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의 과 그 의 * 代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의 과 그 의 * 代"

Copied!
16
0
0

Teks penuh

(1)

의 과 그 의 * 宋代 發運使 役割 地位 變化

( )

金 榮 濟 檀國大

. 序 論

란 관직은 와 에도 있었으며, 에도 종종 여러 지

發運使 唐代 五代 宋代

역에 나타나고 있었다. 本稿에서는 宋代 東南地域‘ ’의 發運使에 대해서 다루기로 한다 이에 대한 종래의 연구는 송대의. 運送問題와 관련해 다루어졌다 그리고 시기적으로는. 北宋代, 그 역할에 있어서는 市糴

부족분의 구입 과 의 이라는 측면에서 다루었다

(上供米 ) 上供物 運送 .1)

그러나 발운사는 이 뿐만 아니라 동남지역의, 茶 鹽 礬, , 의 수입을 관 장하고 나아가서는 그곳에서, 三司를 대신하여 入中商人에게 茶나 소 금을 지급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발운사가 전매물품도 관장하고 있었다는 점을 부각시켜, 北 이 연구는 학년도 단국대학교 대학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

* 2006 .

1) 靑山定雄,, 唐宋時代 交通 地誌 地圖 硏究 吉川弘文館( , 1963),第一篇,

, , , ,

宋時代 交通 第八 唐宋時代轉運使及發運使 第九 宋代における漕運 發 .

. 序論

. 北宋 初期發運使의 역할

1. 宋初 發運使 設置背景

2. 發運使 糴本錢 漕運費用

. 北宋 中後期發運使의 역할

1. 仁宗朝 後期 神宗朝 初期

發運使

에 있어 2. 神宗朝 後期 徽宗代

發運使役割 . 南宋代發運使

. 結論

정부가 동남지역에 를 두게 된 정확한 배경을 복원하는 데

宋代 發運使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또 종래의 연구에서 언급되지 않았던 발운사. 의 糴本錢과 漕運費用의 마련 방법, 仁宗代 이후 徽宗代에 이르기까지 와 의 관계를 통하여 의 과정을 살피고 나아,

發運使 轉運使 財政集權化

가 南宋代 發運使의 역할에 대해서도 검토하고자 한다 이로써. 宋代 전체를 통하여 發運使가 과연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었고 그 재정사, 적 의의는 무엇이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 北宋 初期 發運使 의 역할

1. 宋初 發運使 設置 의 背景

송대 동남지방에 설치된 발운사의 연혁에 대해서는 職官分紀 에 자세히 나타나 있다.

에서는 이나 혹은 로써 의 를 하여

國朝 朝官 諸司使 本路 茶鹽礬稅 兼 制置

하도록 하였다 처음. 淳化4 (993)年 에 洛苑副使 楊允恭과 內展崇班 朱沖 을 함께 파견하여 江南에 가서, 茶 鹽 粮 帛, , , 을 운반하는 것을 管勾하 도록 하였고 또, 太子中允 王子輿와 더불어 允恭이 茶貨를 판매하는 것 을 計度하도록 하였다. 至道元年(995)에 비로소 允恭과 西京作坊副使 李

그리고 로 하여금 로 삼고 에

, ,

廷遂 子輿 江淮兩浙發運使兼制置茶鹽事 淮南

관청을 두었으나, 3 (997)年 에 이를 폐지하였다. 咸平3 (1000)年 에 鹽鐵

와 를 다시 으로 삼고 그 해,

判官 王子輿 閤門袛候 秦羲 制置淮南江浙茶鹽

에 制置礬稅를 겸하게 하였으며, 荊湖路도 관장하도록 하였다. 3年 子輿 에게 兼하여 淮南轉運使로 임명하고, 4 (1001)年 에는 또 都大發運使를 추가하였다 이 이후에는. 淮南轉運使로 하여금 그 업무를 겸하여 관장하 도록 하였으며, 使名을 두지 않았다. 景德 年3 (1006)에 다시 (發運使 一)

을 두었고 후에는, 의 가 있었다.

人 二人 副使 …2)

이를 보면 송대 동남지역 의 발운사라고 하는‘ ’ 官職은 太宗 淳化4年 2) 職官分紀 卷47,淮南浙江荊湖路都大發運使副使都監.

(2)

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993) ,3) 至道元年(995)에 관직과 관청이 설

립되었고, 至道3년에 폐지 그리고, 眞宗 咸平4 (1001)년 에는 都大發運 가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使 4) 그 이후에는 使名을 두지 않았다가, 년 에 다시 를 두었던 것으로 나타나 있다

3 (1006) .

景德 都大發運使 5)

그리고 발운사가 관할하는 지역은 동남지방 곧, 淮南路 兩浙路, , 江南 였다 발운사는 이들 지역의 을 운반

, . , , ,

東西路 荊湖南北路 茶 鹽 粮 帛

하고 동시에, 茶鹽 또는 茶鹽礬의 업무를 맡고 있었다고 한다. 여기서 발운사의 역할을 좀더 세부적으로 검토해 보기로 한다.

가 말하기를, 과 에서 올해 들, 發運使 李溥 江浙諸州軍 淮南十三山場

어온 茶는 2,906萬 5,700餘斤이고, 舊額에 비하여 572萬 8,000餘斤이 증가하였습니다.6)

의 는 예전에 가 의 을 , ,

江湖地域 上供米 轉運使 本路 船團 眞州 楚州

의 에 운송하고는 소금을 싣고 되돌아와 배는 그, 에 보내

泗州 轉般倉 州

고, 兵卒은 집에 돌려보냈다. (그러면) 汴舟가 轉般倉으로 가서 米穀을 실어京師에 날랐는데, 每年오가며 네 차례 운반하였다.7)

에서 을 판매한 돈은 매년 이 있었고, 가 이를

無爲軍 礬 一定額 發運使

③ 관리하였다.8)

이 세 가지 사료를 보면 발운사는, 東南地域의 茶와 礬을 판매하고,

3)참고로 宋史에서는淳化5 7년 월에 둔 것으로 나타나 있다. 宋史 5,本紀 5, 淳化五年,七月,癸亥.

4) 續資治通鑑長編(이하 長編이라 약칭함) 48, 咸平四年, 四月 戊子, . 5) 長編 62, 景德三年, 二月, 癸巳, 虞部員外郞馮亮爲度支員外郞 淮南 江 ․ ․

, , ,”. 위에서

浙 荊湖制置茶鹽兼都大發運使 都大發運使自至道末省之 乃是復置

인용한 職官分紀에서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景德2년에 다시 發運使를 두었 . 宋會要輯稿 職官42-15, 發運使,景德二年五月 以崇儀副使李溥制置淮南, 에 다시 를 폐지하 ,”.

江浙荊湖茶鹽礬稅兼都大發運使 仁宗 景祐元年 發運使

淮南轉運使로 하여금 겸임하게 한 뒤, 景祐4년에 다시 설치하기도 하였다.

10, , , , , , ,참조.

宋史 景祐元年 十月 庚申 景祐四年 八月 丁卯 6) 長編 85, 大中祥符八年, 十月 丙戌, .

7) 宋史, 食貨 漕運, . 8) 宋史, 食貨 礬, .

그리고 淮南路의 轉般倉에서 上供米를 싣고 온 轉運使에게 소금을 지 급하는 일을 맡고 있었다 결국. 淳化4년에 정부가 동남지역에 발운사 를 파견한 이유는 이 지역 전매물품인 茶鹽礬과 관련이 있었다.

송대 동남지역에서 생산된 차는 모두 6개의 榷貨務(江陵府 眞州, , 의 에서 일괄 수매하였다

, , , ) .

海州 漢陽軍 無爲軍 蘄州 蘄口 9) 그리고 은 정부가 직접 13 을 두어 를 생산하기도 하였다.

淮南地域 山場 茶

에 와 전쟁을 하면서 송 정부는

(984-987) ,

太宗 雍熙年間 遼 河北地

에 를 납입( )한 상인에게 현지에서 을 지급하였다.

域 糧草 沿邊入中 交引

상인은 이 交引을 가지고 京師에 가서 銅錢을 수령하든지 아니면, 江 에 가서 와 소금을 수령하기도 하였다 또 송 정부는. 에

淮地方 茶 開封

을 만들고 곡물을 납입한 상인에게, 에서 차와 소금을

折中倉 江淮地方

지급하기도 하였다.10) 상인들은 이 소금과 차를 가지고 지정된 지역 에서 판매하였다.

그런데 이 정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 다 그래서 발운사는 이 문제에 관여하기도 하였다. .

이(至道2 :996)년 에 앞서 淮南 18州軍에서는 그 아홉 지역을 禁鹽하였 으나 나머지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 商人들은 海上으로부터 販鹽하였고, 에서는 두 배를 주고 소금을 수령하여, 에 이르러 판매 하였기에( ) ,

官 禁地

곧 그 가격에 차이가 있었다 백성들은 상인의 싼 소금을 선호하였고 이. , 때문에 판매가 더욱 늘어났으며, 兵器를 가지고 왕래하면서 몰래 (禁地 에서 판매하는 자가 있기에 이르렀다) . 發運使 楊允恭이 법은 마땅히 하 나로 통일해야 한다고 하여 모두, 禁地로 삼고, 官에서 胥吏를 파견하여 그 일을 主管하자고 奏請하였다 그래서 이를. 三司로 하여금 논의하게 하였다. …允恭은 또 商人으로 하여금 먼저 金帛을 京師와 揚州의 博務 에 납입하게 하고 이를 모두, 茶로써 지불하자고 주청하였다.11)

소금의 판매방식에는 과 이 있었고 각기 판매,

北宋代 官賣鹽 通商鹽

구역을 달리 하고 있었다 위 사료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淮南路의

9) 宋史, 食貨 茶 上, , . 10) 宋史,食貨 茶 上, , .

11) 長編 40,至道二年,十一月, 甲午.

(3)

경우는 18州 가운데서 그, 半에 해당하는 9州를 官賣地域(禁地), 나 머지 9州를 通商地域으로 설정하고 있었다 또 상인들에게는 관매염의. 가격으로 소금을 지급하였다고 하므로 정부는 을 장려하기

50% , 入中

위해 가격을 우대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인들은 낮은. 가격으로 소금을 수령하여 판매할 수 있었다 문제는 통상염이 저렴했. 기 때문에 官賣地域에 그것이 몰래 흘러 들어가 판매되었다는 데 있 다 이에 따라 관매염의 판매가 도리어 부진하게 되었다 바로 이 문. . 제에 發運使가 관여하였다 그래서 발운사 양윤공은 해결책으로써 소. 금의 通商을 취소하고, 京師와 揚州 折博務에 入中한 상인에게 모두

로써 지급하자고 건의하였다. 茶

당시 동남지역의 소금과 차 전매는 邊餉(연변의 군량공급 과 관련) 되어 있었다. 淮南路에 있던 발운사는 沿邊入中, 또는 京師入中 商人 에 대해 소금과 茶를 지급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었다 다시 말해 발운. 사는 중앙에 있던 三司를 대신하여 그것을 지급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 위의 사료를 통해서 발운사는 揚州 折博務에 入中한 商人에게 소금 을 지급하고도 있었다 따라서 당시. 入中에는 종래 알려진 沿邊과 京

이외에, , 등 세 가지 방식이 있었다. 師 揚州 折博務

위의 인용사료에 따르면 양윤공이 입중상인에게 소금 대신에 모두 를 지급하자고 건의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의 추이를 보면 반드시. 茶

그렇게 된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에 이르러 비로소 을 모집하여 와

(1017) ,

天禧初 商人 京師 淮 浙江․ ․

에 과 을 넣게 하고 소금과 바꾸도록 하였다.

南․荊湖州軍 緡錢 粟帛 乾興

에 에 들어온 는 합계 으로 이었다

(1022) , 114 .

元年 京師 錢貨 緡錢 萬 12)

이를 보면 상인으로 하여금 京師와 東南의 여러 지역에 화폐 곡물, 이나 비단 등의 현물을 납입하게 하고는 소금을 지급했다고 한다 여. 기서 말하는 동남의 여러 지역에 대한 入中은 발운사가 장악하고 있었 다 따라서 발운사는. 入中商人에게 소금을 지급하고 있었다.

12) 宋史, 食貨 鹽 中, , .

전매물품은 三司가 직접 관장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發運使는 京師 에 있던 三司를 대신하여 東南地方의 茶鹽礬을 장악하고 그, 任地인

에서 , , 등에 한 에게 소금을 지

淮南路 沿邊 京師 揚州 折博務 入中 商人 급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 발운사는 茶 鹽 糧 帛, , , 의 운반도 맡고 있었다고 하였다 이는. 발운사가 차나 소금을 관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자연히 그 운반도 맡게 된 것이었다 나아가. 發運使는 東南地域의 轉運使가 上供物를 실고 오 면 淮南路의 轉般倉에서 소금을 지급하기도 하였으며 거기서 다시, 京

까지 ( )을 수송하는 일도 맡고 있었다 이처럼.

師 兩稅 上供物 糧帛 發運

는 크게 두 가지 사무를 맡고 있었다 하나는 동남지역의 전매수입. 使

을 장악하여 입중상인에게 지급하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 京師에 上 을 나르는 것이었다.

供物

의 과

2. 發運使 糴本錢 漕運費用

송대 財政에 관한 사료는 정부의 관점에서 기록되었다 이 때문에. 정부가 관심을 가지고 있던 軍餉問題에 관한 기록이 대부분이다 그래. 서 종래의 연구도 주로 이들 문제를 중심으로 언급되었다.13) 그러나 관찰의 대상을 발운사에 둘 경우 여전히 해명되지 못한 부분이 남아, 있다.

는 를 관할하고 있었다. 는 의 에게

發運使 上供米 上供米 各路 轉運使

이 할당되어 있었지만 흉년으로 인한 부족분은, 가

一定額 發運使 市糴

을 통해 채우고 있었다 그래서. 上供米 600萬石은 轉運使의 上供米와 의 로 구성되어 있었다 발운사는. 에서 를

發運使 市糴米 轉般倉 市糴米

13)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성과들이 있다.戴裔煊, 宋代鈔鹽制硏究(

, 1957); , ( 1,

華書局 初出 佐伯富 宋初における の茶 專賣制度 中國史硏究

, , 1969); ( 2,

洋史硏究會 同朋舍 宋仁宗朝における茶法について 中國史硏究

, , 1970); ( 2);

東洋史硏究會 同朋舍 宋代林特 茶法改革 について 中國史硏究

, ( , 1990).

郭正忠 宋代鹽業經濟史 人民出版社

(4)

보태어 京師까지 운송하고 있었다.

이로써 發運使는 시적미를 구입할 자금(糴本錢)이 필요하였고 또한, 도 마련해야만 하였다. 사람인 에 따르면

運送費用 仁宗代 范仲淹 上供

을 채우는 데에는 과 만 해도

600 300

米 定額 萬石 糴本錢 運送費 餘萬

이 든다고 한다.

14) 게다가 發運使는 운반을 위해 많은 수의 船舶을 건조할 필요도 있었다.15) 하지만 發運使가 이들 費用을 어떻게 마련 했는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아무런 연구가 없다 그래서 이 문제에. 대해서 검토해 보도록 하겠다.

이자 이며 인 을

淮南 江․ ․ ․浙 荊湖制置發運使 文思使 昭州刺史 張綸 知

로 임명하였다 장륜은. (1021)에 였다 그때. 의

秦州 天禧末 發運副使 鹽課

부족이 10년 동안 누적되어 있었다 이에. 綸이 通州 泰州 楚州, , 등 3州 의 연체된 부채를 면제하고, 에서 그 생산도구를 마련해 주며 소,

鹽戶 官

금을 보다 나은 가격으로 사주자고 上奏하였다 이로부터 매년. 生産課額 이 數十萬으로 증가하였고 다시, 杭州 秀州 海州, , , 등 3州에 鹽場을 두 자 매년, 販賣課額도 350萬이나 되었다. (장륜이 발운부사로) 3년 동안 있으면서 上供米도 80萬石이나 늘어나게 되었다.16)

이를 보면 眞宗 天禧末(1021)에 發運副使였던 장륜은 鹽戶들의 처 우를 개선하여 소금 생산을 증가시켰고 동시에 여러 곳에, 鹽場을 두 어 소금의 판매액도 늘였다고 한다 이로써 매년 소금의 판매수입이. 이나 되었고 또 그가 발운부사로 있었던 년 동안 도

350萬緡 , 3 上供米

이나 더 증가시켰다고 한다

80萬石 .

이 인용문에서 주의를 끄는 것은 당연히 소금의 판매수입 증가와

의 이다 송대. 가 보내는 는

上供米 增加 轉運使 兩稅 秋苗 上供米 額數 으로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 자체의 증가는 있을 수 없다, . 原額

그렇기 때문에 상공미 증가는 발운사가 구입한 市糴米에 의한 것이다. 이는 발운사가 鹽場을 늘림으로써 판매액이 증가한 것에 기인한다 이. 14) 范文正奏議 上 治禮, , 答手詔條陳十事.

15) 元豊年間의 통계에 따르면汴河綱船의 본래歲額1,700여척이라 한다.

333, , , .

元豊二年 二月 辛亥 16) 長編 106, 天聖六年, 八月,甲戌.

처럼 發運使는 앞서 서술한 揚州 折博務에서 거둔 入中收入 뿐만 아니 라, 鹽場의 설치에 따른 수입을 얻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 수입으로써. 필요로 하는 市糴米를 구입하였다.

또 발운사는 轉般倉에서 上供米를 가져온 轉運使에게 소금을 지급 하고 있었다 전운사는 이를 자신의 관할지로 가지고 가서. 官賣를 하 였다 먼저 당시. 官賣鹽의 배분과 가격에 대해서 보도록 하겠다.

대체로 소금의 수납은 창고를 두어 받는다. 通州와 楚州는 각각 하나, 는 셋을 두고, (이들 세) 에서 생산된 소금을 받는다 그리고.

泰州 州 轉般

두 곳을 두었는데 하나는, 에 두어, , , 의 소

倉 眞州 通州 泰州 楚州 五倉

금을 받고 또 하나는, 漣水軍에 두어, 海州 漣水의 소금을 받는다. 江南 과 荊湖의 歲漕米 上供米( )가 淮南에 이르면, (이들 전반창의 소금을 받) 아 되돌아간다. 東南의 鹽利를 보면 天下에서 가장 두텁다고 할 수 있다. 에서 들이는 소금의 가격은 과 , 그리고 의 , ,

官 淮南 福建 兩浙 溫州 台州

의 경우는 1 에 4 , 와 는 1 에 6 이며, 은 5 이 明州 斤 文 杭州 秀州 斤 文 廣南 文 다 파는 가격은 소금을 운반해 온 거리의. 遠近을 헤아려 높낮이를 두었 는데 그 이익은, 10배에 이르는 것이 있다.17)

이를 보면 당시 淮南에서 생산된 소금은 생산지의 창고에 일단 보 관된 뒤 다시 소금의, 轉般倉으로 보내지고 있었다 이 소금의 전반창. 은 眞州와 漣水軍에 있었다.

위의 사료에서는 전운사가 소금 전반창에서 소금을 받아오는 가격 이 나타나 있다. 淮南의 轉般倉에서 받아오는 경우 그 가격은 대체로, 소금 1斤에 4文 가량이다 그리고 이를 다시 운송거리를 고려해 최고. 배 정도로 되팔고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에 이라는 가

10 . 1斤 4 -6文 文

격은 최종 판매가격이 아니고 발운사가 전운사에 건네는 가격으로 생 산원가였다.18) 各路의 轉運使는 轉般倉에서 소금을 생산원가로 가져 와서 여기에 이익을 보태어 판매하고 있었다.

다음의 사료를 보면 전운사의 소금 판매이익 가운데 일부가 발운사

17) 宋史,食貨 鹽 中, , .

18) 郭正忠에 따르면1 4이라고 하는 것은 생산가격이라고 한다. 前揭, , p.222.

代鹽業經濟史

(5)

수입으로 다시 들어가 漕運 비용으로 쓰이고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이자 인 , 그리고 이자 이

權鹽鐵判官 侍御史 蕭定基 祠部員外郞 集賢校理 며 判戶部勾院인 王琪로써 함께 江南東西路와 荊湖南北路의 鹽酒公事를

하여 토록 하였다. 가 말하기를 “ 의 이 하고,

提擧 計度 王琪 四路 民間鹽 不足

도 매년 증가하지 않으므로, 와 함께 가기를 청합니다 고 하였”

酒課 蕭定基

다 이어서. 制置發運使인 楊告와 더불어 그 利害를 함께 計度토록 하였 다 이에. 琪가 말하기를 “天禧初(1017)에 일찍이 荊湖鹽의 가격이 높아 서, 1斤에 3錢 또는 2錢을 감하도록 詔를 내렸는데 그 뒤에, (소금의) 이 감소하였으므로 청컨대 다시 이전 가격으로 회복시켜 주신다면, , 收入

매년 4萬緡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고 하여 이를 허락하였다” , . 制置司가 또 말하기를 요즘“ 運河의 물이 말라 얕아져서, 漕運하기가 어렵고 비용 도 더욱 많이 드니 청컨대, 江南東西 淮南, , 兩浙 荊湖南北路, 등 6路의

을 헤아려 올려주기를 바랍니다 고 하였다” .

糴鹽錢 그래서 이를 三司에게

의논하게 하였다 이에. 三司가 上奏하기를, “荊湖는 이미 增錢하였으므 로 나머지, 4路 38州軍에 대하여, 請컨대 1斤에 3錢 또는 4錢을 올려주 시길 바랍니다 고 하였다” . 詔를 내려 河流의 通運이 예전처럼 회복되기를 기다리라고 하였다 그 뒤에. 制置司가 또 江州에 轉般倉을 두고는 漕運 을 더하고 를 고용하여 운반하였는데 이로 인해, 6 51 에 대

船 客舟 路 州軍

해 1斤에 5錢을 올려주기를 청하였다 이로부터. 鹽課와 酒課가 매년 30 이 늘어나게 되었다

6 .

萬 千餘緡 19)

위의 인용문에서 밑줄 친 부분을 보면, ‘糴鹽錢’과 漕運費用은 서로 관계가 있었음 나타내고 있다. 6路의 적염전 이란 소비자의 입장에서‘ ’ 소금을 구입하는 가격이다 발운사가 조운비용이 부족하다고 하여 적. 염전을 올려 달라고 했으므로 이는 판매가격의 인상분을 조운비용으, 로 삼겠다는 의미이다 이를 통해 발운사는 전운사가 판매한 소금의. 판매가격 가운데서 일정부분을 다시 漕運費用으로 되돌려 받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당시 소금. 販賣 價格 = 生産原價 + 轉運

로 구성되어 있었다. 司 經費 + 發運司 經費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發運使는 東南地域에서 茶 鹽, , 또는 의 업무를 관장하였다 이들 생산지는 동남지방의 여러. 에 분포하

礬 路

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통괄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정부, . 19) 長編 133, 慶曆元年 九月 乙卯, , .

는 轉運使와는 별도로 發運使를 파견하였던 것이다.

발운사는 첫째 入中商人에게 소금이나 茶 礬, 을 지급하거나 그가, 관할하는 揚州 折博務를 통해 직접 팔기도 하였다 둘째 발운사는. 鹽 을 설치하여 소금을 팔기도 하였고 셋째, , 에게 소금을 건네

場 轉運使

고 동시에 그로부터 소금의 판매수입 가운데서 일정부분을, 漕運費用 으로 취하고 있었다 넷째 발운사는 자신이 거둔 수입의 일부로써. 轉

에서 를 구입하여 을 채우고 있었다. 般倉 市糴米 兩稅 上供米 定額

이처럼 發運使의 설치의 배경에는 東南地域의 課利收入 管理와 上 을 확보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었다 그리고. 의 확

供米 定額 課利收入

보가 없다면, 上供米 定額을 채울 수 없을뿐더러 운송비도 마련할 수, 없었다 따라서. 北宋初 정부가 東南地方에 發運使를 둔 첫 번째 이유 는 그로 하여금 茶鹽礬의 收入을 관리시키기 위해서였고, 運送은 사실 상 二次的인 것이었다.

. 北宋 中後期 發運使 의 역할

와 의

1. 仁宗朝 後期 神宗朝 初期 發運使

로 크게 활동했던 이는 이었다.

仁宗朝 後期 發運使 許元

을 옮겨서 로 삼

江南西路轉運使․工部員外郞 職史館 唐詢․ 福建轉運使 았다. 이 당시 淮南 江浙 荊湖發運使․ ․ ․ 인 許元이 六路轉運司의 發運使 에 대한 移文에 모두 아룀‘ ( )’申 이라 적도록 청하였다 같은. 所屬의 唐詢 이 (이를) 다투어 不可하다고 하였다. 朝廷이 이때 許元에게 委任하여, 이런 까닭으로唐詢이 옮기게 되었다.20)

와 에게 를 내려 예전처럼 을 하게 하 制置發運使司 六路轉運 詔 公牒 往來 였다 이보다 앞서. 許元이 羨餘를 널리 거두어 이로써, 三司에 아첨하고

20) 長編 168,皇祐二年,五月 戊子, .

(6)

자 하였다. 諸路의 전운사가 이를 꺼려 따르지 않았다 이에 허원이( ) . ( ) 의 를 자기 밑에 두고자 하여 보고서에 모두, ‘ 에 아룀

六路 轉運司 發運司

이라 적도록 청하였다 이 에서 으로 옮겨가고

(申發運司)’ . 唐詢 江西 福建

난 뒤 다른, 轉運使들이 잇달아 朝廷에 이를 논박하였다 그래서 마침내. 이를 그만두게 하였다.21)

이를 보면 당시 發運使였던 許元이 羨餘를 많이 거두었다고 한다. 그리고 허원은 전운사가 발운사에게 보내는 문서에 발운사에게 아룀‘ ’ 이라는 문구를 적도록 하였다 이에 대해. 江西路 轉運使였던 唐詢이 먼저 반발하였으나, 三司는 오히려 허원의 편을 들어 唐詢을 발운사 소속 이외의 지역인 福建路 轉運使로 전출시켜 버렸다 그러자 이번에. 는 다른 전운사들이 잇달아 조정에 이 문제를 항의하게 되었고 마침, 내 조정에서도 하는 수 없이 종전처럼 아룀 이라는 문구를 적지 않도‘ ’ 록 했다고 한다.

의 연구에 따르면, 에 들은 을 채 靑山定雄 仁宗代 轉運使 上供米 定額 우지 않게 되었고 그래서, 許元이 慶曆3 (1043)년 發運判官을 시작으 로 12년간 發運關係의 업무를 맡으면서 上供米 부족을 해결하였다고 한다 그는 각 지역에. 3개월분의 곡식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모두 上供 시키는 한편 흉년이 든 지역이 있으면 화폐로 내게 하고 발운사가, , 이 돈으로 풍년이 든 지역에 가서 싼 값으로 쌀을 사서 上供米를 채우 고 나아가, 非常用으로 항상 100만석을 보관해 두기도 하였다고 한 다.22)

그렇다면 당시 전운사들이 上供米 定額을 채우지 않게 된 배경을 살필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사료에서 그것을 엿볼 수 있. 다.

처음 天聖9 (1031) ,年 에 三司가 상인으로 하여금( ) 榷貨務에 入錢시켜 팔고자 청한 東南鹽은 280萬緡을 액수로 삼았지만, 나중에는 늘어나

21) 長編 172, 皇祐四年, 五月 丁卯, .

22) 靑山定雄 前揭 唐宋時代 交通 地誌地圖, 硏究, 第一篇, 唐宋時代 交通 ,

, , pp.368-370 참조.

第九 宋代における漕運 發達

에 이르렀다 에 의 이 하

400百萬 . 嘉祐年間中(1056-1063) 諸路 漕運 不足 여, 榷貨務의 課額을 더 이상 늘이지 않았다 이때. 發運司는 곧 官을 두 어運鹽公事를 專領하였다.23)

에 대한 은 처음에는 280 이었으나 나중에는,

東南鹽 京師入中額 萬緡

으로 늘어났다고 하며 이에 따라 에 이르러 의

400萬緡 , 嘉祐年間 諸路

이 부족하게 되었다고 한다.

漕運 24) 이로써 榷貨務의 入中額을 더 이 상 늘이지 않았다고 한다 결국 이 사료에서는. 京師入中의 增加로 인 해 諸路의 漕運이 不足하게 된 것이라 설명하고 있다.

위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仁宗朝에는 西夏와의 관 계가 더욱 악화하면서 軍事費가 늘어났다 정부는 재원을 염출하기 위. 해 위의 내용처럼 東南鹽에 대한 京師 入中額을 늘렸다 동남염의 전. 체 판매액 가운데서 入中으로 인해 通商鹽의 판매가 늘어나면, 東南地 의 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方 轉運使 官賣鹽 販賣收入

는 부족한 경비를 채우기 위해 를 하게 되었던 것으

轉運使 上供米 轉用

로 추정된다 그 결과. 發運使에게 보내야 할 漕運額이 부족하게 되었 던 것으로 판단된다.

당시 정부는 이 같은 상황에 직면하여 許元으로 하여금 轉運使들을 독려하도록 하였다 그래서. 仁宗은 許元에게 進士出身을 내리면서까지 적극 후원하였다.25) 허원은 이 같은 황제와 정부의 지지를 등에 업 고 전운사에 대해서 아룀이란 문구를 넣도록 하였다 이로써 허원은, . 전운사에게 위압을 가하여 그들로부터 굴복을 받아낼 심산이었다 하. 지만 이것이 도리어 전운사들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여 집단적인 반발 을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그리고 전운사들이 반발한 또 하나의 원인은 許元이 進奉을 널리 행하였다는 것인데,26) 그는 그것을 매년 수시로 한 것 같다.27) 그런

23) 宋史,食貨 鹽 中, , .

24) 長編에 따르면 위 기사는, 嘉祐2 11월의 것으로 나타나 있다. 同書 186,嘉祐二年, 十一月, 癸酉.

25) 長編 173,皇祐二年,十一月 壬辰, .

(7)

데 宋初부터 發運使는 매년 入朝할 때마다 進奉 또는 羨餘라 칭하여 황실이나 고위관료들에게 선물 공세를 펴고 있었고 이 같은 관례는,

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었다.

神宗代 28) 따라서 進奉 그 자체는 크게 중 요한 것이 아니었고 이는 빌미에 불과하였다고 판단된다, .

당시 반발의 직접적 원인은 중앙정부가 路로부터 수입을 늘이려는 데 있었다 그래서 전운사들은 발운사가 행한. 進奉과 아룀이란 문구를 빌미로 그동안 정부에 쌓였던 불만을 터뜨렸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정부와 동남지역 전운사들 사이에는 재원의 분배를 두고 알력이 존재했음을 엿볼 수 있다.

년 에 는 에 은닉된 부분이

2 (1069)

神宗朝 熙寧 三司條例司 地方財政

많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이와 더불어 당시. 江淮等路發運使 薛向은 發 가 의 을 총괄하며 그 직무는, , , , 를

運使 六路 財政 茶利 鹽利 礬利 酒稅

맡아 六路의 收入의 有無를 周知하여 이로써 중앙정부에 移用해야 함 을 주장하였다.29)

이처럼 지방재정에 은닉된 수입이 있다는 말은 당시 재정적자에 직, 면한 정부가 지방으로부터 분담금을 더욱 확대하려 했다는 것을 의미 한다 또 그에 따라. 發運使도 이 참에 그 권한을 강화하려고 했다 앞. 서 살핀 것처럼 薛向이 발운사가 六路의 재정을 총괄해야 한다는 표현 이 바로 그것이다 달리 말해 이는. 發運使가 六路의 재정을 총괄하지

26) 長編 177, 至和元年, 十一月 丙寅, .

27) 다음의 사료를 보면發運使로 하여금 년에 한 차례1 秋苗米上供할 때에만 를 허락하고 있다 따라서 이 이전에는 발운사가 일년에 수차례. 를 하

入朝 入朝

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入朝를 핑계로 수차례進奉을 행했던 것으로 보인 . 長編 173, 皇祐四年, 十一月, 庚午, 諫官韓贄言 發運使舊例雖嘗入奏, ,

, , ,

不聞逐次改官 今乞每歲更不許赴京奏事 只差一人附奏年額足數 詔發運使自今押

, .”

米運至京城外 更不朝見

28) 夢溪筆談 卷22, 謬誤에 따르면, 眞宗朝 發運使였던 李溥는 매년 入朝 때마다 큰 배에 동남지역의 재화를 싣고 가서 進奉이라 칭하며 皇室에 상납했 다고 한다 그래서 이것이 이후에 하나의 관례가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 沈括 熙寧年間에 이 같은 것을 목격했다고 적고 있다.

29) 宋會要 職官42-20, 21, 發運使 熙寧二年, ,七月十二日詔.

못하고 있으므로 정부의 요구가, 轉運使들에게 수용되지 못했다는 것 을 의미한다 이는 또 지금까지. 三司가 東南地域의 財源을 제대로 파 악하지 못하였고 그, 代理機關인 發運司의 장관도 그것을 파악할 권한 이 없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음의 사료를 보면 당시 발운사가 거둔 수입을 보관하는 倉場이 있었던 것을 나타내며 또 이, 倉場 소재지의 관리를 발운사가 선발하 고 있다.

인 이 말하기를, , , , , 江淮等路 發運使 薛向 等 通州 潤州 秀州 漣水軍 無

에는 각기 가 관할하는 이 있습니다 그래서. ,

爲軍 發運司 課利倉場 通州 泰

의 는 청컨대 에서 선발하고 과

, , , ,

州 海州 潤州 秀州 知州 朝堂 漣水軍 無 의 , 그리고 , , 의 은 청컨대 로 하여금 爲軍 知軍 通州 潤州 秀州 通判 本司

하도록 해주십시오 이에 따르다. .

選擧 30)

이를 보면 淮南의 通州와 漣水軍, 浙西의 潤州와 秀州, 江東의 無爲 에 각각 가 관할하는 이 있다고 한다 송대에. 라

軍 發運司 課利倉場 課利

고 하면 茶 鹽 礬 酒稅, , , 와 商稅 등의 수입을 일컫는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課利倉場이란 發運使와 관계된 茶 鹽 礬, , 의 판매나 그 수입을 보관하는 곳을 가리킨다.

발운사는 通州 泰州 海州 潤州 秀州, , , , 등의 知州를 조정에서 임명 하도록 하고, 漣水軍과 無爲軍의 知軍, 그리고 通州 潤州 秀州, , 의 通 을 가 선발하자고 건의하고 있다 발운사가. 의 임명권을

判 發運使 知州

조정에게 의탁하는 한편, 通判의 임명권을 요청하고 있는 것은 전운사 의 권위를 인정하는 것 같지만, 課利倉庫가 있는 지역의 관리를 사실 상 屬官으로 두려는 의도를 나타낸 것이다 북송대의. 通判은 簽書를 통해 사실상 知州를 견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31) 그래서 발운 사는 知州의 임명을 조정에 의탁하여도 사실상 通判을 통해서 그의 의 지를 관철시킬 수 있다. 通州 潤州 秀州, , 의 通判을 發運使가 선발하

30) 長編 217,熙寧三年,十一月 辛卯, .

31)草野靖,宋 通判 財政 ( 東洋史學 23, 1961).

(8)

고자 했던 것은 이런 이유에서였다 한편 발운사가 소금의 전반창이. 있던 漣水軍이나 礬의 생산지였던 無爲軍의 知軍을 임명하고 있다는 것은 그곳을 직접 관리하겠다는 의사표시였다 결국 발운사가 위와 같. 이 건의한 것은 그 권한을 강화하려는 목적에서 나온 것이다.

다음의 사료는 앞서 인용한 薛向의 건의와 그에 따른 조치를 좀더 보완해 주고 있다.

에 또 를 내려 로서 에게

(1068) , ( )

熙寧初 … 詔 六路轉運使 發運使 協力

하지 않는 자를 택하여 바꾸고 또, 發運使 薛向이 그 屬官을 스스로 뽑 도록 허락하였으며 또, 眞州 楚州 泗州, , 의 守臣을 천거하도록 하고, 9路 의 坑冶와 市舶의 事務를 겸하여 提擧하도록 하였다.32)

이 내용은 發運使에게 협력하지 않는 轉運使를 교체하고 또 당시, 였던 이 그 을 친히 뽑으며 나아가, 와 ,

發運使 薛向 屬官 眞州 楚州 泗州

의 知州를 薦擧하며 아울러, 6路를 넘어서 9路의 坑冶와 市舶의 사무 까지 겸임하도록 하였다고 한다 여기서는. 轉運使의 교체와 더불어 眞

와 , 의 에 대한 천거권을 주고 있다. 州 楚州 泗州 知州

이에 대해 당시 御史中丞이었던 馮京과 知雜事였던 謝景溫은 薛向 의 風采는 천하가 다 아는 사실이라고 조롱하면서 그의 능력과 성과에 대해서 의문을 표시하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神宗은 오히려 理 가 급하다고 하고 설향에게 더욱 신임을 표시하며 격려까지 하였, 財

다.33) 즉 당시 신종 황제는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운사 설향을 지지하였던 것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仁宗朝 後期에 비해 神宗初에 이르러서는 발운사 의 권한이 더욱 강화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당시 지방에 있던. 轉運 들은 중앙정부의 재정빈곤에도 불구하고 비협조적이었다 이로 인해. 使

정부는 발운사를 통해서 정부의 의지를 관철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정. 부는 발운사에게 전운사를 교체할 수 있는 권한과 더불어 발운사의,

32) 宋史 167, 職官, 發運使副. 33) 長編 212, 熙寧三年, 六月 辛巳, .

사무와 관련된 지역의 知州와 知軍의 임명 나아가 그, 屬官에 대한 辟 의 권한까지 주었다 또. 9 의 와 의 업무까지도 겸하도록

召 路 坑冶 市舶

하였다.

와 에 있어서 의 2. 神宗朝 後期 徽宗代 發運使 役割

의 8 (1075)년 에 이르러, 는 의 업무(

神宗 熙寧 中書 發運使 茶鹽礬酒

가 너무 넓어 처

, , )

稅 擧逐路巡檢兵甲賊盜 銀銅鉛錫坑冶 市舶 鑄錢․ ․

리할 수 없다고 하여 다시 발운사의 임무를, 六路의 鹽과 礬만을 맡는 것으로 축소시키자고 하여 이것이 시행되었다, .34) 그러다 茶는 元祐3 년(1088)에 가서 발운사가 다시 맡게 되었다.35) 이처럼 熙寧初期와 달리 熙寧8년에 와서 發運使는 鹽과 礬의 수입만을 관장하게 되었다.

정부는 熙寧3 (1070)년 에 이르러 新法을 구상하기 위해 두어진 制 를 폐지시키고 그 업무를 로 하여금 인수시켰다.

置三司條例司 中書 36)

바로 이 中書가 發運使의 업무를 鹽礬에 국한시켰다. 中書가 이처럼 의 업무를 축소시킨 데에는 다음과 같은 배경이 있었던 것 같 發運使

다.

의 경우는 이미 (1056-1063)에 을 실시하

茶 仁宗末 嘉祐年間 通商法

였다 이는. 官을 매개하지 않고 茶 생산자와 商人이 직접 거래를 하도 록 한 것이다 그래서 차 생산자는. 茶租를, 商人은 茶商稅를 각각 납 부하였다 이들. 租稅는 모두 知州와 轉運使가 관장하는 것으로, 發運

의 이 아니다. 使 所管

또 熙寧3 (1070)년 에 江西路에서 提擧常平官이 提點刑獄을 겸하였 는데 이것이, 提點刑獄과 提擧常平이 겸임하게 된 시작이라 한다.37)

신법시대에 있어서 치안문제는 路의 提點刑獄이 담당하였으므로 발운, 34) 長編 267,熙寧八年,八月, 癸卯.

35) 長編 415,元祐三年,十月 乙亥, . 36) 長編 211,熙寧三年,五月, 甲辰. 37) 長編 211,熙寧三年,五月 丙午, .

(9)

사가 이것까지 관할할 필요가 없어졌다.

그밖에 熙寧6 (1073)년 에는 京西 淮南, , 兩浙, 江西 荊湖, 등의 5路 에 鑄錢監을 각각 하나씩 설치하였다.38) 이때에 와서 중앙정부가 鑄 을 새로이 설치했다는 것은 이들을 직접 챙기겠다는 의도로 받아 錢監

들여진다 따라서 이 역시 발운사의 개입여지가 사라지게 되었다. .

의 7 (1074)년 에 정부는 를 통해서 로 하여금

神宗 熙寧 三司 發運使

을 한 곳에 시키고 의 에 대비하도록 지시하고

‘蕃息錢物’ 封樁 朝廷 移用

있다.39) 이 번식전물의 액수는 185萬緡에 달했다.40)

당시 발운사는 풍년이 든 지역에서 항상 싼 값에 곡물을 구입해 놓 고 있었다 그러다가 재해가 든 지역의 추묘미 상공액을 대신 채워주. 면서 웃돈을 받든지 아니면 곡가가 비싼 지역에다 그곳의 시가보다, 조금 낮게 팔아 이득을 보고 있었다.41) 말하자면 발운사는 곡물을 가 지고 전운사를 상대로 이익을 얻고 있었다 바로 그 이익금이 번식전. ‘ 물 이었던 것이다’ .

한편 王安石에 따르면 發運使를 폐지하면 淮南 轉運使가 겸임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일이 많아 다시 발운사를, 復置하게 될 것이라 말하 고 위와 같은, 方案을 처음 실시하였던 許元을 높이 평가하며 그 폐지 에 반대하고 있다.42) 이로써 당시 정부 일각에서는 發運使를 폐지하 려는 움직임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王安石의 반대로 인하 여 熙寧8년 中書는 발운사를 폐지하지 않는 대신 그 권한을 축소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지었던 것이다 이를 통해. 仁宗代 後期 發運使 許元 은 轉運使를 상대로 사업가적인 수완을 발휘하였던 것을 알 수 있고, 또 그의 장사치 같은 속성 때문에 전운사들로부터 미움을 사게 되었던 사실도 알 수 있다.

38) 長編 246, 熙寧六年, 七月 乙巳, . 39) 長編 251, 熙寧七年, 三月,甲寅. 40) 長編 265, 熙寧八年, 六月 壬寅, . 41) 長編 376, 元祐元年, 四月 乙卯, . 42) 臨川集 62, 論議1, 議曰廢江淮荊浙發運使.

년 에 는 에 보내야 할 과

8 (1075) 100

熙寧 中書 內藏庫 上供錢 萬緡 發

합계 을 가지고 에 나누어

100 , 200 7

運使 蕃息錢 萬緡 萬緡 江淮等 路

주어 쌀을 구입하거나 팔게 하여 년에 걸쳐서 상환하라고 하였다5 .43) 그런데 한달 뒤 中書는 다시 上供錢 100萬緡과 內藏庫錢 100萬緡 을 가지고 발운사의 자금으로 삼고 이 가운데, 內藏庫錢 100萬緡은 3 년에 걸쳐서 상환하도록 하자고 하여 이것이 결정되었다, .44) 그래서 상공전과 내장고전 합계 200만민을 발운사에게 주게 되었다 또 그. 가운데 內藏庫錢 100萬緡은 3년에 걸쳐서 상환하고 나머지, 上供錢은

년에 걸쳐서 상환하게 되었다

5 .

한편 元祐6 (1091)년 前知杭州 蘇軾의 말에 따르면 浙西地域의 재 해로 인하여 發運司 封 錢樁 100萬緡을 빌려 구제를 행하고 나중에, 이를 갚도록 건의하고 있다.45) 이를 통해 발운사의 번식전물은 중앙 에 이송되지 않고 자연재해를 대비해 그대로 封樁되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元豊2 (1079)년 에는 發運使에게 糴本錢 100萬緡을 내려, 上 을 채우지 못하는 의 액수를 가 대신 채우게 하고,

供額 路 發運司 轉運

에게 의 와 그 을 알려 이를, 에 한하여

司 和糴價 最高價 運送價格 一季

받아내게 하고 있다.46) 그러므로 정부는 發運使에게 돈을 빌려주어 을 확보하게 하는 한편, 로 하여금 그 미납분을 화폐로

上供額 轉運使

받아내도록 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이 점에서 神宗代 後期 市糴의 방식은 仁宗朝 後期와 마찬가지였다. 그리고 그 대책은 두 가지였다 첫째 정부는 발운사를 통해. 轉運使에 게 돈을 빌려주고는 上供米를 채우도록 강제하고 빌린 돈을 다시 갚, 도록 하였다 둘째 정부는 발운사에게 돈을 주어 상공미를 채우도록. 하는 한편 나중에 전운사에게 받아내도록 하기도 하였다 결국 정부, .

43) 長編 269,熙寧八年,十月 辛亥, . 44) 長編 270,熙寧八年,十一月 丙子, .

45) 長編 456,元祐六年,三月 乙酉 龍圖閣學士 前知杭州蘇軾言, , . 46) 長編 300,元豊二年 九月 辛卯, , .

(10)

는 轉運使의 上供米 不足을 인정하지 않았다.

이처럼 발운사의 업무 영역이라는 외면만을 놓고 본다면 다시 仁宗 의 수준으로 되돌아간 감이 있다 그러나. 와는 달리

朝 後期 仁宗朝 神

의 자본은 정부에 의해 되었다 그 대신에 발운.

宗朝 後期 發運使 封樁

사는 정부의 자금을 운용하여 이를 기한 내에 갚아야만 하였다 이는. 그 이전에 비해 발운사의 재량권이 현격히 축소하였던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자신의 자본이 없이 단순히 정부의 자본을 운용하고 전운, , 사로부터 그것을 다시 되돌려 받아 이를 다시 정부에 갚는 일을 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발운사의 지위는. 仁宗代 後期에 비추어 약화되었 다.

의 (1078-1085)에는 이 실시되었다 이에 따.

神宗 元豊年間 官制改革

라 東南地方에 대한 財政運用은 戶部가 직접 轉運司를 지휘하게 되었 다.47) 또 이 기간 동안 元豊의 帳法이 실시되어 戶部 轉運司 州- - 로 이어지는 會計報告 체계도 만들어졌다.48) 神宗의 熙寧8년 이후 발운 사의 업무 영역과 재량권이 축소되었다는 사실을 통해 元豊의 官制改 에 대한 밑그림이 이미 그때부터 그려지고 있었던 것을 짐작해 볼 革

수 있다.

는 8 (1075)년 부터 과 의 수입을 관장하였다 그러다.

發運使 熙寧 鹽 礬

년 부터 다시 의 수입도 관장하게 되었다 그런데

3 (1088) .

元祐 茶 北宋

년 에 이르러 는 을 더 이상 관할 3 (1104)

末 徽宗代 崇寧 發運使 茶鹽礬

하지 않게 되었다.49) 이때부터 상인은 중앙정부의 榷貨務에 돈을 납 입하고 직접 생산지에 가서 茶鹽礬을 구매하게 되었다 그래서 더 이. 상 發運使가 이들 수입을 관장하지 않게 되었던 것이다.

47)周藤吉之,北宋中期における戶部 復立 -左右曹 中心 として- ( 東洋學報 53-2, 1970).

48)金榮濟,北宋代元豊年間帳法하여-內容意義中心으로- ( 8, 2003).

宋遼金元史硏究

49) 長編 415, 元祐三年, 十月 乙亥, . 崇寧三年九月二十一日 尙書省言, ,

, , ,”

勘會茶鹽礬事已專差官提擧 發運司更不兼領 從之

년 에 이르러 비로소 따로 관리를 파견하여 을

3 (1104) ,

崇寧 茶鹽 提擧

하도록 하였다. 政和2 (1112)년 에 轉般倉을 폐지하여, 六路의 上供米는 곧바로 本路에서 中都에 直達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發運司가 관할하고 있던 綱船을 六路에 均給하게 되었다. 宣和初(1119)에 詔를 내리기를, 는 의 처럼 의 을 살펴 하여 하라고 하 發運司 祖宗 舊制 六路 豊歉 和糴 上供

였다 이보다 앞서. 姦吏로 인하여 糴本이 侵用되어 마침내, 良法이 파괴 되었으니 지금부터는, 每年 100萬石의 糴米를 더하여, 上供年額과 같이 하여京師에 수송하도록 하라고 하였다. (宣和) 3 (1121) ,년 에 方臘의 난 을 처음 진압했을 때, 江浙諸郡은 모두 이렇다할 租稅上供이 없었다 이. 에 詔를 내려 陳亨伯을 大漕의 職을 삼아 七路의 財賦를 經制하도록 하 고, 移用하는 것을 허락하였으며, 監司는 그 按察을 듣도록 하였다 이에. 은 의 와 술 식초와 같은 데서 세금, 7종류를 거두었다. 亨伯 民間 印契稅

이 이후에 州縣에는 이른바 經制錢이란 것이 있게 되었는데 이는( ) 亨伯 으로부터 비롯되었다.50)

이를 보면 北宋末의 發運使에 대해서 상세히 기록하고 있는데 대체, 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첫째. , 崇寧3 (1104)년 부터 發運使가 더 이상 茶鹽 礬( )을 관할하지 않게 되었다고 했는데, 이는 앞서 살핀 바이다 둘째. , 政和2 (1112)년 에 轉般倉을 폐지하고 을 실시하면서 발운사가 가지고 있던 선박들도 모두 에 분

直達法 諸路

배하였다고 하는데 이로 인해 발운사는 더 이상, 運送에도 관여하지 않게 되었던 것을 말한다 셋째 발운사가 가지고 있던. , 糴本錢이 侵用 당했다고 하는데 이는, 蔡京이 집권할 당시 발운사였던 胡師文이 徽宗 에게 아첨하기 위해 적본전을 羨餘로 가져다 바친 것을 시작으로 뒤, 에도 계속 발운사의 적본전이 선여로 지출되었기 때문이었다.51) 여기 서 말하는 발운사의 적본전이란 종래 발운사가 가지고 있던 봉장전물 로 추정된다 넷째 그래서. , 宣和年間初(1119)에 조정에서 다시 적본 전을 내려 100만석을 구입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동남지방에서. , 方臘 의 난이 일어나 조세상공이 없었고 이로써 조정에서는 적본전을 마련,

50) 宋史 167,職官志 發運使, .

51) 文獻通考 卷25,國用3, 漕運,崇寧初蔡京爲相 始求羨財 以供侈費 用所親, , ,

, , , ,

胡師文爲發運使 以糴本數百萬緡充貢 入爲戶部侍郞 自是來者效尤時有進獻 而 .”

本錢竭矣

(11)

할 방법이 없어졌다 그래서. 陳亨伯으로 하여금 經制錢을 거두도록 했 다고 한다 결국. 北宋末 經制錢은 糴本錢을 마련하기 위해 도입된 것 이었다.

에 이르러 가 장악하던 에 관한 업무는

北宋末 徽宗代 發運使 茶鹽礬

모두 중앙정부가 접수하였다 또 정부는. 直達法을 시행하여 轉般倉을 없애고 지방의, 轉運使가 직접 上供物을 京師까지 운반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發運使의 업무는 단지 중앙정부의 지시에 의해 市糴만을 행 하게 되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神宗初 정부는 發運使의 권한 을 한층 강화시켰다 그런데. 熙寧8년에 이르러 그 업무가 다시 축소되 었다 그리고 발운사는 자기자본을 봉장해 두는 대신에 정부의 자본. , 을 가지고 상공미의 부족을 채우고 나중에 전운사로부터 그것을 다시, 회수하는 일을 맡고 있었다 이처럼 자기자본 없이 정부의 자금만을. 운용한다는 것은 그 이전에 비하여 발운사의 재량권이 그만큼 축소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熙寧8년 이후 발운사의 권한은 현격히 약화되 었던 것이다. 徽宗代에 이르면 종래 發運使가 관장하던 동남지역 전매 물품에 대한 지배권이 모두 戶部로 귀속되었다 또. 直達法이 시행됨에 따라서 發運司는 오로지 市糴을 행하는 기관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 南 宋代 의 發運使

발운사는 부터 그 를 둘러싸고 많은 논란이 있었다.

南宋代 初期 設置

한 뒤에 에 도적들이 많았고 의 직무는 을

( ) ,

渡江 南渡 江湖 發運司 市糴

하는 것 뿐이었다. 紹興2 (1132)년 正月에 이르러 마침내 發運司를 폐하 고 그, 錢帛은 行在로 보내게 되었다. 紹興8 (1138)년 에 起居舍人 句龍如

이 건의해 말하기를, 란 을 만들어 내는 곳이 아니므로,

淵 戶部 財物 諸路

에 水陸度支轉運等事를 두고, 蘇州와 杭州에 그 관청을 두자고 청하였다. 이로 인해 戶部侍郞이었던 李彌遜이 發運司를 다시 두고 따로, 糴本錢

을 주어 널리, 을 행하며 거기서 나오는 조그만 이익을 금,

數百萬緡 儲積

방 사용하지 말고 기다려 회복하는 데 쓰도록 하자고 하면서, , 徽猷閣待

인 를 로 삼아 오로지 만을 하도

制 程邁 江淮荊浙閩廣經制發運使 糴事 管掌 록 청하였다 정매가 조정에 들어와. 固辭해 上疏하기를, 唐에서는 劉晏을

로 삼아 를 모두 한곳으로 집중하도록 하였는데, 에서는 처

九使 財賦 國朝

음에 둘로 나누어, 三司使는 안에 居하고 發運使는 밖에 거하면서 서로 를 이루었으나 오늘날, 은 에 나누었고, 은 에

表裏 租庸 轉運司 常平 提擧司

나누었으며, 鹽鐵은 茶鹽司에게 나누었으며, 鼓鑄에 이르러서는 곧 坑冶 가 있으며, 은 곧 가 있어, 가 이를 모두 다스리며,

司 平準 市易司 戶部 發

는 오로지 그 이름만 있을 뿐이라고 하여, 하여 나아가지 않았

運使 固辭

다 이에. 主上은 不許할 뿐이었다. 右諫議大夫인 李誼가 請하기를 檢察營 를 더하여, 를 총괄해 그 를 다스리도록 하자고 하였

田市易等事 六路 盈虛

으나 역시 나아가지 않고, , 和糴의 職務만을 달라고 할 뿐이었다 그해. 겨울에 李泰發 李光( )이 정권(參知政事)을 잡아 虛縻廩祿이라 하여, 發運 을 파하고 다시, 常平을 두기를 청하였다. 9 (1139)년 正月에 마침내 發 를 폐하고, 를 로 삼았다. 6 (1170)년 에는 運使 戶部侍郞 梁汝嘉 經制使 乾道

이 국정을 맡아 월에 다시 를 두기를 하고는

( ) , 3

虞丞相 虞允文 發運司 上奏

를 로 삼고자 하였으나,

戶部侍郞 史正志 江浙京湖淮廣福建等路都大發運使

이 타당하지 않다고 하였고, 과 두 가 힘을 다해

朝論 汪聖錫 黃通老 尙書

말했으나, 執政은 이를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다.…52)

이를 보면 發運司는 紹興2 (1132)년 에 폐지 그 뒤, 紹興8 (1138)년 에 戶部侍郞 李彌遜이 程邁를 發運使로 추천하여 그 설치를 청하였으 나 당사자인 정매가 이를, 固辭하였고, 紹興9년에 李光이 불필요한 봉 록을 줄인다는 취지에서 發運司를 폐지하였으며, 乾道6 (1170)년 에 다 시 虞允文이 發運司 설치를 주장하였으나, 執政이 끝내 거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관련사료가 조금 남아 있어 위의 과정을 좀더 구체 적으로 알 수 있다 먼저. 李彌遜의 문집에는 그의 주장이 자세히 실려 있지만 그 개요만을 간단히 보도록 하겠다, .53)

그는 첫째, 發運司를 설치하여 널리 市糴을 행하는데, 200萬石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약 600萬貫의 자금(糴本)이 든다고 하였다 둘째. ,

52) 建炎以來朝野雜記(이하 朝野雜記라 약칭함) 11, 甲集,官制二 發運使, , 53)李彌遜, 筠谿集 2,乞置使積粟箚子,乞置使積粟畵一.

(12)

발운사가 豊年이 든 지역에서 市糴을 한 뒤 조정의 지휘에 따라 사용 할 수 있도록 이 돈을 보관하자고 하였다 셋째. , 災害가 발생한 州縣 의 조세에 대해서는 가격을 낮추어 화폐로 折納하도록 하고 이로써, 는 풍년이 든 지역에서 시적을 하여 을 채우도록 하자고

發運司 上供額

하였다 넷째. , 秋苗米 上供은 예전대로 轉運司가 운반하도록 하고 재, 해가 발생한 지역에서 보내온 折納額으로써 발운사가 시적을 행하여 상공액을 채우는데 만일 돈이 남으면, 糴本에 보태어 보관하자고 하였 다 다섯째. , 發運司가 諸路의 失陷錢物을 조사하여 이를 糴本에 넣도 록 하며 동시에 회계부정에 대해서는 탄핵권을 달라고 하였다 요컨, . 대 이미손의 주장은 發運司가 市糴을 행할 수 있도록 자본을 줄 것과, 의 에 대한 사용권 나아가 재무회계에 대한 일정한 권, 災傷地域 折納額

한 이 세 가지를 요구하고 있다, .

이에 대해 정매는 첫째 정부에서 인정하는, , 發運司의 屬官은 겨우 명 뿐이라는 것 둘째 책임에 비해서 그 권한이 너무 작다는 것 따

8 , , ,

라서 셋째 발운사를 다시 설치하고자 한다면 북송대처럼 해 준다면, 맡고 그렇지 않으면 사양하겠다는 것 등을 주장하였다, , .54)

이들의 주장에 대해서 당시 새로 參知政事에 임명되어 副宰相이었 던 李光은 다음과 같이 주장하였다.

는 본시 의 를 총괄하고, 하여 에 식량을 조달

發運司 六路 財計 漕運 中都

하는 것을 職務로 삼았습니다 전쟁이 일어난 이후 이미. 漕運이 없어졌 기에 지금 糴買하는 일을 맡기자고 합니다 그 시적의. ( ) 本錢은 모두 朝 으로부터 내려 받는데, 500-600 이나 되고 또, 와

廷 無慮 萬緡 淮南總制司

의 된 도, 역시 일년에 을 밑돌지

諸路 失陷 回易 市易 贍軍等錢․ ․ 數十萬緡

않으니, (발운사가 만일 이를 갖는다면) 이것이 國用을 더욱 군핍하게 하는 까닭이 될 것입니다 어리석은 신이 주상께 바라건대. 特旨를 내려 을 하여 이전처럼, 에게 하도록 하고, 를

常平主管官 廢 香鹽官 兼領 發運司

하여 그, 와 의 일은 으로 하여금 토록 하소서.

罷 糴買 總制等 戶部侍郞 專領

55)

54) 羅願, 羅鄂州小集 6, ,傳 顯模閣學士程邁傳.

55) 李光, 莊簡集 10, 奏議,乞廢常平主管官罷發運司箚子.

이 李光의 주장과 앞에서 본 朝野雜記 의 내용 그리고 이미손의, 주장을 서로 비교해 보면 당시 논의되었던 문제를 어렴풋이나마 추정, 해볼 수 있다.

먼저 이광의 주장은 市糴과 總制에 관한 직무를 戶部侍郞이 총괄하 자고 하는 것이다. 總制란 ‘總制錢’을 일컫는 것으로 ‘經總制錢’의 하나 이다. ‘경총제전 은’ 北宋末 徽宗代에 ‘經制錢’이 먼저 생기고, 南宋初에 다시 ‘總制錢’이 생긴 뒤 나중에 다시 하나로 묶어진 것이다, . ‘경총제 전 은’ 地方州縣의 여러 잡다한 수입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朝野雜記 에서는 右諫議大夫였던 李誼가 六路의 營田市易等 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고 이미손은, 의 을 하여

事 諸路 失陷錢物 檢察

에 넣도록 하자고 요청하였다 여기서 이미손이 말하는. “ 의

糴本 諸路

이나 이의가 말하는 의 이광이 말하는

” , “ ”,

失陷錢物 六路 營田市易等事

의 된 등은 모두 같은 것을 가리키는

“諸路 失陷 回易 市易 贍軍等錢․ ․ ”, 것이라 여겨진다.

이처럼 이미손과 정매는 북송대처럼 발운사의 권한을 어느 정도 인 정해 달라고 하였다 나아가 이미손은. 發運司가 ‘失陷錢物’에 대한 관 할권을 갖고 이 돈으로, 市糴을 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주장했던 것이 다 이는 북송 희령초 설향이 발운사의 권한을 강화하려고 주장한 것. 과 맥락을 같이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당시. 參知 였던 은 의 을 이유로 이를 거부하였다 또. 마

政事 李光 國用 窘乏 發運司

저도 폐지하는 동시에 ‘市糴’과 ‘失陷錢物’에 대한 관할을 戶部侍郞이 맡도록 하였다.

앞에서 인용한 朝野雜記 에서는 乾道 年6 (1170) 3월에도 발운사 설치에 관한 논의가 있었지만 결국 무위로 끝났다고 하였다 이에 관. 해서는 宋會要 에 보다 자세한 내용이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동년 3 28월 일에 戶部侍郞 史正志를 江浙京湖淮廣福建 로 임명하였고, 4월 1일에는 가 의 관청을

等路 大發運司 史正志 發運司

에 두고 소관사무( , , ) 및 필요 江州 斛斗催發綱運 茶鹽礬鑄錢 理欠貿易

인원을 요청하여 그것이 받아들여졌다.56) 그리고 화적의 자금은 6월

Referensi

Dokumen terkait

( )下圖為指甲刀之示意圖。指甲刀的「斜線部分」為一簡單機械,關於此簡單機械的敘述,下列何 者正確? A它是省力的機械 B它是省功的機械 C它是運用斜面裝置的機械 D它是施 力臂小於抗力臂的機械。 10.. ( )臺灣使用多種發電方式,以確保供電的穩定性,其中哪些發電方式主要仰賴進口的能源來運作? A水力發電和火力發電 B水力發電和核能發電

마조 신앙은 이런 항해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생겨났던 것으로, 항해 자의 필요성과 민간 신앙의 실용적인 공리성이 결합되어 마조 신앙은 성립되었다 할 수 있다... 마조의 탄생 설화에는 불교의 영향을 받은 신비적인 요소가 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