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019년도 제27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2019년도 제27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Copied!
5
0
0

Teks penuh

(1)

2019년도 제27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통일, 선택인가?

소속기관 안산중앙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 직위 교사

교사 성명 강석훈

이종원

1. 제작 동기

▶ 교과 및 학교 생활에서 통일 교육이 인지적 부분으로 제한적 내용을 위주로 다루 어지고 있음. 학생들의 실질적인 체험을 통한 심동적인 교육 필요

▶ 한반도 통일이 나의 평화로운 삶과 직접적인 연결에 대해 생각하지 못하고 있음.

평화유지를 위한 통일의 필요성 교육이 제기됨

▶ 지식적 전달 외 분단의 체험을 통해 내용을 알아가는 과제나 문제 해결 방식으로 전개되는 프로그램 필요

2. 제작 내용

▶ 자료의 창의적인 면

▸학생들이 제한된 기간동안 학교 생활 전체를 모두 체험 규정에 의거 체험의 집중도 를 높이도록 구성

▸역사적 사건 전개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체험과정을 설계 반영 ▸단순한 규정 속에서 국가 수립 및 운영을 학생들 스스로 진행할 수 있게 하여 자

기 주도적 프로그램으로 구성

▸남북 현실의 가상 체험 속에서 분단으로부터 일어나는 문제점을 몸소 찾아내고 스스로 해결책을 생각하게 함

▸모든 학생들이 각 국가의 직책을 맡게하고 각 활동에서 주체적으로 진행할 수 있 도록 부서별 활동을 구성함

▸통일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고 역사적인 분단의 문제가 내가 사는 곳의 현실 문 제로 받아들여 통일문제를 마음으로 받아들이게 함

(2)

▶ 프로그램 구성 흐름

단계 프로그램 진행 우리나라 현실

1.분단 갈 등 의 시작

1-1.분단 체험의 필요성

1-2.통일 인식과 체험 의의 알기 1-3.통일 체험 규정 안내

1-4.분단 체험 준비

1. 광복 후 미국과 구소련 남, 북 신탁통치 2. 6.25 전쟁 준비

3. 국가 재건 준비

2.

갈등의 심화 ( 우 월 , 비 난 , 차별, 질 투 , 시기, 공 격 등)

2-1.정치부 활동 - 대표자 선출

- 국가 이름, 상징(국기, 구호, 인사) 제정 - 헌법 제정

- 국가 발전 계획 세우기 - 국가 수립 선포

1. 휴전 협정

2. 남, 북 자치 정부 수립 3. 남, 북 별도 국가 발전 진행 4. 남, 북 비난과 비방 심화

2-2.문화부 활동 - 국가 홍보 패션쇼 - 미니 올림픽(5개 종목)

(복싱, 농구, 양궁, 창던지기, 멀리뛰기)

1. 다른 나라와 각각 수교 진행

2. 남, 북 각각 별도 국제 대회 및 활동 (스포츠 대회, 외교부 등)

2-3.경제부 활동

- 각 국가별 학급 역할 재배정 - 우유 및 급식 먹기 게임 - 땅 넓히기 게임

1. 군사력 확장 및 유지 비용 증가 2. 북한의 천연자원 활용 못함 3. NLL 어선 침범

2-4.사회부 활동

- 분단된 학급 문제 알기 - 부치지 못한 편지

1. 이산가족 문제

2. 휴전선 부근 잦은 전투(연평해전, 천안함) 3. 귀순자 및 국가 이탈자 발생

3.

소통의 시작 ( 용 서 , 화 해 , 차 이 , 배 려 , 존 중 , 이해)

3-1. 정치부 활동 - 분단 문제 해결 제안

- 평화 회담과 평화 선언문 작성 발표

1. 남북 공동 회담

(1970년부터 남, 북 정상 회담 지속) 3-2. 경제부 활동

- 통일 나눔 장터 - 무궁화 꽃 지도 만들기

1. 적십자 활동 – 비료, 식량, 의료 등 지원 2. 금강산 관광 – 북한 지역 개발 및 교류 3. 개성공단 사업 – 자본, 기술, 인력 교류 3-3. 사회부 활동

- 북한어 퀴즈

- 헤어진 친구 만나기(팔찌 만들고 전하기, 간식 나누어 먹기)

- 비밀 편지 전하기

1. 남북 공동 국어사전 편찬

(겨레말 큰사전, 2005년부터-잠정중단) 2. 남북 공동 동식물 보호 활동

3. 이산가족 상봉 3-4. 문화부 활동

- 미니 올림픽 단일팀 구성 대회 - 함께 하는 문화 공연

1. 아시안게임 및 올림픽 단일팀 구성 2. 남,북 교류 음악회, 미술, 작가 활동 3. 뽀로로 등 문화 산업 함께 개발

4. 평화 로운 미 래

하나된 우리

- 수호천사활동(용서와 화해)

- 평화의 의미 찾아 나누기/평화의 문 열기 - 분단선 커팅식

- 통일 소원 리본 만들기

1. 남북 정상 식수 동영상 2. 베를린 장벽 해체 의의 3. 남북정상 판문점 선언 4. DMZ 철거 작업

(3)

▶영상 자료 구성 흐름

주제 영상 제시 순서 영상 속 활동 사항 설명

1.분단 갈 등 의 시작

1-1.분단 체험의 필요성

자료출처-역사적 만남부터 뜨거운 포옹 까지... 정상회담 명장면/YTN(43’~50’) 사용

https://www.ytn.co.kr/_ln/0101_201804 281913005447

1-2.통일 인식과 체험 의의 알기 1-3.통일 체험 규정 안내 1-4.분단 체험 준비

1-1. 통일에 대한 교육활동 방향에 대해 어떤 방법이 있는지 서로의 의견 나누기

1-2. 학생들이 분단 체험 전 통일의 필요 유무와 통일 필요의 진정성을 파악하고 이후 체험을 성실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교사가 남북 현실 안내와 체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목적, 진행 과정, 예상 효과를 안내하기

1-3. 통일 체험을 위한 2가지 규정외에는 학생들이 스스로 결정하도록 안내하기

1-4. 분단 체험 전 학급 활동 미리 설계하기

(수호천사 활동-3가지 실천 계획 세우기, 자율동아리 활동-활동 주제별로 모임을 자율적으로 꾸리고 활동 계획 세우기, 앉고 싶은 친구와 짝하기)-학생들이 원하고 적극적인 활동을 구성하고 분단된 후 활동이 되지 않을 때, 다시 통합하였을 때 느낄 수 있도록 미리 구성하기

교실 중앙을 기준으로 좌, 우로 앉고 싶은 친구와 짝을 분리하여 다른 국가에 각각 나누어 배치

2.

갈등의 심화 ( 우 월 , 비 난 , 차별, 질 투 , 시기, 공 격 등)

2-1.정치부 활동 - 대표자 선출

- 국가 이름, 상징(국기, 구호) 제정

- 헌법 제정

- 국가 발전 계획 세우기 - 국가 수립 선포

2-1. 각 국가 선거를 통해 대표자 선출

대표자는 회의를 진행하며 국가 이름, 국기, 구호, 헌 법 제정

정치, 경제, 사회, 문화부 4개 부서의 역할을 안내하 고 회의를 통해 원하는 부서에 인원수가 균등하게 참 여하도록 안내 후 자율적으로 배분하기

정치부원들을 중심으로 체험 활동 간 국가 발전 계획 세우기

대표자와 정치부원은 국가별 정부 수립이 됨을 선언하기 2-2.문화부 활동

- 국가 홍보 패션쇼 - 미니 올림픽(5개 종목) (복싱, 농구, 양궁, 창던지기, 멀 리뛰기)

2-2. 문화부 중심으로 각 나라의 상징을 이용하여 의상 준비 후 패션쇼 진행

국가별 모든 구성원 미니 올림픽 종목에 자율적으로 균등하게 인원수를 배정하기

금, 은, 동메달 준비. 5개 종목 준비물 준비-영상확인 교사 심판 및 진행 국가별 대항 경기 진행 후 수상

2-3.경제부 활동

- 국가별 학급 역할 재배정 - 우유 및 급식 먹기 게임 - 땅 넓히기 게임

2-3. 경제부 중심으로 국가별 학급에서 진행되어 오던 1인 1역을 국가별로 자율적으로 배정하기

매 우유와 점심 급식을 국가별 경제부 대항을 통해 (가위바위보) 급식 순서, 가져오기, 배식하기, 가져다 놓기를 함

두 국가의 경제부는 통에 공을 많이 넣는 게임을 통 해 중앙 분리선을 상대편으로 밀어내면서 공간 넓히 기를 함

2-4.사회부 활동 2-4. 사회부가 중심이 되어 분단된 학급에서 발생되는

(4)

- 분단된 학급 문제 알기 - 부치지 못한 편지

문제들을 회의를 통해 찾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제안을 함 분단되어 대화와 만나지 못하는 친구들에게 편지를

쓰기. 전달하지 못한 편지를 학급 뒤 게시판에 게시함

3.

소통의 시작 ( 용 서 , 화 해 , 차 이 , 배 려 , 존 중 , 이해)

3-1. 정치부 활동 - 분단 문제 해결 제안

- 평화 회담과 평화 선언문 작 성 발표

3-1. 정치부가 중심이 되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일 필요성에 대한 투표를 진행

대표자와 정치부가 평화 회담을 열어 두 국가가 교류 하면서 지킬 내용을 선언문에 넣고 대표자는 평화선 언문을 발표함

3-2. 경제부 활동 - 통일 나눔 장터 - 무궁화 꽃 지도 만들기

3-2. 경제부가 중심으로 물건을 모으고, 가격을 책정 후 각 개인당 모조 카드에 1000원을 사용하도록 약속함 국가별로 장터를 열고 일부 허락된 친구들만 다른 국

가의 장터에 방문하여 물건을 나눔

교사는 한반도 지도를 준비하고 종이, 가위, 풀, 싸인 펜 및 색연필을 각각 두 나라에서 반반씩 나누어 줌.

필요한 물품을 다른 국가의 친구들을 만나 협력하여 무궁화 꽃을 그리고 무궁화 꽃을 붙여 지도를 완성함

3-3. 사회부 활동 - 북한어 퀴즈

- 헤어진 친구 만나기(팔찌 만들고 전하기, 간식 나누어 먹기)

- 비밀 편지 전하기

3-3. 교사가 북한어로 된 글을 준비하고 국가별 사회부 원들을 중심으로 북한어 퀴즈를 풀기

모르는 어휘는 다른 국가의 같은 부서를 만나 북한어 퀴즈를 풀기

교사가 마지막으로 같이 북한어 퀴즈 답을 안내하기 교사는 팔찌 만들기 재료와 간식을 준비, 혼합물 분

리 주제로 과학 시간을 이용하여 팔찌만들기와 간식 나누어 먹기를 함. 헤어진 친구들을 만나고 싶은 신 청자를 받아 진행하기

국어 시간 그림 문자를 이용하여 헤어진 친구들에게 비밀편지를 씀. 내가 원하는 친구가 비밀 편지의 내 용을 풀어내면 쉬는 시간 만남의 시간을 가짐

3-4. 문화부 활동

- 미니 올림픽 단일팀 구성 대회 - 함께 하는 문화 공연

3-4. 문화부원들이 중심이 되어 양 국가의 우수 미니 올림픽 참가원들을 뽑아 단일팀을 만들고 5개 종목을 선생님과 대항하여 경기함

경기에서 이기면 쉬는 시간 친구들과 만남의 시간을 가짐. 지면 시간을 갖지 못함

자율동아리를 계획한 친구들끼리 모여(쉬는 시간 이용 분단된 친구들도 함께) 문화 공연을 준비하여 발표함

4. 통합 평 화 로 운 미래

4. 하나된 우리

- 수호천사활동(용서와 화해) - 평화의 의미 찾아 나누기 - 평화의 문 열기

- 분단선 커팅식

- 통일 소원 리본 만들기

4. 분단되기 전 수호천사활동 계획을 되돌아보고 실천하 지 못한 것에 대해 마음을 서로 전하는 시간을 가짐 평화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나누어 적고 대화를 나누

며 의미를 살펴보기

평화의 문을 통과하며 평화를 위한 나의 다짐을 발표 하며 다른 나라 친구들이 호응하는 시간을 가짐 분단선을 두 국가가 만나서 가위로 잘라내고 잘라낸

분단선에 통일에 대한 나의 소원을 적고 창가에 리본 을 매달아 그 의미를 되새김

(5)

▶ 사용 방법

▸작품 설명서를 보고 활동 내용과 우리나라 현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급의 통일 인식 부분의 필요 부분을 뽑아 체험 활동을 함

▸주제별로 끊어 학습 활동을 살펴보면서 구체적 교수 및 학습활동을 계획하기 ▸영상클립 자료와 함께 설명서를 함께 살펴보면서 학급 상황에 맞게 구체화하기 ▸교수학습활동의 준비과정 및 전개, 정리에 필요한 학습 준비를 안내

▸각 주제에 따라 구체적인 학생 활동을 찾아볼 수 있고, 교수학습 형태 방법을 안내

▶ 특 성

▸통일 인식을 바탕으로 인지적인 부분에서 심동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긍정적 통일 의식을 기르는 프로그램 제시

▸교육 학급 현장에서 실질적인 실천을 할 수 있도록 학생의 눈높이에 맞춘 체험 학습 프로그램 진행 제시

▸각 주제별 활동을 바탕으로 학급 통일 교육에서 필요한 부분을 발췌 전개할 수 있도록 학습 활동 제시

▸역사적 현실을 바탕으로 통일이 학생의 삶과 연계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프 로그램 흐름 제시

▸단순한 규정으로 제약을 최소화하고 학생 스스로 분단 체험을 구성하고 이끌어 갈 수 있는 자율적인 학습 활동 제시

▸비판적 사고 과정과 현재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의사 결정의 과정을 적극 적으로 반영하도록 프로그램 구성

3. 기대 효과

▶ 통일 교육을 제한된 인지적부분에서 심동적 영역으로 확대 통일 인식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

▶ 역사, 지금의 남과 북의 현실이 나의 삶에 직접적 관련성을 갖고 나의 의지에 따 라 국가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음

▶ 자기 주도적 교육 활동으로 비판적 사고 능력과 능동적 민주시민 자질을 육성하 여 미래 사회의 변화 의지를 가지도록 할 수 있음

Referensi

Dokumen terkait

국악 동요나 민요에 맞추어 연주하거나 국악기와 함께 연주해 보는 활동을 통해 우리나라 음악에 대한 관심과 이해 및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