구자들 임정후 역 한울림( , , 1985), 의 기원은 부터 북송에 걸쳐 관습화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p.15: 纏足 五代 .

발가락을 끝에서 접어지도록 억지로 눌러 단단한 천으로 싸매 발이 성장하는 것을 막아 어린아이와 같은 작은 발을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전족을 한 여성. 은 어린아이 같은 작은 발로 어른의 체구를 지탱하기 때문에 뛰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걸음도 제대로 걷지 못해 뒤뚱거리게 된다 자연히 자유로운 활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전족의 풍속은 중국 남성이 성적으로 작은 발을 좋아했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여자에게 정절을 요구했던 유교사상의 강요에 의해 여성을 묶어두기 위한 방편이기도 하였다 특히 청대에 이르러 전족의 폐해가 극에. 달해 전족을 하지 않은 여성은 시집을 갈 수 없음은 물론 온전한 여자로 취, 급받지 못했다 .

41) 天足은 전족을 하지 않은 원래의 발을 의미하고, 放足은 전족을 한 후에 헝 겊을 풀어낸 발을 의미한다.

42) 이들은 전족의 폐지 없이는 진정한 여성교육뿐만 아니라 여성의 해방도 불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18)

부터

1897

년 사이 상해 時務報 의 주필을 맡는 동안 전족 반대의 계 몽에 힘썼고 서기

, 1897

1

3

(

광서

22

12

1 )

일 에는 「戒纏 라는 글을 발표했다

. 1897

6

30

일 양계초와 등이

足會

叙」

汪康年

발기하여 천족운동을 조직했다 천족운동이 설립된 후 모임이 활발히

.

진행되었고 단시간 내에 멀고 가까운 곳에서 호응하여 몇 개월 만에

,

등에 모두 천족운동이 생겨났다 그러나 유신

, , , .

湖南 潮州 福州 嘉定

변법이 실패함에 따라 강유위와 양계초를 대표로 하는 개혁가들이 종 사했던 전족 안 하기 운동도 일단락되고 상해의 천족운동도 활동을

,

중지했다 강유위와 양계초 두 사람을 대표로 하는 개혁가들이 종사했

.

던 전족 안 하기 운동 은 비록 중지되었지만 두 사람의 계몽을 통해“ ”

,

전족의 해로움과 정상적인 발을 숭상하는 관념이 사람들 마음속에 깊 이 자리 잡게 되어 이 때 전족 안 하기 운동 은 이미 역사적 흐름으

,

‘ ’ 로서 도도히 흐르는 강과 같이 누구도 막을 수가 없게 되었다

.

43)

추근이 살았던 청말에도 전통적인 여성의 지위에는 변함이 없었다

.

오히려 더 심하여 ‘女子無才便是德’ 의 관념이 유행하였고 전통예교의 압박 하에 생활은 비참하였다 교제의 자유 혼인의 자유가 없었고 중

. ,

매장이의 말과 부모의 결정에 따라 결혼하여야 하였다 교육은 받을

.

수 없었고 예교나 집안일을 배우는 것이 전부였다 또한 정조를 지켜

.

야하였고 재가가 금지되었다 전족은 여성미의 표준이 되어 청대에 최

.

고조로 성행하였다

.

44) 때문에 당시 여성이 가정으로부터 탈출한다는 것은 전족 으로부터의 탈출이 전제되어야 했다‘ ’

.

추근의 어머니는 당시 여성으로서는 매우 개명하여 추근에게 무예 를 익히게 할 만큼 파격적인 면도 있었으나 당시 전족의 관습만은 무 시하지 못하여 자신의 딸을 작은 발을 가진 양가의 규수 로서 훌륭하‘ ’ 게 키우려 하였다 추근의 어머니뿐만 아니라 당시의 여성들에게 전족

.

은 여성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신분증명서와 같은 것이었다 그러나 추

.

43) 고홍흥 도중만 박영종 공역 , , 중국의 전족이야기 신아사( , 2002), p.235.

44) 중국의 전족이야기 , pp.235-239.

(19)

근은 결혼하면서 전족을 풀어버렸다

.

45) 전족을 하는 동안에도 고통스 러웠지만 전족을 푼 放足 역시 대단한 고통을 수반하였다 전족을 풀

.

어 헤치고 성장을 멈추어 버린 작은 발로 낮에는 걸음걸이와 뛰는 것 을 배웠으며 밤이면 발을 차가운 물에 담구어 통증과 열을 식혀야했던 처절한 모습 그것은 중국의 근대 여성들이 전통사회의 오랜 질곡으로

,

부터 힘겹게 걸어 나오는 지난한 과정을 상징하는 것이다 추근은 전

.

족으로부터 여성이 해방될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

“3인치의 발을 갖고 있는 한 우리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이러한 관행은 폐지되어

.

야 마땅하다 고 주장하였다”

.

46)

추근은 일본에서 여성해방을 전개하면서 우선 전족에서 여성의 발 을 해방할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였다

.

「천족회 를 창립하여 계몽에 앞」 장섰으며 전족으로부터의 해방 가정으로부터의 해방은 남성중심의

, ,

사회에서 수백 년간 이어져왔던 노예적 삶으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했 다 그녀는 남자는 고귀하고 여자는 천하다

.

“ ”, “여자는 재능이 없는 것 이 덕이다” “남편은 아내의 보호자다 등과 같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의 허구성을 통렬하게 비판하였다 여성들이 각성하여 이러한 노예적

.

상황으로부터 스스로를 해방시켜야하며 이를 위해서는 여성들이 자립 해야 하고 더불어 공부해야 한다 고 외쳤다’ ‘

.

추근은 부녀운동의 격문 및 잡지 등을 통해 문자 상으로 전족폐지 를 선정하는 한편 「天足會」를 통해 천족운동을 꾀했다 그녀는

.

「삼가 중국 억 여동포에게 알립니다 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2

.

45) 중국여성사연구회편, 중국 여성해방의 선구자들 도서출판 한울림( , 1985), 추근의 어머니는 전술한 것처럼 추근에게 를 교육하고 무예

pp.14-15: 文才 ,

를 몸에 익히게 할 만큼 현명한 여성이었지만 당시의 전족 관습은 무시할 수, 없었다 그녀도 자신의 딸을 양가의 규수로서 훌륭하게 전족을 시키려 했다. . 추근의 어머니뿐만 아니라 당시의 어머니들의 생각으로는 전족은 여자로서 살 아가기 위한 신분증명서나 마찬가지였던 것이다 추근은 밤이 되면 몰래 발을. 싸맨 헝겊을 풀어서 잠깐이나마 발을 편하게 하다가 결혼하면서 작은 발을 가 진 양가집 규수 라는 간판이 필요 없게 되자 바로 放足해 버렸다.

46) 조나단 D. 스펜스, 천안문 정영무 역 도서출판 녹두( , , 1985), p.67.

(20)

나는 전족을 하지 않을 수 없었는가 남자는 우리들이 지식이 있고 학? 문이 있어 그들의 머리 위로 기어오를까 두려워하여 우리가 학문 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고 우리들은 그에게 말할 수 없겠는가? 이는 우리 들 여자가 자신의 책임을 포기하고 여러 일을 남자가 하는 대로 보기만 하고 자신은 게으름을 피우고 안락을 도모하여서 이다 남자가 내가 쓸. 모없는 것이라고 이야기하면 나는 쓸모없는 것이다 내가 못한다고 이야. 기 하고 단지 눈앞의 안락만 유지하며 노예가 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 다 자신이 공 없이 녹을 받는 것을 바라면 오래가지 않는다 남자가 발. . 이 작은 것을 좋아하는 것을 한번 듣고 보기만 하면 곧 급히 그것을 묶 어버려 남자로 하여금 보고 즐기게 하고 대체로 이를 틈타 공짜로 밥을 먹는다 우리들로 하여금. 漢書 習字를 못하게 하고서 이를 구하지 못하 는 것인데 무엇 때문에 찬성하지 않는가? 자연히 학문이 있고 견식이 있고 힘을 내어 일을 한 남자는 권리가 있고 우리들은 그의 노예가 되었 다 이미 그의 노예가 되어서 어떻게 압제가 없겠는가 스스로 만들어서. ? 스스로 고통 받는데 어찌 다른 사람을 원망하겠는가 이러한 일들을 언? 급하는 나도 고통스럽다. 47)

위와 같이 추근은 남성들의 비위를 맞추기 위해 전족을 하며 노예 상태에 빠지는 여성들을 비판하였다 그러나 그녀 자신의 쓰라린 전족

.

경험은 천족운동을 펼치는데 부녀들의 공감을 얻기에 충분하였으리라 생각된다

.

백화

(

白話

)

발행과 연설의 중시

추근은 유학생들의 정치의식을 고양시키고자 동경에서

1904

9

월 백화 라는 잡지를 발간하였는데

,

백화 는 문자를 모르는 일반 대중 을 대상으로 구어체로 쓰였으며

4

호까지 출판되었다 제 호

. 1

「演說好

47) 敬告中國二萬萬女同胞, 秋瑾集, pp.5-6: 我不會不纏的麽? 男子怕我們

, , ,

有知識 有學問 爬上他們的頭、 、 不準我們求學 我們難到不會和他分辯 就應了

? , , ,

這總是我們女子自己放棄責任 樣樣事體一見男子做了 自己就樂得偸懶 圖

. , ., , ,

安樂 男子說我沒用 我就沒用 說我不行 只要保着眼前舒服 就作奴隸也不問

. , , ,

了 自己又看看無功受祿 恐怕行不長久 一聽見男子喜歡脚小 就急急忙忙把他

, , . ,

纏了 使男人看見喜歡 庶可以籍此吃白飯 至於不叫我們讀書 習字 這更是求

, ? ,

之不得的 有什麽不贊成呢 自然是有學問 有見識 出力作事的男人得、 、 了權利

. , ? ,

我們作他的奴隸了 旣作了他的奴隸 怎麽不壓制呢 自作自受 又 麽怨得人

? , , .

呢 這些事情 提起來 我也覺得難過

(21)

에서 추근은 다음과 같이 연설의 중요성 을 강조하였다‘ ’

.

處」

연설에 있어서 제일의 장점은 어디에서 누구든지 자유로이 연설을 할 수 있다는 것이고 둘째로 돈이 없어도 사람이 많다는 것 셋째는 연설을, , 듣는 사람은 비록 글자를 모르는 부녀자일지라도 들을 수 있다는 것 넷, 째는 혀만으로 군대를 조직하고 민중을 움직일 수 있다는 것 다섯째는, 천하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데 있다.48)

이처럼 추근은 부녀해방운동과 혁명 활동에 있어 연설의 장점을 도 입하여 적극 활용하였다 또한 백화를 통하여 중국 부녀들을 위해 매

.

우 평이한 말투로 한 사람 한 사람의 여성에게 이제부터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호소했다 그녀는 아 아 세계에서 가장 불공

.

! !

평한 대우를 받고 있는 것은 우리들

2

억 여성 동포입니다 라는 말로” 시작하여 우리 여성들이 전족으로 고민하고 결혼문제로 고민하며 아

, ,

내와 어머니가 되어 얼마나 고생하고 있는가를 호소한 다음 한 사람 한 사람의 여성에게 다음과 같이 하소연하였다

.

여러분 조국이 망해가고 있습니다 남자들 자신이 어쩔 줄을 모르고! . 있는데 우리들이 그들에게만 매달려 있을 수가 있겠습니까 우리들 자신, . 이 奮起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49)

이와 같이 추근은 여자가 남자에게 쓸모없는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실례로써 보여줄 것을 강조하였다

.

할머니들 이제는 나이가 들었으니 모든 것이 틀렸다고 생각해서는 안 됩니다 남편이 훌륭한 인물이어서 학교를 세우고자 할 때에는 그것을. 방해해서는 안 됩니다... 젊은 처녀들이여 학교에 갈 수 있는 사정이! 라면 그처럼 다행한 일은 없습니다만 가령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책을 읽으며 문자를 배워야 합니다.50)

라고 강조하면서 글을 몰라 책도 읽지 못하고 남자들의 노예로서 하루

48) 演說好處 秋瑾集 , p.4.

49) 敬告中國二萬萬女同胞 秋瑾集, p.5.

50) 敬告中國二萬萬女同胞, p.6.

(22)

하루를 허무하게 보내는 여성들에게 求學할 것을 제창하였다 추근은

.

부녀해방을 위해서 뿐만 아니라 제 호에서는 연설의 중요성을 제

1 3․

호에서는 중국 동포에게 민족정신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4 .

3 4

호 호에는 중국동포에게 민족정신을 일깨우고자․ 「敬告我同胞 라는 글을 발표하였다

.

나는 지금 대단히 감동한 바가 있어서 여러분께 말씀드립니다 나는. 어제 橫浜에 있는 친구를 만나러 가는 도중에 대단히 떠들썩한 군악이 들리고 남녀노소가 모두 조그만 국기를 손에 들고 미친 듯이 만세를 부 르는 것을 보았습니다 수천의 소리 수만의 소리가 합하여 우아 하고. , “ ” 울렸습니다 나는 왜 그렇게 떠들썩한지를 몰랐습니다 후에 들으니 이것. . 은 출정하는 군인을 환송하는 것이었습니다 결국 우리 동북삼성지방을. 놓고 러시아와 싸움을 하러 가는 것이었습니다 일본인들은 마음을 합하. 여 군인을 귀하게 여깁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전쟁에 생명을 내던지고. 모두 죽음을 두려워하는 마음을 갖지 않고 자기들이 만약 이기지 못한다 면 국가에 돌아갈 면목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이 모두 이와 같이. 생각하기 때문에 싸움에 생명을 걸고 포화를 피하지 않고 앞 사람이 죽 으면 뒷사람이 다시 앞으로 나갑니다 오늘날 러시아라는. 大國이 조그만 섬나라 일본에게 패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중국에서는 현재 군인 들이 어떠한 교육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적을 만나면 슬쩍 도망을 갑니 다 우리 중국인이 교육을 받지 못한 피해는 천마디 만마디를 하여도 끝. 이 없고 일 일이 걸려도 말을 다할 수가 없습니다2 3 .51)

위의 내용은 추근이 러일전쟁 중의 일본인의 애국심을 부러워하면 서 당시 중국군인에 대한 대우를 개탄하고 있다 그러나 추근이 중국

.

의 영토인 동북지방에 대한 러시아 일본의 침략을 개탄한 부분은 오 히려 보이지 않는다

.

이와 같이 추근은 혁명선전의 수단으로 연설과 백화를 적극 활용하 려 하였다 특히 백화 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부녀들의 무지를 일깨

.

우기 위해 쏟은 노력은 역사적으로 높이 평가받아야할 것이다

.

실행공애회

( )

共愛會 再建

51) 敬告我同胞 秋瑾集 , p.7.

(23)

공애회는

1903

4

8

일 성립하였다 이 당시 일본에 유학하는

.

여학생은

10

여명 정도였다 공애회의 설립목적은

. 3

가지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여학의 진흥과 여성 교육의 발전을 도모한다, . 둘째 여권과 자유를 제창한다, .

셋째 애국주의 정신을 선전하고 여성에게 애국 교육을 진행하여, 救國 한다.

救民

의 사상을 반대하고 여성의 독립정신을 길러서 완전한 여 重男輕女

국민이 될 것을 강조하였다 공애회회원들은 신문이나 잡지 상에 글을

.

발표하여 여성의 교육 남녀평등 여성 애국 문제를 주장하고 중국 여

, ,

성의 일본 유학을 호소하였다 일본 유학생들은 각

.

省別로 동향회를 조직하고 잡지를 발행하였다

.

공애회는 그 主旨에서 「

2

억의 여성들을 구제하여 그 권리를 회복하 고 자주적인 한 인간으로서 자유와 평등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한다 고」 밝히고 있으며 이는 청말 부녀해방운동의 내용을 그대로 담고 있다

, .

그러나 당시 중국 내에서 拒俄運動이 발생하자 공애회 회원은 적극적 으로 이 운동에 참여하였는데 오히려 이 사건을 계기로 공애회의 활

,

동이 정체되고 말았다

.

52)

1904

년 추근이 일본으로 유학을 온 후 오 래지 않아 그녀는 임종소 진힐분 등의

, 10

여명 여성 유학생과 결합 하여

11

월에 중국 유학생회관에서 회의를 소집하고 공애회의 재건을 선포하였고 여성해방을 위하여 선전 활동 저작 활동 등을 해나갔

,

.

53)

공애회의 재건은 동맹회의 활동의 일환이 아니라 지식인 부녀를 결 합시키고 학문을 장려하고자 하는 그녀의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공애

.

회는 원래

1903

년 「二億 중국여자의 고유특권을 회복하고 국가사상을

52) 공애회는 비교적 느슨한 여성 애국 단체여서 拒俄운동 이후 활동이 정체되 었다.

53) 중국의 여성해방운동과 사상 , pp.54-55.

(24)

구비하여 女國民의 천직을 다한다」54)를 主旨로 창립되었다 이후 공

.

애회는 러시아의 동삼성 점령으로 留日學生이 拒俄義勇隊를 조직하자 여기에 참여하여 간호 의술활동을 하다가 이후 拒俄義勇隊가 해체되자 공애회의 활동도 침체되었는데 이같이 침체된 공애회를 추근이 재건

,

하여 널리 선전하였다 추근은 공애회의 모임이 있을 때 마다 여권신

.

장과 反淸에 관하여 열변을 토하였다

.

55) 뿐만 아니라 추근은 모국에 있는 여학생 일반 여성들에게도 글을 보내 다음과 같이 자신의 뜻을

,

전하기도 하였다

.

여러 자매들은 뜻이 있다면 일본에 유학하지 않으면 안 된다 나를 찾. 아와 준다면 一切의 편의를 도모해 줄 것이다 나는. 二萬萬人의 여자의 학문 단체를 결성하기 위하여 공애회를 만들어 實行共愛會라고 이름을 붙여 진힐분을 회장으로 추천하고 나는 招待의 임무를 맡았다.56)

위의 글은 추근이 湖南 第一女子師範學堂에 보낸 글로 「女子世界」 에 발표되었는데 여기에 나타난 것처럼 공애회의 목적은 여성동포가 남자의 범위를 탈피하도록 협조하고 이를 위해 여동포가 학문을 하여 실질적인 자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녀는 일본이 강한 이

.

유를 女學이 흥하여 모든 남녀가 坐食하는 사람이 없음에 두고 이것이 야말로 중국 여동포가 가장 급히 행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했다 추근

.

은 침체된 공애회를 실행공애회 로 개조하면서“ ” 陳 芬

을 회장으로 추 천하고 자신은 招待의 임무를 맡아 공애회 모임이 있을 때마다 여권신 장과 반청에 관한 열변을 토하였다 그녀가 공애회에서 한 활동에 대

.

해 陳去病은 추근은 대회 때마다 반드시 옷의 뒷자락을 걷어 올리고「

54) 張玉法 主編, 近代中國女權運動史料 (國立臺灣師範大學歷史硏究所, , 1975), p.910.

記文學社出版

55) 추근은 여자를 첩으로 삼으려는 사람에게 엄중히 경고하여 막고 모국에 있, 는 여학생 일반 여성들에게 글을 보내 일본 유학을 적극 권유하기도 하였다, . 이처럼 추근이 일본 유학중에도 항상 부녀에 대하여 생각하고 부녀해방을 위 해 노력하였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할 것이다.

56) 致湖南第一女子學堂書 秋瑾集, p.33.

(25)

등단하여 자기의 소신을 피력했는데 그 내용은 가을 빗물이 떨어지는 것처럼 悲壯하여 사람들의 心魂을 움직였고 이를 듣는 사람들은 부끄 러움을 무릅쓰고 따라 울었다 고 회고하였다」

.

57)

이같이 추근은 일본 유학중에도 공애회를 발전시켜

2

억 여성을 대 표하는 단체를 결성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하였으며 이를 통해

,

婦女 의 지위를 개선코자 하였다

.

58)

발간 의 조직화 추진

中國女報 女國民軍 反淸起兵

④ ․ ․

추근이 동경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후의 활동은 크게 中國女報 발 간․女國民軍의 조직화 및 反淸起兵계획에 있다

. 1906

년 일본에서 귀 국한 후 추근은 가족에게로 돌아가지 않았고 혁명동지들과 더불어 상 해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 1906

3

월부터 심계

(

潯溪

)

여학교에 서 교편을 잡았다 이 학교에서 여학생들에게 일본어 요리 위생과목

. , ,

을 가르치면서 여성해방의 길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으나 그해

6

월 낡은 사고방식을 지닌 이사장과 학부형들의 항의에 의해 쫓겨나고 말 았다 이 사건을 계기로 추근은 여성의 각성이 얼마나 절실한 것인가

.

를 깨닫고 이에 보다 효과적인 여성해방운동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

상해에서 중국최초의 여성계몽잡지인 中國女報 를 발간하였다

.

이 잡지의 취지는 풍속을 개량하고“

,

‘女學’의 중요성을 제창하고

,

感情 을 풍요롭게 하고 단체를 결성함으로써 어느 날엔가 중국여성협회를

,

결성 한다 였다”

.

59) 추근은

1907

1

월 중국여보 창간호에서 잡 지 창간의 목적과 이상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

우리 중국의 암흑은 어느 정도인가 우리 중국의 앞날에 놓여있는 위? 험이란 어떠한 것인가 우리 중국여성계의 암흑은 더 더욱 어떠한가 우? ? 리 중국 여성들의 전도에 놓여있는 위험은 어떠한 것인가?... 하루 빨리 우리 여성동포들에게 호소하고자 중국여보 를 창간했다.... 내가 희망하 57) 郭延禮, 秋瑾年譜 齊魯書社( , 1983), p.45.

58) 張蓮波 二十世紀初的婦女團體, 史學月刊 1991-2, pp.51-53.

59) 小野和子, 現代中國女性史 正宇社 李東潤 譯( , , 1985), p.95.

Referensi

Dokumen terkait

附件一 110 年度全國教師工會總聯合會近土親農- 「食農學堂」教師研習計畫 壹、 實施目的: 一、 長期推動復興國產雜糧與近土親農之教育運動,提供教師教學課程實 踐資源。 二、 建立臺灣推動近土親農教育運動之哲學理論與實踐模式,提供各界參 考。 三、 持續與同樣關懷臺灣環境保護、生態永續、近土親農價值理念之團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