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도 제28회 교육방송연구대회 작품설명서
주제 : 온라인 그루밍, 낯선 친절을 조심해!
소속기관 송전초등학교
행정초등학교 직위 교사
교사 성명 최희은
신소영 1. 제 작 동기
1. 제 작 동기
가. 교육지도 상의 문제점 해결
첫째 ‘n번방 사건’을 비롯한 온라인그루밍 범죄 유형의 변화
최근 미성년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그루밍’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온라인 그루밍은 피 해자를 심리적으로 길들이고(그루밍) 지배한 뒤 성적으로 착취, 가해하는 등의 범죄이다. 시간이 지날 수록 온라인 그루밍 유형은 계속 변화하고 있다. 그런데 학교에 오는 ‘디지털 성교육’ 자료들을 보면 이미 지나간 유형의 온라인 그루밍을 예방하는 방법이 실려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과거 에는 랜덤 채팅앱에 스스로 접속한 피해자들이 많았지만 요즘에는 일반적인 sns에서 많은 시간(한 달 이상)과 자금을 투자하여 피해자의 심리적 경계를 허물고 온라인 그루밍을 시도한다. 따라서 과거보다 가해자들의 온라인 그루밍 시도 대상 범위가 훨씬 넓어졌다. 이런 새로운 유형의 온라인 그루밍 문제 해결을 위해 본 교육영상을 제작하게 되었다.
둘째 피해자가 죄책감을 갖지 않도록 하는 성교육 부족
2020년에 배부된 117 신고센터 ‘디지털 성교육’ 자료들을 보면 피해자가 심심해서 랜덤채팅에 들 어간 뒤 하루 안에 자신의 성적인 사진을 찍어 가해자에게 보내서 ‘디지털 성폭력’ 피해자가 된다고 나온다. 보는 관점에 따라 피해자의 행동이 범죄를 유발했다고 볼 수 있는 내용이다. 이러한 내용으 로 성교육을 하게 되면 피해 학생의 죄책감은 더 커지고 온라인 그루밍을 끊을 용기가 더 줄어들 게 된다. 피해자가 죄책감을 가지지 않고 당당하게 신고할 수 있는 용기를 줄 수 있는 영상을 제작 하고자 했다.
나. 교육방송 활용의 활성화
첫째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 사회 문제를 시의적절하게 해결
‘소재의 적절성’은 시의성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온라인 그루밍’이 사회 문제라는 공감대가 형성 된 요즘 본 영상 주제인 ‘온라인 그루밍 예방’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관 심을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방송이 제작된다면 ‘활성화’는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둘째 교육과정과 연계한 내용 구성
「성폭력방지법」 제5조, 동법 시행령 제2조와 「경기도교육청 성교육 진흥 조례」 제3조(교육감의 책 무)에 따라 2020년학년도 초등학교 기준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연간 14시간 이상의 성교육을 실시해야 한 다. 그 중 최소 4시간은 성폭력 예방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보건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의 자율 시간을 활용하여 온라인 그루밍 예방 수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정보화 시대에 정규 교육과정에 ‘디지털 성폭력 예방교육’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었고, 양질의 디지털 성폭력 예방 교육 영상 요구가 늘어날 것이라고 판단하여 영상을 제작하였다.
2. 제 작 내용 2. 제 작 내용
가. 영상 내용의 개요
대주제
온라인그루밍, 낯선 친절을 조심해!
소주제
온라인 그루밍 사례 (재연 드라마)
온라인 그루밍 정의 및 실태
온라인 그루밍
6단계
전문가 인터뷰
온라인 그루밍 체크리스트
기획 의도
실제 사례를 재연 드라마 형식으로 촬영하여 영상을 보는 학생들의 이 해를 돕는다.
온라인 그루 밍을 범죄의 과정으로 규 정하고 피해 자의 3분의 1 이 초등학생 임을 알려 경 각심을 갖게 한다.
온라인 그루밍 과정을 6단계 로 제시하여 교 육을 받은 학생 들이 온라인 그 루밍 여부를 구 분할 수 있도록 한다.
성범죄 피해를 당한 청소년을 전문으로 상담하 는 청소년성문화 센터장을 섭외하 여 실질적인 온 라인 그루밍 대 처법을 알린다.
온라인 그루밍 체크 리스트를 통해 학생 들이 온라인 그루밍 을 스스로 알아낼 수 있도록 한다.
내용 흐름
①피해자 소개
② sns 상 낯선사람의 접근
③ 낯선 사람이 친절 을 베품
④ 낯선 사람의 영상 통화시도
⑤ 피해자 거절
⑥낯선 사람의 연락 두 절
⑦ 낯선 사람의 재연락
⑧ 낯선 사람과 피해자 영상통화
⑨ 낯선 사람의 협박
⑩ 피해자의 좌절
①피해자에게 메시지 전 달
②온라인그루 밍 정의
③성범죄 유 형 그래프
④온라인 그 루밍 피해 자 연령 그 래프
①피해자 고르기
②신뢰 얻기
③욕구충족 시켜주기
④고립시키기
⑤관계를 성적 으로 만들기
⑥통제 유지하 기
①온라인 그루 밍의 특징
②온라인 그루 밍 신고율
③신고가 어려 운 이유
④온라인 그루밍 대처법 3가지
①sns 친구의 기본 신상 정보를 안다.
②내 sns의 공개 범위나 조정 방법을 안다.
③온라인에서 이유 없 이 받은 기프티콘 선물 을 부모님께 말할 수 있다.
④진정한 친구는 곤란 한 부탁을 하지 않는다 는 것을 안다.
⑤위기가 닥쳤을 때 주 변 어른들이 나를 도와 줄 것을 믿고 있다.
⑥온라인 그루밍으로 힘들어하는 친구에게 친구 탓이 아님을 말하 고 지지할 수 있다.
시간 흐름
0초~
2분 47초
2분 48초~
3분 35초
3분 36초~
4분 36초
4분 37초~
5분 40초
5분 41초~
7분 00초
나. 학생들의 수준을 배려한 구성
첫째 재연 드라마 속 피해자로 비슷한 연령대 학생 섭외
비슷한 연령대 학생을 섭외하여 영상을 보는 학생들이 영상 내용에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 록 하였다.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생활패턴을 분석하여 자주 활용하는 sns, 물품, 가게 등과 부모와의 관계, sns 활동 유형 등을 재연 드라마 제작에 활용하였다.
둘째 sns 메시지 형식 활용
온라인그루밍 정의나 과정을 소개할 때 학생들에게 익숙한 sns 메시지 형식을 활용하였다. 마 치 자신이 메시지를 주고받는 듯한 효과를 줘서 몰입감을 이끌어낼 수 있다.
다. 제작과정의 참신성
첫째 영상 속 그림을 직접 제작
온라인 그루밍 과정을 그대로 재연한 짧은 드라마를 제작하여 학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 록 했다.
둘째 온라인 그루밍 체크리스트 도입
화성시청소년성문화센터의 감수를 받은 온라인 그루밍 체크리스트를 영상에 실어서 학생들이 온라인상에서 비슷한 상황이 왔을 때 바로바로 온라인그루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3. 역 할 분담 및 제작 일정 3. 역 할 분담 및 제작 일정
단계 내용 2020
3 4 5 6 7 8 담당자
소재구상 및 작품기획
영상제작의 필요성 인식 교사 최희은
1차 자료수집 교사 신소영
교육과정 및 선행자료 분석 교사 최희은
실태조사 및 문제점 탐색 교사 최희은
교사 신소영
1차 검증 교육과정 투입 및 검증 교사 최희은
제작 기획
자료 수정 보완 교사 신소영
방송연구대회 계획서 작성 및 제출 교사 최희은
제작
콘티 구체화 작업 교사 최희은
2차 자료 수집 및 연구 교사 신소영
최종 콘티 및 스토리 보드 작성 완료 교사 최희은
촬영 준비물 준비 교사 신소영
촬영 및 녹음 교사 최희은
장면 편집, 효과 교사 신소영
저작권 관련 문제 해결 교사 신소영
2차 검증 교육과정 투입 및 검증 교사 최희은
1차 수정 1차 제작분 검토 교사 신소영
재촬영 교사 최희은
2차 수정 2차 제작분 검토 교사 신소영
자료 수정 보완, 설명서 작성 교사 최희은
최종완성 영상 보정 및 자막 보정 교사 신소영
4. 기 대 효과 4. 기 대 효과
가. 작품의 교육적 활용
No. 대표 장면 기대 효과 위치
#1
온라인 그루밍을 재연한 드라마를 보고 특별한 학생들만 피해자가 되는 것이 아 니고, 범죄의 표적이 되면 누구나 당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준다.
00:11 - 02:47
#2
온라인 그루밍은 피해자의 잘못이 아닌 가해자가 계획한 범죄라는 것을 정확하 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02:58 - 03:22
#3
온라인 그루밍 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하 여 비슷한 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게 한다.
03:37 - 04:31
#4
온라인 그루밍 피해 발생 시 구체적으로 어떤 대처방법이 있는지 명확하게 제시 하여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05:10 - 05:29
#5
온라인 그루밍 체크리스트를 통해 학생 들 스스로 온라인 그루밍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05:41 - 06:23
나. 일반화 가능
No. 대표 장면 기대 효과 위치
#1
20대 미만 성폭력 피해 중 절반 가까이 가 그루밍 성폭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 큼 영상의 일반화 가능성은 매우 높다.
특히, n번방 사건처럼 많은 국민들의 공 분을 산 온라인 그루밍 범죄가 사회적 문제로 거론되기 때문에 정규 교육과정 시간 이외에도 많이 활용될 것이라고 생 각한다.
03:23 - 03:29
#2
나레이션, 드라마, 체크리스트를 전문가 에게 감수를 받아 일반적인 성교육 영상 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온라인 그루밍을 포함한 성범죄 관 련 청소년 피해자들을 실제 상담한 경험 이 많은 전문가를 등장시켜 영상의 신뢰 도를 높였다.
04:39 - 05:40
5. 저 작권 관 련 자료 5. 저 작권 관 련 자료
가. 음원자료 및 템플릿 출처
- Youtube에 게시되어 있는 음원 및 템플릿 중 CREATIVE COMMONS 재사용 허가 자료만을 활용하여 제작
- 영상 속 드라마 음원 : Music copyright Ⓒ 2019 Tido Kang All Rights Reserved - 영상 속 이미지 직접 제작
- 주인공 및 천사 음성 : 인공지능 성우 서비스 타입캐스트에서 제작 - 영상출연자 및 촬영 장소는 사전에 모두 허가 후 촬영
나. 참고자료 출처
- 온라인 기반 청소년 성착취 근절을 위한 대안 모색(한국여성진흥원) - 디지털 성폭력 피해지원 안내서(여성가족부, 한국여성인권진흥원)
- 성착취 피해 아동·청소년 지원 안내서(한국여성인권진흥원)
- 온라인그루밍성범죄(엘레나마르텔로조 저, 탁틴내일 엮음, 한울림출판사)
- 6학년 실과 지도서(천재교육)